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16Y1 -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16Y1
KR970007016Y1 KR2019950010965U KR19950010965U KR970007016Y1 KR 970007016 Y1 KR970007016 Y1 KR 970007016Y1 KR 2019950010965 U KR2019950010965 U KR 2019950010965U KR 19950010965 U KR19950010965 U KR 19950010965U KR 970007016 Y1 KR970007016 Y1 KR 9700070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box
needle
sewing machine
fabric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096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460U (ko
Inventor
이진술
Original Assignee
이진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술 filed Critical 이진술
Priority to KR20199500109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16Y1/ko
Publication of KR96003746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46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23/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pparatu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treating of textile materials, not restricted to a particular kind of apparatus, provided for in groups D06B1/00 - D06B21/00
    • D06B23/04Carriers or supports for textile materials to be trea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제 1 도는 본 고안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전체사시도
제 2 도는 본 고안의 사시도
제 3 도는 본 고안의 요부확대 저면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원단봉침기2 : 프레임
3 : 고정봉침기4 : 유동봉침기
5 : 물레6 : 모타
7 : 스크류우8 : 이송구
9 : 고정간10 : 이송블럭
11 : 고정간12 : 콘트롤 박스
본 고안은 유동봉침기와 콘트롤 박스를 연결구성하여, 이를 볼스크류우를 이용하여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콘트롤 박스가 원단폭에 따라 항상 작업자가 조적하기 편한 위치로 이송되게 하여 사용이 매우 편리하도록 하기 위한 원단봉침기의 콘트롤 박스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원단봉침기는 염색준비를 위한 장비로서, 물레에 권취되는 원단의 변사부위를 봉침시켜주기 위해 고정봉침기와 유동봉침기로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원단봉침기는 유동봉침기의 이송을 에어실린더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고, 이들을 조작하는 콘트롤 박스는 봉침기 우측단 상부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상태이기에 폭이 넓은 원단을 물레에 권취시켜 봉침할 경우는 그다지 큰 불편함이 없지만, 폭이좁은 원단을 봉침할때는 작업자가 조작하고자 할때마다 콘트롤 박스 위치까지 가서 조절하여야 함으로 매우 불편하였던 것이다.
또한 전술한 유동봉침기의 이송을 에어실린더로서 이송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어 정확한 위치로의 이송 및 셋팅이 어렵고 이에따라 신뢰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도 따랐다고 아니할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특히 유동봉침기의 이송을 볼스크류우 및 모타를 이용하여 이송시킬 수 있도록 하되, 유동봉침기와 콘트롤 박스가 함께 이송되도록 연결구성하여, 원단폭이 넓거나 좁거나에 관계없이 매우 손쉽게 콘트롤 박스 조작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매우 편리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원단봉침기(1)의 프레임(2) 상측에 고정봉침기(3)와 유동봉침기(4)를 설치하고, 프레임 중앙내부에 물레(5)를 축설하여서 된 공지의 원단봉침기에 있어서, 프레임(2) 상측에 설치된 유동봉침기(4)를, 모타(5)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우(7)를 타고 이송하도록 된 이송구(8)에 고정간(9)을 이용하여 연결고정시키고, 상기 고정간(9)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이송블럭(10)의 측면에 또다른 고정간(11)을 고정시켜, 고정간(11) 정면에 콘트롤 박스(12)를 고정시켜서 구성된 것이다.
미설명부호 13, 13', 13"는 가이드봉 14는 원단확포가이드, 15는 원단폭 조절로울러
위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봉침하기 위해 물레(5)에 원단을 권취시킨후, 유동봉침기(4)가 물레(5)에 권취된 원단의 일측변사위치로 이송되면, 자동적으로 콘트롤 박스(12)도 이송되어 작업자가 조작하기 쉬운 위치로 이송되게 되는 것이다.
즉, 유동봉침기(4)는 프레임(2) 상단에 설치된 가이드봉(13)(13')을 타고 좌, 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였고, 가이드봉(13')와 (13") 사이에 모타(6)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우(7)를 설치한 상태이기에 모타(6)가 정 또는 역회전하면 스크류우(7)도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게 되며, 이에 따라 이송구(8)가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유동봉침기(4)를 이송시키면 이송블럭(10)도 함께 전, 후진되면서 이송블럭(10)에 고정설치된 콘트롤 박스(12)도 함께 전, 후진됨으로써, 봉침하고자 하는 원단의 폭이 달라지더라도 작업자가 간편하게 콘트롤 박스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앞에서도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동봉침기를 모타(6)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우(7)를 이용하여 이송시키도록 하였기에 종래 에어 실린더를 이용하였을 때 보다 더욱 정확한 위치로 유동봉침기(4)를 이송시킬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신뢰성을 한층더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유동봉침기(4) 이송시 콘트롤 박스(12)도 함께 이송시킴으로써 원단봉침시 작업자가 보다 간편하고 효과적으로 콘트롤 박스(12)를 조절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또 유동봉침기(4)와 콘트롤 박스(12)를 모타(6)에 의해 회전하는 이송스크류우(7)와 이송구(일명 볼스크류우라고 함)를 이용하여 이송시킴으로써, 이송시 보다 정확한 위치로 신속하게 조절시킬 수 있게 되는 등 봉침기 사용시 편리함과 더불어 신뢰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1)

  1. 원단봉침기(1)의 프레임(2) 상측에 고정봉침기(3)와 유동봉침기(4)를 설치하고, 프레임 중앙내부에 물레(5)를 축설하여서된 공지의 원단봉침기에 있어서,
    프레임(2) 상측에 설치된 유동봉침기(4)를 일단부에 모타(6)를 축설하여서 된 스크류우(7)를 타고 이송하도록 된 이송구(8)에 고정간(9)을 이용하여 연결고정시키고, 상기 고정간(9)의 선단부가 고정되는 이송블럭(10)의 측면에 또다른 고정간(11)을 고정시켜 고정간(11) 정면에 콘트롤 박스(12)를 고정시켜 유동봉침기(4)와 콘트롤 박스(12)가 함께 이송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봉침기의 콘트롤 박스 자동이송장치.
KR2019950010965U 1995-05-17 1995-05-17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KR9700070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65U KR970007016Y1 (ko) 1995-05-17 1995-05-17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0965U KR970007016Y1 (ko) 1995-05-17 1995-05-17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60U KR960037460U (ko) 1996-12-16
KR970007016Y1 true KR970007016Y1 (ko) 1997-07-11

Family

ID=19413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0965U KR970007016Y1 (ko) 1995-05-17 1995-05-17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1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460U (ko) 1996-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03273A (en) Under thread supply apparatus and method of supplying under thread
US2619057A (en) Web folder and stitcher apparatus
JP2007136136A (ja) ミシンの糸供給装置
GB2120291A (en) Sewing device for producing a blind hem on tubular workpieces
KR970007016Y1 (ko) 원단 봉침기의 콘트롤박스 자동이송장치
KR880003050A (ko) 쌍바늘 재봉틀로 이중 솔기 코너를 재봉하는 방법
KR0178465B1 (ko) 테를 두르는 지그 및 테를 두르는 지그를 구비한 재봉틀
KR20020079459A (ko) 사뜨기 재봉틀
US6029592A (en) Cloth folding guide for sewing machine
IE32776B1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thread take-up lever arrangement for a sewing machine
JPS61213089A (ja) 布地保持器の運動を制御する装置を有するミシン
US1816626A (en) Upside down sewing machine
KR970007017Y1 (ko) 원단봉침기의 진입원단 변사 가이드 로울러 장치
JPH0522557B2 (ko)
KR200297053Y1 (ko) 자수기의 원단 공급용 틀체
EP0805228B1 (en) Precision-stitch sewing machine for applying a tubular welt to an edge of a knitted or woven fabric or the like
JPH0333339Y2 (ko)
GR3018135T3 (en) Improved automatic machine for stitching of various articles, in particular leather articles.
KR950007647Y1 (ko) 재봉기의 재봉사 정렬장치
KR200203954Y1 (ko) 원단 심실링용 가열노즐의 3축이송장치
EP0081289B1 (en) Multi-needle automatic sewing machine
US2996023A (en) Multi-needle sewing machines
KR200209888Y1 (ko) 자수기의 윗실 공급장치
SU1622460A1 (ru)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 окантовки полоской ткани срезов деталей на швейной машине
JPH031934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