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724B1 - 약제 투여장치 - Google Patents

약제 투여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724B1
KR970009724B1 KR1019920009443A KR920009443A KR970009724B1 KR 970009724 B1 KR970009724 B1 KR 970009724B1 KR 1019920009443 A KR1019920009443 A KR 1019920009443A KR 920009443 A KR920009443 A KR 920009443A KR 970009724 B1 KR970009724 B1 KR 9700097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erosol
valve
container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94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23043A (ko
Inventor
베이컨 레이몬드
Original Assignee
노턴 헬스케어 리미티드
트레버 존 굳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턴 헬스케어 리미티드, 트레버 존 굳윈 filed Critical 노턴 헬스케어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9200094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724B1/ko
Publication of KR930023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23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7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7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5/00Devices for applying media, e.g. remedies, on the human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Nozzl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약제 투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흡입작동전의 흡입기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흡입작동시 흡입기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흡입기의 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서 사용된 다이아프램을 나타낸 확대상태도.
제5도(a)와 (b)는 본 발명의 작동전 및 작동시 다이아프램의 위치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낸 상태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400 : 주몸체 10 : 가로부재
15 : 보어 20,422 : 슬리브
25 : 투여용기 또는 캔 30,540 : 씰
35 : 내측면 40 : 밸브스템
45,481 : 쇼울더 50 : 통로
55 : 분사노즐 60,500 : 피봇
65,490 : 리세스 70 : 레버
75 : 원통형 통로 80,460 : 스프링
85 : 플러그 90 : 캠레버후단부
95,405 : 흡입구 100 : 캠버
105 : 공기유입구 110,550 : 밴(vane)
115 : 핀 120,495 : 밸브구멍
125 ; 밸브플랩 130,600 : 밀폐볼륨
135 : 밸브스템 140 : 스템구멍
407 : 캡 420 : 공기유입구
430 : 그루브 440 : 다이아프램
441 : 강체원형단면부 445 : 원통벽단면부
447 : 강체연결단면부 470 : 모울드립
480 : 삽입구 510 : 더스트캡
520 : 캠 530 : 캠추종부
580 : 공기통로
본 발명은 유체의 일정양을 투여하기에 적합한 투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환자가 숨을 들이 쉴 때 처방된 약제의 1회분 복용량이 투여되도롤 된 형태의 약제 투여장치에 고나한 것이다.
통상 계량된 1회분 복용량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기들은 천식과 같은 호흡장애의 영향을 경감하거나 치료를 위해 의학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환자의 호흡으로 작동되는 장치로 잘 알려진 이러한 흡입기들은 많은 특허출원의 대상이 되어 왔다.
특히, 영국특허(GB) 제1288791호, (GB) 제12979933호, (GB) 제1335378호, (GB) 제1383761호, (GB) 제1392192호, (GB) 제1413285호, 세계특허 (WO) 85/01880호, 영국특허 (GB) 2204799호, 미국특허(US) 제4803978호, 유럽특허 (EP) 제0186280A호등은 호흡작용으로 작동되는 방식으로 압력을 받은 에어로졸(aerosol) 투여용기를 구비한 투여장치들에 대해 서술하고 있는데, 이러한 장치들의 투여용기는 내부스프링이 압착되면서 작동되는 밸브가 에어로졸과 같은 내용물에서 계량된 1회복용량만을 방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투여장치는 흡입구를 구비한 캠버, 공기유입구들, 투여용기내 밸브의 작동을 유발하는 작동수단들, 충전위치상에 계량밸브라 칭하는 투여량 조절용 걸림수단들, 호흡작용시 계량(計量)된 1회분량의 에어로졸 혼합물이 흡입구내로 분사되도록 걸림수단을 해재하는 응답수단들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이와같은 투여장치들은 환자의 호흡증 들이쉼으로 흡입구를 빨 때 에어로졸 투여용기로부터 투여량을 조절하고 또 투여된 약제의 최대량이 허파의 기관지 통로에 이르도록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으로, 걸림수단들은 대개 환자의 들이쉼으로 인한 흡입작용시 형성되는 부분진공 때문에 걸림위치에서 투여위치로 이동되어지는 밸브와 연결된다.
한편, 유럽특허 (EP) 제A-0045419호는 에어로졸용기를 압착하는데 있어서 단독으로 부족하지만 조합되면 충분한 힘을 갖도록 된 편심수단들을 구비하고 있고, 유럽특허 (EP) 제A-186280호는 에어로조용기의 방출량을 조절하기 위해 자석(Magnet)를 도입한 흡입장치에 관한 것이며, 미국특허 (US) 제3605739호는 에어로졸용기가 계량용 캠버를 거쳐 흡입구와 연통되어도 계량된 일정량의 에어로졸 혼합물이 계량용 캠버 내에 분사되면 이것은 작동 밸브를 거쳐서 흡입구로 옮겨지도록 흡입장치에 대해 서술하고 있고, 또 영국 특허 (GB) 제1269554호는 에어로졸용기가 방출억제 위치내에서는 걸림수단상에 지지된 레버와 캠시스템에 의해 이동성을 갖도록 되어 있어서, 압력구배가 걸림수단을 해제하도록 작용되면 에어로졸 용기상의 밸브가 투여 위치로 이동하도록 된 투여장치에 관해 서술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투여장치들은 기술을 이루는 구성요소가 복잡하고 크기도 대형화되어져 실용적인 측면에서 불합리하다는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과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환자의 호흡에 부응하여 약제가 투여되도록 된 계량된 1회분량의 내복약제 투여장치를 제공함에 있어서 종래 투여장치들보다 훨씬 단순화되고 소형화되도록 개선된 약제투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계량된 1회복용분량의 약제가 방출되도록 예비부하인 스프링 탄발력으로 이송수단으로 작동하도록 구성되어진 방출장치와, 흡입된 공기저항력으로 이송수단의 작동을 제지할 수 있도록 된 장치 및, 흡입된 공기저항압력을 해제하여 예비부하로 하여금 이송수단을 재 작동하여 약제를 투여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구성된 약제투여시스템을 갖춘 투여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공기저항수단은 대기압보다 고압력에서는 보존되고 대기압보다 낮은 저압력에서는 방출되어지는 공기의 작용으로 이루어지며, 해제장치는 공기의 압력이 대기압력과 같거나 또는 이전의 평형상태시의 압력으로 복귀되도록하여 충분한 예비부하가 작동될 수 있게 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특별히 밸브를 이송수단으로 한 가압된 흡입에어로졸 계통의 약제사용에 적합한 것이나, 밀폐된 시스템에서 임의의 적당한 가스도 사용될 수 있는 한편, 에어로졸 저장용기가 내장된 투여용기는 본 장치를 사용하는 환자로 하여금 빨아서 흡입하도록 된 부위인 흡입구와 외부에서는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유입구를 갖추고 있는 외측캠버를 구성하여, 에어로졸 용기를 감싸고 있는 내부슬리브는 주몸체 안쪽 외측캠버상에 내재된다.
그리고 외측캠버는 가로부재에 의해 에어로졸 출구쪽 캠버와 에어로졸 저장용기 내설되는 쪽 캠버로 분리되어 이 에어로졸 저장용기를 밀봉감싸고 있는 슬리브 하우 측벽과 주몸체와의 사이가 썰링되어져서, 슬리브내의 에어로졸 저장용기와 내부상에 에어로졸 방출작동을 저지할 수 있는 고압체적의 형태를 이루는 부하가 가로부재상에 적용되는 피스톤효과가 형성될 수 있도록 된다.
앞서 언급된 바와같이 에어로졸 저장용기가 내설된 투여용기는 본 발명을 사용하는 환자로 하여금 흡입가능하도록 흡입구와 이 흡입구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한개이상의 공기유입구를 갖춘 외측캠버를 이루고 있으며, 투여용기의 주몸체에 의해 감싸여 있는 슬리브는 외측캠버내에 내설되어, 이 공기가 압착되는 벨로우즈나, 다이아프램의 한쪽끝단과 연결된다.
따라서 슬리브의 운동은 에어로졸밸브의 작동을 제지할 수 있는 저항력을 형성토록 하는 진공 또는 저압력으로 이루어진 벨로우즈, 다이아프램내에 밀폐볼륨의 증가를 가져온다.
한예로 투여장치의 슬리브가 미끄럼되어지면 주문체상에서 하향운동을 하게 되면 슬리브 바깥쪽 캠버상에 저압볼륨을 형성하여 공기가 흡입되며 공기저항수단은 슬리브가 주몸체상을 상하로 이동하면서 이 슬리브 하단부에 장착된 유연한 밸로우즈나 씰에 의해 형성되어 진다.
또 다른 예에서 예비부하는 에어로졸 밸브에 대향작동되는 스프링탄발력으로서 외측캠버상에 감싸인 리세스(Recess)에 피봇된 레버에 의해 적용되는 한편, 이 레버는 투여장치가 작동될 때까지 에어로졸 저장용기에 예비부하가 작용하는 것을 저지하며 작동후에 스프링을 재압착하게 된다.
따라서 레버는 플러그를 통해 스프링과 연결되어지고 레버의 회동운동으로 스프링 압착되도록 슬리브상부와 연결된다.
또한 방출장치는 숨의 흡입과 함께 약제의 방출이 이루어지기 위해 호흡으로 작동되어지는 것으로, 이 방출장치는 가로부재상에 형성된 밸브구멍은 스프링 탄발력으로 형성된 저압볼륨의 압력이 본래의 상태로 복귀되도록 본 장치의 작동시에만 밸브가 개방되도록 유연한 밸브플랩에 의해 닫혀져 있다.
실예에 있어서 공기 저항력은 밀폐볼륨상에 공기의 압착으로 조성된 고압력을 해제하도록 밸브구멍의 개방하고 밀폐볼륨으로부터 공기를 방출하여서 예비부하의 충분한 힘이 에어로졸밸브와 대응되게 작용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공기저항력이 진공이나 준진공인 경우에 있어서는 밸브구명을 통해 공기가 밀폐볼륨내로 유입되어서 다시 충분한 예비부하가 에어로졸 밸브와 대치되게 작용하도록 된다.
한편 호흡작동수단이 이동성 밴(Vane) 메카니즘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밴마카니즘은 저항요소의 위치에 의존하는 캠버의 상·하부가 둘러싸여 있고 상기 밴에는 밸브씰이 부착되는데 이것은 흡입작용시 밴이 정지위치에서 작동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 밸브씰이 밸브구멍과의 접촉부외부로 이동되면서 밸브를 개방하게 되어 있어서, 주로 동력학적으로 균형을 유지케되고 스프링 등에 의해 닫혀진 위치로 기울게 되고, 외측캠버는 공기가 흡입구로 유입되게 다공의 멤블램이나 슬러트로 된 공기유입구를 내포하고 있다.
한편, 약재는 이동성을 갖는 임의 형태의 가스와 같은 기체와 파우더를 포함한 임의 전달매개체가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약제투여장치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의 주몸체(5)상하부에 보어(15)을 갖춘 가로부재(10)가 주몸체(5)의 한쪽끝단을 가로질러 하단에 설치되고 주몸체(5)내에 내설되는 슬리브(20)도 원통형상으로 상기 슬리브(20)와 주몸체(5) 사이에 공간이 형성되면서 세로측이 일반적으로 동축(同軸)을 이루는 한편, 투여용기(25)는 원통형상으로 슬리브(20)내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슬리브(20)하부와 주몸체(5)의 내측면(35) 사이에는 천연고무나 합성고무재질로 이루어진 환형링 형상의 씰(30)이 장착되어서 슬리브(20) 하단둘레상의 O-Ring 역할을 하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슬리브(20)의 립(lip)부 위를 형성하게 된다.
또 에어로졸 투여용기(25)는 에어로졸 방출밸브(도면에 표시안됨)내에 스템(40)이 장착되어 있으며, 보어(15)는 에어로졸 투여용기(25)위 스템(40)상에 공기압착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고, 쇼울더(shoulder, 45)는 순차적으로 주몸체(5)상 에어로졸 분출용기(25)에 위치된 스템(40)을 형성하도록 제한되며, 통로(50)는 보어(15)에서 연장되어 쇼울더(45)로부터 분사노즐(55)과 상호 연결되도록 이어진다.
그리고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피봇(60)을 갖춘 주몸체(5)의 끝단에는 피봇(60)에 의해 작동되는 레버(70)의 수용하기에 적합한 리세스(Recess, 65)가 있으며, 정지위치에서 상기 피봇(60)은 레버(70)가 피봇(60)을 축으로 회전가능토록 리세스(65)를 가로질러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65)는 대개 미끄럼 가능한 플러그(85)와 슬리브(20) 사이에 위치되어 스프링(80)이 안착되는 원통형 통로(75)를 구비하게 된다.
한편, 제2도에서와 같이 레버후단부(90)는 레버(70)가 90°로 회동될때 스프링(80)을 압착하면서 미끄럼회동이 가능토록 플러그(85)상에서 작동된다.
주몸체(5)의 반대쪽 끝단에 있는 흡입구(95, Mouthpiece)는 가로부재(10)에 의해 주몸체(5)와 양분되고 상기 흡입구(95)가 갖춰진 캠버(100)내로는 분사노즐(55)로 부터 약제가 분사된다.
또 이 캠버(100)에는 한 개 이상의 공기유입구(105)들이 갖추어져서 공기(화살표→)가 공기유입구(105)로 부터 흡입구(95)까지 유입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정지상태에서 밴(Vane) 또는 플랩(110, Flap)은 흡입구995)와 공기유입구(105) 사이에 캠버(100)을 양분하게 되고 밴(110)은 주입부(95)와 공기흡입구(105) 사이의 압력강하로 인하여 정지 상태에서 주입부(95)쪽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핀9115)으로 피봇되며, 가로부재(10)는 밀폐상태에서 정지상태가 되도록 기본적으로 구성된 유연성 밸브플랩(125)에 의해 덮혀진 작은 밸브구멍(120)을 구비하고, 상기 밸브플랩(125)은 가로부재(10)와 피봇연결되어서 밀폐볼륨(130)으로부터 공기유동을 차단하여 상기 공기(130)을 효과적으로 씰링하도록 되어진다.
또 밸브스템(135)은 밸브구멍(120)을 통해서 밴(110)과 피봇연결되고 밴(110)의 이동에 있어서 밸브구멍(120)을 통한 밸브스템(135)의 이동은 플랩(125)을 개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밸브스템(135)과 밴(110)의 피봇연결부위의 위치는 밴(110)의 커다란 운동이 밸브스템(135)의 작은 운동을 야기하고 증가된 힘은 밸브플랩(125)에 적용된다.
사용상에 있어서, 환자가 슬리브(20)내 에어로졸 투여용기(25)에 적용되고 에어로졸용기가 예를들어 I - I석 위치와 같은 씰(30) 상부에 위치된 조잡한 나사단에 대응토록 부하된다.
또한 주몸체(5)의 일부가 나사해제되었을 때 내부슬리브(20)는 매끄럽게 이동되면서 에어로졸이 주입되고나면 내부슬리브(20)과 주몸체(5)은 재정렬되어지고 장치의 사용준비가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은 용기내의 모든 내복약들이 방출되었을때 폐기되는 밀봉케이스로서 제조될 수 있으며, 레버(70)는 스프링(80)을 거쳐 슬리브(20)에 무부하가 적용되도록 정지위치내에 있게 된다.
따라서, 제2도에서와 같이 레버(70)가 부하된 위치로 상승되면 스프링(80)이 플러그(85)에 의해 압착되면서 슬리브(20)와 에어로졸투여용기(25)가 하향이동되는데, 이러한 하향이동은 공기가 밸브플랩(125)에 의해 막혀진 밸브구멍(120)를 통해서는 방출될 수 없기 때문에 밀폐실(13)내 공기가 압착되도록 적용되어진다.
따라서 밀폐볼륨(13)내에 증가된 공기압력은 에어로졸 밸브의 작동을 막는 저항부하으로 작용되어서 밸브구멍(120)의 씰링효과를 증대시킨다. 한편 슬리이브(20)와 콘테이너(25)의 하향이동은 압착된 스프링(80)에 의해 야기된 힘이 투여용기(25)의 내부밸브를 작동하는 내부스프링력과 밀폐볼륨(130)내에 증가된 압력으로 인한 힘의 조합된 합력과 대동해질 때까지 계속된다.
따라서 힘이 평형상태로 될 때 슬리브(20)와 투여용기(25)의 위치는 스프링(80)의 스프링상수와 밀폐볼륨(130)의 면적에 의해 결정되므로 결국, 이들은 밸브 스템(40)과 연동되어 에어로졸 투여용기(25)가 약물투여의 결과를 초래하기에 충분한 양에 의해 이동되기 바로 직전에 힘이 균형을 유발하도록 선정된다.
일부 표준 에어로졸 투여용기(25)들은 용기(25)의 밸브스템(40)상에 스템구멍(135)을 구비하고 있는데, 본 발명의 경우에는 레버(70)로 제2도에서 부하된 위치로 상승되어질때, 밀폐볼륨(130)에 갇힌 공기가 스템구멍(140)을 거쳐 통로(50)와 노즐(55)를 통해 외부로 방출된다.
그리고 슬리브(20)과 콘테이너(25)는 계속 하향이동됨에 따라서 내부 밸브스프링(80)은 압착되고 스템구멍(135)은 밸브루버에 의해 폐쇠되며 밀폐볼륨(130)상의 공기는 압축된다.
한편, 흡입구(95)를 통한 환자의 흡입과정에 있어서 미소한 압력차가 한족단이 피봇된 밴(110)를 가로질러 형성되고, 이 압력 구배는 밴(110)과 하부캠버(100)의 형상이 작동위치상의 공기가 자유롭게 공기유입구(105)로부터 환자에게로 유입될 수 있게 형성되며, 밴(110)의 상향이동은 밸브스템(135)이 밸브플랩(125)과 접촉되면서 상향으로 밀어서 개방되도록 되어, 이 밸브플랩(125)의 개방은 밀폐볼륨(130)상의 압착공기를 방출하게 하여 슬리브(20)와 투여용기(25)상에 힘이 불균형을 초래한다.
따라서 슬리브(20)과 용기(25)는 환자의 호흡과 동시에 주입구(95)내로 분사노즐(55)를 통해 계량된 약물의 투여되도록 스프링(80)에 의해 하향으로 밀리게 된다.
그러므로 환자는 계량된 약물과 함께 공기를 흡입케 된다.
한편 환자에 의해 약물이 흡입된 후 레버(70)는 정지상태로 환원되고 스프링(80)의 부하가 해제되어서 슬리브(20)과 투여용기(25)가 내부스프링(80) 영향하에 본래 위치로 복귀되게 한다.
또 밀폐볼륨(130)의 체적은 증가되고 밀폐볼륨(13) 내부압력이 대기압과 일치될 때까지 유연성 밸브플랩(125)를 통해 공기가 밀폐공간(130)내로 흡입된다.
제3도는 도시된 바와같은 제2시시예에 있어서, 흡입장치는 주몸체(400)의 단면이 일반적으론 원통형상단면으로 한쪽끝단이 흡입구(405)와 다른쪽 끝단의 공기 유입구(420)를 감싸고 있는 캡(407, end cap)을 갖추고 있다.
또한 주지된 바와같이 일반적으로 원통형상으로 된 에어로졸 투여용기(25)는 본 장치의 주몸체(400)내에 하우징되어서, 에어로졸 분사밸브(도면에 표시안됨)을 구비한 스템(40)을 갖추곤 있고, 내측면(15)은 에어로졸 투여용기(25)의 스템(40)상에 공기 밀페실을 형성하도록 되며, 쇼울더(45)는 차례로 주몸체(400)상의 에어로졸 투여용기(25) 위치상에 설치된 스템(40)의 위치를 제한하게 된다.
또한 통로(50)는 내측면(15)으로부터 연장되어 쇼울더(45)를 거쳐 분사노즐(55)과 상호 연결되도록 되고, 투여용기(25)의 반대편 끝단은 주몸체(400)와 유사한 단면구조의 슬리브(20)내에 함입되고 슬리브(420)와 주몸체(400)의 수직방향족은 일반적으로 동축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420)는 주몸체(400)의 내부벽과 완만한 미끄럼접촉상태에 있으면서 슬리브(420) 후방 주몸체상이 자유공기 통로를 이루는 벽에 리벳팅된 다수개의 그루브(430)을 구비하게되며, 상기 슬리브(420)는 또 주몸체(400)의 상단과 연결된 곳에 장차고딘 다이아프램(440)에 연결된 위치에 장착되어서 효과적으로 주몸체(400)의 끝단으로부터 매달리게 된다.
또한, 유연성 다이아프램(440)의 한쪽끝단은 강체원형단면부(441)와 일반적으로 유연한 원통형 단면부(445) 및 강성 연결단면부(447)로 구성되어져 꽉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슬리브(420)상의 그루브(4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다이아프램(440)의 끝단으로부터 매달리게 된다.
또한, 유연성 다이아프램(440)의 한쪽끝단은 강체원형단면부(441)와 일반적으로 유연한 원통형 단면부(445) 및 강성 연결단면부(447)로 구성되어져 꽉잡아주는 역할을 하는 슬리브(420)상의 그루브(450)에 의해 지지되며, 상기 다이아프램(440)의 모울드 립(470)은 압축스프링(460)의 한쪽끝단에 설치된다.
또 압축스프링(460)은 슬리브(420)상에 설치되어 작용이 자유롭게 되고 상기 압축스프링(460)의 다른 한쪽끝단은 한쌍의 쇼울더(481)에 의해 장착되는데, 이 쇼울더(481)는 주몸체(400)의 상부에 감싸여져 원통형상으로 플랜지연결된 삽입부(480)상에 위치된다.
이러한 삽입부(480)는 유연성 다이아프램(440)의 원형단면부(441)를 꽉잡아 지지하는 그루브(490)를 구비하고 있다.
강체 연결부위(447)와 내측 그루브(450) 사이의 연결지점은 공기가 밀봉되게 구성되고 슬리브(422)의 사우표면형상이 흡입기의 정지위치에서 두표면이 매우 밀접되도록 다이아프램(440)의 내부 형상을 형성한다.
그리고 그들사이에 밀폐된 공간은 매우 작다.
한편, 원통형 삽입부(480)는 주몸체(400)내에 부착된 캡(407)에 의해 적절하게 보유지지되고, 이것은 공기유입슬러트(420)와 다이아프램(440)의 강체원형단면부(441) 사이에 캠버(590)을 형성하여, 이 캠버(590)가 공기를 공기흡입슬러트(420)로부터 흡입구(405)로 통과되도록 한 개이상의 통기통로(580)을 제공하며, 다이아프램(440)의 강체원형단면도(441)는 피봇(500)으로 삽입부(480)와 연결된 밴(550)상에 감싸인 밸브씰(540)에 의해 수직으로 덮어진 작은 밸브구멍(495)를 구비한다.
그리고, 정지위치에서 상기 밴(550)은 캠버(590)를 공기유입구(420)와 흡입구(405) 사이의 압력강하로 인하여 정지위치로부터 이동이 가능토록 흡입구(405)와 링크연결된 공기통로(580)와 공기 유입구(420) 사이로 양분되어, 작동위치로 밴(550)이 이동될 때 밸브실(540)은 충분하게 밸브구멍(495)를 개방토록 이송되어지는데, 상기 밴(550)은 무게나 자성에 의해서가 아닌 가벼운 스프링굴곡에 의해 닫혀지도록 기인될 것이다.
또한, 제3도에서와 같이 피봇(500)을 갖춘 주몸체(400)는 피봇(500)상에서 작동되는 더스트캡(510)을 구성요소로 갖춘 캠(520)을 받아들이기에 접합하도록 된 리세스(490)를 갖춘다.
상기 리세스(490)는 주몸체(400)의 내벽안에 모울드된 유사통로와 연통되는 통로를 구비하고, 캠추종부(530)는 내부슬리브(420)의 하부모서리로부터 연장되어서 캠(520)이 밀폐된 위치에 있을때 내부슬리브(422)가 캠추종부(530)에 의해 최상부 위치로 강압되기 위해 캡(510)상에 작용된다.
캡(510)이 개방위치로 회동될때 캠(520)의 체적은 캠추종부(530)가 장치의 작동이 가능토록 충분한 크기로 하향자유이동되도록 된다.
정지위치상태에서 캡(510)은 닫히고, 캠추종부(530)는 내부슬리브(422)의 상부 표면과 다이아프램(440)사이에 폐쇄된 밀폐볼륨이 최소상태가 되고 스프링(460)이 압착되도록 최상위치상에서 내부슬리브(422)을 지지한다.
또한 밸브구멍(495)은 밸브씰(540)에 의해 닫히고 슬리브(420)는 비부하된 에어로졸캔(25)의 상단근처에 있게 된다.
한편 캠추종부(530)의 AA크기 만큼 하강되도록 캠(520)이 회동되면 캡(510)이 개방된다.
내부슬리브(422)가 스프링(460)의 작용으로 강제 하향이동되고 따라서 다이아프램(440)과 내부슬리브(422)사이의 밀폐볼륨(600)이 AA양 이하의 A'A'의 양만큼 선형적으로 증가된다.
밸브구멍(495)은 닫혀져 있기 때문에 이것은 밀폐볼륨(600)(제5도)상에 매우 낮은 압력 또는 진공에 가까운 볼륨을 형성하게 된다.
또 밀폐볼륨(600)과 대기압사이의 압력차로 인한 효과는 슬리브(422)가 스프링(460)의 작동을 제지하도록 유도하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내부슬리브(422)가 하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이것은 에어로졸 캔(25)과 접촉되고 에어로졸 밸브(도면에 표시안됨)의 압착이 시작된다.
내부슬리브(422)의 하양운동은 스프링(460)의 압축힘과 에어로졸 밸브의 압축과 압력차로 인하여 형성된 저지력사이에 힘의 균형을 이룰때까지 계속될 것이다.
본 발명의 기하적도식은 에어로졸 밸브가 작동할 정도로 충분히 압착되기 전에 이러한 균형이 야기되도록 배열되며, 에어로졸은 작동하기 위해 약 20N의 힘이 필요하며 스프링(460)은 이에따라 대략 10%~50%까지 더 큰 힘을 제공하여야만하고, 따라서 힘은 균형은 내부슬리브(422)가 에어로졸 캔(25)과 접촉되기전에 야기되기 위해 구성되는 것이 가능한데, 이는 압력차의 효과에 의해 내부슬리브(422)상에 생성된 저항력이 스프링력과 균형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흡입구(405)를 통해 환자가 흡입작용을 함에 있어서 작은 압력구배는 한쪽끝단쪽으로 피봇연결된 밴(550)을 가로질러 형성된다.
이 압력차는 밴(550)이 정지위치로부터 작동위치로의 이동원인이 되고 밴(550)과 캠버(590)내 공기통로(580)의 형상은 작동되는 위치에서 공기가 공기유입구(420)에서 환자에게로 자유롭게 흘러 들도록 되어진다.
또한 밴(550)의 운동은 밸브구멍(495)를 갖춘 밸브씰(540)이 씰링위치의 외부로 이동되어지는 원인이 된다.
밸브구멍(495)의 개방은 다이아프램(440) 사이의 밀폐볼륨상 압력이 대기압에 이르도록 내부슬리브(422)와 갭(gap, 600)내로 공기유입이 허용된다.
이것은 슬리브(420)과 투여용기(25)상에 작용되는 힘들이 불균형을 초래하게되고, 따라서 슬리브(420)와 용기(25)는 스프링(460)에 의해 하향으로 강제이동되어져서 환자의 호흡과 동시에 분사노즐(55)를 통해 분출된 계량된 약물의 흡입구(405)내로 유입되는 겨로가를 초래하게 된다.
그러므로 환자는 계량된 약물과 함께 공기를 흡입하게 된다.
한편, 환자가 약물을 흡입한 후에는 캡(510)이 닫혀진 위치로 복귀되는데 이는 캠(520)을 회동시켜 캠추종부(530)가 상향으로 강압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는 스프링(460)을 압착하고 다이아프램(440)가 내부슬리브 상단표면(422) 사이의 밀폐볼륨(600)이 닫혀지도록 내부슬리브(420)가 상향으로 이동하게 작용된다.
이것은 밸브씰(540)을 지탱하는 밸브구멍(495)을 통해 공기를 밀폐볼륨(600) 외부로 방출하게 유도한다.
밸브씰(540)이 단지 미세하게 닫혀진 위치로 기울어지기 때문에 밀폐볼륨 외부로의 공기유동에는 거의 저항이 나타나지 않는다.
그리고 에어로졸 캔(25)은 에어로졸 밸브의 작동하에서 정지 위치로의 복귀가 자유롭게 된다.
따라서 사용시 환자는 주몸체(400)안에 에어로졸 투여용기(25)에 부하되고 에어로졸 용기(25)는 주몸체(400)상 즉 일예로 I - I선 같은 나사결합부위에 부하되어지고, 주몸체(400)의 일부가 비나사결합되어졌을 때 에어로졸 캔(25)이 삽입되어져서, 주몸체(400)는 캔(25)의 상단끝 상부내부슬리브(422)에 의치되어져서 본 장치의 사용준비가 이루어진다.
앞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장치는 밀봉된 세트(unit)로서 제조되어져서 사용자 또는 흡입자에게 규칙적인 공기흐름을 제공하기위한 수단을 제공하게 될 것이다.
그래서 악기(reed)와 같은 음향장치는 공기흡입량이 사전 팅 된 수위보다 약 30~50ℓ/m 이상 클때 소리를 울리게 되는데, 이때 상기 음향장치는 흡입구(95)상이나 또는 공기유입구(420)상에 설치될 것이고 소리는 환자가 미약한 비율로 호흡하는 것을 경고 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사전에 책정된 임의의 용기유동비율인 90~30ℓ/min보다 낮게는 작동되지 않도록 하는 수단을 제공하는게 될 것이다.
첫번재 예에 있어서 밴(550,110)은 작동위치로 이동되고 밸브씰(540)이 개방될 수 있는데 필요한 임의 최소공기유동을 하도록 스프링(460)에 의해 기울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제2실시예에서 서술된 바와같이 주몸체는 아마도 폴리프로필렌, 아세탈, 주조된 폴리스틸렌과 같은 플라스틱으로 제조되어진다. 그러나 이것은 금속이나 다른 적절한 재료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Claims (18)

  1. 처방으로 계량된 내복약의 약제방출수단으로 구성된 약제이송시스템과, 약제이송시스템에 있어 이송수단을 작동할 수 있는 예비부하를 적용하기 위한 수단으로 구성된 방출장치, 약제투여와 이송수단의 작동을 막을 수 있는 호흡 공기저항력을 적용하기 위한 장치들, 예비부하가 이송장치에 적용되어 공기흡입에 따른 저항력을 해제하여 약제를 투여하는 투여장치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약제이송시스템에는 이송수단으로 밸브를 갖춘 가압된 에어로졸 흡입기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3. 에어로졸 용기의 내부밸브를 작동토록 된 예비부하로 하여금 상기 요기로부터 약제의 일정량을 방출하도록 적용시키기 위한 장치들로 구성된 가압된 에어로졸 투여용기와, 에어로졸 밸브의 작동을 저지하는 저항성공기압과, 약제가 투여되도록 저항성공기압을 조절할 수 있는 흡입작용으로 작동되는 방출장치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작용으로 작동하는 수단은 흡입 작용시 작동전 위치에서 작동되는 위치로 이동이 가능한 이동성 밴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성 밴이 예비부하로하여금 에어로졸밸브를 작동키 위한 방출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용기는 흡입구를 갖춘 외측캠버와 상기 외측캠버내로 삽설된 내측슬리브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에어로졸 투여용기의 주몸체를 둘러싸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캠버에는 공기가 흡입구로 유입되게 1개이상의 공기 유입구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8.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로졸 밸브에 대응되게 작동되는 스프링을 매체로 투여용기에 예비부하가 적용되도록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력은 대기압보다 고압력으로 있는 공긷의 체적으로 야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력은 피스톤을 형성하도록 내부슬리브와 에어로졸 투여용기 그리고 가로부재의 상호연동으로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부하는 투여장치의 리세스에 피봇된 레버와 스프링을 거쳐 플러그로 연결되는 레버 및 에어로졸 용기상에 작동되는 스프링에 의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저항력은 대기압보다 저압은 공기의 체적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저압은 벨로우즈, 피스톤, 실린더 및 다이아프램에 의해서 형성된 공기확대체적내에서 생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부하는 에어로졸로 둘러싸인 내부슬리브상에 작용되는 스프링이 내부슬리브상에 작용되는 레버에 의해 압축되면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는 커버의 개방을 인하여 에어로졸 용기와 내부 슬리브상에 상호 순차적 연통되는 스프링의 탄발에너지를 해제하고 레버도 하강되도록 회전성 커버상에 형성된 캠에 대응토록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투여장치는 장치의 작동중 개발될 수 있는 밸브플랩에 의해 상단이 닫혀진 밸브구멍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7.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장치를 가로질러 통과할 때 시그날을 을리는 음향장치를 공기체적이 흡입기상에 사전셀팅된 흡입률보다 훨씬 크게 제공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1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밴은 사전 예측조정된 공기유동률 이상에서만 작동위치로 이동되어지도록 될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제투여장치.
KR1019920009443A 1992-05-30 1992-05-30 약제 투여장치 KR9700097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443A KR970009724B1 (ko) 1992-05-30 1992-05-30 약제 투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9443A KR970009724B1 (ko) 1992-05-30 1992-05-30 약제 투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43A KR930023043A (ko) 1993-12-18
KR970009724B1 true KR970009724B1 (ko) 1997-06-17

Family

ID=19333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9443A KR970009724B1 (ko) 1992-05-30 1992-05-30 약제 투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7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03481A (ko) * 2022-07-01 2024-01-09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인헤일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23043A (ko) 1993-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35297B2 (ja) 医薬分与装置
US7637260B2 (en)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with a multimaterial diaphragm bounding a pneumatic force chamber
US6637432B2 (en) Inhalation actuated device
EP1198264B1 (en) Pneumatic breath actuated inhaler
AU2001266806A1 (en) Medicament dispensing device with a multimaterial diaphragm bounding a pneumatic force chamber
CZ296319B6 (cs) Zpusob rozptylování aktivní látky a inhalacní prístroj pro provádení zpusobu
IL39916A (en) Device for dispensing fluids
GB2264238A (en) Medicament inhalor device
US5297542A (en) Aerosol dispensing device
US6341603B1 (en) Inhalation apparatus
CA2019572A1 (en) Aerosol dispensing device
KR970009724B1 (ko) 약제 투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5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