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9386B1 -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 Google Patents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9386B1
KR970009386B1 KR1019930023453A KR930023453A KR970009386B1 KR 970009386 B1 KR970009386 B1 KR 970009386B1 KR 1019930023453 A KR1019930023453 A KR 1019930023453A KR 930023453 A KR930023453 A KR 930023453A KR 970009386 B1 KR970009386 B1 KR 97000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or
air
mover
air gap
elev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345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13962A (en
Inventor
조길희
Original Assignee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산전 주식회사, 이희종 filed Critical 엘지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34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9386B1/en
Publication of KR950013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396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386B1/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4Driving gear ; Details thereof, e.g. se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Disclosed is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and apparatus to cool the motor. The elevator comprises an air gap regulator, a cooler and a brake(25). In the air gap regulator, an air gap and roller location(12b) are simultaneously adjusted by a ring type regulator(12a). In the cooler stator(15) of the linear motor is formed as a hollow pipe for cooling. The brake(25)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electro-magnetic force, or manually operated by handle manipulation. Thereby, the sudden braking is prevented so that safe drive is performed.

Description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 및 모터 냉각장치Elevator and Motor Cooling System Using Linear Motor

제1도는 내지 제10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에 관한 도면으로서,1 to 10 are views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사시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2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사시도.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elevator.

제3도는 레일 브레이크의 구성도.3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rail brake.

제4도의 (a)(b)는 에어 갭 조정장치의 구성도.(A) (b) of FIG. 4 is a block diagram of an air gap adjusting apparatus.

제5도의 (a)(b)는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의 측면도 및 정면도.(A) and (b) of FIG. 5 are side and front views of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제6도는 (a)(b)는 하부 지지구조의 측면도 및 정면도.6 is a side view and a front view of the lower support structure.

제7도는 냉각장치의 구성도.7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oling device.

제8도는 고정자 구성도.8 is a stator configuration diagram.

제9도는 에어 갭 검출장치의 구성도.9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ir gap detection device.

제10도는 방진장치의 구성도.1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vibration isolator.

제11도는 내지 제19도는 본 발명에 관한 도면으로서,11 to 19 are view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사시도.1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lev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의 (a)(b)는 에어 갭 조정장치의 정면도 및 부분 평면도.(A) (b) of FIG. 12 is a front view and a partial plan view of an air gap adjusting device.

제13도는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를 보인 부분 정면도.13 is a partial front view showing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제14도는의 (a)는 고정자 하부 지지구조를 보인 부분 단면도.Figure 14 (a) is a parti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b)는 부분 평면도.(b) is a partial plan view.

제15도는 냉각장치의 단면도.1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oling device.

제16도는 고정자의 변형예를 보인 단면도.16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modification of the stator.

제17도는의 (a)(b)(c)는 고정자의 상세 구성을 보인 것으로,(A) (b) (c) of FIG. 17 shows the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stator.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부분 단면도이다.(a) is a top view, (b) is a front view, (c) is a partial sectional drawing.

제18도는 (a)는 방진장치의 분해 상태 단면도.18 is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vibration isolator.

(b)는 결합 상태 단면도.(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upling state.

제19도는 브레이크 장치의 정면도 및 측면도.19 is a front view and a side view of the brake device.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1 : 가동자 11a : 원통체11: mover 11a: cylindrical body

11b : 통공 11e : 통공11b: Through Hole 11e: Through Hole

12 : 에어 갭 조정 롤러 12a :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 air gap adjusting roller 12a: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12b : 롤러 12f : 스프링압 조절볼트12b: Roller 12f: Spring pressure adjusting bolt

15 : 고정자 15g : 홈15: stator 15g: groove

19a : 흡입구 19b : 배출19a: suction port 19b: discharge

19c : 파이프 20 : 팬19c: pipe 20: fan

24 : 카 25 : 브레이크24: car 25: brake

25e : 브레이크 29 : 공기 안내판25e: Brake 29: Air guide plate

29a : 안내편 29b : 안내편29a: Information Guide 29b: Information Guide

29b : 공기 통공29b: air through

본 발명은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는 권상 방식이 확산, 보급되어 있다. 이 방법은 엘리베이터위에 기계실을 설치하여 권상기를 설치하고, 로프를 매개로 한단은 카에 한단은 카운트 웨이트에 매달게 구성되어 있으므로 권상기의 크기는 비교적 크고 브레이크 장치 이외의 제동장치 등도 기계실 내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실내도 필연적으로 이에 대응한 공간이 필요하게 되어 기계실에 의한 거축의 점유면적이 문제가 되고 고중량에 대한 기계실 구조의 강성면에서 비용도 높아진다. 여기서 상기 문제를 해결하면서 근년에는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구동원으로 하는 엘리베이터가 각광을 받고 있다. 이 리니어 인덕션 모터는 모터 자체가 직접 구동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권상기 등의 회전기와 다른 감속기, 풀리 등을 필요로 하지 않고 전체에서 간단하게 경량화를 기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에 있어 필요로 하는 권상기용 기계실이 완전히 불필요하고, 엘리베이터 시스템 소형화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반면, 비상 제동시 브레이크의 유지성, 수동감아올림의 어려움, 에어 갭(air gap)조정의 어려움 등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In a conventional elevator, the hoisting system is spreading and spreading. In this method, a hoist is installed by installing a machine room on an elevator, and one end of a car is suspended by a rope, and one end of the car is suspended by a count weight. Therefore, the size of the hoist is relatively large and a brake device other than a brake device is installed in the machine room. Therefore, the space is inevitably required in the room, and the occupied area of the housing by the machine room becomes a problem, and the cost is high in terms of rigidity of the machine room structure with respect to heavy weight. In recent years, while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 elevator using a linear induction motor as a driving source has been in the spotlight. Since the linear induction motor is directly driven by the motor itself, it is possible to simply reduce the weight of the whole machine without the need for a rotary machine such as a hoist and other reducers and pulleys. While it is unnecessary and has the advantage of miniaturizing the elevator system,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maintenance of the brake during the emergency braking, the difficulty of manual winding up, the difficulty of adjusting the air gap.

종래 리니어 모터를 엘리베이터는 그 실시형태가 제1도 내지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다.An embodiment of a conventional linear motor elevator is shown in FIGS. 1 to 10.

제1도에 이용되는 부품을 먼저 살펴보면, 41은 상부 프레임, 42은 행거 프레임, 43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 44는 카 가이드 레일, 45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 46은 풀리, 47은 로프, 48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 49는 카 가이드 롤러를 각각 보인 것이고, 50은 카운트 웨이트, 51은 가동자, 52은 에어 갭 조정 롤러, 53은 가동자 방진장치, 54는 냉각장치를 각각 보인 것이며, 55는 고정자, 56은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 57은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 58은 고정자 하부 지지구조를 각각 보인 것이다.Referring first to the parts used in FIG. 1, 41 is the upper frame, 42 is the hanger frame, 43 is the count weight guide rail, 44 is the car guide rail, 45 is the count weight frame, 46 is the pulley, 47 is the rope, 48 is The count weight guide roller, 49 is the car guide roller, 50 is the count weight, 51 is the mover, 52 is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3 is the actuator dustproof device, 54 is the cooling device, 55 is Stator, 56 shows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57 shows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on device, 58 shows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이하, 종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 프레임(41)에 고정자(55)가 상,하부 지지구조(56),(58)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a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linear motor, as shown in FIG. 1, the stator 55 is supported by the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56 and 58 on the upper frame 41. .

가동자(51)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에 설치되어 있고,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의 양측에는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48)가 설치되어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43)과 접해져 있다. 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은 로프(47)에 의해 매달리고 승강로 상부의 풀리(46)를 경유해서 카(60)와 연결되어 있다. 카(60)의 양측에는 카 가이드 롤러(49)가 설치되고, 이 카 가이드 롤러(9)는 카 가이드 레일(44)에 접해져 설치되어 있다. 제4도와 같이 가동자(51)의 상,하부에는 에어 갭 조정 롤러(52)가 고정자(55)에 접하여 설치되고 또한 제7도와 같이, 가동자 방진장치(53)가 설치되어 있다.The mover 51 is provided in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the count weight guide roller 48 is provided in the both sides of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is in contact with the count weight guide rail 43. As shown in FIG. The count weight frame 45 is suspended by the rope 47 and connected to the car 60 via the pulley 46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Car guide rollers 49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ar 60, and the car guide roller 9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car guide rail 44. As shown in FIG. 4,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is provided in contact with the stator 55 above and below the movable element 51, and as shown in FIG. 7, the movable element vibration isolator 53 is provided.

제7도와 같이 가동자(51)의 외주면에는 냉각장치(54)가 설치되고, 제9도와 같이,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에는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5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도와 같이 레일 브레이크(61)는 카(60)의 하부에 설치되거나, 제2도와 같이 카운트 프레임(45)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고, 또는 추가하여 제3도와 드럼 브레이크(62)가 승강로 상부의 풀리(46)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7, a cooling device 54 is provid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able element 51, and as shown in Fig. 9, an air gap variation detecting device 57 is provided between the movable element 51 and the stator 55. . The rail brake 61 is installed below the car 60 as shown in FIG. 1, or is installed below the count frame 45 as shown in FIG. 2, or the third brake drum 62 is additionally provided. It is provided integrally with the pulley 46 at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이하, 종래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levator using a conventional linear motor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상기 가동자(51)에 전류가 인가되면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에는 유도를 따라서 가동자(51)가 이동하게 된다. 이때 리니어 인덕션 모터의 구동시 발생하는 경세 및 진동에 따른 비상 상태를 막기 위하여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에는 항상 일정합 갭이 유지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제4도와 같이, 에어 갭 조정 롤러(52)가 고정자(55)의 주위에 3 내지 4곳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가동자(51)의 외주면은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제7도와 같이, 냉각장치(54)인 핀(fin)이 설치되어, 주행중의 마찰풍에 의해서 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되어 있고, 가동자(51) 구동시 발생하는 진동을 감소하기 위하여 제10도와 같이, 방진 고무를 이용한 가동자 방진장치(53)가 가동자(51)의 상,하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지진 및 외부 경세하중에 대한 진동을 흡수하기 위하여 제5도 및 제6도와 같이, 고정자(55)의 상부는 볼 조인트(ball joint)(56a)로 결합되고, 고정자(55) 하부는 졸 조인트(58a), 코일 스프링(58b) 및 턴 버클(turn buckle)(58c)로 결합되는 고정자 상,하부 지지구조(56),(58)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또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의 에어 갭 변동을 검출하여 비상 제동을 할 수 있도록 제9도의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57)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W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mover 51, the mover 51 moves along the induction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In this case, in order to prevent an emergency condition due to the hard and vibration generated when the linear induction motor is driven, a constant gap must be maintained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at all times. The rollers 52 are fixed at three to four places around the stator 55. In additi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ovable element 51 is provided with a fin, which is a cooling device 54, as shown in FIG. 7 to cool the heat generated between the movable element 51 and the stator 55. In order to generate the cooling effect by the friction wind, and to reduce the vibration generated when driving the movable element 51, as shown in FIG. The upper and lower parts are installed in the upper part and the upper part of the stator 55 is coupled to a ball joint 56a as shown in FIGS. 5 and 6 to absorb vibrations against earthquakes and external light loads. (55) The lower part is provided with stator upper and lower support structures 56 and 58 which are coupled to the sol joint 58a, the coil spring 58b and the turn buckle 58c. Moreover,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on device 57 of FIG. 9 is provided so that emergency braking can be detected by detecting the air gap fluctuation between the movable element 51 and the stator 55. FIG.

상기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는 가동자(51)와 고정자(55) 사이의 추력 발생에 따라 가동자(51)가 구동하면 이와 결합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과 풀리(46)를 경계로 해서 카(60)를 매달고 있는 로프(47)가 이동하게 되어 엘리베이터가 구동된다.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is based on the count weight frame 45 and the pulley 46 coupled thereto when the movable element 51 is driven in response to the thrust between the movable element 51 and the stator 55. The rope 47 hanging on the car 60 is moved to drive the elevator.

이때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의 하부 혹은 카(60)의 하부에 설치된 레일 브레이크(61)는 승강기 및 홀(hall)에서의 층부름에 따라 전류를 차단 혹은 인가함으로써 마그네트가 온,오프(on,off) 동작되어 제동 구실을 한다. 또 엘리베이터의 오버 런(over run)을 방지하기 위하여 비상제동수단으로서 풀리(46)에 제3도와 같은 드럼 브레이크(62)가 추가 설치되어진다.In this case, as illustrated in FIGS. 1 and 2, the rail brake 61 install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count weight frame 45 or the lower portion of the car 60 cuts or applies current according to the floor calling in the elevator and the hall. As a result, the magnet is turned on and off to serve as a brake. In addition, a drum brake 62 as shown in FIG. 3 is further provided on the pulley 46 as an emergency braking means in order to prevent overrun of the elevator.

상기 브레이크(62)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 드럼(63), 브레이크 암(64), 브레이크 슈(65) 및 상기 브레이크 암(64)를 작동시키는 마그네트(62a)로 구성된다.The brake 62 is composed of a brake drum 63, a brake arm 64, a brake shoe 65 and a magnet 62a for operating the brake arm 64 as shown in FIG.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는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승강로 상부의 공간을 소형화, 간소화하게 되어 기계실이 불필요함에 따른 건물의 공간 활용이 효율적으로 된다. 그러나 플로어(flower) 정지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45)에 조합한 레일 브레이크(60) 장치가 제동을 행하고, 카(60)를 서비스층(survice flower)에 정지시키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브레이크 장치의 부하가 크게 되고, 마모도 크므로 오동작이 쉽게 유발되며,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 오동작을 하여 로크(lock)된 경우는 유지 보수성이 나쁘고 위험하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Conventional elevators as described above, as shown in Figs. 1 and 2, the space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is miniaturized and simplified, so that the space utilization of the building is not required because the machine room is unnecessary. However, when the floor stops, the rail brake 60 device incorporated in the count weight frame 45 brakes and the car 60 is stopped on the service flower. Is large, wear is also large, the malfunction is easily caused, when the malfunction is locked in the layer except the lowermost layer (lock) there was a bad maintenance and dangerous.

이점을 개선하여 유지 보수성을 향상시킨 구조로서 제1도의 실시 형태는 카(60)측에 레일 브레이크(61)를 설치하여 카(60) 내부로부터 점검수리를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 역시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의 작업성은 위험할 뿐만 아니라 보통 불평형 하중을 견디는 제동력에 해당하는 레일 브레이크(61)의 갯수가 2내지 4개이므로 동시에 개폐작업을 하기란 더욱 어려운 것으로 작업성이 매우 나쁜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에 풀리(46)의 중계로만 로프(47)가 연결되어 관성 주행에 의한 오버 런(over run)을 방지하기 위하여 승강로 상부의 풀러(46)에 일체로 구성된 드럼 브레이크(62)를 설치 운용함으로 인해서 비상시 로크(lock)상태에 대한 유지 보수성도 극히 나쁘며 레일 브레이크(61)와 조합 운용될 때는 더욱 그러하다.The structure of FIG. 1 in the embodiment of FIG. 1 is provided with a rail brake 61 on the side of the car 60 to enable inspection and repair from the inside of the car 60. However, this also excludes the lowermost floor. In addition to the dangerous workability, the number of rail brakes 61 corresponding to the braking force to withstand an unbalanced load is usually 2 to 4, so it is more difficult to open and close at the same time, the workability is very bad. The rope 47 is connected only to the relay of the pulley 46 to install and operate a drum brake 62 integrally formed on the puller 46 in the upper part of the hoistway to prevent overrun due to inertia. Because of this, the maintenance of the emergency lock state (lock) is also extremely bad, even more so when operating in combination with the rail brake (61).

제4도와 같이 에어 갭 변동의 방지를 위한 조정장치는 가동자(51) 원주상에 에어 갭 조정 롤러(52)를 방사상으로 각각 배치하여 가동자(51)와 고정자(55)사이에 자력이 작용치 않을 때와 진동 및 경세에도 에어 갭 변동을 감소함과 아울러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재질을 합성수지 등의 탄성재질을 사용함으로써 승강구동에 의한 진동 및 굉음을 감소시켰다.As shown in FIG. 4, the adjusting device for the prevention of air gap fluctuation is arranged by radially arranging the air gap adjusting rollers 52 on the circumference of the mover 51 so that magnetic force acts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In addition, the air gap fluctuation was reduced even when not in use, and the vibration and noise caused by the elevating driving were reduced by using an elastic material such as synthetic resin as the material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그러나 가동자(51)와 고정자(55)의 정확한 에어 갭은 조정이 된다 하더라도 운행에 의한 각각의 에어 갭 조정 롤러(52) 마모로 인한 고정자(55)에 가해지는 에어 갭 조정 롤러(5)를 미는 스프링벽의 변동에 대한 조정이 필요할 때는 각각의 에어 갭 조정 롤러(52)를 교체 또는 각각의 변위량에 따른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위치를 이동하여 마모 변위만큼 재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However, even if the correct air gap between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is adjusted,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 applied to the stator 55 due to the wear of the respectiv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due to driving is removed. When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fluctuation of the spring wall, it is cumbersome to replace each air gap adjusting roller 52 or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according to the amount of displacement to readjust the wear displacement. .

왜냐하면 이는 특히 에어 갭 변동으로 인한 급제동이나, 브레이크 오동작, 지진 및 경세 하중으로 인한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파손으로 인한 조정 작업이나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편마모로 인하 재조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되었다.This is because, in particular, in the event of sudden braking due to air gap fluctuations, adjustment due to breakage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due to brake malfunction, earthquake and light load, or reduction of the gap caused by uneven wear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is required. It was a very difficult problem.

제5도와 제6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고정자 지지구조에 있어서, 제5도에서와 같은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56)는 볼 조인트(56a)에 의해 건물측의 상부 프레임(41)에 고정되어 있고, 제6도에서와 같은 고정자 하부지지구조(58)은 볼 조인트(58a)에 의해서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게 하고 코일 스프링(58b)을 턴 버클(turn buckle)(58c)에 연결하며, 다른 한측을 승강고 하부 지지부(B)에 고정하여 고정자(55)에 장력을 부가함과 아울러 코일 스프링(58b)에 의해 고정자(55)에 작용하는 진동을 흡수하도록 되어 있다. 제5도에서 58e는 아이 볼트를 보인 것이다.In the stator support structure as shown in FIG. 5 and FIG. 6,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56 as in FIG. 5 is fixed to the upper frame 41 on the building side by the ball joint 56a. 6,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58 as shown in FIG. 6 enables rotation to some extent by the ball joint 58a and connects the coil spring 58b to the turn buckle 58c. Is fixed to the lower elevation support B to add tension to the stator 55 and to absorb vibrations acting on the stator 55 by the coil spring 58b. In FIG. 5, 58e shows an eye bolt.

그러나, 종래의 고정자 지지구조는 고정자(55) 상부가 건물측의 상부 프레임(41)에 고정되고 하부가 지지부재인 볼 조인트(58a), 턴 버클(58c), 코일 스프링(58b)을 거쳐 승강로 하부의 지지부(B)와 고정되어 장력이 부가되고 있으므로 정확하게 고정자(55)가 중력선상과 일치되지 않을 때는 항상 고정자(55)에 연하여 운행되는 가동자(51)에 조립된 각각의 에어 갭 조정 롤러(52)에 서로 다른 부하가 가해짐에 따라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편마모를 유발시키고 이로 인한 에어 갭이 변동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stator support structure, the hoistway through the ball joint 58a, the turn buckle 58c, and the coil spring 58b in which the upper part of the stator 55 is fixed to the upper frame 41 on the building side and the lower part is a supporting member. Since the tension is add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upport part B, the air gap is assembled to the mover 51 which is connected to the stator 55 at all times when the stator 55 does not exactly match the gravity line. As a different load is applied to the roller 52,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uneven wear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and acts as a cause of fluctuation of the air gap.

그리고, 제7도에서와 같이 가동자(51)의 운행으로 인한 고정자(55)와의 저항발생으로 인한 과열을 냉각하기 위한 냉각 장치로서 주행중에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을 냉각매체로 하여 가동자(41) 외측면에 냉각핀(54a)을 설치함으로써 가동자(51)에서 발생하는 열을 냉각매체로 전달하는 냉각장치가 채용되고 있으나, 엘리베이터 승강로는 어느 정도 밀폐된 공간이므로 주행중에 발생하는 열을 어느 정도 주행풍에 의해서 냉각가능하지만 밀폐된 통로상의 온도를 상승시키미로 이로 인한 냉각 효과의 저감 및 카(60) 내부의 온도 상승에도 영향을 미쳐 하철기시 승객에 불쾌감을 주게 될 우려가 있다.Then, as shown in FIG. 7, as a cooling device for cooling overheating caused by the resistance of the stator 55 due to the movement of the mover 51, the mover 41 uses the flow of air generated while driving as a cooling medium. The cooling device for transferring the heat generated by the mover 51 to the cooling medium by employing the cooling fins 54a on the outer surface is adopted. Although it is possible to cool by the running wind, the temperature on the closed passage is increased, thereby reducing the cooling effect and increasing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r 60, thereby causing discomfort to the passengers during unloading.

제8도와 같이 고정자(55)의 구성도 순철로된 중공부재(55a)에 알루미늄(55b)를 피복해 놓았으나 이는 가동자(51)와 고정자(55)와의 1차측 도체와 2차측 도체인 중공부재(55a)와의 틈새인 에어 갭량을 피복된 알루미늄의 두께만큼 증가시키는 결과로 작용하여 리니어 인덕션 모터의 효율을 감소시키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configuration of the stator 55 is covered with aluminum 55b on the hollow member 55a made of pure iron, but this is a hollow as a primary conductor and a secondary conductor of the mover 51 and the stator 55. As a result of increasing the air gap amount, which is a gap with the member 55a, by the thickness of the coated aluminum, the efficiency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is reduced.

제9도와 같이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57)는 고정자(55)와 가동자(51) 사이의 간격인 에어 갭의 이상을 검출하는 갭 센서로서, 접촉도체(57a)의 일단부를 중공의 케이싱(57b)에 고정 볼트(57c)로 고정하고, 다른 단을 구부려 꺽어 고정자(55)에 대한 접점을 구성하며, 조정을 위한 조임 볼트(57g)을 이용하여 고정자(55)와 가동자(51) 사이의 허용 에어 갭을 설정하고 있다. 또 고정 볼트(57c) 및 고정자(55)는 케이블(57e),(57f)에 의해 각각 DC 전원에 접촉되어 있다.As shown in FIG. 9,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57 is a gap sensor that detects an abnormality of the air gap, which is a gap between the stator 55 and the mover 51, and the one end of the contact conductor 57a has a hollow casing ( 57b), the fixing bolt 57c is fixed and the other end is bent to form a contact point for the stator 55, and between the stator 55 and the mover 51 by using a fastening bolt 57g for adjustment. Allowable air gap is set. The fixing bolt 57c and the stator 55 are in contact with the DC power supply by the cables 57e and 57f, respectively.

이러한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57)는 에어 갭 조정 롤러(52)의 마모 등에 의해 고정자(55)와 가동자(51)사이에 허용 에어 갭 이상의 변동이 생기면 리니어 인덕션 모터 상하부에 각각 설치된 접촉도체가 가이드(51)의 표면에 접촉하여 경고 램프를 울리게 하고 기동을 중지시키게 된다.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57 is provided with contact conductor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when the air gap fluctuation roller 52 has a change in allowable air gap or more between the stator 55 and the mover 51 due to abrasion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52.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guide 51 causes the warning lamp to sound and stops starting.

그러나, 상기한 바와같은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57)는 운전 중 고정자(55) 및 가동자(51)가 고열 발생으로 인하여 각각의 부피 팽창을 가지므로 이와 가깝게 접속된 에어 갭 변동 검출 장치(57)의 접촉도체(57a) 역시 부피 팽창 및 길이 팽창을 갖게 되어 실질적인 현상의 에어 갭 보다 적은 변동에서도 접촉도체(57a)와 고정자(55)와의 접촉이 일어나는 경우가 발생하는 우려가 있다.However,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57 as described above has an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57 connected close thereto because the stator 55 and the mover 51 have respective volume expansions due to high heat generation during operation. ), The contact conductor 57a also has a volume expansion and a length expansion, so that contact between the contact conductor 57a and the stator 55 may occur even with less variation than the air gap of the actual phenomenon.

그리고, 제10도와, 같은 가동자 방진장치(53)는 1차 도체의 시동시 또는 정지시에 급속한 가속도 변동의 발생을 방지하여 카(60)의 진동을 순화하는 방진장치로 1차 도체인 가동자(51)의 상,하단부에 방진고무(53a)를 설치하고, 이것을 상,하부에 플레이트(536)를 대고 지지부재와 볼트(53c)로 체결하여 시동, 정지시에 가속도 변동으로 기인하는 진동을 저감시키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10, the mover vibration isolator 53 is a vibration isolator that prevents the occurrence of rapid acceleration fluctuations at the start or stop of the primary conductor and is a vibration isolator that purifies the vibration of the car 60. An anti-vibration rubber 53a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ruler 51, and the plate 536 is attached to the upper and lower ends thereof, and the vibration is caused by the acceleration change when starting and stopping by fasten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bolt 53c. To reduce the

그러나, 정지시에는 항상 가동자(51)의 중력만이 작용하므로 가동자(51)의 하부 방진고무(53a)에만 압축력이 작용하게 되고, 장시간 경과에 따라 하부 방진고무(53a)의 탄성 회복력이 감소되며, 상부 방진고무(53a)는 오히려 인장력이 작용하여 지지부재와 가동자(51)가 실질적으로 분리 결합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다.However, since the gravity of the mover 51 always acts at the time of stop, the compressive force acts only on the lower dustproof rubber 53a of the mover 51, and the elastic recovery force of the lower dustproof rubber 53a with the passage of time is increased. The upper anti-vibration rubber 53a is rather reduced, resulting in a tensile force acting on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er 51 to be substantially separated and coupled.

이는 초기 상태의 지지부재와 가동자(51)를 조립할 때 상부 방진고무(53a)에 대하여 압축력을 가할 수 없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This is because the compression force is not applied to the upper dustproof rubber 53a when assembling the support member and the mover 51 in the initial state.

이로 인하여 가동자(51)가 가,감속시 부드러운 진동의 흡수가 되지 못하고 급격하게 힘의 변동에 대하여 대처하는 형태가 되므로 오히려 이로 인한 반발력이 크게 되어 진동을 생성하는 결과로 나타나게 될 우려가 있다.Because of this, the mover 51 does not absorb the soft vibration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and thus forms a form to cope with the fluctuation of the force suddenly, resulting in a large repulsive force resulting in the generation of vibration.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감안하여 창안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onceived in view of the elevator using the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 as described above.

이러한 본 발명은 브레이크의 보수성의 어려움과 에어 갭 조정장치의 에어 갭 변동에 따른 조정작업의 불편함과, 고정자 지지구조의 정확한 중력선상의 설치가 어려움 점을 해소하고, 가동자 및 고정자의 운행으로 발생하는 과열로 인한 승강로상의 온도 상승으로 공내의 냉각 효과 저감과, 고정자와 가동자 사이의 에어 갭량이 알루미늄 두께에 따른 증가로 추력이 감소되는 점과,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의 접촉도체가 열 팽창에 의해 변동이 적은 경우에도 접촉이 일어날 수 있는 경우 및 방진구조의 상부 방진고무의 실질적인 방진 효과가 불합리한 점을 해소한 새로운 리니어 인덕션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difficulty of repairability of the brake and the inconvenience of adjustment work according to the air gap variation of the air gap adjusting device, and the difficulty of the installation of the stator support structure on the gravity line, and the operation of the mover and the stator. Increasing the temperature on the hoistway caused by overheating reduces the cooling effect in the ball and reduces the thrust due to the increase in the amount of air gap between the stator and the mover according to the aluminum thickness, and the contact conductor of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or is thermally expanded. This provides an elevator using a new linear induction motor that solves the case where contact can occur even when there is little variation, and the fact that the upper part of the upper dustproof rubber of the dustproof structure is unreasonable.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인 브레이크 로크시 유지 부수성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하부에서 손쉽게 브레이크의 로크 상태를 풀어 주고, 수동 감아 올림이 가능한 구조로 제동 시스템을 구성하며, 롤러의 마모로 인한 엘리베이터의 변동을 쉽게 조정 가능하고 동시에 가동자 부착된 에어 갭 조정 롤러가 고정자 원주상을 균일한 량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를 제공하고, 롤러에 작용하는 변동된 스프링력을 재조정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고정자 지지구조에 있어 정확한 중력선상으로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하부 지지구조에 고정자의 자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중력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를 마련하고, 운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과열로 승강로 상의 온도 상승이 공냉의 효과를 저감시키는 점을 개선하여 가동자의 외주면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흐르게 함과 아울러 고정자의 중공축 내부로 승강로의 과열 공기를 효과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며, 에어 갭량이 알루미늄 피복량으로 인해 증가되는 결과로 추력의 저감을 발생시키는 점을 개선하여 고정자를 링 타입으로 하여 알루미늄 피복량에 해당하는 에어 갭량의 감소를 얻음으로써 추력의 향상을 도모했으며,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의 접촉도체의 길이 및 부피 팽창으로 인해 실제 변동량이 적은 경우에도 접촉이 일어나 엘리베이터가 급제동하는 불합리한 점을 개선함과 아울러, 방진구조의 상부 방지고무가 시간 경과에 따라 방지 효과가 적어지고 가감속시 부드러운 진동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은 점을 개선하여 하부 방진고무와 같이 하상 압축력을 받고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가감속 및 정속시에도 부드러운 방진 효과를 가질 수 있도록 하였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 of the problem of the maintenance of the brake lock of the prior art, to easily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brake at the bottom, and to configure the braking system with a structure that can be manually wound up, and the wear of the elevator Easily adjustable fluctuations and at the same time mover-attached air gap adjusting rollers provide a device capable of moving the stator circumference in a uniform amount, and it is possible to readjust the fluctuating spring force acting on the rollers. In order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n the gravitational line, the lower supporting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device that can move freely on the gravitational line by the gravity of the stator itself, and the increase of the temperature on the hoistway due to the overheating caused by driving reduces the effect of air cooling. To improve air flow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er In addition, it provides a structure that effectively extracts the overheated air of the hoistway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stator, and improves the reduction of thrust as a result of the increase in air gap due to the aluminum coating. As a type, the reduction of the air gap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luminum coating amount was achieved, and the thrust was improved, and even if the actual variation was small due to the length and volume expansion of the contact conductor of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on device, the elevator suddenly braked. In addition to improving the unreasonable point, the upper anti-rubber of the anti-vibration structure has less prevention effect over time, and the soft vibration is not absorbed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It can have a soft dustproof effect even during acceleration / deceleration and constant speed. It was made.

이하 이와같은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 제11도 내지 제19도에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11 to 19 of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도면에 도시된 부품에 대해 설명하면, 1은 상부 프레임, 2는 행거 프레임, 3은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레일, 4는 카 가이드 레일, 5는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 6은 풀리, 7은 로프, 8은 카운트 웨이트 롤러, 9는 카가이드 롤러, 10은 카운트 웨이트, 11은 가동자, 12는 에어 갭 조정장치, 13은 가동자 방진장치, 14는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 15는 고정자, 16은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 18은 고정자 하부 지지구조를 각각 보인 것이다.Referring first to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1 is an upper frame, 2 is a hanger frame, 3 is a count weight guide rail, 4 is a car guide rail, 5 is a count weight frame, 6 is a pulley, 7 is a rope, 8 is Count weight roller, 9 is car guide roller, 10 is count weight, 11 is mover, 12 is air gap adjuster, 13 is mover dustproof device, 14 is air gap fluctuation detector, 15 is stator, 16 is stator top The support structure 18 shows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respectively.

이하,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살펴 보면,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가동자(11)가 접속되고, 가동자(11)의 상,하부에는 에어 갭 조정장치(12), 에어 갭 변동검출장치(14) 및 가동자 방진장치(13)가 설치되고, 이 가동자(11)를 관통하는 고정자(15)가 상부 프레임(1)에 제13도의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16)와 제16도의 냉각장치(19)를 중계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고정자(15)의 하부는 제14도의 고정자 하부 지지구조(18) 및 제16도의 냉각장치(19)의 흡입구(19a)를 중계로 하부 지지부(B)에 설치되어 있다.Hereinafter, referr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Figure 11, the mover 11 is connected to the count weight frame 5, the upper and lower parts of the mover 11, The gap adjusting device 12, the air gap fluctuation detecting device 14, and the mover dustproof device 13 are provided, and the stator 15 penetrating the mover 11 is attached to the upper frame 1 in FIG.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16 and the cooling device 19 of FIG. 16 are relayed, and the lower part of the stator 15 of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18 of FIG. 14 and the cooling device 19 of FIG. The suction port 19a is provided in the lower support portion B by the relay.

상기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상,하 양단에는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롤러(8)가 설치되어 있고, 하부에는 양측에 카운트 웨이트(10)가 적재되어 있으며, 하부 지지부(B)에는 카운트 웨이트 버퍼(22)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상단은 심볼 로드(27)에 의해 로프(7)가 결합되어 있고, 이 로프(7)는 상부의 행거 프레임(2)에 설치된 풀리(6)를 거쳐 하부 피트(pit)에 설치된 브레이크(25)와 일체로 구동되는 시이브(sheave)(26)를 거쳐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내부를 관통한 후 다시 풀리(6)를 감아 카(24)측 상단에 풀리(6)를 중계해서 카(24) 상부의 심블 로드(28)와 연결되어 있다.Count weight guide rollers 8 are provided at upper and lower ends of the count weight frame 5, count weights 10 are mounted at both sides of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count weight buffers 22 are provided at the lower support part B. ) Is installed. The upper end of the count weight frame 5 is coupled with a rope 7 by a symbol rod 27, which is connected to a lower pit via a pulley 6 provided in the upper hanger frame 2. After passing through the inside of the count weight frame (5) through a sheave (26) driven integrally with the brake (25) installed in the), the pulley (6) is wound again to pulley ( 6) is relayed and connected to the thimble rod 28 in the upper part of the car 24.

또, 카(24)의 상,하 양측은 카 가이드 롤러(9)가 설치되고 하부 지지부(B)에는 카 버퍼(23)이 설치되어 있다.Moreover, the car guide roller 9 is provided i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ar 24, and the car buffer 23 is provided in the lower support part B. As shown in FIG.

또한,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의 시이브(26) 축단에는 엔코더(25b)가 설치되어 있다.An encoder 25b is provided at the shaft end of the sieve 26 of the count weight frame 5.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n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본 발명에 의한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가동자(11)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이 원통상 가동자(11)는 1차측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동자(11) 양측에 카운트 웨이트(10)가 배치되고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부착되어 전체로서 카(24)에 대한 카운트 웨이트(10),(5),(11)로 구성되어 있다.In 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1, the mover 11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ylindrical mover 11 is configured as a primary side. The count weight 10 is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ruler 11 and attached to the count weight frame 5, and is composed of count weights 10, 5, and 11 with respect to the car 24 as a whole.

상기 카(24) 및 카운트 웨이트(10),(5),(11)는 상부에 설치한 풀리(6)와 하부에 설치된 브레이크(25)에 조합된 시이브(26)를 따라서 로프(7)에 의해서 연결된다.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are ropes 7 along the sheaves 26 which are combined with the pulley 6 installed at the top and the brake 25 installed at the bottom. Connected by

또, 2차측으로 구성된 고정자(15)는 가동자(11)와의 소정의 에어 갭을 가진 상태로서 서로 향하게 하여 구동전원에 접속된 1차측 도체로의 전원 공급에 의해 유도자계를 발생하는 2차측 도체를 구성함으로써 가동차(11)를 고정자(15)의 주행축선을 따라 주행시키는 엘리베이터 장치로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stator 15 configured as the secondary side has a predetermined air gap with the mover 11 and faces each other to generate a secondary side conductor which generates an induction magnetic field by supplying power to the primary conductor connected to the driving power source. In this configuration, the movable vehicle 11 is an elevator device for traveling along the travel axis of the stator 15.

또한, 제11도에서 승강로 상부의 기계실을 없애고 카(24) 및 카운트 웨이트(10),(5),(11)를 배치한 리니어 인덕션 모터 엘리베이터의 승강로 면적을 최소화하면서 하부 브레이크 장치를 배치하기 위하여 카(24)에서 연결된 로프(7)를 카(24)측 상부의 풀리(6)와 카운트 웨이트(10),(5),(11)측 상부 풀리(6)를 거쳐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를 관통하여 하부에 설치된 브레이크(25)에 일체로 결합된 시이브(26)를 거쳐 다시 카운트 웨이트(10),(5),(11)측 풀리(6)를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 고정한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런 구조로 함으로써 하부 브레이크(25)를 쓰기 위하여 상부에 설치되어야 하는 풀리(6)의 갯수를 줄일 수 있고, 풀리(6)의 외경 치수만큼의 승강로 폭을 줄일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식 엘리베이터와 같은 승가로 폭을 동일하게 가질 수 있으며, 하부의 브레이크(25)를 사용함으로써 기존의 레일 브레이크 제동시 브레이크에 미치는 부하 및 마모와 오동작이 쉬운 점을 해소하고, 특히 최하층을 제외한 층에서 오동작을 하여 로크한 경우의 보수성을 간단히 해소하였다. 또한 제19도와 같이 브레이크 장치는 샤프트(25a)에 시이브(26) 및 브레이크 드럼(25c)을 동시에 체결하고, 시이브(26) 및 드럼(25c)의 일체 구성도 가능하다. 샤프트(25a)의 일측에는 엔코더(25b)가 설치되며, 타측에는 키(key)를 조립할 수 있는 구조를 하고 있다. 브레이크(25)가 하방으로 설치됨에 따라 시이브(26)에 감기는 로프(7)의 감김각(wrap angle)이 180도가 되고, 이에 따라 제동시 발생하는 관성력에 의한 로프(7)의 밀림에 의한 오버 런(over run)을 극소화하는 이점과 함께 비상 정지로 인한 로크시 하층에서 손쉽게 유지, 보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리니어 인덕션 모터에서 보유할 수 없었던 수동감아올림에 대한 장치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즉, 샤프트(25a)의 타측에 설치된 키를 이용하여 수동감아올림이 필요한 경우 감속기(25d)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손쉽게 감아 올릴 수 있게 되었다.In addition, in FIG. 11, the lower brake device is disposed while eliminating the machine room above the hoistway and minimizing the hoistway area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elevator in which 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are disposed. The rope 7 connected from the car 24 is passed through the pulley 6 on the upper side of the car 24 and the count weights 10, 5, and 11 on the upper side pulley 6, and then the count weight frame 5. Through the sieve 26 integrally coupled to the brake 25 installed in the lower part through the through and fixed to the count weight frame 5, the pulley 6 on the count weight 10, 5, and 11 side is fixed again. In this structure, the number of pulleys 6 to be installed on the upper part in order to use the lower brake 25 can be reduced, and the structure to reduce the width of the hoistway by the outer diameter of the pulley 6 is provided. Have the same width as the same way as the existing linear induction motor type elevator. In addition, the use of the lower brake 25 eliminates the load, wear, and malfunction of the brake when braking the existing rail brake, and in particular, the water retention function in the case of malfunction due to the locking of the floor except for the lowest floor is easily solved. . Further, as shown in FIG. 19, the brake device simultaneously fastens the sieve 26 and the brake drum 25c to the shaft 25a, and the sieve 26 and the drum 25c may be integrally configured. An encoder 25b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haft 25a,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a key can be assembled at the other side. As the brake 25 is installed downward, the wrap angle of the rope 7 wound on the sieve 26 becomes 180 degrees, and thus the rope 7 is pushed by the inertial force generated during braking. In addition to minimizing the overrun due to the above, there is an advantage that it can be easily maintained and repaired in the lower layer when locked due to the emergency stop. It is also possible to use a device for manual reeling that was not available with conventional linear induction motors. That is, when manual winding is required by using the key installed on the other side of the shaft 25a, it is possible to easily wind it up manually using the reducer 25d.

이 감속기(25d)는 핸들(25e)에 의해 회전되는 웜(25f)과 웜(25f)에 맞물리는 웜기어(25g)로 구성할 수도 있고, 이외에도 헬리컬 기어, 베벌기어, 스퍼기어 등을 이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The reducer 25d may be constituted by a worm 25f rotated by the handle 25e and a worm gear 25g engaged with the worm 25f. In addition, the reducer 25d may be configured using a helical gear, a bevel gear, a spur gear, or the like. You may.

상기 고정자(15)는 제12도와 같이, 가동자(11)의 중심을 관통하고 있으며, 가동자(11)의 1차측 도체인 가동자 철심(11c)과 고정자(15)의 사이에는 일정한 에어 갭이 원주상에 형성되어 있다.The stator 15 penetrates the center of the mover 11 as shown in FIG. 12, and has a constant air gap between the mover iron core 11c, which is the primary conductor of the mover 11, and the stator 15. As shown in FIG. It is formed on the circumference.

제12도에 도시한 에어 갭 조정장치는 가동자(11) 상부에 수개(3 내지 4개)의 에어 갭 조정 롤러(12b)를 고정부재(12d)에 핀(12j)에 의하여 조합 구동하게 하고 고정부재(12d)의 하부를 가동자(11) 상부에 고정된 지지 플레이트(121) 핀(12g)에 의해서 조합 구동하게 하였다. 또한 고정부재(12d)의 전면에 에어 갭 조정 롤러(12b)의 축인 핀(12j)에 수직으로 핀(12h)를 롤러(12c)와 조합하여 서로 축방향이 다르게 롤러를 구성하였다.The air gap adjusting device shown in FIG. 12 causes several (3 to 4) air gap adjusting rollers 12b to be combined with the fixing member 12d by the pins 12j on the mover 11. The lower part of the fixing member 12d was combined-driven by the support plate 121 pin 12g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er 11. Further, the rollers were configured differently in the axial direction from each other by combining the pin 12h with the roller 12c perpendicular to the pin 12j, which is the axis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12b, on the front surface of the fixing member 12d.

상기 고정부재의 에어 갭 조정 롤러(12b)는 가동자(11)와 나사로 조합된 에어 갭 조정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a)에 접해 있고, 이 링형 조정부재(12a)의 조정(잠김 혹은 열림)에 의하여 이 링형 조정부재(12a)에 접해 있는 전면 롤러(12c)가 회전하고 링형 조정부재(12a)의 테이퍼(taper)면의 이동에 따라 전면 롤러(12c)가 동시에 동일량만큼, 하향 혹은 상향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다.The air gap adjusting roller 12b of the fixing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adjusting member 12a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of the air gap adjusting taper which is combined with the mover 11 and the screw, and the ring-shaped adjusting member 12a is adjusted (locked or The front roller 12c,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is rotated and the tapered surface of 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moves so that the front roller 12c is simultaneously lowered by the same amount. Or it is structured to be upward.

또한, 고정자(15)의 외주면에 접해 있는 롤러(12b)는 항상 스프링(12e)에 의해 압축력을 받고 있는 구조이며, 롤러(12b)의 마모로 인한 스프링압의 변동시는 스프링압 조정볼트(12f)에 의하여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In addition, the roller 12b, which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stator 15, has a structure that is always subjected to a compressive force by the spring 12e, and the spring pressure adjusting bolt 12f when the spring pressure is changed due to the wear of the roller 12b. Can be adjusted by

또한,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a)의 조정후 풀림 방지를 위하여 가동가(11) 상부에 브래키트(12i)를 설치하고 링형 조정부재(12a) 외주면에 다수 가공된 고정공(12k)과 고정볼트(12j)를 끼움으로써 고정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order to prevent loosening after adjustment of 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a bracket 12i is installed on the movable member 11 and fixed to the fixed hole 12k which is proces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It is structured to fix by inserting the bolt 12j.

이러한 에어 갭 조정장치는 링형 조정부재(12a)의 조정으로 동시에 원주상의 롤러(12b)를 변위량만큼 조정가능하고, 스프링압의 변동을 조정하는 구조로 하여 조립, 설치 및 보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The air gap adjusting device has the advantage of being easy to assemble, install and repair by adjusting the ring-shaped adjusting member 12a and simultaneously adjusting the circumferential roller 12b by the displacement amount and adjusting the fluctuation of the spring pressure. have.

그리고,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는 지지 플레이트(121)에 각 고정부재(12d)의 하단 돌출부(12m)의 변위를 검출하는 마이크로 스위치(30)를 각각 결합하여 소정의 에어 갭 변동이 있을 때 마이크로 스위치(30)가 작동하여 카(24)를 비상 정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In addition, the air gap variation detecting device couples the micro switch 30 to detect the displacement of the lower protrusion 12m of each fixing member 12d to the support plate 121, respectively, and the micro switch when there is a predetermined air gap variation. 30 is configured to operate to emergency stop the car 24.

제13도를 참조하면, 고정자(15)의 고정자 상부 지지구조(16)는 고정자(15)의 상단에 플레이트(15a)에 링(15c)을 핀(15b)에 의하여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였고, 상부 프레임(1)에 너트(15f)에 의하여 체결된 고리(15d)와 체결하게 하였다. 또한 진동 및 경세에 따른 이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고리(15d)의 양단을 가이드(15e)로 체결하였다.Referring to FIG. 13, the stator upper support structure 16 of the stator 15 is rotatable by coupling the ring 15c to the plate 15a on the top of the stator 15 by the pin 15b, The upper frame 1 was fastened to the ring 15d fastened by the nut 15f. In addition, both ends of the ring 15d are fastened with guides 15e in order to prevent the vibration and the detachment due to the light.

제14도를 참조하면, 고정자 하부 지지구조(18)는 고정 플레이트(18a)에 핀(18b)에 의하여 스프링 로드(18c)와 결합하여 회전 가능하게 하였고, 스프링 로드(18c)에 조립된 스프링(18f)과 함께 케이스(18d)의 내부에서 압축에 대한 인장력을 받도록 하였다. 또한, 케이스(18d)의 하부는 나사 가공되어 볼 링크(18g)와 결합되고, 볼 링크(18g)에 가공된 너트를 회전시켜 스프링(18f)의 압축력을 조정하여 고정자(15)에 걸리는 장력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상기 볼 링크(18g)는 좌우로 회전이 가능한 구조이다.Referring to FIG. 14, the stator lower support structure 18 is rotatably coupled with the spring rod 18c by the pin 18b to the fixing plate 18a, and the spring assembled to the spring rod 18c ( 18f) was subjected to a tensile force against compression in the case 18d. 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case 18d is screwed to engage with the ball link 18g, and rotates the nut machined in the ball link 18g to adjust the compression force of the spring 18f to reduce the tension applied to the stator 15. Adjustment was made. The ball link 18g has a structure capable of rotating from side to side.

상기 볼 링크(18g)의 일단부는 링크(18h)와 결합하고, 링크(18h)의 하단은 핀(18i)에 의하여 베어링(혹은 롤러)(18j)와 결합되어 있다. 이 롤러(18j)는 박스(18k) 내부의 상면에 가공된 장공의 가이드 레일(18k')을 따라서 구동하게 되어 있다. 또, 박스(18k)의 하부에는 트러스트 베어링(118)이 조립되어 있으며, 트러스트 베어링(181)의 상부는 샤프트(18m)에 의하여 조립하고 이 샤프트(18m)는 하부 플로어에 설치된 고정부재(18o)에 볼트(18n)에 의해서 체결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One end of the ball link 18g is engaged with the link 18h, and the lower end of the link 18h is engaged with the bearing (or roller) 18j by the pin 18i. This roller 18j drives along the guide rail 18k 'of the long hole processed in the upper surface inside the box 18k. Further, a thrust bearing 118 is assemb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ox 18k, and an upper part of the thrust bearing 181 is assembled by a shaft 18m, and the shaft 18m is fixed to the lower floor 18o. The structure is fastened by the bolt 18n.

종래에는 고정자(15)의 지지가 정확하게 중력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기가 어렵고 이로 인해 야기되는 에어 갭 조정 롤러의 편마모로 인한 에어 갭의 변동의 문제점이 있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지지구조는 이러한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Conventionally, it is difficult to install the support of the stator 15 to be accurately positioned on the gravitational line, and there is a problem of fluctuation of the air gap due to uneven wear of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caused by this, but the support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is problem. It can be basically solved.

상기 카운트 웨이트 가이드 레일(3)의 수직 오차 및 수평 오차가 결정되는 가동자(11)와 고정자(15)의 수직 오차에 따라 고정자(15)를 주행 축선으로 하여 가동하는 가동자(11)에 부착된 에어 갭 조정 롤러(12b)는 항상 오차의 변위만큼 편하중을 받게 되어 있다.It is attached to the mover 11 which moves with the stator 15 as a traveling axis according to the vertical error of the mover 11 and the stator 15 in which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rrors of the count weight guide rail 3 are determined.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12b thus obtained is always subjected to the uneven load by the displacement of the error.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오차에 대응하여 고정자(15)가 전후,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부하를 해소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됨으로써 에어 갭 조정 롤러(12b)에 미치는 편하중을 최소화하고 스프링(18f)의 압축에 의하여 충분하게 진동 및 경세를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자(15)의 회전 방향 오차는 트러스트 베어링(181)에 의하여 원통 박스(18k)가 회전 가능하게 되었고, 수직선상의 오차는 롤러(18j)에 의하여 박스(18k)의 내부 상면의 장공 가이드 레일(18k')을 따라 이동되면서 보상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stator 15 is movable in the direction of releasing the load in any of the front, rear,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response to such an error, thereby minimizing the unloading load on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12b and compressing the spring 18f. By virtue of being able to sufficiently absorb vibration and light, the error in the rotational direction of the stator 15 is such that the cylindrical box 18k is rotatable by the thrust bearing 181, and the error on the vertical line is applied to the roller 18j. Is compensated for while moving along the long guide rail 18k 'of the inner top surface of the box 18k.

제16도를 (a)를 참조하면 종래의 고정자(15)는 가동자(11)의 1차 도체인 철심(11c)과 고정자(15)의 알루미늄(Al) 또는 구리(Cu)재 피복부(15')를 제외한 철(Fe)재 내통체(15)까지의 공극인 기계적인 에어 갭을 가지게 되어 에어 갭량에 따른 직접적인 추력이 결저적인 원통형 리니어 인덕션 모터에서는 효율적인지 못한 구조였으나, 본 발명은 제16도 (b)와 같이, 고정자(15)에 소정의 홈(15g)을 가공하고, 여기에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피복함으로써 1차 도체인 철심(11c)과 철재 고정자(15)까지의 기계적인 공극을 2차 도체인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피복량만큼 저하시키는 결과를 얻음으로써 리니어 인덕션 모터의 추력을 한층 증가시켜 리니어 인덕션 모터의 효율을 극대화하였다.Referring to FIG. 16 (a), the conventional stator 15 includes an iron core 11c, which is the primary conductor of the movable element 11, and an aluminum (Al) or copper (Cu) material covering portion of the stator 15 ( Although it has a mechanical air gap that is a void to the iron (Fe) inner cylinder 15 excluding 15 '), the structure is inefficient in a cylindrical linear induction motor in which direct thrust according to the amount of air gap is absent. As shown in Fig. 16 (b), by processing a predetermined groove 15g in the stator 15 and coating aluminum or copper thereon, the mechanical voids up to the iron core 11c and the steel stator 15, which are primary conductors, are processed. As a result of lowering the amount by the coating amount of aluminum or copper as the secondary conductor, the thrust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was further increased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the linear induction motor.

특히,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는 제15도와 같이, 고정자(15)의 중공부재의 내면을 에어 통로로 사용한 구조로서 고정자(15)의 하부에 공기를 흡수할 수 있는 흡입구(19a)를 설치하고, 상부에는 이를 배출하는 배출구(19b)를 설치하며, 여기에 파이프(19c)를 중계해서 건물 상부(옥상)에 설치된 팬(20)에 의해서 강제 배출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particular, the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member of the stator 15 is used as an air passage as shown in FIG. 15, and has an inlet 19a for absorbing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stator 15. The upper part is provided with a discharge port 19b for discharging it, and the pipe 19c is relayed to the structure by which the fan 2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roof) is forcibly discharg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냉각장치는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가 가동자(11)의 외주면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어 가동자(11)의 내부와 고정자(15)를 동시에 냉각시킬 수 있는 구조로서,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복수개의 장형통공(11b)이 형성되고, 공기 안내판(29)이 외측에 부착되어 공기가 외부에서 내부로 흐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In addition, in the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7, air is introduced from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over 11 to cool the inside of the mover 11 and the stator 15 simultaneously. As a structure, a plurality of long cylindrical holes 11b are formed in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able element 11, and the air guide plate 29 is attached to the outside to allow air to flow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상기 가동자(11)는 원통체(11a)의 내측에 철심(11c)과 코일(11d)이 결합된 구성이고, 상기 공기 안내판(29)에는 다수개의 안내편(29a)이 내측의 공기 통공(29b)과 함께 공기 안내판(29) 자체를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가동자(11)의 중간부를 기준하여 상측부의 안내편(29a)은 상측은 향하여 개구되어, 하측부의 안내편(29a)는 하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구성됨으로써 가동자(11)가 상,하측으로 이동할 때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1차측 도체 및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의 방출량이 증대되도록 되어 있다.The mover 1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iron core 11c and the coil 11d are coupled to the inside of the cylindrical body 11a, and the air guide plate 29 has a plurality of guide pieces 29a therein. 29b)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the air guide plate 29 itself, and the guide piece 29a of the upper part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with respect to the middle part of the movable element 11, and the guide piece of the lower part ( 29a) is configured to open downward, so that the amount of heat generated in the primary conductor and the coil is increased smoothly when the mover 11 moves up and down.

이러한 본 발명의 냉각장치는 종래 냉각핀에 의한 가동자(11)의 외부 냉각 효과보다 가동자(11)에 형성한 공기 안내판(29)에 의하여 공기를 외부에서 내부로 원활하게 흐르게 하고, 근원적인 열발생부인 고정자(15)에서의 열발생을 강제적인 공기 흐름에 의해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승강로 내부의 온도 상승을 막아 가동중의 공기 마찰에 의한 냉각 효과를 증가시키게 된다. 또한, 에어 갭 조정장치의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a)의 형상이 깔대기 모양으로 가동자(11)의 구동시 접촉 공기를 집적하여 엘리베이터 사이로 흐르게 하여 냉각 효과를 일층 향상시키도록 하였다.The cool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air to flow smoothly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by the air guide plate 29 formed on the mover 11 rather than the external cooling effect of the mover 11 by the conventional cooling fins. By discharging the heat generation from the stator 15, which is a heat generating unit, to the outside by a forced air flow, the temperature rise inside the hoistway is prevented, thereby increasing the cooling effect by the air friction during operation. In addition, the shape of the ring-shaped adjusting member 12a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of the air gap adjusting device is a funnel shape, in which contact air is accumulated during driving of the movable element 11 and flows between elevators to further improve the cooling effect.

제11도와 같이,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여러 개소의 통공(11e)만을 가공하여 1차측 도체 및 코일에서 발생하는 열을 방출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조도 효과적이나, 제17도의 구조에 의한 방열 효과가 더 양호하다.As shown in FIG. 11, only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e may be processed in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able element 11 so as to release heat generated from the primary conductor and the coil. The heat radiation effect by the structure of 17 degrees is better.

기존의 방진구조가 가동자(11)에 방진고무를 상하 설치하여 가감속시 진동의 흡수를 모색하였으나, 실질적으로 가동자(11) 자중에 의하여 하방향의 방진고무에만 압축력이 작용하고, 상방향의 방진고무는 오히려 인장을 받게 되며, 가감속시(상방향 감속시) 부드러운 진동의 흡수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급격한 힘의 변동에 대처하는 결과가 되므로 오히려 좋지 못하는 것이었으나, 본 발명에 의한 가동자 방진장치(13)는 제18도와 같이, 방진고무(13d)의 형태를 주간이 빈 중공 형태로 변경하고, 상하 철판(13a)중 상판에 볼트(13b)가 용접된 구조로 해서 방진고무(13d)와 접합되고 하판은 볼트(13b)가 관통될 수 있는 구조로 방진고무(13d)와 접합된 구조로 함으로써 너트(13c)를 볼트(13b)에 체결할 때 방진고무(13d)가 상하, 철판(13a)에 의해 압축되어 방진고무(13d)의 형상이 본래보다 높이가 줄게 되고, 중간이 볼록해지는 형태가 되어 가동자(11)와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Existing anti-vibration structure was installed up and down in the mover 11 to seek the absorption of vibration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but the compressive force acts only on the anti-vibration rubber in the downward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mover 11 The anti-vibration rubber of the rubber is subjected to tension, and th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upward deceleration) is not good because the absorption of the vibration is not achieved and the result is to cope with the sudden change of the force, but it is rather bad, the operator dustproof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aratus 13 changes the shape of the anti-vibration rubber 13d into a hollow hollow shape, and the bolt 13b is welded to the upper plate of the upper and lower iron plates 13a, as shown in FIG. 18, to provide the anti-vibration rubber 13d. And the lower plate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bolt 13b can penetrate, and is joined to the anti-vibration rubber 13d so that when the nut 13c is fastened to the bolt 13b, the anti-vibration rubber 13d is up and down, and the iron plate ( Compressed by 13a) to form dust-proof rubber 13d. Is the original height than ll, is a form of the intermediate it becomes a convex has a structure to be combined with the mover (11).

그리고, 카운트 웨이트 프레임(5)에서의 가동자 체결빔(5a)에 조립한 후 다시 너트(13c)를 풀게 되면 상, 하 2곳의 자동차 체결빔(5a)에는 하측부는 가동자(11)의 자중에 의하여상부의 방진고무(13d)가 압축에 대해서 미는 반발력도 포함힘을 받게 되고, 상부는 압축된 방진고무(13d)가 너트(13c)를 분리함으로써 발생하는 압축에 대한 반발력으로 가동자(11)는 상하 양측 모두 방진고무(13d)에 의한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구조가 되어 가감속시의 부드러운 진동의 흡수뿐 아니라 정속구간에서도 확실한 방진 효과를 얻을 수 있다.Then, when the nut 13c is loosened after being assembled to the mover fastening beam 5a of the count weight frame 5, the upper and lower two car fastening beams 5a have a lower side of the mover 11. The self-weight also receives the repulsion force that the upper anti-vibration rubber 13d pushes against the compression, and the upper part is the repulsive force against the compression generated by the compressed anti-vibration rubber 13d separating the nut 13c. 11) is a structure that can absorb the vibration by the anti-vibration rubber (13d) on both the upper and lower sides, it is possible not only to absorb the soft vibration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but also to obtain a certain dustproof effect in the constant speed sec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은 본 발명은 브레이크 로크시 유지 보수성의 어려움을 해소시키기 위하여 하부에서 손쉽게 브레이크의 로크 상태를 풀어 주고, 수동 감아 올림이 가능한 구조로 제동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브레이크장치의 유지 보수성이 양호할 뿐만 아니라 비상시 승객을 간단용이하게 구출할 수 있어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solve the difficulty of maintenance of brake lock, the present invention is easy to release the lock state of the brake from the lower part, and the brake system has a structure that enables manual winding up. In addition, the passenger can be easily rescued in an emergency, thereby improving reliability.

또, 롤러의 마모로 인한 에어 갭의 변동을 쉽게 조정할 수 있고 동시에 가동자에 부착된 에어 갭 조정 롤러가 고정자 원주상을 균일한 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에어 갭이 정확하게 조정되는 이점이 있으며, 롤러에 작용하는 변동된 스프링력을 간편용이하게 재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air gap fluctuation due to the wear of the roller can be easily adjusted, and at the same time, the air gap adjusting roller attached to the mover can move the stator circumference in a uniform amount, so that the air gap is precisely adjus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pring force acting on the roller can be easily readjusted.

또한, 고정자 지지구조에 있어 하부 지지구조에 고정자의 자체 중력에 의해 자유롭게 중력선상으로 이동 가능한 장치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정확한 중력선상으로의 설치가 용이한 이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tator support structure, the lower support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device capable of moving freely on the gravity line by the gravity of the stator itself, thereby providing an easy installation on the accurate gravity line.

특히, 운행으로 인해 발생되는 과열로 승강로상의 온도 상승이 공냉의 효과를 저감시키는 점을 개선하여 가동자의 외주면으로 공기를 원활하게 흐르게 함과 아울러 고정자의 중공축 내부로 승강로의 과열 공기를 효과적으로 뽑아낼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리니어 모터의 냉각 효과가 매우 우수한 이점이 있다.In particular, the temperature rise on the hoistway caused by the overheating caused by the operation reduces the effect of air cooling, allowing the air to flow smoothly to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mover and effectively extracting the superheated air of the hoistway into the hollow shaft of the stator. Because of this structure, the cooling effect of the linear motor is very excellent.

그리고, 에어 갭량이 알루미늄 피복량으로 인해 증가되는 결과로 추력의 저감을 발생시키는 점을 개선하여 고정자를 링 타입으로 하여 알루미늄 피복량에 해당하는 에어 갭량의 감소를 얻음으로써 추력이 향상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thrust is improved by improving the point that the air gap amount is increased due to the aluminum coating amount, thereby reducing the thrust, thereby obtaining a reduction in the air gap amount corresponding to the aluminum coating amount by using the stator as a ring type. .

더욱이, 에어 갭 변동 검출장치의 접촉도체의 길이 및 부피 팽창으로 인해 실제 변동량이 적은 경우에도 접촉이 일어나 엘리베이터가 급제동하는 불합리한 점을 개선하여 안전 운행을 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safe operation can be achieved by improving the unreasonable occurrence of the sudden braking of the elevator even when the actual variation is small due to the length and volume expansion of the contact conductor of the air gap variation detection device.

뿐만 아니라, 방진구조의 상부 방지고무가 시간 경과에 따라 방지 효과가 적어지고 가감속시 부드러운 진동 흡수가 이루어지지 않는 점을 개선하여 하부 방진고무와 같이 하상 압축력을 받고 있는 구조로 함으로써 가감속 및 정속시에도 부드러운 방진 효과를 가질 수 있게 되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the upper anti-rubber of the anti-vibration structure has less prevention effect over time, and smooth vibration absorption is not achieved during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have a smooth dustproof effect even during.

Claims (11)

고정자(15)와 가동자(11) 사이의 에어 갭을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a)의 조정으로 동시에 원주상의 롤러(12b)를 변위량만큼 조정 가능하고, 스프링압의 변동을 스프링압 조절볼트(12f)로 조정하도록 된 에어 갭 조정수단과, 카(24)의 이송력을 제공하는 리니어 모터의 고정자(15)가 중공관 형태로 형성하고 상,하단부에 배출구(19b)와 흡입구(19a)를 형성하여 팬(20)에 의해 강제 공냉 방식으로 냉각하도록 된 냉각 수단과, 전자력에 의해 자동 조작됨과 아울러 핸들(25e)의 조작에 의해 수동 조작되고 피트의 하부에 설치되는 카 제동용 브레이크(25)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The air gap between the stator 15 and the mover 11 can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displacement of the circumferential roller 12b at the same time by adjusting 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and the variation of the spring pressure is controlled by the spring pressure. The air gap adjusting means adapted to be adjusted by the adjustment bolt 12f, and the stator 15 of the linear motor providing the conveying force of the car 24 are formed in the form of a hollow tube, and the outlet 19b and the inlet ( 19a), a cooling means adapted to cool by the fan 20 in a forced air cooling method, and a car braking brake which is automatically operated by the electromagnetic force and manually op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handle 25e and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pit.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25). 제1항에 있어서, 철재 고정자(15)에 소정의 홈(15g)을 가공하고, 여기에 알루미늄 또는 구리를 피복함으로써 1차 도체인 철심(11c)와 철재 고정자(15)까지의 기계적인 공극을 2차 도체인 알루미늄 또는 구리의 피복량만큼 저하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2. The mechanical voids of the iron core 11c and the steel stator 15, which are the primary conductors, are formed by processing a predetermined groove 15g in the steel stator 15, and coating aluminum or copper thereon. An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ary conductor is configured to be reduced by the coating amount of aluminum or copper.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정자(15)의 중공부재의 내면을 에어통로로 사용한 구조로서 고정자(15)의 하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19a)를 형성하고, 상부에는 이를 배출하는 배출구(19b)를 설치하며, 여기에 파이프(19c)를 중계해서 건물 상부에 설치된 팬(20)에 의해서 강제 배출하는 구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An inner surface of the hollow member of the stator 15 of the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as an air passage, forming an inlet 19a for sucking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stator 15, and an outlet for discharging it in the upper part ( 19b), the motor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be forcibly discharged by the fan (2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by relaying the pipe (19c).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공기가 내외부로 유통되도록 복수개의 공기 유도요소를 형성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And a plurality of air inducing elements formed on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er (11) of the elevator using the linear motor such that air is flowed in and out.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요소가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복수개의 장형 통공(11b)을 형성하고, 공기 안내판(29)을 외측에 부착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5.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induction element is formed by forming a plurality of long through holes 11b in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er 11 and attaching the air guide plate 29 to the outside. Chiller.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판(29)에 다수개의 안내편(29a)과 공기 통로(29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6. The mot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5, wherein a plurality of guide pieces (29a) and air passages (29b) are formed on the air guide plate (2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11)의 중간부를 기준하여 상측부의 안내편(29a)은 상측을 향하여 개구되고, 하측부의 안내편(29a)은 하측을 향하여 개구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7. The motor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piece 29a of the upper part is opened toward the upper side and the guide piece 29a of the lower part is opened toward the lower side with respect to the middle part of the movable element 11. Chiller.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안내판(29)의 안내편(29a)은 공기 안내판(29) 자체를 절결하고 절곡하여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The motor cool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6, wherein the guide piece (29a) of the air guide plate (29) is formed by cutting and bending the air guide plate (29) itself. 제3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자(11)의 상부에 결합되는 에어 갭 조정장치의 테이퍼형 단면의 링형 조정부재(12a)가 깔때기형으로 형성되어 가동자(11)의 구동시 접촉 공기가 에어 갭 사이로 집적되어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The ring-shaped adjustment member 12a of the tapered cross section of the air gap adjusting devic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movable element 11 is formed in a funnel shape, and the movable element 11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3 to 8. Motor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ntact air is configured to flow between the air gap when driv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도요소가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형성된 복수개의 통공(11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5. The motor cool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4, wherein the air inducing element i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1e) formed in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er (11). 리니어 모터를 이용한 엘리베이터의 고정자(15)의 중공부재의 내면을 에어통로로 사용하고 고정자(15)의 하부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구(19a)를 형성함과 아울러 상부에는 이를 배출하는 배출구(19b)를 설치하고, 이에 파이프(19c)를 중계하여 건물 상부에 설치된 팬(20)에 의하여 강제 배출하도록 하며, 가동자(11)의 원통체(11a)에 공기가 내외부로 유통되도록 복수개의 공기 유도요소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냉각장치.Using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member of the stator 15 of the elevator using a linear motor as an air passage and forming an inlet (19a) for sucking air in the lower part of the stator 15, and at the upper outlet ( 19b) is installed, and the pipe 19c is relayed to be forcibly discharged by the fan 20 installed in the upper part of the building, and a plurality of air are allowed to flow in and out of the cylindrical body 11a of the mover 11. Motor cool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formed by forming an induction element.
KR1019930023453A 1993-11-05 1993-11-05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KR97000938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453A KR970009386B1 (en) 1993-11-05 1993-11-05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3453A KR970009386B1 (en) 1993-11-05 1993-11-05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62A KR950013962A (en) 1995-06-15
KR970009386B1 true KR970009386B1 (en) 1997-06-12

Family

ID=19367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3453A KR970009386B1 (en) 1993-11-05 1993-11-05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938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8091B2 (en) 2016-06-13 2018-11-27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linear motor ga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38091B2 (en) 2016-06-13 2018-11-27 Otis Elevator Company Variable linear motor gap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3962A (en) 1995-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4454B1 (en) Elevator machinery and its installation
US6006865A (en) Lift installation with drive unit arranged in the lift shaft
CA2126492C (en) Traction sheave elevator
US5244060A (en) Elevator apparatus
RU2071931C1 (en) Counterweight system
CN102471028B (en) Elevator machine with outer rotor and motor in traction sheave
JP4468823B2 (en) Elevator and elevator manufacturing
JP4530544B2 (en) Elevator equipment
KR101954585B1 (en) Traction and elevator for elevator
US5782319A (en) Elevator car and counterweight safety
EP2810911A1 (en) A drive machine for an elevator and an elevator
US6860367B1 (en) Elevator system having drive motor located below the elevator car
JP5254232B2 (en) Elevator hoist brake with integral bearing and brake surface
KR970009386B1 (en) Elevator and cooling device using linear motor
JP4725521B2 (en) Elevator hoisting machine
EP0372576A1 (en) A support structure for a linear motor drive type of elevator
EP1702877B1 (en) Elevator system
EP1553040A1 (en) Driver of elevator
JP6232205B2 (en) Elevator equipment
JP4901146B2 (en) elevator
US7419033B2 (en)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JP2006507200A (en) Elevator system and its sheave assembly
KR970009387B1 (en) Brake of an elevator using linear motor
WO2023223404A1 (en) Elevator
JP2004521838A (en) Cable lift with shaft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