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520B1 -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 Google Patents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520B1
KR970010520B1 KR1019940016255A KR19940016255A KR970010520B1 KR 970010520 B1 KR970010520 B1 KR 970010520B1 KR 1019940016255 A KR1019940016255 A KR 1019940016255A KR 19940016255 A KR19940016255 A KR 19940016255A KR 970010520 B1 KR970010520 B1 KR 9700105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se signal
signal
automatic adjustment
video head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5452A (ko
Inventor
임중환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6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520B1/ko
Publication of KR9600054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54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5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5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드럼펄스신호, 스위칭 펄스신호 및 수직동기신호간의 상관 관계도.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 조정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키매트릭스부 22 : 마이콤
23 : 드럼모터 24 : 메모리부
25 : 비디오 신호처리회로
본 발명은 비디오카세트레코더(Video Cassette Recorder, 이하 VCR이라 함)에 있어서 비디오헤드의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위칭 펄스신호(Swithing pulse signal)와 수직동기신호간의 위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를 자동적으로 조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카세트레코더에서는 모터 또는 헤드의 위치와 수직동기신호를 일정하게유지하는 위상제어를 하고 있다. 즉, 헤드의 위치를 표시하는 드럼펄스신호(Drum Pulse Generator signal, 이하 DPG라 함)가 제1a도와 같이 발생되면, 이에 동기되어 제1b도와 같이 소정기간(tl) 지연된뒤 스위칭 펄스신호(Switching sugnal, 또는 SW Pulse라 함)가 절환된다. 그리고 스위칭 펄스신호가 절환된 지점에서 6.5H(horizon tal)지연된 후 제1c도와 같이 수직동기신호(Vertical sync., 이하 v. sync라 함)가 발생되는 위상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위상제어를 수행한다.
상술한 위상관계를 갖기 위하여 드럼펄스신호를 발생하는 드럼상의 마그네트(Margnet)는 구조상 비디오헤드에 비해 약 21°선행되게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기구적 및 조립적인 오차로 인하여 정확하게 장착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이로 인하여 스위칭 펄스신호의 절환지점과 수직동기신호의 발생기간이 제1도에 도시된 6.5H 기간보다 더 지연되거나 덜 지연되어, 정확하게 6.5H의 위상관계를 갖도록 조정하여야 했다.
이러한 위상조정을 하기 위하여 종래에는 외부에 가변저항기로 이루어진 장치나 별도의 외부 조정장치를 구비하여 스위칭 펄스와 수직동기신호간에 발생된 위치오차만큼 DPG와 스위칭 펄스신호간의 발생기간(t1)을 가변하여 위치오차가 보정되도록 조정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스위칭 펄스와 수직동기신호간의 위상오차를 보정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외부 조정장치를 구비하여야 할 뿐 아니라 사용자의 수동조작에 의하여 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의 조정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드럼펄스신호에 의해 동기되어 발생되는 스위칭 펄스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간의 위상을 자동적으로 조정하여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를 자동조정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비디오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모드를 설정하는 과정; 자동조정모드 설정과정에 의하여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되면, 드럼펄스신호에 위상오차가 없는 경우의 드럼펄스신호의 지연데이터를 적용하여 소정기간동안 드럼펄스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스위칭 펄스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과정; 검출과정에서 검출된 값에 의해 스위칭 펄스신호가 절환된 시점과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간의 시간평균치를 계산하는 과정; 및 평균치 계산과정에서 구해진 평균치와 스위칭 펄스신호가 절환된 시점과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간의 기준시간과의 차값만큼 드럼펄스신호의 지연데이터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하드웨어의 구성도로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을 하기 위한 제어키를 입력시키는 키매트릭스부(21),키매트릭스부(21)로부터 출력되는 자동조정 제어키 신호에 의해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과정을 수행하는 마이콤(22), 드럼(도시되지 않음)을 구동시켜 드럼(도시되지 않음)의 회전각(또는 헤드의 위치)을 나타내는 드럼펄스신호를 마이콤(1)으로 전송하는 드럼모터(23), 마이콤(22)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SW pulse)에 동기되어 수직 및 수평동기신호를 포함하는 복합동기신호(Composite sync, 또는 C. sync)를 마이콤(22)으로 출력하는 비디오 신호처리회로(25), 및 마이콤(22)의 제어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4)로 구성된다. 특히 메모리부(24)는 EEPROM으로 구성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의 흐름도로서, 제3도는 자동조정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고, 제4도는 자동조정모드를 수행하는 과정에 대한 흐름도이다.
그러면, 제2도, 제3도 및 제4도를 결부시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제301단계에서 시스템이 리세트되면, 마이컴(22)은 제302단계로 진행되어 메모리부(24)에 저장되어 있는 DPG신호의 지연데이터를 독출한다. 여기서 DPG신호의 지연데이터는 드럼모터(23)로부터 발생되는 DPG신호에 동기되어 마이콤(22)에서 출력되는 SW pluse신호가 절환되는 지점까지의 시간데이터(제1도의 t1)에 해당된다.
제302단계에서 메모리부(24)로부터 DPG 지연데이터가 독출되면, 제303단계로 진행되어 키매트릭스부(21)로부터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을 위한 제어신호가 입력되었는지 검색한다. 검색결과, 제어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면, 제305단계로 진행되어 메모리부(24)로부터 독출된 DPG 지연데이터를 이용하여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를 조정한뒤 종료한다. 그러나 검색결과, 제어신호가 인가되었으면, 제304단계로 진행되어 자동조정모드를 설정한뒤 종료한다.
제304단계를 통해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된 상태에서 메인루틴(Main Routine)으로부터 자동조정모드 수행에 대한 호출(Call)이 이루어지면, 제4도와 같이 마이콤(22)은 자동조정모드를 수행하게 된다. 즉, 제401단계에서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되었는지를 체크하고,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에는 종료한다. 그러나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제402단계로 진행되어 트래킹데이터 및 DPG 지연데이터를 위상오차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의 값(이론적인 기준값)으로 설정한다.
그다음 제403단계로 진행되어 32㎲ 단위로 인터럽트(Interrupt)신호의 발생여부를 체크하고,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면 제404단계로 진행되어 마이컴(22)의 스위칭 펄스(SW pulse)신호가 절환되는지를 체크한다. 체크결과, 출력되는 스위칭 펄스가 절환되면, 제405단계로 진행되어 시간측정 카운터를 리세트시킨다. 제404단계에서 스위칭펄스가 절환되지 않았으면, 제406단계로 진행되어 시간측정 카운트값을 1씩 증가시킨다. 여기서 시간측정 카운터는 스위칭 펄스 절환후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될 때까지의 시간을 측정하는 역할을 한다.
제405단계 및 제406단계 수행후 제407단계로 진행되어 비디오 신호처리회로(25)로부터 수직동기신호(v. sync)가 인가되었는지를 체크한다. 이때,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지 않았으면, 제401단계로 리턴된다. 그러나 제407단계에서 수직동기신호가 인가되면, 제408단계로 진행되어 채터링 카운트(Chattering counte, CHTCNT)값을 넘었는지를 체크한다. 여기서 채터링 카운트값은 일정기간동안 수직동기신호와 스위칭 펄스신호간의 관계를 체킹하기 위한 것으로, 상술한 일정기간동안 수직동기신호의 발생횟수값이다. 예를 들어 채터링 카운트값이 1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수직동기신호가 10번 검출될때까지 채터링 카운트값은 오버되지 않은 경우가 되고, 수직동기신호가 11번째 검출되면, 채터링 카운트값을 오버한 것으로 판단한다.
제408단계에서 채터링 카운트값이 오버되지 않았으면, 제409단계로 진행되어 제406단계에 의해 카운트된 시간측정 카운트값과 이전의 시간측정 카운트값을 가산처리한다. 예를 들어 수직동기신호가 8번째 발생된 경우라면, 시간측정 카운트값은 스위칭 펄스가 절환된 후 8번째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기까지 카운트된 시간값이 되고, 이전 시간측정 카운트값은 1번째부터 7번째의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면서 스위칭 펄스 절환지점과 수직동기신호 발생지점간의 총 시간 카운트값이 된다.
제409단계가 수행되면 제401단계로 리턴된다. 제408단계에서 체크된 수직동기신호가 채터링 카운트값을 오버한 경우(즉, 일정시간동안 발생된 스위칭 펄스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간의 관계 검출후), 제410단계로 진행되어 평균값을 계산한다. 평균값은 총 10개의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동안 스위칭 펄스가 절환된 시점부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까지의 시간측정값을 채터링 카운트값으로 나눈 값이 된다.
평균값이 검출되면, 제411단계에서 평균값과 상술한 이론적인 기준값을 비교하여 오차 보정량을 검출한다. 오차 보정량이 검출되면, 제412단계로 진행되어 검출된 보정량이 일정범위 이하인가를 판단한다. 여기서 일정범위는보정가능한 범위를 기준으로 설정된 범위이다. 판단결과, 일정범위 이하인 경우에는 제413단계로 진행되어 보정량만큼 DPG신호와 스위칭 펄스의 절환시점간의 간격(즉, DPG 지연데이터)을 보정한다.
오차가 보정되면, 제414단계로 진행되어 보정된 DPG 지연데이터를 메모리부(24)에 저장하고, 자동조정플래그를 클리어하고, 채터링 카운터, 시간측정 카운터 및 이전 시간측정 카운터값들을 리세트시킨 후 종료한다.
한편, 제412단계에서 보정량이 일정범위 이하가 아닌 경우에는 오차 보정을 하지 않고 채터링 카운터, 시간측정 카운터 및 이전 시간측정 카운터값들을 리세트시킨뒤 제401단계로 리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은 마이콤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비디오헤드의 스위칭 위치를 자동으로 조정함으로써, 별도의 외부장치를 장착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모드를 설정하는 과정; 상기 자동조정모드 설정과정에 의하여 자동조정모드가 설정되면, 드럼펄스신호에 위상오차가 없는 경우의 드럼펄스신호의 지연데이터를 적용하여 소정기간동안 상기 드럼펄스신호에 동기되어 발생되는 스위칭 펄스신호와 수직동기신호의 발생을 검출하는 과정; 상기 검출과정에서 검출된 값에 의해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가 절환된 시점과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간의 시간평균치를 계산하는 과정; 및 상기 평균치 계산과정에서 구해진 평균치와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가 절환된 시점과 상기 수직동기신호가 발생되는 시점간의 기준시간과의 차값만큼 상기 드럼펄스신호의 지연데이터를 보정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은 상기 보정과정에 의해 보정된 데이터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저장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는 롬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은, 리세트상태가 제어되면,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드럼펄스신호의 지연데이터를 독출하는 과정; 상기 자동조정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신호가 인가되는지를 체크하는 과정; 상기 체크과정을 통해 상기 자동조정모드를 제어하는 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상기 독출과정에서 독출된 상기 드럼펄스 지연데이터를 적용하여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와 수직동기신호간의 위상을 제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과정은 보정을 위한 오차가 일정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오차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상기 자동조정모드과정을 처음부터 다시 수행하도록 리턴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펄스신호와 상기 수직동기신호 발생검출과정은 32㎲마다 상기 스위칭펄스가 절환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KR1019940016255A 1994-07-07 1994-07-07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KR9700105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255A KR970010520B1 (ko) 1994-07-07 1994-07-07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255A KR970010520B1 (ko) 1994-07-07 1994-07-07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52A KR960005452A (ko) 1996-02-23
KR970010520B1 true KR970010520B1 (ko) 1997-06-26

Family

ID=19387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255A KR970010520B1 (ko) 1994-07-07 1994-07-07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105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7670B1 (ko) * 2001-08-23 2003-09-13 서충구 진주를 양식하여 가공하는 방법 및 진주가공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5452A (ko) 1996-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23691B2 (ja) 可変タイミング信号発生回路
US5757786A (en) Time synchronization apparatus and a method thereof using a global positioning system of a satellite
US6535926B1 (en) Time synchronization system for industrial control network using global reference pulses
US5422863A (en) Automatically correcting electronic timepiece for selected signal receiving wireless receiver
US20060208780A1 (en) Delay-locked loop with feedback compensation
US6886120B2 (en) Memory control circuit
US5181115A (en) Digital phase-locked loop
US6968027B2 (en) Digital PLL device and digital PBX using the same
KR970010520B1 (ko) 비디오헤드 스위칭 위치 자동조정방법
US5877640A (en) Device for deriving a clock signal from a synchronizing signal and a videorecorder provided with the device
EP0927492B1 (en) A delay correction circuit
US4933985A (en) Rotation drive device
JPS6322276B2 (ko)
JP3182418B2 (ja) 同期パルス検出用ディジタル回路配置
US5014215A (en) Process for evaluating signals from an incremental transmitter
JPH09149015A (ja) クロック位相調整回路
JP3050179B2 (ja) 垂直タイミング信号生成回路
CN1056200A (zh) 利用微电脑的同步有效性检测
JP3329065B2 (ja) 時刻較正機能付時計装置
JP2785736B2 (ja) ディジタル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自動遅延調整回路及び調整方法
EP0490273A2 (en) Retiming circuit
JP3224554B2 (ja) スケジュール制御装置
JP2590688B2 (ja) フレーム位相合わせ回路
KR100762178B1 (ko)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이머 에러 보정 방법
JPH08186564A (ja) タイミング抽出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3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