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60939A -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60939A
KR970060939A KR1019960001097A KR19960001097A KR970060939A KR 970060939 A KR970060939 A KR 970060939A KR 1019960001097 A KR1019960001097 A KR 1019960001097A KR 19960001097 A KR19960001097 A KR 19960001097A KR 970060939 A KR970060939 A KR 9700609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t
macroblock
class
color
generation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6764B1 (ko
Inventor
류성걸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01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6764B1/ko
Publication of KR970060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6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6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24Quan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46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 H04N19/149Data rate or code amount at the encoder output by estimating the code amount by means of a model, e.g. mathematical model or statistical mod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block, e.g. a macrobloc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6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colour or a chrominance compon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lgebra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제1칼라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각 화소값의 색차특성을 근거로 하여, 매크로블럭을 텍스쳐 마스킹을 사용하여 소정의 텍스쳐 클래스로 분류하는 과정; 매크로블럭을 4개의 서브블럭으로 나누어 각 서브블럭의 평균색을 구하고, 평균색에 대한 분류를 실시하여 각 서브블럭의 분류값 중 최소값을 매크로블럭의 칼라 클래스로 결정하는 과정; 제1 및 제2클래스 분류과정에서 분류된 클래스를 조합하여 매크로블럭의 최종 클래스를 분류하는 과정; 매크로블럭의 각 최종 클래스에 대한 앙자화간격과 분산값으로 분류한 비트모델을 사용하여 비트발생량을 예측하는 과정; 가변비트율 부호화에 맞는 각 프레임별 목표비트를 계산하는 과정; 및 예측된 비트발생량과 계산된 프레임별 폭표비트를 이용하여 실제 비트발생량을 제어하는 과정을 구비한다. 따라서, 밝기 성분 및 색 성분을 고려하여 동화상을 압축함으로써 인간의 시감특성에 더욱 가까운 고효율의 압축을 달성할 수 있고, VBR 부호화시 화질의 결정을 용이하게 하였고, 원하는 목표비트에 맞추기 위한 반복과정을 3회 이내로 줄여 부호화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시감 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영상 부호화장치를 나타낸 블럭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프레임별 목표비트 계산 및 양자화간격 조정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Claims (3)

  1. 부호화하고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매크로블럭에 대한 각 화소값의 색차특성을 저장하고 있는 제1칼라 룩업테이블과, 상기 매크로블럭의 평균색의 분류를 위해서 사용되는 제2칼라 룩업테이블을 구비한 영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칼라 룩업테이블에 저장된 각 화소값의 색차특성을 근거로 하여, 상기 매크로블럭을 텍스쳐 마스킹을 사용하여 소정의 텍스쳐클래스로 분류하는 제1클래스 분류과정; 상기 매크로블럭을 4개의 서브블럭으로 나누어 상기 각 서브블럭의 평균 색을 구하고,상기 평균색에 대한 분류를 실시하여 상기 각 서브블럭의 분류값 중 최소값을 상기 매크로블럭의 칼라 클래스로 결정하는 제2클래스 분류과정; 상기제1 및 제2클래스 분류과정에서 분류된 클래스를 조합하여 상기 매크로블럭의 최종 클래스를 분류하는 제3클래스 분류과정; 상기 제3클래스 분류과정에서 분류한 상기 매크로블럭의 각 클래스에 대한 양자화간격과 분산값으로 분류한 비트모델을 사용하여 비트발생량을 예측하는 비트발생량 예측과정; 가변비트율 부호화에 맞는 각 프레임별 목표비트를 계산하는 목표비트계산과정; 및 상기 예측된 비트발생량과 상기 계산된 프레임별 목표비트를 이용하여 실제 비트발생량을 제어하는 비트발생량 재어과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2. 소스화상에 대하여 움직임 보상을 수행하여 차영상을 출력하는 움작임 보상수단, 상기 차영상을 출력하는 움직임 보상수단, 상기 차영상을 이상여현변환하는 이산여현변환기, 상기 이산여현변환된 차영상을 소정의 양자화 간격으로 양자화하는 양자화기. 상기 양자화된 신호를 가변장부호화하는 가변장부호화기와, 상기 가변장부호화된 신호를 일정한 비트스트림으로 출력하는 버퍼를 구비한 영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부호화하고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매크로블럭에 대한 인간의 시감특성을 근거로 하여 상시 매크로블럭의 클래스를 분류하는 매크로블럭 클래스 분류부; 상기 매크로블럭 클래그 분류부에서 분류된 매크로블럭의 시감특성에 적합한 기준 양자화간격을 저장하고 있는 Rq,값 저장부; 블럭의 영상신호를 상기 기준 양자화간격으로 양자화할 경우 비트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하여 상기 블럭의 분산값을 소정 수의 구간으로 분류하는 블럭분산 분류부; 상기 블럭분산 분류부에서 분류된 각 구간의 블럭에 대하여 상기 기준 양자화간격과 상기 예측된 비트발생량과의 관계에 의한 비트모델을 저장하는 비트모델 저장부; 상기 매크로블럭 클래스 분류부의 분류결과와 상기 블럭 분산 분류부의 분류결과로부터 발생하는 블럭클래스에 대하여 상기 블럭의 프레임내의 누적발생 빈도수를 계산하기 위한 히스토그램 계산부; 프레임내의 모든 매크로블럭을 각각의 매크로블럭 클래스 분류결과에 적합한 기준 양자화간격으로 양자화할 경우 상기 비트모델과 히스토그램으로 부터 프레임 비트발생량을 예측하기 위한 프레임 비트발생량 예측부; 전송속도를 고려하여 주어진 프레임 목표비트와 상기 프레임 비트발생량 예측부에서 계산된 프레임 비트발생량 예측치의 오차와 상기 비츠모델을 고려하여 상기 블럭 분류의 모든 경우에 대한 블럭 목표 비트를 할당하기 위한 목표비트 할당부; 상기 프레임 목표비트와 프레임 비트발생량 예측치의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기준 양자화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Rq값 조절부; 및 이전 매크로블럭까지의 부호화에 의한 비트발생량으로부터 버퍼점유량을 계산하고, 상기 버퍼점유량과 기준 양자화간격을 이용하여 최종 양자화간격을 구하기 위한 비트율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매크로블럭 클래스 분류부는 부호화하고자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구성하는 매크로블록에 대한 각 화소값의 색차특성을 근거로 하여, 상기 매크로블럭을 텍스쳐 마스킹을 사용하여 소정의 텍스쳐 클래스로 분류하기 위한 텍스쳐 마스킹부; 상기 텍스쳐 마스킹부에서 사용되는 상기 입력 영상신호의 각 화소값의 색차특성을 저장하고 있는 제 1칼라 룩업테이블; 상기 매크로블럭을 4개의 서브블럭으로 나누어 상기 각 서브블럭의 칼라 클래스로 결정하는 칼라 마스킹부; 상기 칼라 마스킹부에서 상기 매크로블럭의평균색의 분류를 위해서 사용되는 제 2칼라 룩업테이블; 및 상기 텍스쳐 마스킹부와 상기 칼라 마스킹부에서 분류된 클래스를 조합하여 해당 매크로블럭의 최종 클래스로 분류하기 위한 가신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와장치.
    ※ 참고사항: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60001097A 1996-01-19 1996-01-19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KR100316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097A KR100316764B1 (ko) 1996-01-19 1996-01-19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097A KR100316764B1 (ko) 1996-01-19 1996-01-19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939A true KR970060939A (ko) 1997-08-12
KR100316764B1 KR100316764B1 (ko) 2002-02-28

Family

ID=37531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097A KR100316764B1 (ko) 1996-01-19 1996-01-19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67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36A (ko) * 2002-04-30 2003-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람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색상 양자화를 통한 영상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6248895A (zh) * 2023-05-06 2023-06-09 上海扬谷网络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全景漫游的视频云转码方法及系统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50332B1 (ko) 2004-10-21 2012-06-08 삼성전자주식회사 양자화계수 선택빈도수가 통계적으로 반영된 테이블을이용한 영상부호화 제어장치 및 방법
US10419762B2 (en) 2015-03-02 2019-09-17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Content-adaptive perceptual quantizer for high dynamic range imag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85336A (ko) * 2002-04-30 2003-11-05 삼성전자주식회사 사람의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색상 양자화를 통한 영상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N116248895A (zh) * 2023-05-06 2023-06-09 上海扬谷网络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全景漫游的视频云转码方法及系统
CN116248895B (zh) * 2023-05-06 2023-07-21 上海扬谷网络科技有限公司 虚拟现实全景漫游的视频云转码方法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6764B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2255B2 (en) Bit rate control through selective modification of DCT coefficients
KR100307618B1 (ko) 영상부호화방법및장치
US8189933B2 (en) Classifying and controlling encoding quality for textured, dark smooth and smooth video content
US5686964A (en) Bit rate control mechanism for digital image and video data compression
US6385345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lecting image data to skip when encoding digital video
KR970032142A (ko) 영상 부호화장치에 있어서 양자화간격 결정방법 및 회로
KR19990086789A (ko) 비트율이 급변되는 재양자화 계단 크기 선택 방법 및 그를 이용한 비트율 제어 방법
JPH09172634A (ja) ビデオデータ圧縮方式
KR100346728B1 (ko) 이산코사인변환의 dc 계수예측방법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부호화방법
JPH09307904A (ja) 映像信号符号化システム用量子化器
GB2314721A (en) Data transmission at a constant bit rate using adaptive quantisation
JP2003018599A (ja) 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方法
US20060256858A1 (en) Method and system for rate control in a video encoder
JP2002223443A (ja) 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方法およびトランスコーディング装置
KR970060939A (ko) 시감특성을 이용한 영상 부호화방법 및 장치
JP2000270323A (ja) 画像信号の符号化制御装置
JP3069144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
JP2734905B2 (ja) 画像符号化装置
JP2908459B2 (ja) 画像符号化方式
JP2004248124A (ja) 階層的画像符号化装置および階層的画像復号装置
JPH0541860A (ja) 画像圧縮符号化装置
US7606436B2 (en) Image encoding apparatus and quantization control method
JP3297471B2 (ja) 画像符号化装置
KR100236526B1 (ko) 적응 이산 여현 변환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0316765B1 (ko) 영상 객체별 시감도 결정방법 및 이를 이용한고능률동영상부호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