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545B1 -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545B1
KR970009545B1 KR1019940027384A KR19940027384A KR970009545B1 KR 970009545 B1 KR970009545 B1 KR 970009545B1 KR 1019940027384 A KR1019940027384 A KR 1019940027384A KR 19940027384 A KR19940027384 A KR 19940027384A KR 970009545 B1 KR970009545 B1 KR 97000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level
volume
optical dial
dial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73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324A (ko
Inventor
오윤환
Original Assignee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통신 주식회사, 박성규 filed Critical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73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545B1/ko
Publication of KR960016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5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1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in the receiver circui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2Illumination; Arrangements for improving the visibility of characters on di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하여 음량레벨을 조절할 수 있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화기의 광다이얼을 이용하여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키패드 20 : 마이컴
30 : 램프구동부 40 : 메모리
50 : 타이머 60 : 음량부조절부
본 발명은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하여 음량레벨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사용자가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경우, 전화기에 별도로 구비된 벨소리 레벨 조절을 위한 스위치와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를 이용하여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조절한다.
그러나, 종래의 전화기는 사용자에 의해 세팅된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정확하게 알 수 없으므로, 조절하고자 하는 레벨로 정확하게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 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별도로 구비되어야 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제작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전화기의 광다이얼을 이용하여 음량레벨을 보다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다이얼 버튼과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입력되면 통화중인가를 체크하여 통화중이면 상기 광다이얼 버튼중에 현재 세팅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광다이얼 버튼중에 현재 세팅된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상기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광다이얼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제1광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여 상기 전화기의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상기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제2광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 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여 벨소리 레벨을 조절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재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음량레벨과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벨소리 레벨을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음량레벨과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벨소리 레벨을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과 여러 가지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에 기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할 수 있는 전화기의 개략적인 블럭 구성도로서, 키패드(10), 마이컴(20), 램프구동부(30), 메모리(40), 타이머(50) 및 음량조절부(60)로 구성된다.
동도면에 있어서, 키패드(10)는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버튼신호와 음량조절신호를 출력하고, 마이컴(20)은 상기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면 통화중인가를 체크하여 그에 상응하여 램프를 구동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입력되는 버튼신호에 상응하여 전화기의 벨소리와 음량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며, 타이커(50) 작동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또한, 램프구동부(30)는 마이컴(20)으로부터 구동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그에 상응한 버튼램프를 절환하기 위한 절환신호를 발생하고, 메모리(40)는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저장한다.
또한, 타이머(50)는 마이컴(20)으로부터의 작동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카운트하고, 음량조절부(60)는 마이컴(20)으로부터의 음량조절을 위한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전화기의 벨소리와 음량레벨을 조절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전화기의 광다이얼을 이용하여 음량을 조절하는 동작과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로서, 하기는 본 발명의 음량조절 방법에 대하여 제1도와 제2도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우선, 본 발명은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와 광다이얼 버튼이 구비되어 있는 전화기에서 실시가능하며, 메모리(40)에는 미리 세팅된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이 저장되어 있다.
다음에,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키패드(10)로부터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면(단계 210), 마이컴(20)은 타이머(50)를 작동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타이머(50)는 마이컴(20)으로부터의 작동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설정된 소정시간 동안 카운트한다(단계 215).
그 다음, 마이컴(20)은 통화중인가를 체크하여(단계 220), 통화중인 경우에 메모리(40)로부터 세팅된 음량레벨을 입력하여 상기 세팅된 음량레벨을 표시하기 위해 제1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키패드(10)의 광다이얼 버튼중에 상기 세팅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전환된다(단계 230).
다음에, 마이컴(20)은 키패드(10)로부터 버튼신호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여(단계 235), 상기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세팅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2구동 제어신호와,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여 음량레벨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제2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는 오프상태가 되고,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절환되며, 마이컴(20)으로부터의 음량레벨 조절을 위한 제어신호에 기초한 음량조절부(60)에 의해 상기 세팅된 음량레벨이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음량레벨로 조절된다(단계 240).
이때,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키패드(10)로부터 버튼신호가 입력되면 마이컴(20)으로부터의 작동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타이머(50)는 리셋된다(단계 245).
그 다음, 마이컴(20)은 키패드(10)로부터 상기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는가를 체크하여(단계 250), 상기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기 위한 제3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3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으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는 오프상태로 전환된다(단계 260).
그리고,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음량레벨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단계 265).
한편, 상기 단계(250)에서 마이컴(20)은 키패드(10)로부터 상기 음량조절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면, 타이머(50)에 설정된 소정시간이 지났는가를 체크하여(단계 255), 상기 설정된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3구동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3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오프상태로 전환된다(단계 260).
그리고, 상기 입력된 버튼신호에 상응하는 음량레벨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단계 265).
예를 들어 설명하면, 메모리(40)에 음량레벨이 5, 벨소리 레벨이 3으로 세팅되어 있고, 통화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눌려지면, 현재 통화중이므로 마이컴(20)의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키패드(10)의 광다이얼 버튼중 5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절환된다.
그 다음, 사용자가 음량레벨을 7로 증가시키기 위해 키패드(10)의 광다이얼 버튼중 7을 누르면, 마이컴(20)의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온상태로 전환된 광다이얼 버튼 5는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광다이얼 버튼 7이 온상태로 절환된다. 그리고, 마이컴(20)으로부터의 음량조절을 위한 제어신호에 기초한 음량조절부(60)에 의해 음량레벨은 5에서 7로 증가된다.
이때,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한번 더 눌리면, 마이컴(20)으로부터의 구동 제어신호에 기초한 램프구동부(30)의 절환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광다이얼 버튼 7은 오프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7 로 조절된 음량레벨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한편, 키패드(10)로부터 버튼신호가 입력되지 않고 타이머(50)에 설정된 상기 소정시간이 지나면, 자동적으로 상기 온 상태로 전환된 7은 오프상태로 전환되며, 상기 7로 조절된 음량레벨은 메모리(40)에 저장된다.
상기 단계(220)에서의 체크결과, 통하중이 아닌 경우에 상기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이 조절되는데, 그 동작 과정은 상술한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동작과정과 동일하므로 그 동작과정의 설명이 생략되어도 이해가 되리라 본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이용하면, 세팅된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광다이얼 버튼을 통해 세팅된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확인한 다음, 보다 정밀하게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화기의 제조 비용 절감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1)

  1. 광다이얼 버튼과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구비된 전화기의 벨소리 레벨과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입력되면 통화중인가를 체크하여 통화중이면 상기 광다이얼 버튼중에 현재 세팅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하고, 통화중이 아니면 상기 광다이얼 버튼중에 현재 세팅된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하는 제1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상기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광다이얼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제1광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음량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여 상기 전화기의 음량레벨을 조절하는 제2단계와; 상기 제1단계의 상기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가 온상태로 전환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제2광다이얼 버튼이 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벨소리 레벨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버튼램프를 온상태로 전환한 다음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여 벨소리 레벨을 조절하는 제3단계와;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사용자의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량조절을 위한 스위치가 재입력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음량레벨과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벨소리 레벨을 저장하는 제4단계와; 상기 제2단계와 제3단계에서 미리 설정된 소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온상태로 전환된 버튼램프를 오프상태로 전환하고, 상기 제1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음량레벨과 상기 제2광다이얼 버튼에 상응하는 벨소리 레벨을 저장하는 제5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KR1019940027384A 1994-10-26 1994-10-26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KR97000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384A KR970009545B1 (ko) 1994-10-26 1994-10-26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7384A KR970009545B1 (ko) 1994-10-26 1994-10-26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24A KR960016324A (ko) 1996-05-22
KR970009545B1 true KR970009545B1 (ko) 1997-06-14

Family

ID=19395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7384A KR970009545B1 (ko) 1994-10-26 1994-10-26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5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24A (ko) 1996-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26469B2 (ja) 携帯電話機
EP0510809B1 (en) Radio telephone
KR100455991B1 (ko) 이동 단말기의 액정 표시부 백라이트 제어 장치
JP2001215914A (ja) 表示部付き電子機器
US5523656A (en) High pressure discharge lamp operating circuit with light control during lamp run up
KR970009545B1 (ko) 전화기의 광다이얼 버튼을 이용한 음량조절방법
US5567030A (en) Method for controlling picture size in an LCD projector
JPH11284712A (ja) バックライトon/off機能付き携帯電話機
KR0127764B1 (ko) 캠코더의 특성조정장치 및 그 조정방법
JPH10200615A (ja) バックライト制御機構付電話機
JP4526213B2 (ja) 携帯電話機
JPH10319920A (ja) 携帯型電子機器
JP2002077378A (ja) 携帯電話機
KR100211328B1 (ko) 일반 전화기의 벨음량 및 벨음색 제어방법 및 장치
KR970007892B1 (ko) 카오디오의 지역별 라디오 주파수 및 밴드 선택 장치
KR0141646B1 (ko) 오디오시스템의 전원스위칭장치
KR100217733B1 (ko) 듀티 조절을 통해 광다이오드의 밝기를 조절하는 방법
JP2000349885A (ja) 携帯電話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KR20040098336A (ko)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버튼의 배경 조명 장치 및 방법
KR0176380B1 (ko) 인버터 스탠드의 조도변화속도 제어방법
KR0178612B1 (ko) Vcr의 전원 오프시 현재시간 표시방법
KR100199098B1 (ko) 키 공용 파워온 방법
KR100251739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수신메시지 화면표시 기간 조정장치 및방법
KR20000061851A (ko) Cdma 이동무선전화기의 lcd 백라이트 밝기 조절장치 및그 제어방법
JP2000243074A (ja) スリープタイマ機能を有する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