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564B1 -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 Google Patents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564B1
KR970007564B1 KR1019950008361A KR19950008361A KR970007564B1 KR 970007564 B1 KR970007564 B1 KR 970007564B1 KR 1019950008361 A KR1019950008361 A KR 1019950008361A KR 19950008361 A KR19950008361 A KR 19950008361A KR 970007564 B1 KR970007564 B1 KR 9700075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tilizer
soil
grass
mixed
organ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3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623A (ko
Inventor
김운여
Original Assignee
김운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운여 filed Critical 김운여
Priority to KR10199500083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564B1/ko
Publication of KR960037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6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5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5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DIN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FERTILISERS PRODUCING CARBON DIOXIDE
    • C05D1/00Fertilisers containing potassium
    • C05D1/02Manufacture from potassium chloride or sulfate or double or mixed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00Fertilisers made from animal corpse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5/00Fertilisers from distillery wastes, molasses, vinasses, sugar plant or similar wastes or residues, e.g. from waste originating from industrial processing of raw material of agricultural origin or derived products thereof
    • C05F5/002Solid waste from mechanical processing of material, e.g. seed coats, olive pits, almond shells, fruit residue, rice hull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GMIXTURES OF FERTILISERS COVERED INDIVIDUALLY BY DIFFERENT SUBCLASSES OF CLASS C05; MIXTURES OF ONE OR MORE FERTILISERS WITH MATERIALS NOT HAVING A SPECIFIC FERTILISING ACTIVITY, e.g. PESTICIDES, SOIL-CONDITIONERS, WETTING AGENTS; FERTILISE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C05G1/00Mixtures of fertilisers belonging individually to different subclasses of C05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chemistry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본 발명은 종래의 화학비료가 아닌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의 시비방법, 즉 무공해 잔디의 재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상의 비료는 유박(깻묵) 쌀겨 패화석을 주재료로 하는 유기태 질소 비료이다. 유박과 쌀겨에선 잔디의 필수 영양소인 질소, 인산, 카리의 3요소가 잔디의 요구도 기존치대로 분해된다. 또한 패화석에선 잔디의 필수 원소인 칼슘, 석회고토, 규산, 철분등이 분해되어 잔디가 필요로 하는 3요소와 필수원소가 이 비료 하나로 공급될 수 있다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발효효소제에서 생성되는 고초균과 젖산균은 쌀겨와 패화석과 혼합 접착시키므로서 토양 살균작용을 하는 고초균과 젖산균의 생성이 대량 증대되어 골프장에서 심하게 발생하는 병해들을 크게 감축시키는 것도 본 발명상 비료의 특성이다.
특히 본 발명상의 비료는 상기한 모든 필수 원소와 살균성등 유기태 비료로서 갖추어야 할 모든 성분들을 집대성하여 지금까지 유기질 비료로는 골프장 잔디재배가 불가능하다는 잔디 시비상의 2대 근본문제를 해결가능케 하였다.
종래의 골프장의 잔디 토양은 갈아엎는 경전재배가 불가능하여 자연적으로도 토양이 굳어지는데다 더욱이 골프손님들이 밟는 답압은 그 토양으로 하여금 더욱 다지고 딱딱하게 만든다.
이것이 골프장 잔디재배 토양의 현실이며 이러한 토양을 혐기성 토양이라 하는 데 이 혐기성 토양의 특징은 공기의 소통이 불량함은 물론 물의 배수성과 보수성도 나쁘고 토양속 유해가스의 양도 증가하는 등 식물의 뿌리가 제대로 뻗고 활동할 수 없는 토양으로서 특히 이러한 토양에는 유지질 비료를 시비하여 토질을 개선시켜야 함에도 오히려 그 토질을 산성화시켜서 악화시키는 화학비료를 쓰는 데에 있다.
이러한 혐기성 토양에다 화학비료를 시비함으로써 발생되는 부작용은 다음과 같다.
a. 혐기성 토양에선 잔디뿌리의 생육이 제대로 될 수 없어서 잔디가 극히 약하다. b. 근본적으로 약하게 자라는 잔디에다 질소질 성분이 추가되는 속성의 화학비료를 시비하는 관계로 잔디잎은 웃자라는 약한 잎이 된다. c. 이 약한 잎은 골프손님들이 신은 신발의 스파이크에 의해 상처와 손상을 받아서 병균전염의 기주식물이 되어 병해의 확산이 빠르다. d. 혐기성 토양자체도 유용 미생물의 생육을 억제시키고 반면 토양산성에 강한 유해의 토양병균들을 크게 발생시킨다. e. 요즈음에는 산성비까지 계속 내려서 이 산성비의 산성이 토양을 더욱 산성화시킬 뿐만아니라 PH.3.0∼4.0대의 강산성비는 산성을 좋아하는 골프장 호산성균의 격발을 촉진하고 있다. 따라서 약하게 자라는 잔디를 전면적으로 상처를 내어 고사시키는 직접적 피해도 크게 발생시키고 있으며 이 산성비는 오늘날 모든 골프장의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였다.
뿐만아니라 종래의 화학비료와 농약에 의한 폐해는 심각한 공해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즉, 골프장의 토양은 경전재배가 불가능하여 토양의 이화학적 작용이 불가능한 혐기성 토양으로 토양기체의 병균 번식도 증대되어 있고 또한 여기에다 시비하는 화학비료에 의하여 잔디의 생육도 극히 연약하므로써 병해의 발생도 심하다. 따라서 농약의 사용도 해마다 증가되고 있을 뿐만아니라,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 화학비료의 사용도 수질을 오염시키는 주범으로 되어있다.
이와 같이 농약의 다량 사용과 화학비료의 다량 사용등 모두 지탄의 대상이 되는 공해문제를 크게 야기시켜 왔으며, 이의 개선이 시급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화학비료를 대체하기 위하여 유기질 비료에 대한 연구가 계속 되어 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유기질 비료를 선뜻 선택하지 못한 이유는 기본적으로 두가지 다음과 같은 문제점 때문이다. 즉, 제1의 문제점은 시비후의 잔사문제이다. 골프공의 흐름에 따르는 속도를 지키고자 그린의 잔디는 매일 5.0∼5.5㎜ 높이로, ㅍ어웨이의 잔디는 2∼3일마다 1.5∼2㎝ 높이로 깎아야 한다. 이 원칙을 지키는 것이 골프장의 잔디 관리이다. 경전재배가 불가능한 잔디토양에 있어서 시비한 비료가 완전히 분해되지 않든가 또는 완전히 토양화가 되지못하여 그 토양바닥에 잔사(찌꺼기)가 쌓일때는 특히 그린의 잔디관리가 불가능해지는 문제가 생긴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비하는 비료의 잔사가 시비때마다 0.5㎜씩 연3회 쌓여도 3년후에는 깎는 잔디의 높이만큼 잔사가 쌓일 수 있으므로 잔디는 전멸하게 된다.
둘째, 잔사가 쌓이는 높이만큼 잔디의 길이도 길어져야 하므로 길어진 잔디는 깍을 때마다 밑줄기가 깎기워져 잔디전체가 햇볕에 타는 고사상태를 유발한다.
셋째, 병균들이 잔사속에 서식하면서 번식되므로 병해발생의 좋은 온상이 된다. 이것으로 시비후 잔사가 생기는 비료를 쓸 수 없는 이유가 이 때문이다. 화학비료는 이점에 있어선 안전하므로 화학비료를 버리지 못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두번째 문제점은 거름 효력의 지속성 문제이다.
골프장의 잔디는 매일같이 기준대로 깎아야 하므로 무엇보다 잔디의 생육이 따라갈 수 있도록 키워야 한다. 이를 지속시키는 데에는 예컨대 1㎡당 질소성분 6%, 인산성분 4%, 카리성분 5%의 시비를 해야한다. 이것은 잔디가 필요로 하는 필수 3요소와 요구도 기준치이기 때문이다.
유기질 비료에 있어서도 이 원칙은 그대로 지켜져야 하며 카리 성분을 제외한 질소 6%와 인산4%의 기준치에 맞는 유기질 비료가 되지 않고선 가능하지가 않다. 또한 비료의 효력을 지속시키는 데에는 CaO, MgO, SiO2, Fe2O3등의 4원소도 크게 뒷받침하므로 이의 필요성도 크게 강조된다.
골프장의 그린 토양은 사람이 밟는 답압에 의하여 토양이 굳어져서 잔디의 새잎이 발생하는 밀도가 크게 떨어지므로 연 3회식이 잔디의 갱신 작업 즉, 에어레이션을 한다.
그린의 사용상 갱신 기간은 10일을 넘지 않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10일 이내에 그린의 잔디를 완전히 회복시키는 단기 완성에 있어서 기온의 영향을 받고 또한 서서히 분해되는 유기질 비료를 화학비료만큼 속성으로 대응할 수 없다는 데서 유기질 비료를 선택하지 못하고 있다. 이상, 두가지 기본문제는 유기질 비료가 감당하기에는 벅찬 일이며 시비후의 효과야 어찌하든 우선 문제의 해결없이는 골프장 잔디의 유기질 비료 사용은 처음부터 불가능하다. 그러므로 잔디에 쓰일 수 있는 유기질 비료의 핵심은 이상의 두가지 기본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년간 연구한 결과 유기질 단백질 질소비료가 가장 잔디에 적합한 것을 알게 되었다.
본 발명상의 유기태 단백질 질소 비료로 사상균, 방사상균, 젖산균, 고초균 등 유용 토양 미생물들이 많이 생성된다. 토양속 유기질 비료의 분해에는 산소를 필요로 하는데 이 산소의 공급을 위해서 미생물들은 굳은 토양을 부식하여 단립화 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이 단립화를 통하여 골프장의 혐기성 토양이 호기성 토양으로 개선된다. 특히 사상균은 토양부식의 생성에 크게 역할을 하며 이 미생물이 본 단백질 비료에서 많이 생성되는 것도 특징이다.
그러므로 이 미생물에 의한 토양 부식작용과 시비할 때의 에어레이션작업(시비할 때 잔디토양에다 5㎝ 간격으로 구멍을 뚫고 그 속에 비료를 넣는 작업)이 합쳐지면 경전 재배없이도 뿌리가 건실하게 자랄 수 있는 토양의 이화학적 작용이 다시 회복된다. 이것이 혐기성 토양이 호기성 토양으로 개선되는 요인이 된다.
또한 본 발명상의 유기질 단백질 질소비료에 의하여 건실한 잔디가 육성된다. 혐기성 토양이 호기성 토양으로 개선되므로서 잔디의 뿌리가 활성화 되는 기반이 조성되었고 또한 본 비료에서 잔디의 요구도인 성분 3요소가 기준치대로 공급될 뿐만아니라 규산, 칼슘, 철분, 마그네슘등 필수원소도 갖추어 있으므로 잔디 생육을 억제할 수 있는 요소가 모두 해결된다. 또한 본 비료에 의해서 조성된 지력의 강한 작용은 잔디의 섬유질과 표피의 왁스층을 크게 강화시키기 때문에 병균의 침투도 억제되므로 병해의 발생도 크게 감소된다.
이러한 여건하에서 잔디의 생육과 질은 화학비료가 따라갈 수 없는 경지이다. 다음, 본 발명상의 비료에 의하여 무공해 잔디 재배가 가능하다.
본 유기질 비료를 이용하여 유기농법을 통하여 물속에 퇴적된 유기물을 분해시켜 부영양화 현상으로 일으키고 이로 인하여 물의 산소 요구도를 저하시키는 화학비료의 사용이 완전중장 되므로서 수질오염의 공해가 완전 해소된다.
다음 농약의 사용에 있어서도 병해가 크게 감소되는 만큼 농약의 사용량도 본 비료의 시비이전의 연간 800㎏에서 시비 3년째는 200㎏대로 감축되었다. 이 정도의 사용량은 농약공해의 영역에서 제외되는 극히 적은량이다.
또한, 본 발명상에 비료에 의하여 병해의 발생이 크게 억제된다.
깻묵 유박에서 분해되는 이누린(inulin) 성분은 토양병균의 발생억제와 방제작용이 강하다는 것은 이미 알려진 사실이고 본 비료의 발효제인 성력효소제와 쌀겨 및 패화석과 혼합한 혼합제에서 젖산균과 고초균이 생성되며 젖산균이 대사시키는 젖산과 고초균이 대사시키는 초산은 혐기성 토양에서 발생되는 피티움(Pythium)균과 리족토니아(Rhizoctonia)균의 발생을 크게 억제한다.
현재 골프장에는 이 피시움균에 의해 발명되는 피시움 브라이트병은 그린 잔디를 황폐화시키는 대강적으로 부상되었다. 이것은 산성비 때문이며 본 비료의 산균 성분과 또한 유기질 비료가 아니고선 예방할 수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본 발명상의 비료를 이하에 설명한다.
먼저, 잔디 1㎡당 깻묵을 100∼125g, 쌀겨 27∼36g, 황산카리 5∼8g, 패화석 12∼20g, 발효효소 0.1∼0.8g을 조성하여 상기 발효효소제와 쌀겨 및 패화석의 전량에 전용적대비 물을 35∼45%정도로 가하면서 고루 이들을 혼합한다. 이렇게 하면 효소제에서 생성되는 젖산균과 고초균이 패화석에 흡수되어 일종의 패화석 효소가 된다. 이 효소제는 혼합 후 30분이 지나서야 이용가능하다.
다음 나머지 깻묵과 황산카리를 이미 만들어 놓은 상기 혼합물에 섞어서 다시 골고루 혼합한다. 이때 주의를 요하는 것은 어느 재료이든 완전히 섞어져야 하며 어느 한쪽에라도 몰려 있어선 안된다. 최종적으로 수분의 함량이 70%가 되도록 물을 뿌려서 다시 한번 혼합하면 배합작업이 끝난다.
다음, 상술한 배합재를 발효시키기 위하여, 재료의 혼합작업이 끝나면 혼합재료를 한 곳에 모아 쌓아 놓고 비닐이나 거적을 덮는다. 이후 발효온도가 약 35∼45℃ 특히 이 발효온도를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이보다 온도가 하강되면 발효속도가 현저히 늦어지며 반대로 이보다 상승되면 유용 미생물의 번식이 감퇴되기 때문이다. 다음, 발효가 끝난 비료에다 시비량의 2배가 되는 모래의 량을 섞어서 퇴적한 후 사용하든가 아니면 비료만을 퇴적하여 두었다가 사용할 때마다 이용하여도 좋다. 한편, 시비는 그린이든 ㅍ어웨이든 연 3회 정도 실시한다. 봄 시비는 4월, 그리고 장마직전의 6월에 하고, 가을 시비는 9월 초순에 한다.
일반적으로, 영양원 3요소의 지속기간에 있어서 화학비료는 15일 정도밖에 유지되지 않으므로 시비기간을 15일로 정하고 있다. 그러나 유기질 비료는 영양의 분해가 서서히 진행되므로 영양의 최상 유지기간은 50일이고 나머지 10일은 약간 떨어진다. 그러므로 본 비료의 시비는 2개월마다 하게 되면 화학비료의 시비경우보다 작업이 크게 감축되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모든 것이 이 비료가 갖고 있는 성분량이 잔디의 요구도 기준치와 일치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것이 이 비료의 특징이다.
다음, 본발명상의 비료의 시비방법을 기술한다. 먼저 시비할 토양은 장비를 이용하여 에어레이션(비닐을 넣기 위한 작업) 작업을 끝낸 후 비료를 넣는 배토기로 1헤베당(1㎡) 비료 150∼200g와 모래가 섞여진 혼합토를 이 비료량의 약 2배정도의 양으로 토양전면에 고르게 배토한다.
이 배토작업이 끝나면 즉시 물주기에 착수해야 하며 비료가 토양바닥에 골고루 깔리도록 1시간 가량 깨끗하게 물을 충분히 뿌려준다.
시비 후 다음날 토양이 약간 말랐을 때를 이용하여 고몰개나 맷트등으로 비료가 고루 퍼지도록 정리한다.
한편 본 발명상의 발효효소제는 일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성력 효소제이며 고초균 계통(bacillus) 3종류와 젖산균 계통(Lactobacillus) 4종류의 유용 미생물이 발효효소제에 의하여 크게 번식된다.
젖산균과 고초균이 분비하는 효소는 발효 부식력이 매우 높다. 효소제와 쌀겨를 합치면 쌀겨는 미생물의 좋은 먹이와 에너지 되므로 쌀겨의 분량만큼 고초균이나 젖산균의 생성도 확대된다. 여기에 패화석을 더 섞으면 생육기간을 연장시킨다. 패화석의 효소제가 만들어진다.
[실시예]
이하에 비료 잔사문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상의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코저 한다.먼저, 본 발명상의 비료를 시비후 대략 1개월 두면 토양속에서 거의 부식 분해가 되어 잔사가 남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시비량 1헤베(㎡)당 168g의 유지에서만 가능하였다. 유기물의 부식량 조사에 대한 실험결과는 분석적으로 대략 다음표와 같이 작성되었다.
[표 1]
위의 표에서 본 발명상의 비료에 해당되는 것은 리그닌을 제외한 전 성분들이며 이를 통한 전 부식량을 계산하였더니 55%가 되었다. 1㎡(1헤베)당 시비량을 168g 중순 식물성 성분은 143g 이었으므로 이의 55%가 부식 된다면 78.65g의 유기물이 부식된다. 이 부식량 78.65g을 최종 분해한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표 2]
이와 같이 호기성 미생물이 분비하는 분해효소의 작용으로 부식량 78.65g은 완전히 탄산개스와 물로 분해되어 소멸됨을 알 수 있다.
다음, 유기물의 최종적 토양화량을 산출하였다. 즉, 시비한 유기질 1㎡당 143g중 78.65g은 탄산개스와 물로 화하여 소멸되었으므로 소멸되지 않은 잔량은 64g이다. 이것이 1㎡당 토양화(흙으로 돌아가는 것)되는 전체량이 된다. 이것을 숫가락으로 퍼서 1㎡당 뿌려본 실험의 결과 숫가락으로 9숫가락 분량이며 펼쳐 놓은 결과 하나의 먼지에 지나지 않았다.
이것으로 이 비료는 시비후의 비료잔사가 전연 토양에 남지 않으며 또한 시비 4년의 실제 재배에 있어서도 문제는 나타나지 않았다. 유기질 비료로선 지금까지 해결이 되지 않았던 시비후의 잔사문제가 이것으로 해결이 되었으며 특히 시비량 168g과 톱밥과 같은 리그닌이 없기 때문에 가능하다. 이것은 비료의 남다른 특색이다. 또한 시비량 168g이라는 확실한 증거는 인산의 성분량 계산에서 밝혀졌다.
다음, 비료효소의 지속성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실시예를 이하에 설명한다.
잔디 영양의 필수 3요소는 1헤베당(1㎡) 질소 6%, 인산 5%, 카리 5%로서 이것이 잔디 요구도의 일반적인 기준치이고 이밖에도 잔디에는 CaO, MgO, SiO2, Fe2O3의 4원소가 필수 영양소인 바, 본 발명상 비료의 특징은 상기 필수 3요소에 있어서 잔디의 요구도 기준치와 완전 일치할 뿐아니라 또한 일반 유기질 비료에선 확보하기 어려운 SiO2와 Fe2O3성분도 본 발명상의 비료는 이를 충분히 함유하고 있다는 점이 본 발명상의 강점이다. SiO2는 잔디조직을 단단하고 여물게 만들어 주며 Fe2O3는 다른 유해물질의 침입을 차단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상술한 본 발명상의 일 실시예로서의 유기질 비료의 성분을 공인기관에서 시험분석한 결과 표 3과 같았다.
[표 3]
(단위 : 중량%)
비료분석표에 있어서 본 비료의 질소 함량은 잔디 요구도 기준치에서 0.01%가 부족한 5.99%이다. 이것은 유기질의 특성상 6%로 간주된다.
분석표의 인산은 1.47%이고 규산은 0.93%이다. 규산도 인산으로 간주되므로 인산성분의 총량은 2.4%가 된다. 여기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문제는 인산성분과 카리성분의 량이 기준치인 4%와 5%로 함유되면 시비후의 실제 함유량이 초과되어 성분 과다가 된다는 사실이다. 그 이유는 유기태 단백질 질소 비료의 경우 질소량은 시비의 총량에 대한 계산에서 나타나게 되므로 시비량 168g에서 적든 과하든 언제나 질소의 6%는 변하지 않는다.
그러나 인산과 카리는 시비의 량에 따라서 변화가 생기므로 시비량을 확정 지은 후 나타나는 분량이 결정분량이 된다. 그러므로 인산성분의 함량 계산은 다음과 같이 한다. 본 비료는 1㎡당 시비량은 168g이므로 168×2.4/100=4.03%, 이 4%가 실제 인산의 시비함량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비료의 질소와 인산성분이 잔디의 요구도 기준치와 거의 일치하였다.
카리의 계산에 있어선 시비량 168g×1.27/100=2.13% 성분표시에는 1.27%이나 실제의 시비량에 있어선 2.13%가 된다는 뜻이다. 그러므로 카리 요구도의 기준치 5∼2.13=2.87%는 시비량에 있어서 카리의 부족량이 되며 시비후 추비로서 1㎡당 6g의 황산카리를 추비하든가 혼합해서 발효시켜도 된다. 유기질에 있어서의 카리 재료는 나무재나 짚재 등 재를 이용하게 되는데 이 재를 다른 재료와 혼합시켜서 발효시킬 때에는 화학적 악변화가 발생하므로 혼합시킬 수 없다. 그러므로 카리는 유기질 시비의 원칙상 부족량은 추비로 주게 되어 있다.
원래 유기질 비료는 품질 분류에 있어서 비료의 질소와 인산성분은 재배하고자 하는 작물의 요구도와 일치하면 그 비료는 그 작물의 정품 비료로 간주하게 되므로 이 비료는 잔디전용 비료에 합당하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다음, 마지막 토양을 개선하고 강한 잔디를 육성하는 본 발명상 비료의 유기물 부식작용·효과를 이하에 설명한다.
1〉토양의 물리적 개선
토양의 입자와 입자를 접착시켜 단립화 시키는 것은 폴리우로니드(Polyuronide)의 작용 때문이다. 이밖에 미숙된 부식도 접착제 역할을 한다.
2〉중금속이온의 유해작용 감소
부식 생성과정에서 폴리페놀(Polyphenol)류, 우론산 유도체(uronic acid), 아미노당, 멜라노이딘(melanoidine)등의 유기화합물은 킬레이드(Chelate)를 형성하여 금속이온의 활성을 감퇴시킨다. 특히 구리(CU)에서 그렇다.
3〉토양의 완충역활
토양산성의 심한 변화를 막아주는 완충기능을 가지고 있고 식물에 유해한 AL+3이온을 흡착하여 그 해를 감소시킨다.
4〉유효인산의 고정억제
부식생성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유기화합물들이 킬레이트제로 작용하여 활성철이나 알루미늄등의 인산고정에 크게 관여하는 이온의 활성을 감소시킨다.
5〉식물에 필요한 양분의 공급촉진
부식은 유기물의 무기화 및 부식작용에 의한 공동 생성물이므로 생성되는 이산화탄소, 유기산, 무기산 등은 토양의 광물질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식물에 필요한 양분의 가급태화가 촉진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상의 유기질 비료에 의하여 종래의 화학 비료상의 문제점이 모두 체결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를 간단히 표4에 의하여 비교실험에 의한 평가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표 4]
잔디의 생육 상태에 관한 비교 실험평가

Claims (2)

  1. 잔디 1㎡당 깻묵 100∼125g, 쌀겨 27∼36g, 황산카리 5∼8㎡, 패화석 2∼20g, 공지의 발효효소제 0.1∼0.8g을 조성하여 혼합하되 먼저 상기 발효효소제와 쌀겨 및 패화석에 물을 전 용적대비 35∼45% 정도로 가하면서 이들을 고루 혼합하여 30분 경과 후 상기 깻묵과 황산카리를 이 혼합물에 첨가하여 다시 균일히 혼합하고, 최종적으로 전 용적대비 수분 함량을 70% 가량 되도록 물을 주입하여 고루 배합하도록 한 다음, 이를 비닐이나 거적으로 덮고 발효온도가 약 35∼45℃에 이를 때마다 뒤집어 엎는 작업을 약 15일 전후로 되풀이하여 성분분해 및 발효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2. 상기 비료를 잔디 심을 토양에 시비하기 위하여 이 토양을 장비를 이용하여 비료를 넣기 위한 에어레이션 작업을 행하고, 여기에 비료를 넣는 배토기로 1㎡당 상기 발효비료 150∼200g과 모래가 섞여있는 혼합토를 상기 비료의 약 2배 정도로 토양전체에 걸쳐 고르게 배토하고 물 뿌리기 작업을 행하여 비료가 토양바닥에 골고루 깔리도록 하고, 시비 후 다음날 토양이 약간 말랐을 때를 이용하여 고물개나 맷트등으로 비료가 고루 퍼지도록 정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의 시비방법.
KR1019950008361A 1995-04-11 1995-04-11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KR9700075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61A KR970007564B1 (ko) 1995-04-11 1995-04-11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8361A KR970007564B1 (ko) 1995-04-11 1995-04-11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23A KR960037623A (ko) 1996-11-19
KR970007564B1 true KR970007564B1 (ko) 1997-05-10

Family

ID=1941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361A KR970007564B1 (ko) 1995-04-11 1995-04-11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5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2200B2 (en) 2002-10-28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to detect clock delay and method thereof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12200B2 (en) 2002-10-28 2009-03-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Circuit to detect clock delay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623A (ko) 1996-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40074A1 (de) Zubereitung zur Förderung des Pflanzenanbaus, deren Verwendung und Herstellungsverfahren
CN109530417A (zh) 一种镉污染土壤中油菜-中稻轮作边修复边生产的方法
CN106233864A (zh) 一种利用草木犀和甜高粱轮作改良盐碱地的方法
AU2011346748B2 (en) Organic fertiliz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CN104725150A (zh) 核桃专用微平衡生态肥及其制备方法
AU2011346748A1 (en) Organic fertilizer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US8636822B1 (en) Dethatching, extended release fertilizer compositions
CN109588218A (zh) 用于降低农作物汞含量的种植方法
CN1218909C (zh) 抗盐碱水稻壮秧肥
Aechra et al. Effect of soil salinity, phosphorus and biofertilizers on physical properties of soil, yield attributes and yield of cowpea [Vigna unguiculata (L.) Wilczek]
CN109609135A (zh) 用于治理汞污染的土壤调理剂及方法
CN1843074A (zh) 无公害茶用菊花栽培方法
CN110100519A (zh) 一种改善土壤性质、提高辣椒维生素c和蛋白质含量的施肥方法
KR102228080B1 (ko) 유기성 폐기물을 이용한 비료의 제조방법
CN113317326A (zh) 一种防水果裂腐病制剂,制备方法及其应用
KR100735688B1 (ko) 경사면 식재용 토양 조성물
CN101805229B (zh) 多肽有机复合矿物肥
KR970007564B1 (ko) 골프장 잔디전용 유기태 단백질 발효비료 및 이 비료를 이용한 무공해 잔디재배방법
CN114128433A (zh) 一种稻秆全量还田与田间管理集成方法
KR19980074216A (ko) 인공토양
CN112219488A (zh) 一种果树栽培南方酸性土壤的改良方法
CN111073657A (zh) 一种东北苏打盐碱地用土壤调理剂、其制备方法以及使用该土壤调理剂种植春小麦的方法
KR100513146B1 (ko) 사면 녹화용 식생조성물
KR20010025734A (ko) 칼륨장석모래가 함유된 잔디비료 제조방법
JP3179393B2 (ja) 法面の緑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