KR970072788A -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72788A
KR970072788A KR1019960013089A KR19960013089A KR970072788A KR 970072788 A KR970072788 A KR 970072788A KR 1019960013089 A KR1019960013089 A KR 1019960013089A KR 19960013089 A KR19960013089 A KR 19960013089A KR 970072788 A KR970072788 A KR 97007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portable terminal
wireless portable
control signal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3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186585B1 (ko
Inventor
김성봉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130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585B1/ko
Publication of KR97007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2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5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5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7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 H02J7/0071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 H02J7/007182Regulation of charging or discharging current or voltage the cycle being controlled or terminated in response to electric parameters in response to battery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06Overdischarge prot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Abstract

1. 청구 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
무선 휴대 단말기의 전원공급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
베터리의 전원을 읽어서 미리 설정된 전원이 될 시 전류의 최소 방출을 위해 전원의 통로를 차단하도록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베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을 제공한다.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충방전을 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수단의 처리방법은 상기 동작전원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감지될 시 동작전원 공급통로를 차단한다.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베터리가 완전방전이 되어 재 충전시 발생되는 셀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이를 구현한다.

Description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를 보여주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따라 제어부의 처리 흐름도를 보여주는 도면.

Claims (9)

  1.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을 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갖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의 전원을 감지하여 미리 설정된 전원이 될 시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의 전원공급통로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통로의 차단은, 상기 동작전원을 감지한 제어수단이 상기 전원공급통로에 위치한 스위칭은 온/오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3. 무선 휴대 단말기에 있어서,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을 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와, 상기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에서 출력되는 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전원으로 감지될 시 제1차단제어 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1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2전원이 감지될 시 제2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제어수단에 의거하여 제어되는 적어도 하나의 로직회로들과,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와 상기 로직회로들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1차단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와 상기 제어수단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제2차단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동작전원의 공급을 차단하는 제2스위칭수단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4. 제3항에 있어서, 방전된 후 충전 완료된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감지하여 리셋신호를 상기 제어수단으로 발생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하는 리셋발생수단을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에 전원레벨이 상기 제1전원보다 높은 로우전원이 될시 상기 제어수단에 의거하여 경보표시하는 표시수단 및 경보음 발생수단이 더 추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6. 동작전원을 공급하고, 충방전을 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를 가지는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제어수단의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원의 레벨이 미리 설정된 레벨 이하로 감지될 시 동작전원 공급톨로를 차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전원 공급통로 차단은, 상기 동작전원 공급통로에 위치한 스위칭수단을 제어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방법.
  8. 동작전원을 공급하며, 충방전을 하는 보조전원공급장치와, 상기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동작전원의 레벨을 감지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동작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적어도 하나의 주변 로직회로와, 상기 제어 수단으로의 동작전원의 공급통로 사이에 위치한 제1스위칭수단과, 상기 주변 로직회로의 동작전원의 공급통로 사이에 위치한 제2스위칭수단을 구비한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 상기 보조전원공급장치의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상기 제어수단의 처리방법에 있어서, 대기하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동작전원이 미리 설정된 제1전원으로 감지될 시 제1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1스위칭수단이 오프하도록 하여 상기 대기과정으로 되돌아가는 과정과, 상기 대기과정에서 상기 동작전원이 상기 제1전원보다 낮은 레벨의 제2전원으로 감지될 시 제2차단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제2스위칭수단이 오프하도록 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지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보다 높은 레벨의 로우전원이 감지될 시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표시수단에 경보표시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상기 제어수단에 접속된 경보음 발생수단에 경보음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경보정보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과정이 더 추가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방법.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13089A 1996-04-26 1996-04-26 무선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회로 및 방법 KR1001865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089A KR100186585B1 (ko) 1996-04-26 1996-04-26 무선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회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3089A KR100186585B1 (ko) 1996-04-26 1996-04-26 무선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회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2788A true KR970072788A (ko) 1997-11-07
KR100186585B1 KR100186585B1 (ko) 1999-05-15

Family

ID=19456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3089A KR100186585B1 (ko) 1996-04-26 1996-04-26 무선 휴대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회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5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55B1 (ko) * 2004-12-23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91049A (ko) * 2000-04-07 2001-10-22 오카베 히로무 부가기능을 가진 배터리-전원공급 이동전화
KR100700558B1 (ko) * 2001-06-11 2007-03-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폰 배터리의 잔여 전원 사용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7255B1 (ko) * 2004-12-23 2007-0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6585B1 (ko) 199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087B1 (ko) 휴대용 정보처리기기의 전원공급 제어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KR940018716A (ko) 건전지를 사용한 휴대용 정보처리시스템의 전원장치
KR940022232A (ko) 컴퓨터 주변장치의 전원절약장치
KR970055908A (ko) 파워 앰프 모듈 보호장치
KR101520365B1 (ko) 대기전력을 차단하는 충전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970072788A (ko) 무선 휴대 단말기의 배터리 완전 방전 방지를 위한 회로 및 방법
KR960032793A (ko) 충전장치
KR101302676B1 (ko) 대기전력 차단장치
KR950030504A (ko) 밧데리 자동절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960036231A (ko) 과전류보호회로 및 과전압보호회로
KR20000025277A (ko)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전자 장치의 전원 제어 회로
JPH10173840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8149684A (ja) 電源線の過電流遮断装置
KR100211330B1 (ko)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960009390Y1 (ko) 셀룰라폰의 충전전원 제어장치
KR101421161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배터리 충전 장치
KR20120090178A (ko) 대기전력 차단기능을 갖는 충전장치
KR100687255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원오프 알림 장치 및 그 방법
KR970056722A (ko) 자동 충전 차단 기능을 갖는 무선 전화기
KR970068451A (ko) 전전자 교환기의 전원 공급 방법 및 그 장치
KR19980039140A (ko) 전원 오프(Off)시 시스템의 자동 전원차단장치
KR20030012657A (ko) Lcd 프로젝터의 램프 냉각 장치
JPH08182223A (ja) 無停電電源装置
KR20020094262A (ko) 절전형 전원공급장치가 설치된 컴퓨터 시스템
KR960043410A (ko) 재충전 밧데리의 리플레쉬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