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10371B1 -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10371B1
KR970010371B1 KR1019940026962A KR19940026962A KR970010371B1 KR 970010371 B1 KR970010371 B1 KR 970010371B1 KR 1019940026962 A KR1019940026962 A KR 1019940026962A KR 19940026962 A KR19940026962 A KR 19940026962A KR 970010371 B1 KR970010371 B1 KR 970010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si bus
output
data
signal
scs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6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245A (ko
Inventor
박현주
Original Assignee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엘지반도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69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10371B1/ko
Priority to US08/545,966 priority patent/US5680065A/en
Priority to JP7274228A priority patent/JP2628473B2/ja
Publication of KR96001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10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037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40Bus struc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 H03K19/017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 H03K19/01728Modifications for accelerating switching in field-effect transistor circuits in synchronous circuits, i.e. by using clock signal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9/00Logic circuits, i.e. having at least two inputs acting on one output; Inverting circuits
    • H03K19/0175Coupling arrangements; Interface arrangements
    • H03K19/017545Coupling arrangements; Impedance matching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8Arrangements specific to the transmitter end
    • H04L25/029Provision of high-impedance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5/00Baseband systems
    • H04L25/02Details ; arrangements for supplying electrical power along data transmission lines
    • H04L25/0264Arrangements for coupling to transmission lines
    • H04L25/0292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ogic Circuits (AREA)
  • Information Transfer Systems (AREA)
  • Bus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소형 컴퓨터 시스템의 인터페이스 구성도.
제2도는 종래 컴퓨터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를 보인 구성도로서,
a도는 오픈 콜렉터형 버스 구동장치의 구성도이고,
b도는 3-상태형 버스 구동장치의 구성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데이타 전송상태를 보인 설명도.
제4도는 본 발명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의 또다른 실시예 구성도.
제7도는 제4도 내지 제6도에 따른 데이타 전송상태를 보인 설명도로서,
a도는 전송 데이타에 따른 SCSI 버스의 부하값 변화를 보인 도이고,
b도는 SCSI 버스의 부하값에 따른 송신부의 제어상태를 보인 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0 : SCSI 버스 구동부 400a : 낸드게이트
400b : 인버터 400c : 앤드게이트
400d : 송신부 400e : 수신부
401 : 저항 종단기 402 : 타게측의 SCSI 버스 구동부
본 발명은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이하, SCSI라 약칭함)의 버스 구동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SCSI 버스 케이블의 길이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타겟의 갯수에 따른 데이타 전송의 저하를 SCSI 버스의 부하 값 변화에 무관하게 데이타를 고속으로 처리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SCSI의 시스템은 첨부된 도면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출력 명령(I/O)을 발생하는 호스트 아답터를 구비한 호스트 컴퓨터(100)와,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에 SCSI 버스(103)를 통해 임의의 조합으로 접속되어 입출력 명령(I/O)을 수행하는 10종류의 SCSI 주변기기(HDD :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CD-ROM : 컴펙트 디스크롬, 기타 다른 장치)를 포함하는 타겟(1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의 호스트 아답터와 10종류의 SCSI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타겟(101)은 각각 SCSI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SCSI 콘트롤러(100a), (101a 내지 101n)를 포함하며, 그 각각의 SCSI 콘트롤러는 SCSI 버스(103)를 구동하기 위한 SCSI 버스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상기 SCSI 버스(103)는 9개의 제어라인과 9개의 데이타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SCSI 버스 구동부는 싱글 엔드형과 디퍼렌텔형으로 부군되는데, 이하 싱글 엔드형에 대해서만 언급한다.
상기 싱글 엔드형 SCSI 버스 구동부는 제2도의 (a)에 도시한 오픈 콜렉터형과 제2도의 (b)에 도시한 3-상태형으로 구분된다.
먼저, 상기 오픈 콜렉터 구동부는 전술한 바와같이, 입출력 명령(I/O)을 발생하는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200)에 구성되어 SCSI 콘트롤러(100a)의 모드선택신호(MSEL)와 출력 데이타(DOUT)를 논리합 반전하여 출력하는 노아게이트(200a)와, 상기 노아게이트(200a)의 출력 신호에 따라 도통 및 차단되어 자신의 데이타를 SCSI 버스(103)를 통해 타겟측의 측정 SCSI 버스 구동부(202)에 전송하는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와,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의 차단시 입력모드로 되어 타겟측의 특정 SCSI 버스 구동부(202)로부터 전송하는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수신하는 버퍼(200c)와,로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200)를 구성하고, 상기 SCSI 버스(103)상에 접속되어 데이타를 인터페이스하는 저항(R1)(R2) 및 콘덴서(CL)로 이루어진 저항 종단기(888)와, 상기 SCSI 버스 구동부(2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저항 종단기(201)를 통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데이타를 송신하는 다수의 엔-모스 트랜지스터(M2, -Mn)로 이루어진 타겟(101)측의 SCSI 버스 구동부(202)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3-상태형 SCSI 버스 구동부는 제2도의 (b)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300)측에 구성되어 모드선택신호(MSEL)와 출력 데이타(DOUT)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오아게이트(300a)와, 상기 오아게이트(300a)로부터 출력된 데이타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1버퍼(300b)와, 상기 제1버퍼(300b)의 출력신호에 따라 타겟(101)의 SCSI 버스 구동부(302)로부터 전송되는 데이타를 SCSI 버스(103)를 통해 수신하여 버퍼링하는 제2버퍼(300c)와,로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300)를 구성하고, 상기 SCSI 버스(103)에 접속되어 데이타를 양방향으로 인터페이스 하는 저항(R1)(R2), 콘덴서(CL)로 이루어진 저항 종단기(301)와, 상기 SCSI 버스 구동부(300)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저항 종단기(301)를 통한 데이타를 수신하고 데이타를 송신하는 타겟(101)측의 SCSI 버스 구동부(30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SCSI의 시스템에 있어서 먼저,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콘트롤러(100a)에서 SCSI 버스(103)를 통해 입출력 명령(I/O)을 발생하게 되면, 상기 SCSI 버스(103)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100)에 임의의 조합으로 접속된 타겟(101)측의 SCSI 주변기기 즉, 하드 디스크 드라이버, 컴펙트 디스크롬, 기타 다른 장치는 그 전송되어 입력되는 입출력 명령에 따라 데이타 처리를 수행함과 아울러 데이타를 호스트 컴퓨터(100)로 전송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호스트 컴퓨터(100) 및 10종류의 SCSI 주변기기를 포함하는 타겟(101)은 각각 SCSI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SCSI 콘트롤러(100a), (101a 내지 101n)를 포함하며, 그 각각의 SCSI 콘트롤러는 SCSI 버스(103)를 구동하기 위한 엔드형과 디퍼렌텔형의 SCSI 버스 구동부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싱글 엔드형 SCSI 버스 구동부는 제2도의 (a)에 도시한 오픈 콜렉터형과 제2도의 (b)에 도시한 3-상태형으로 구분된다.
이하, 상기 오픈 콜렉터형의 SCSI 버스 구동부를 제2도의 (b)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200)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하이신호(H)로 입력되면 노아게이트(200a)는 타측 입력에 관계없이 로우신호(L)를 출력하여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오프시키게 된다.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가 오프되면 저항 종단기(103)에 의해 호스트 컴퓨터(100)측의 SCSI 콘트롤러(100a)의 출력이 항상 하이신호(H)를 유지하여 타겟(101)측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가 오프되면, 저항 종단기(103)의 전원단자(VDD)의 전압이 저항(R1)(R2)을 통해 분압된 후 호스트 컴퓨터(100)의 출력측에 고전위(3V)로 걸리게 됨으로써, 타겟(101)측의 특정 SCSI 버스 구동부(202)로부터 액티브 로우(L)입력을 버퍼(200c)를 통해 받아들이게 된다.
즉,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가 차단되어 SCSI 버스 구동부(200)의 출력측에 고전위가 걸리게 되는데, 이때 타겟(101)측의 송신 데이타에 따라 엔-모스 트랜지스터(M1, -Mn)가 도통 및 차단됨으로 인하여 호스트 컴퓨터(100)의 출력 전압이 고전위, 저전위로 상태변환되고, 그 변환된 데이타는 버퍼(200c)를 통해 버퍼링된 후에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콘트롤러(100a)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200)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로 입력되면 노아게이트(200a)는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출력 데이타(DOUT)와 논리합 반전하여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도통 및 차단시켜 출력모드로 전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인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고전위로 입력되면, 상기한 노아게이트(200a)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와를 논리합 반전하여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차단시키게 된다.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M1)가 차단되면, 저항 종단기(201)의 전원단자(VDD)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저항(R1)(R2)을 통해 분압되어 상기한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통해 바이패스되지 못하고 제3도에서와 같이, 저항(R1)(R2)과 콘덴서(C1)의 시정수 동안 그 콘덴서(C1)에 충전됨과 아울러 SCSI 버스(103)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인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로우신호로 입력되면, 상기한 노아게이트(200a)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와를 논리합 반전하여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도통시키게 된다.
상기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가 도통되면, 저항 종단기(103)의 전원단자(VDD)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큰덴서(CL)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1)(R2) 및 엔-모스 트랜지스터(200b)를 통해 제3도에서와 같이, 급속히 방전되어 바이패스됨으로써, SCSI 버스(103)에는 로우신호가 걸려 출력된다.
이때, 타겟(101)측의 특정한 SCSI 버스 구동부(202)만이 입력모드로 되어 호스트 컴퓨터(100)측의 SCSI 버스 구동부(200)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SCSI 버스(103)를 통해 받아들이게 된다.
그리고, 제2도의 (b)에 도시한 3-상태형 SCSI 버스 구동부는 먼저,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300)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하이신호(H)로 입력되면 오아게이트(300a)는 타측 입력에 관계없이 하이신호(H)를 출력하여 제1버퍼(300b)를 디스에이블 시키게 된다.
상기 제1버퍼(300b)가 디스에이블되면 저항 종단기(301)에 의해 SCSI 버스(103)는 하이신호(H)를 유지하여 타겟(101)측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한 입력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3-상태 버퍼인 제1버프(300b)가 디스에이블되면 저항 종단기(301)의 전원단자(VDD)의 전압이 저항(R1)(R2)을 통해 분압되어 제1버퍼(300b)로 바이패스되지 못하고 SCSI 버스(103)에 고전위(3V)로 걸리게 됨으로써, 타겟(101)측의 특정 SCSI 버스 구동부(302)로부터 액티브 로우신호(L) 입력을 제2입력(300c)를 통해 받아들이게 된다.
즉,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제1버퍼(300b)가 오아게이트(300a)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에 의해 디스에이블 상태가 되면 저항 종단기(301)에 의해 SCSI 버스(103)에는 하이신호가 걸리게 되는데, 이때 타겟(101)측의 송신 데이타에 따라 그 타겟(101)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302)의 3-상태 버퍼(302a)가 인에이블 및 디스에이블됨으로 인하여 SCSI 버스(103)에 걸린 전압이 하이신호, 로우신호로 상태변환되고, 그 변환된 데이타는 제2버퍼(300c)를 통해 버퍼링된 후에 입력 데이타(DIN)로 호스트 컴퓨터(100)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기 호스트 컴퓨터(100)의 SCSI 버스 구동부(300)에서 모드 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로 입력되면 오아게이트(300a)는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출력 데이타(DOUT)에 따라 제1버퍼(300b)를 디스에이블 또는 인에이블시켜 SCSI 버스(103)를 구동시키고 입력모드로 전환하게 된다.
즉, 상기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인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하이신호로 입력되면, 상기한 오아게이트(300a)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논립합하여 제1버퍼(300b)를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상기 제1버퍼(300b)가 디스에이블되면, 저항 종단기(301)의 전원단자(VDD)로부터 입력된 전압이 저항(R1)(R2)를 통해 분압되어 상기한 제1버퍼(300b)를 통해 바이패스되지 못하고 제3도에서와 같이, 저항(R1)(R2)과 콘덴서(C1)의 시정수 동안 그 콘덴서(CL)에 충전됨과 아울러 SCSI 버스(103)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L)인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하이신호로 입력되면, 상기한 오아게이트(300a)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와를 논리합하여 제1버퍼(300b)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상기 제1버퍼(300b)가 인에이블되면, 저항 종단기(301)의 전원단자(VDD)로부터 입력된 전압과 콘덴서(CL)에 충전된 전압이 저항(R1)(R2) 및 상기 제1버퍼(300b)를 통해 제3도에서와 같이, 급속히 방전되어 바이패스됨으로써, SCSI 버스데이타(103)에는 로우신호가 걸려 출력된다.
이때, 타겟(101)측의 특정한 SCSI 버스 구동부(302)만이 입력모드로 되어 호스트 컴퓨터(100)측의 SCSI 버스 구동부(300)에서 전송되는 데이타를 SCSI 버스(103)를 통해 받아들이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SCSI 프로토콜에서 신호의 전달은 단지 한개의 호스트 컴퓨터와 단지 한개의 타겟 사이에서만 이루어지며, 신호방향의 제어는 타겟측에서 행하며, 호스트 컴퓨터와 타겟이 동시에 입력모드나 출력모드로 될수 없다.
따라서, 종래의 SCSI 버스 구동부에서 출력 데이타가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 상태로 천이할때 SCSI 버스 구동부가 빠른 속도로 SCSI 버스를 로우신호 상태로 천이시키지만, 데이타 출력신호가 로우에서 하이로 천이할때 외부 부하의 콘덴서와 저항 종단기의 시정수에 의해 SCSI 버스의 신호가 서서히 충전이 되고, 또한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에 7개까지의 타겟이 SCSI 버스를 통해 접속 가능하므로 외부 부하의 콘덴서값이 크게 변화하게 된다.
상기 외부 부하의 콘덴서 값이 증가하게 되면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상태로 지연시간이 증가하고 콘덴서의 값이 일정값 보다 더 증가하게 되면 최대 전송속도인 10010Mpbs에서 SCSI 버스는 하이상태에 도달하지 못하게 되어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SCSI 버스 케이블의 길이 또는 호스트 컴퓨터에 접속되는 타겟의 갯수에 따른 데이타 전송의 저하를 SCSI 버스의 부하값 변화에 무관하고 SCSI 프로토콜에서 규정하는 동기모드로 데이타를 고속으로 처리하여 전송하도록 하는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는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자신의 데이타를 SCSI 버스에 접속된 외부의 부하를 통해 전송하고 그 외부의 부하값에 따른 자신의 데이타 레벨을 피드백 검출하여 그 접속된 외부의 부하값에 비례하여 데이타를 전송 및 수신하는 SCSI 버스 구동수단과, 상기 SCSI 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일정속도로 충방전시켜 SCSI 버스를 통해 타겟측의 SCSI 버스 구동수단에 전달하는 저항 종단기로 이루어짐으로서 달성되는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도는 본 발명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의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얻어진 모드선택신호(MSEL)에 따라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송신모드시 자신의 출력 데이타(DOUT)를 SCSI 버스(403)에 접속된 외부의 부하를 통해 전송하고 그 외부의 부하값에 따른 자신의 데이타를 피드백 검출하여 그 접속된 외부의 부하값에 비례적으로 데이타의 속도를 증가시키는 SCSI 버스 구동부(400)와, 상기 SCSI 버스 구동부(400)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비례적으로 충방전시켜 SCSI 버스를 통해 타겟측의 SCSI 버스 구동부(402)에 전달하는 저항(R1)(R2) 및 콘덴서(CL)로 이루어진 저항 종단기(401)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버스 구동부(400)는 호스트 컴퓨터의 모드선택신호(MSEL)와 피드백 검출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출력하는 낸드게이트(400a)와, 상기 낸드게이트(400a)의 출력신호와 호스트 컴퓨터의 출력 데이타(DOUT)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400c)와, 상기 앤드게이트(400c)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호스트 컴퓨터의 출력 데이타(DOUT)를 SCSI 버스(403)에 접속된 저항 종단기(401)를 통해 전송하는 송신부(400d)와, 상기 저항 종단기(401)의 부하값에 의해 변화되는 상기 송신부(400d)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하여 일정값 이상이면 이를 입력 데이타(DIN)로 받아들이는 수신부(400e)와, 상기 수신부(400e)의 출력신호를 반전시켜 낸드게이트(400a)의 일측 입력단자로 입력하는 인버터(400b)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송신부(400d)는 로우신호에 인에이블되는 3-상태 버퍼를 사용하고, 수신부(400e)는 스미트 트리거 버퍼를 사용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전술한 바와같이,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의 SCSI 버스 구동부(400)에 다수개의 타겟 SCSI 버스 구동부(402)가 접속되어 있고, 데이타 전송은 단지 하나의 호스트 컴퓨터와 하나의 특정 타겟간에서만 가능하다.
이하, 본 발명을 제4도 및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모드선택신호(MSEL)가 하이신호(H)로 입력되면 호스 컴퓨터측의 SCSI 버스 구동부(400)는 출력모드 즉 송신모드가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모드선택신호(MSEL)가 하이신호(H)로 출력되어 낸드게이트(400a)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되면, 상기 낸드게이트(400a)는 그의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하이신호(H), 즉 이때에는 수신부(400e)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고 그 하이신호가 인버터(400b)를 통해 로우신호로 반전되어 상기 낸드게이트(400a)의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 낸드게이트(400a)는 두 입력단자를 통해 입력된 하이신호와 로우신호를 논리곱 반전시켜 그의 출력단자로 하이신호를 출력하여 앤드게이트(400c)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호스트 컴퓨터의 SCSI 콘트롤러로부터 출력된 데이타(DOUT)가 로우신호로 상기 앤드게이트(400c)의 타측 입력단자와 3-상태 버퍼인 송신부(400d)에 입력된다.
상기 앤드게이트(400c)는 낸드게이트(400a)로부터 입력된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논리곱하여 그의 출력단자로 로우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400c)로부터 출력된 로우신호는 송신부(400d)의 인에이블단자()로 입력되어 송신부(400d)를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송신부(400d)는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SCSI 버스(403)상으로 전송하게 된다.
즉, 상기 송신부(400d)의 출력이 로우신호이면, 저항 종단기(401)의 전원단자(VDD)로부터 입력되는 전압이 저항(R1)(R2)을 통해 분압되어 상기한 송신부(400d)를 통해 접지로 바이패스되므로 결과적으로 SCSI 버스(43)상에는 로우신호가 전송되어 타겟측의 특정한 SCSI 버스 구동부(402)에 입력된다.
이때,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버스 구동부(400)에 구성된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수신부(400e)는 상기 송신부(400d)로부터 출력되는 로우신호를, 즉 SCSI 버스(403)상의 로우신호를 수신하여 인버터(400e)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인버터(400b)는 입력된 로우신호를 하이신호로 반전시켜 낸드게이트(400a)의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하게 됨으로써, 상기한 송신부(400d)는 계속 인에이블 상태가 되어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버퍼링하여 SCSI 버스(403)로 전송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제7도의 (a)에서와 같이,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H)로 천이하게 되면 이때에도 상기 낸드게이트(400a)의 출력은 로우신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앤드게이트(400c)는 낸드게이트(400a)의 출력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송신부(400d)를 계속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송신부(400d)는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버퍼링하여 SCSI 버스(403)를 통해 저항 종단기(888)에 공급하게 된다.
즉, 송신부(400d)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단자(VDD)의 전압이 저항 종단기(401)의 콘덴서(CL)에 공급되어 충전이 된다.
이때, 상기 저항 종단기(401)는 저항(R1)(R2)과 콘덴서(CL)로 되어 있기 때문에 공급전압에 비례하여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을 제7도의 (a)에서와 같이, 선형적으로 증가시키게 된다.
이와같이,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이 점점 증가하여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수신부(400e)의 임계값(VIH: 2.0-2.5V)보다 높아지면 상기 수신부(400e)는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을 버퍼링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수신부(400e)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인버터(400b)를 통해 로우신호로 반전되어 낸드게이트(400a)의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따라서, 상기한 낸드게이트(400a)는 일측 입력단자로 입력되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하이신호와 인버터(400b)를 통한 로우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400a)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앤드게이트(400c)에서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와 논리곱되어 하이신호로 상기 수신부(400d)를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SCSI 버스(403)상의 부하 콘덴서(CL)값에 따른 인에이블신호파형은 제7도의 (b)와 같다.
즉, 3-상태 버퍼인 송신부(400d)의 공급전압이 일정하기 때문에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은 저항 종단기(401)의 콘덴서(CL)값 크기에 비례하여 충전시간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송신부(400d)를 디스에이블시키는 인에이블신호는 수신부(400e)의 임계전압(VIH) 이상에서 하이신호로 변환한다.
결국 SCSI 버스(403)의 출력전압은 저항 종단기(401)의 콘덴서(CL)가 상기 수신부(400e)의 임계전압(VIH)으로 충전될때까지 상기 송신부(400d)를 인에이블시켜 전압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기 인에이블신호가 하이신호로 되면 송신부(400d)가 디스에이블되어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SCSI 버스(403)는 전술한 바와같이, 저항 종단기(401)에 의해 하이신호(3V)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모드선택신호(MSEL)가 하이신호인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로 천이하게 되면, 이때에도 상기 낸드게이트(400a)의 출력은 하이신호로 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앤드게이트(400c)는 낸드게이트(400a)의 출력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논리곱하여 송신부(400d)를 계속 인에이블시키고, 싱크(Sink) 전류 크기에 비례하여 SCSI 버스(403)상의 출력 전압, 즉 콘덴서(CL)의 충저전위가 제7도의 (b)에서와 같이, 급격히 방전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SCSI 버스(403)의 부하 변동에 관계없이 고속의 데이타 전송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호스트 컴퓨터로부터의 모드선택신호(MSEL)가 로우신호로 낸드게이트(400a)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되면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버스 구동부(400)는 입력모드, 즉 수신모드가 된다.
이때, 상기 낸드게이트(400a)는 타측 입력단자에 관계없이 계속 하이신호로 고정시켜 앤드게이트(400c)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하게 된다.
따라서, 입력모드시, 즉 수신모드에서는 상기 타겟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402)로부터 전송되어 SCSI 버스(403)를 통하고 호스트 컴퓨터의 SCSI 버스 구동부(400)에 구성된 수신부(400e)를 통해 수신되어 호스트 컴퓨터로 입력되는 수신 데이타(DIN)가 인버터(400b)를 통해 피드백되어 낸드게이트(400a)의 타측 입력단자로 입력되지만 그 낸드게이트(400a)는 모드선택신호(MSEL)의 로우신호에 의해 출력을 하이신호(H)로 고정시켜 출력함으로써, 앤드게이트(400c)는 입력모드시에 SCSI 콘트롤러로부터 유지되어 출력되는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와 논리곱하여 하이신호로 송신부(400d)를 디스에이블 시킴으로써, 수신 데이타(DIN)가 궤환되어 송신부(400d)를 통해 송신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제5도는 본 발명 컴퓨터 인터페이스 버스 구동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도이다.
여기서는 호스트 컴퓨터의 모드선택신호(MSEL)를 반전하는 인버터(500b)와, 상기 인버터(500b)에서 반전된 모드선택신호와 피드백 검출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여 출력하는 오아게이트(500a)와, 그 오아게이트(500a)의 출력신호와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콘트롤러에서 출력되는 데이타(DOUT)를 논리곱하여 출력하는 앤드게이트(500c)와, 상기 앤드게이트(500c)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호스트 컴퓨터측의 출력 데이타(DOUT)를 버퍼링하여 SCSI 버스(403)에 접속된 저항 종단기를 통해 전송하는 3-상태형의 제1버퍼(500d)와, 상기 저항 종단기의 부하값에 따라 상기 제1버퍼(500d)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하여 이를 상기 오아게이트(500a)의 입력단자에 입력함과 아울러 타겟측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콘트롤러에 전달하는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제2버퍼(500e)로 SCSI 버스 구동부(500)를 구성한 것으로, 이는 제4도의 SCSI 버스 구동부(400)와 동일한 작용을 함으로서, 이하에서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선택모드신호(MSEL)가 하이신호인 상태로 인버터(500b)에 입력되면 상기 인버터(500b)는 모드선택신호(MSEL)를 로우신호로 변환하여 오아게이트(500a)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오아게이트(500a)는 초기에 저항종단기로부터 입력된 하이신호를 제2버퍼(500e)를 통해 입력받아 이를 논리합하여 앤드게이트(500c)에 입력하게 된다.
이때,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콘트롤러로부터 출력 데이타(DOUT)가 하이에서 로우신호로 천이되어 입력되면, 상기한 앤드게이트(500c)는 오아게이트(500a)로부터 입력된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버퍼(500d)를 인에이블시킴으로써,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가 버퍼링되어 SCSI 버스(403)를 통해 타겟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에 전송된다.
이때, 제4도에서 전술한 저항 종단기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은 방전을 하여 로우전위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천이되면 이때에는 저항종단기의 콘덴서의 충전 전압이 제2버퍼(500e)의 임계전압(VIH)보다 낮으므로 로우신호를 오아게이트(500a)의 타측 입력단자에 입력하게 되므로써, 그 오아게이트(500a)는 인버터(500b)의 출력 로우신호와 제2버퍼(500e)의 로우신호를 논리합하여 앤드게이트(500c)에 입력하게 된다.
상기 앤드게이트(500c)는 오아게이트(500a)의 출력을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와를 논리곱하여 로우신호로 상기한 제1버퍼(500d)를 계속 인에이블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버퍼(500d)는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버퍼링하여 SCSI 버스(403)상의 저항 종단기를 통해 타겟측에 공급하게 된다.
즉, 제1버퍼(500d)에서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전원단자(VDD)의 전압이 저항 종단기의 콘덴서에 공급되어 충전이 된다.
이때, SCSI 버스(403)상의 전압은 저항 종단기의 저항과 콘덴서의 시정수에 의해 제1버퍼(500d)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이 점점 증가하여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제2버퍼(500e)의 임계값(VIH: 2.0-2.5V)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2버퍼(500e)는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을 버퍼링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제2버퍼(500e)로부터 출력된 하이신호는 오아게이트(500a)를 통하고 앤드게이트(500c)에서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와 논리곱되어 제1버퍼(500d)를 디스에이블시켜 데이타의 송신을 중단하게 된다.
이때 SCSI 버스(403)는 저항 종단기에 의해 하이신호(3V)를 유지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하이에서 다시 로우신호로 천이하면 전술한 바와같이, 앤드게이트(500c)가 제2버터(500e) 및 오아게이트(500a)롤 통한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와 논리곱하여 제1버퍼(500d)를 인에이블시키게 됨으로써, 제7도의 (a) 및 (b)와 같이, 저항 종단기의 콘덴서에 충전된 전압이 급속히 방전을 하여 타겟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에 전송된다.
한편, 타겟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콘트롤러가 SCSI 버스 구동부(500)에 모드선택신호(MSEL)를 로우신호를 공급하고 출력 데이타(DOUT)를 하이신호로 유지시켜 공급하면 모드선택신호(MSEL)는 인버터(500b)를 통해 하이신호로 반전된 후 오아게이트(500a)를 통해 앤드게이트(500c)의 일측 입력단자에 입력된다.
상기 앤드게이트(500c)는 오아게이트(500a)의 출력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논리곱하여 제1버퍼(500d)를 디스에이블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타겟측의 해당 SCSI 버스 구동부로부터 SCSI 버스(403)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타를 제2버퍼(500e)를 통해 수신하여 그 데이타(DIN)를 호스트 컴퓨터측의 SCSI 콘트롤러에 전달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는 제6도와 같다.
여기서는 제5도의 구성과 동일하고 단지 제5도의 앤드게이트(500c)대신에 낸드게이트(600c)를 사용하고 제1버퍼(600d)는 하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3-상태 버퍼를 사용한 점이 다르다.
따라서, 제5도와 동일 부분에 대하여는 그 일부를 생략하고 간략하게 설명한다.
먼저, 호스트 컴퓨터측에서 데이타 송신하기 위해 모드선택신호(MSEL)를 하이신호로 공급하고, 출력 데이타(DOUT)를 하이신호에서 로우신호로 천이하여 전송하면 초기에 낸드게이트(600c)는 오아게이트(600a)로부터 입력된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로우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낸드게이트(600c)로부터 하이신호가 출력되면 제1버퍼(600d)는 인에이블되어 SCSI 버스(403)상에 로우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출력 데이타(DOUT)가 로우신호에서 하이신호로 천이하면 상기 낸드게이트(600c)는 제2버퍼(600e) 및 오아게이트(600a)를 통한 SCSI 버스(403)상의 로우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하이신호로 제1버퍼(600d)를 계속 인에이블시켜 SCSI 버스(403)상에 데이타, 즉 하이신호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SCSI 버스(403)상의 전압은 전술한 바와같이, 저항 종단기의 저항과 콘덴서에 의해 제1버퍼(600d)로부터 공급된 전압에 비례하여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된다.
이와같이,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이 점점 증가하여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제2버퍼(600e)의 임계값(VIH)보다 높아지면 상기 제2버퍼(600e)는 SCSI 버스(403)상의 출력전압을 버퍼링하여 하이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및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자신의 데이타를
이에 따라 상기 낸드게이트(600c)는 제2버퍼(600e)와 오아게이트(600a)를 통한 하이신호와 출력 데이타(DOUT)의 하이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로우신호로 제1버퍼(600d)를 디스에이블 시키게 된다.
한편, 타겟측으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하기 위해 모드선택신호(MSEL)를 로우신호로 전송하고 출력 데이타(DOUT)를 하이신호로 유지시켜 전송하면 낸드게이트(600c)는 두 입력 하이신호를 논리곱 반전하여 제1버퍼(600d)를 디스에이블 시키게 된다.
그리고, 타겟측으로부터 송신된 데이타는 SCSI 버스(403) 및 제2버퍼(600e)를 통해 호스트 컴퓨터측으로 수신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SCSI 버스의 부하 콘덴서값 변화에 무관하게, 즉 SCSI 버스 케이블의 길이나 접속되는 타겟의 갯수에 무관하게 SCSI 프로토콜에서 규정하는 동기모드의 10Mbps(bps; bit per second) 데이타 전송이 가능할뿐 아니라 SCSI 버스 제어회로가 간단하여 지적회로화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호스트 컴퓨터측의 모드선택신호에 따라 수신모드 및 송신모드로 전환하여 자신의 데이타를 SCSI 버스에 접속된 외부의 출력부하를 통해 전송하고 그 외부의 출력 부하값에 따른 자신의 데이타 레벨을 피드백 검출하여 그 접속된 외부의 부하값에 비례하여 데이타를 타겟측으로의 송신 및 수신하는 SCSI 버스 구동수단과, 상기 SCSI 버스 구동수단으로부터 전송된 데이타를 비례적으로 충방전시켜 타겟측의 SCSI 버스 구동수단에 전달하는 저항 종단기를 포함된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SCSI 버스 구동수단은 모드선택신호와 SCSI 버스상의 출력 부하값에 따라 피드백 검출되어 입력되는 데이타를 논리곱 반전하는 낸드게이트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와 호스트 컴퓨터측의 출력 데이타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와, 상기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호스트 컴퓨터의 출력 데이타를 SCSI 버스상에 접속된 출력 부하를 통해 전송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SCSI 버스상의 부하값에 따라 상기 송신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하여 일정값 이상이면 입력 데이타로 받아들이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의 수신 데이타를 반전시켜 상기 낸드게이트의 일측 입력단자로 입력하는 인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송신수단은 3-상태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수신수단은 스미트 트리거 버퍼인 것을 특징으로 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송신수단은 로우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SCSI 버스 구동수단은 모드선택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반전된 모드선택신호와 피드백 검출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게이트와, 그 오아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출력 데이타를 논리곱하는 앤드게이트와, 상기 앤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출력 데이타를 SCSI 버스상의 출력부하를 통해 송신하는 3-상태 버퍼와, 상기 SCSI 버스상의 부하값에 따라 상기 송신수단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하여 일정값 이상이면 입력 데이타로 받아 이를 상기 오아게이트에 입력하는 스미트 트리거 버퍼를 포함하여 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SCSI 버스 구동수단은 모드선택신호를 반전하는 인버터와, 상기 인버터에서 반전된 모드선택신호와 피드백 검출되어 입력되는 신호를 논리합하는 오아게이트와, 그 오아게이트의 출력신호와 출력 데이타를 논리곱 반전하는 낸드게이트와, 상기 낸드게이트의 출력신호에 따라 인에이블 또는 디스에이블되어 출력 데이타를 SCSI 버스상의 출력부하를 통해 송신하는 3-상태 버퍼와, 상기 SCSI 버스상의 부하값에 따라 상기 3-상태 버퍼의 출력 데이타를 검출하여 일정값 이상이면 입력 데이타로 받아 이를 상기 오아게이트에 입력하는 스미트 트리거 버퍼를 포함하여 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3-상태 버퍼는 하이신호에 의해 인에이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호스트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KR1019940026962A 1994-10-21 1994-10-21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KR970010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962A KR970010371B1 (ko) 1994-10-21 1994-10-21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US08/545,966 US5680065A (en) 1994-10-21 1995-10-20 Small computer system interface bus driving circuit with unique enable circuitry
JP7274228A JP2628473B2 (ja) 1994-10-21 1995-10-23 Scsiバス駆動回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6962A KR970010371B1 (ko) 1994-10-21 1994-10-21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245A KR960015245A (ko) 1996-05-22
KR970010371B1 true KR970010371B1 (ko) 1997-06-25

Family

ID=19395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6962A KR970010371B1 (ko) 1994-10-21 1994-10-21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80065A (ko)
JP (1) JP2628473B2 (ko)
KR (1) KR9700103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26032A (en) * 1995-08-14 1999-07-20 Compaq Computer Corporation Accommodating components
US5953540A (en) * 1997-06-26 1999-09-14 Compaq Computer Corporation SCSI cable with two cable segments having a first resistor coupled to a Y-connection from each segment and a second resistor coupled to one corresponding conductor
US6047379A (en) * 1997-12-17 2000-04-04 Henri Larabell Information bus regenerator
US6157204A (en) 1998-08-05 2000-12-05 Micron Technology, Inc. Buffer with adjustable slew rate and a method of providing an adjustable slew rate
US6593768B1 (en) * 1999-11-18 2003-07-15 Intel Corporation Dual termination serial data bus with pull-up current source
US6804232B1 (en) 2000-03-27 2004-10-12 Bbnt Solutions Llc Personal area network with automatic attachment and detachment
US6341068B1 (en) * 2000-03-31 2002-01-22 Alcatel Usa Sourcing, L.P. Low profile connector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drives on a card
WO2002025421A1 (en) * 2000-09-20 2002-03-28 Park Young Ki User interface for multimode
US6366123B1 (en) * 2001-02-05 2002-04-02 Etron Technology, Inc. Input buffer circuit for low power application
US10785066B1 (en) * 2019-11-22 2020-09-22 Nxp B.V. Can communication with broken cable
CN114974140B (zh) * 2022-05-27 2023-08-29 北京芯格诺微电子有限公司 用于制造Mini-LED背光模组中单线链式通信链路的LED驱动芯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065A (en) * 1981-04-10 1982-07-27 Tektronix, Inc. Protection circuit for a data driver
CA1331214C (en) * 1989-01-05 1994-08-02 Kun-Ming Lee Interfacing control circuit with active circuit charge or discharge
JPH03252218A (ja) * 1990-03-01 1991-11-11 Fujitsu Ltd トライステート・バッファ回路
DE4108610A1 (de) * 1991-03-16 1992-09-17 Bosch Gmbh Robert Senderendstufe
JPH0535668A (ja) * 1991-07-30 1993-02-12 Toshiba Corp 信号処理装置
US5361005A (en) * 1993-03-31 1994-11-01 Hewlett-Packard Company Configurable driver circuit and termination for a computer input/output bus
US5510740A (en) * 1993-04-21 1996-04-23 Intel Corporation Method for synchronizing clocks upon rese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28473B2 (ja) 1997-07-09
US5680065A (en) 1997-10-21
JPH08211976A (ja) 1996-08-20
KR960015245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371B1 (ko) 컴퓨터 인터페이스의 버스 구동장치
KR100273619B1 (ko) 사용 상황 전달 장치 및 사용 상황 전달 방법
US7474118B2 (en) Transmission circuit, data transfer control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5179299A (en) Cmos low output voltage bus driver
US4543494A (en) MOS type output driver circuit having a protective circuit
US5719509A (en) Method of controlling transmission of binary pulses on a transmission line
US20070156932A1 (en) Integrated circuit device and electronic instrument
US200501046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er detection on a PCI-Express bus
US5361005A (en) Configurable driver circuit and termination for a computer input/output bus
US5313105A (en) Signal line increased current kicker terminator apparatus
JP3498042B2 (ja) 電子機器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システム
US5761463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gic network interfacing with automatic receiver node and transmit node selection capability
US7010640B2 (en) Interface apparatus for mediating sending and receiving signals between devices connected by a signal line
US6559675B2 (en) Data output buffer circuit usable with both PCI and PCI-X buses
WO2000024127A1 (en) A voltage translator circuit which allows for variable low voltage signal translation
US6414523B1 (en) Pull-up method and apparatus for a universal serial bus output driver
EP0297932B1 (en) Bus transmitter having controlled trapezoidal slew rate
US6281738B1 (en) Bus driver, output adjusting method and driver
US7069455B2 (en) Low power differential link interface methods and apparatuses
US5646552A (en) Data transmission device used together with system interface having improved data transmission performance
US5025182A (en) Digital apparatus for generating gating signals in response to a data signal
US5404457A (en) Apparatus for managing system interrupt operations in a computing system
US5051619A (en) Predrive circuit having level sensing control
JP2867649B2 (ja) 電子機器の接続装置
KR0157736B1 (ko) 양방향 버스 인터페이스 전환 장치 및 데이타 전송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