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8696B1 -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8696B1
KR970008696B1 KR1019940033448A KR19940033448A KR970008696B1 KR 970008696 B1 KR970008696 B1 KR 970008696B1 KR 1019940033448 A KR1019940033448 A KR 1019940033448A KR 19940033448 A KR19940033448 A KR 19940033448A KR 970008696 B1 KR970008696 B1 KR 970008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g
board
weight
curing
gyps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4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2365A (ko
Inventor
이현
한기현
Original Assignee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만제, 포항종합제철주식회사, 신창식,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김만제
Priority to KR10199400334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8696B1/ko
Publication of KR960022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2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8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86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14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 C04B28/16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calcium sulfate cements containing anhydrite, e.g. Keene's ce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8/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 C04B28/02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inorganic binders or the reaction product of an inorganic and an organic binder, e.g. polycarboxylate cements containing hydraulic cements other than calcium sulfates
    • C04B28/04Portland cem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04Silica-rich materials; Silicates
    • C04B14/08Diatomaceous earth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04B14/36Inorganic material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4B14/022 and C04B14/04 - C04B14/34
    • C04B14/365Gypsum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4Waste materials; Refuse from metallurgical processes
    • C04B18/141Slags
    • C04B18/142Steelmaking slags, converter slag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38Fibrous materials; Whiskers
    • C04B14/40Asbesto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8/00Use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as filler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agglomerated or waste materials or refuse,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8/04Waste materials; Refuse
    • C04B18/18Waste materials; Refuse organic
    • C04B18/24Vegetable refuse, e.g. rice husks, maize-ear refuse; Cellulosic materials, e.g. paper, cork
    • C04B18/241Paper, e.g. waste paper; Paper pulp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34Non-shrinking or non-cracking materials
    • C04B2111/343Crack resista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20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 C04B2201/5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haracterised by specific physical values for the mechanical strengt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91Use of waste materials as fillers for mortars or concre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uring Cements, Concrete, And Artificial Ston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제1도 내지 제3도는 본 발명 방법 및 비교방법에 따라 제조된 슬래그 보오드에 대한 곡강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4도는 본 발명 방법과 비교방법에 따라 제조된 슬래그 보오드에 첨가되는 보강용 펄프와 곡강도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5도는 본 발명 방법과 비교방법에 따라 제조된 슬래그 보오드에 첨가되는 석변과 곡강도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6도는 본 발명 방법과 비교방법에 따라 제조된 슬래그 보오드에 첨가되는 스크랩분말과 곡강도 변화와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
본 발명은 친정, 벽면등의 건축용 판재로 사용되는 건축용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조토 첨가로 고강도를 유지하면서 크랙 발생이 적은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로에서 발생되는 슬래그에는 과재슬래그와 수쇄슬래그를 구분되는 데, 괴재슬래그는 용융슬래그를 공기중에서 서냉시킨 슬래그인 반면에, 수쇄슬래그는 용융슬래그를 물로 급냉시켜 만든 것이다. 상기 수쇄슬래그는 온도변화에 물성이 변화되기 쉬운 비정질상으로, 슬래그내에 Si, Al, Ca 이온등이 함유되어 안정된 구조를 이루려는 표면에너지가 큰 물질이며 슬래그 글래스 상에서 유출된 이온들이 수용액을 통해서 새로운 수화물을 형성한다.
이러한 특성을 갖는 고로 슬래그는 그 특성에 따라 시멘트 첨가제, 파쇄골재등에 제한적으로 이용되고 있었으나 최근에는 건축용재료, 요업재료등 다방면으로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즉, 고로슬래그의 활용방안의 한예로서 건축용 재료의 경우 슬래그 보오드를 들 수 있는데, 이 슬래그 보오드는 통상 초조방식(sheet-making)에 의해 보오드 성형을 한 후, 양생 및 건조공정을 거쳐 제조된다.
그런데, 슬래그보오드는 양생후에 형상과 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뿐만 아니라, 양생시간 단축이 바로 생산성에도 즉결되기 때문에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만드는 재료에 따라서 적정의 배합이 필요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다수의 방법들이 제안되었는데, 그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일본특개소 58-84167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알칼리제를 일부로서 수산화 마그네슘을 사용하여 알칼리 존재하에 슬래그를 경화반응 시킨 슬래그계 무기질내의 경화방법을 이용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다른 시도로서 일본특개소 56-120564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고로수쇄슬래그 분말, 석고 및 섬유질분을 함유한 슬러리로 초조체를 제조하고, 그 제조과정에서 암모늄염 수용액을 사용하되, 초조방식에 의해 제조하는 수쇄슬래그를 주재로한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다른 시도로서, 일본특개소 57-22148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슬래그 : 15-75wt%, 석고 : 10-50wt%, 소석회 : 2-20wt%로 조성되는 수경성 무기재료 100중량부에 탄산마그네시움 20-200중량부 및 섬유 1-50중량부를 첨가하여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다른 시도로서, 일본특개소 58-88157 및 소 61-17461호에 제시된 바에 의하면, 고로슬래그를 유산처리하여 유산처리된 고로슬래그 슬러리에 소석회 또는 생석회를 첨가한 후 혼련하고, 그 슬러리의 pH를 12이상으로 조절한 다음, 성형 경화시키는 고로슬래그 건재의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또다른 시도로서, 일본특개소 55-37446호에는 제시된 바에 의하면, 수쇄슬래그 : 40-60wt%, 이수석고 : 20-40wt%, 섬유상물질 : 5-20wt% 및 경량골재 : 5-10wt%로 조성되는 혼합물에 바인더 및 물을 가하여 슬러리화하고 이를 초조하여 판상으로 성형한 후 양생 건조처리하여 함수율 10% 이하로 하는 경량판 제조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슬래그 보오드들은 150kgf/cm2정도의 범위의 강도를 가지고 있으며 수축 팽창에 의한 치수 안정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 및 실험을 행하고, 그 결과에 근거하여 본 발명을 제안하게 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수쇄슬래그에 석고, 포틀란트 시멘트, 탄산칼슘, 보강용 섬유와 더불어 규조토를 적절히 첨가한 후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공정을 거치므로, 고로슬래그의 확대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고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크랙 발생이 적은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설명한다.
본 발명은 비정절화율이 90% 이상인 슬래그 함유 배합원료를 초조방식에 의해 보오드 성형을 한 후,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합원료가 중량%로, 석고 : 3-33%, 포틀란트시멘트 : 1-5%, 탄산칼슘 : 2-8%, 보강용펄프 및 석면중에서 1종 또는 2종 : 5-15%, 규조토 : 2-8% 및 나머지는 수쇄슬래그로 조성되는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재료의 선택과 조성이 매우 중요하며 특히 슬래그는 비정질화율이 90% 이상이어야 하는데, 통상적인 방법에 있어서는 물로 급냉시켜 비정질화율이 90% 이상인 수쇄슬래그에 석고, 알칼리 자극 촉진제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하여 초조방식으로 판상형의 보오드를 성형한 후 양생 및 건조공정을 통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수쇄슬래그는 비정질율이 90% 이상인 통상의 고로 수쇄슬래그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한데, 바람직한 수쇄슬래그의 조성을 예로들면 하기 표 1과 같다.
[표 1]
또한, 상기 수쇄슬래그의 입도는 3500-5000cm2/g(Blaine Surface Area)으로 분포가 중앙값으로 밀집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쇄슬래그의 염기고[(Al2O3+CaO)SiO2는 1.4-1.9가 바람직하고, 수쇄슬래그중의 Fe2O3는 5% 이하로 함유되는 것이 좋다. 특히, TiO2의 함량이 큰 경우에는 수화반응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적절히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석고는(CaSO4·2H2O)의 이수석고와 반수석고(CaSO4·1/2H2O)가 있는데, 어느 경우나 사용이 가능하다.
석고는 석고내의 P2O5가 화학반응을 지연시키는 반응지연제로 작용하므로 P2O5가 3wt% 이하로 유지해야 한다. 특히, 인산부생 석고의 경우 P2O5가 슬러리 내의 Ca이온과 반응하여 침전물(CaHPO2·H2O)를 만들어 영향을 미치며 조립화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사용전에 파쇄하여 입도를 조절하는 것이 필요하며, 입도는 1200-2800cm2/g(Blaine Surface Area)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경우 첨가되는 석고의 양은 3-33중량%(이하, 단지 "%"라함)의 범위로 제한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석고 함유량이 3% 이하로 되면 수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서 강도가 저하되며, 33% 이상으로 되면 수화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미반응 석고가 많이 존재하여 강도 저하가 일어나기 때문이다.
상기 포트란트 시멘트는 슬래그와 수화반응을 자극 촉진하는 촉진제로서 첨가되는 데, 일반적인 포틀란트 시멘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중에서도 그 입도가 5000-8000cm2/g이고 평균 입경이 3μm이하인 분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첨가되는 포틀란트 시멘트의 양이 1% 이하로 되면 수화반응 촉진 작용이 미흡하여 강도 증가가 현저하지 못하고, 5%이상으로 과도하게 첨가되면 신속한 반응으로 크랙 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으므로 그 첨가량은 적절한 수화반응을 할 수 있도록 1-5%로 제한함이 좋다.
일반적으로 보오드 제조시 수화반응에 의해 수축과 팽창이 일어나게 되며, 이 수축 팽창 현상이 보오드의 크랙 발생의 주 원인으로 작용한다. 따라서, 이를 완화시키는 완충작용을 하고 보오드의 부피를 증가시켜 밀도 저감을 시키기 위해 탄산칼슘을 적절히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완화작용을 위해 탄산칼슘을 2-8%의 범위로 함유시키면 규조토와 상호작용을 하여 충분한 효과가 발휘된다. 또한, 상기 탈산칼슘은 중량제로도 효과적인데, 상기 완충작용 효과와 더불어 충분한 효과를 발휘하기 위해서는 그 입도가 2500-3000cm2/g이고, 평균입경이 12-15μm인 것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종래의 슬래그보오드와는 달리 150kgf/cm2이상의 고강도를 유지하기 위해서 보강재료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때 사용되는 보강재료로서는 일반 신문지와 광고용지를 포함하여 재생용 펄프나 순펄프등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며, 또한 석면도 보강재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그 첨가량이 5% 이하로 되면 강도 증가가 미흡하고, 15% 이상을 초과하면 오히려 강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기 때문에 바람지하지 않다.
상기 규조토는 백색 또는 회백색의 함수 콜로이드 규산으로 SiO2성분의 90% 이상 함유되어 있는데, 보오드와 같은 그린시트(Green Sheet)제작시 보강재와 분말들간에 부착력을 향상시켜 치밀한 보오드를 형성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규조토는 그 입자 크기가 매우 중요하며 특히 5μm 이하의 미분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규조토는 과량 첨가되면 양생이 이루어지지 않고 오히려 역효과를 초래하게 되며 또한 알칼리 자극제와 직접 관련되어 반응하므로 크랙발생의 원인이 되기도 하고, 반대로 너무 적게 첨가되면 고강도를 얻을 수 없게 되므로 규조토의 첨가량은 2-8%로 선정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슬래그보오드 제조공정에서 발생되는 스크랩 분말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스크랩 분말은 사용시 별도의 처리를 필요하지 않으며 폐자원 활용 측면에서도 매우 유익한 것이다. 특히, 분말상의 스크랩은 표준체 80메쉬 이하로 분쇄한 분말이면 보다 바람직한데, 이러한 스크랩 분말은 10% 이하로 첨가되어도 슬래그보오드의 물성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폐자원 활용 및 증량효과에 매우 적합하다.
이와 같이 상기 배합원료들을 적정한 배합비로 혼합하여 슬러리 농도를 4-5%로 만들어 초조성형한 후 통상의 방법으로 양생 및 건조하면 150kgf/cm2이상의 고강도를 갖는 슬래그보오드가 제조된다. 이때, 바람직한 양생공정은 50-70℃에서 24-48시간, 건조공정의 온도는 150-180℃에서 30-60분의 조건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 1]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원료를 배합하여 혼련하고 초조성형후, 양생 및 건조공정을 통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 다음,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1도에 나타내었다.
상기 양생 공정은 증기 양생으로 60℃까지 승온후 24시간 유지한 다음 자연냉각하는 방법으로 행하였으며, 상기 건조공정은 170℃ 건조로내에서 40분간 건조후 건조함수율이 8% 이하가 되도록 행하였다.
[표 2]
제1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석고양이 상대적으로 많은 비교예(1)의 경우에는 곡강도값이 150kgf/cm2보다도 현저히 낮은 값을 나타내고 있는데, 그 이유는 슬래그와 석고비가 이론 반응에 의하면 몰비로 1대 1로 반응하여 수화반응에 참여하지 않는 미반응 석고가 많이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비교예(2)는 석고의 양의 부족으로 수화반응이 일어나지 않아서 강도가 저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조성범위를 만족하고 있는 발명예(1-4)의 의 경우에는 150kgf/cm2이상의 높은 곡강도값을 유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슬래그 60중량%와 석고 13중량%로 일정하게 유지하고, 자극촉진제인 포틀란트시멘트의 배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하기 표 3과 같이 배합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한 다음,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2도에 나타내었다.
[표 3]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자극촉진제인 포틀란트시멘트를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3)의 경우에는 미반응의 상태로 낮은 곡강도 값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포트란트시멘트가 1% 첨가된 발명예(5)의 경우에는 비교예(3)에 비하여 현저한 곡강도의 증가를 보여주고 있으며, 2%, 3% 및 5% 첨가한 발명예(6),(7) 및 (8)의 경우에는 150kgf/m2이상의 값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적절한 수화반응을 할 수 있도록 알칼리 자극제인 포트란트 시멘트의 첨가량은 1-5중량%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그런, 과다하게 첨가될 경우에는 조속한 반응으로 크랙발생의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5% 이하를 유지해도 충분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슬래그 60중량%, 석고 8중량%와 자극 촉진제로서 포틀란트시멘트 2중량%를 일정하게 하고, 규조토와 탄산칼슘 배합비를 도출하기 위하여 하기 표 4와 같이 배합하고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 다음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결과를 제3도에 나타내었다.
[표 4]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탄산칼슘이 첨가되지 않고 규조토가 10중량% 첨가돈 비교예(4)의 경우에는 곡강도가 258kgf/cm2로 매우 강한 상태이나 표면에 가느다란 실모양의 크랙이 부분적으로 존재하여 불량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와는 반대로 규조토가 첨가되지 않고 탄산칼슘이 10중량%로 첨가된 비교예 (5)에서는 곡강도가 105kgf/cm2으로 고강도의 기준 150kgf/cm2보다 매우 저강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반하여 규조토 및 탄산칼슘의 첨가량이 본 발명의 조성범위를 만족하고 있는 발명예(9-11)의 경우에는 150kgf/cm2보다 월등히 우수한 고강도 슬래그보오드가 얻어짐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4]
배합원료에 보강용펄프를 2, 5, 10, 15, 20중량% 첨가하여 하기 표 5와 같은 조성을 갖도록 배합한 다음,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 후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4도에 나타내었다.
[표 5]
제4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펄프 2중량%일때 136kgf/cm2이던 비교예(6)의 곡강도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5-15중량%로 되면서 175kgf/cm2으로 급상승하여 보강재로써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중량%인 비교예(7)의 경우는 15중량% 첨가된 발명예(14)의 경우 보다 곡강도가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보강용 펄프는 5-1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
배합원료에 보강용펄프를 2, 5, 10, 15, 20중량% 첨가하여 하기 표 6과 같은 조성을 갖도록 배합한 다음,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 후,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5도에 나타내었다.
[표 6]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석면 2중량%일때 122kgf/cm2이던 비교예(8)의 곡강도값이 본 발명의 범위를 만족하는 5-15중량%로 되면서 188kgf/cm2으로 급상승하여 보강재로써의 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20중량%인 비교예(9)의 경우 곡강도값이이 167kgf/cm2으로 15중량% 첨가된 발명예(7)의 경우보다 곡강도가 오히려 떨어지는 현상을 보이고 있어 석면의 경우 5-15중량%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의 발명예(12)와 같이 조성된 배합원료에 스크랩 분말을 2, 5, 10, 15, 20중량% 첨가하여 배합한 다음, 실시예 1과 같은 조건으로 초조성형,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한 후, 곡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제6도에 나타내었다.
제6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스크랩분말이 15중량% 및 20중량%에선 곡강도 값이 150kgf/cm2인 기본강도 이하로서 고강도의 특성이 나타나지 않고 있으며, 스크랩분말양이 양생반응에 영향을 주어 직접적인 강도와 관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슬래그보오드 제조시에 스크랩분말의 첨가량은 10중량% 이하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함을 알 수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고로슬래그와 석고 및 기타 무기질 재료를 이용하여 초조공정을 통해서 미반응 슬래그보오드를 성형한 후, 양생 및 건조공정을 거치므로서, 적정 강도를 유지하면서도 크랙의 발생이 적고, 경량화된 슬래그보오드를 제공하여 건축용 천정재, 벽재, 기타 칸막이 재료등에 활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제철공정에서 발생되는 부산물인 슬래그의 확대 활용에도 기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비정질화율이 90% 이상인 슬래그 함유 배합원료를 초조방식에 의해 보오드 성형을 한 후, 양생 및 건조하여 슬래그보오드를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배합원료가 중량%로, 석고 : 3-33%, 포틀란트시멘트 : 1-5%, 탄산칼슘 : 2-8%, 보강용펄프 및 석면중에서 1종 또는 2종 : 5-15%, 규조토 : 2-8% 및 나머지는 수쇄슬래그로 조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규조토의 입자크기가 5μm 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합원료에 10중량% 이하의 스크랩 분말을 첨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KR1019940033448A 1994-12-09 1994-12-09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KR970008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448A KR970008696B1 (ko) 1994-12-09 1994-12-09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448A KR970008696B1 (ko) 1994-12-09 1994-12-09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65A KR960022365A (ko) 1996-07-18
KR970008696B1 true KR970008696B1 (ko) 1997-05-28

Family

ID=1940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448A KR970008696B1 (ko) 1994-12-09 1994-12-09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86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2365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750B1 (ko) 석탄재를 이용한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 조성물 및 그의 용도
CN114804684B (zh) 一种超低碳无熟料水泥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080102114A (ko)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혼합시멘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759699B (zh) 一种底层抹灰石膏及其制备方法
EP3733628A1 (en) Autoclaved cement compositions
KR100421250B1 (ko) 콘크리트 제조용 시멘트 혼화재
GB2040906A (en) Composition for forming inorganic hardened products and process for producing inorganic hardened products therefrom
KR970008696B1 (ko)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KR20160012296A (ko) 유·무기 복합 무시멘트 흙 콘크리트 조성물 및 흙 콘크리트 2차제품
KR100876143B1 (ko) 고강도 규석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960006226B1 (ko) 초조성형에 의한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KR20160072834A (ko) 흙 콘크리트 2차제품
KR20180020021A (ko) 모래를 사용하지 않는 모르타르 조성물 및 그의 용도
US20230242448A1 (en) Cement admixture, expansion material, and cement composition
KR960011330B1 (ko) 슬래그 건자재의 제조방법
JPH0231027B2 (ko)
KR100213328B1 (ko) 고강도 슬래그 보오드의 제조방법
KR101854128B1 (ko) 천연수경성석회, 고로수쇄슬래그 및 석회석 미분말을 포함하는 석회 모르타르용 조성물
JP3536931B2 (ja) 軟弱土強度改善添加材及び軟弱土の強度改善方法
KR840001879B1 (ko) 2수석고 슬래그계 경화체 제조방법
KR970008743B1 (ko) 초조방식에 의한 저팽창성 수쇄슬래그보오드 제조용 복합조성물
JPH0242784B2 (ko)
KR102075070B1 (ko) 석회석 미분말을 이용한 친환경 모르타르 조성물
JP3222390B2 (ja) 軽量モルタル
JP6933422B2 (ja) 軽量気泡コンクリート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9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