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7004Y1 -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7004Y1
KR970007004Y1 KR2019950018035U KR19950018035U KR970007004Y1 KR 970007004 Y1 KR970007004 Y1 KR 970007004Y1 KR 2019950018035 U KR2019950018035 U KR 2019950018035U KR 19950018035 U KR19950018035 U KR 19950018035U KR 970007004 Y1 KR970007004 Y1 KR 9700070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ush
mounting structure
vacuum cleaner
hai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80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226U (ko
Inventor
안성주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500180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7004Y1/ko
Publication of KR9700042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2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70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0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의 구성을 나타낸 외관도.
제2도는 종래의 흡입브러쉬의 배면도.
제3도는 종래의 털솔 브러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가)도는 털솔 브러쉬의 평면도.
나)도는 털솔 브러쉬의 측면도.
제4도는 종래의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를 나타낸 일부 생략 사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를 나타낸 일부생략 분해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를 의한 조립완성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0a,240b' : 털솔판 252 : 털솔판 수용기
253 : 몸체부 253a : 걸림턱부
254 : 안착부 254b : 사각관통구멍
P : 접착영역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흡입브러쉬의 바닥면에 부착하는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하고 조립성 및 생산성을 도모한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모터 구동으로 발생된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집진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바, 그 구성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일반적인 진공청소기(210)는, 내부격벽에 의해 구획되어진 집진실 및 구동실(도시생략)을 가지며 바퀴(211)에 의해 이동이 자유로운 본체부(212)와, 일측단부에 먼지등을 흡입하는 흡입브러쉬(213)가 착탈가능하게 부착하고 타측단부에는 흡입력 조절스위치부(214)를 갖는 손잡이(215)가 장착되며 다단으로 연결접속되는 연장관(216)들과, 이 연장관(216)에 연결되어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본체부(212) 내의 집진실로 착탈이 자유롭도록 유연하게 형성된 주름관(21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진공청소기들은 본체부내의 구동실에 장착된 모터(도시생략)가 구동함에 따라 발생하는 강력한 흡인력에 의해 상기 흡입브러쉬(213)를 통하여 외부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흡입하게 하고, 이 먼지나 이물질들은 집진실내에 교환가능하도록 장착된 통상의 종이봉투(도시생략)내를 통과하면서 잔류하게 됨에 따라 깨끗한 공기만이 구동실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에 사용되는 종래의 흡입브러쉬(213)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 구조를 갖추고 있다. 즉, 하부면(230)의 중앙에는 모터의 흡입력이 전달되는 공기 흡입구(232)가 형성되고, 상기 공기흡입구(232)에는 전방 공기 유로(235)와 측방 공기유로(237)가 각각 연결되며, 하부면의 양측으로는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240)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흡입구(232)의 후방에는 횡방향으로 회전브러쉬(241)가 장착되어 있고, 상기 회전브러쉬(241)에는 융단청소에 적합하도록 털솔(241a)이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식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기흡입구(232)의 전방에는 회전롤러(242)가 장착되어 있는 바.
상기 흡입브러쉬(213)로 청소작업시 전,후방향으로의 원활한 진행을 돕는 역활을 한다.
한편, 제3도는 상기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240)의 구성을 도시한 바, 즉, 평평한 사각형의 플라스틱판(240a)과, 상기 플라스틱판(240a)의 상부면에 부착되고 단모(短毛)가 조밀하게 형성된 털솔판(240b)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털솔 브러쉬(240)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착제가 도포된 장착바닥면(244)과 밀착하며, 상기 장착바닥면(244)과 상기 장착바닥면(244)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하여 상기 털솔 브러쉬(240)의 상방측부를 고정시키는 돌출부(246)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밀어 끼워 장착하는 방식으로 조립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털솔 브러쉬(240)의 플라스틱판(240a)이 휘어질 정도로 밀어 끼워 넣게 됨으로서, 큰 힘이 요구되며, 상기 장착바닥면(244)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상기 털솔 브러쉬(240)의 하부면이 상기 장착바닥면(244)이 부착됨으로서, 상기 털솔 브러쉬(240)의 장시간 사용으로 인한 마모발생되므로 교체가 요구될때, 상기 털솔 브러쉬(240)를 상기 장착바닥면(244)으로 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흡입브러쉬의 바닥면에 부착하는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의 장착구조를 개선하여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하고 조립성 및 생산성을 도모한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흡입브러쉬 하부면에 형성된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에 있어서,
단모(短毛)로 조밀하게 형성된 털솔판;과
상기 털솔판이 부착되는 상자모양의 몸체부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의 양측부에는 걸림턱부가 형성된 털솔판 수용기; 와
상기 털솔판 수용기의 걸림턱부와 스냅피트(snap fit)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사각관통구멍을 갖추고 상기 흡입브러쉬의 하부면 양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부;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털솔 브러쉬의 장착구조는 단모(短毛)로 조밀하게 형성된 털솔판(240'b)이 부착되는 털솔판 수용기(252)와 상기 털솔판 수용기(252)를 안착할 수 있도록 흡입브러쉬(213)의 하부면(230) 양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부(25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털솔판(240'b)은 상기 털솔판 수용기(252)의 바닥면(252a)에 빗금으로 도시한 접착영역(P)을 통해 부착되고, 상기 털솔판 수용기(242)는 상자 모양의 몸체부(253)를 갖추며, 걸림턱 형상을 갖춘 걸림턱부(253a)를 상기 몸체부(253)의 양측부에 형성시킴으로서, 상기 안착부(254)의 바닥면(254a)의 양측부에 형성된 사각관통 구멍(254b)을 통해 스냅피트(snap fit)식으로 결합하여,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조립된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털솔 브러쉬의 장착구조에 의하면, 종래의 끼워 밀어넣는 방식으로 조립하는 공정을 제거함으로서, 큰 힘을 요하지 않고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고, 털솔 브러쉬를 스냅피트식으로 결합하게 함으로서 접착제에 의한 조립공정을 없애고, 털솔판의 소손등으로인한 교체시 용이하게 탈착가능하게 한데에 효과가 있고, 나아가서, 조립성을 대폭 향상시킴으로서 생산성 향상을 도모한 데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진공청소기(210)의 흡입브러쉬(213) 하부면에 형성된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에 있어서,
    단모(短毛)로 조밀하게 형성된 털솔판(240'b); 과
    상기 털솔판(240b')이 부착되는 상자모양의 몸체부(253)를 갖추고, 상기 몸체부(253)의 양측부에는 걸림턱부(253a)가 형성된 털솔판 수용기(252); 와
    상기 털솔판 수용기(252)의 걸림턱부(253a)와 스냅피트(snap fit)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사각관통구멍(254b)을 갖추고 상기 흡입브러쉬(213)의 하부면(230) 양측부에 오목하게 형성된 안착부(254); 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털솔판(240b')은 상기 털솔판 수용기(252)의 바닥면(252a)에 빗금으로 도시한 접착영역(P)을 통해 부착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KR2019950018035U 1995-07-21 1995-07-21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KR97000700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35U KR970007004Y1 (ko) 1995-07-21 1995-07-21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8035U KR970007004Y1 (ko) 1995-07-21 1995-07-21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226U KR970004226U (ko) 1997-02-19
KR970007004Y1 true KR970007004Y1 (ko) 1997-07-11

Family

ID=1941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8035U KR970007004Y1 (ko) 1995-07-21 1995-07-21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7004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7321B1 (ko) * 2021-01-29 2022-11-16 (주)엘더스티앤엘 프리캐스트 패널을 활용한 레일매립형궤도의 건널목 구간 시공 및 유지보수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226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70577A (en) Brush head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US5502870A (en) Five-function vacuum cleaner nozzle
KR100430041B1 (ko) 전기소제기
US20050076468A1 (en) Cleaning attachment for vacuum cleaner
GB2361629A (en) A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comprising an edge brush integrated bumper
KR100414798B1 (ko) 전기 청소기용 흡입구
CA2329018C (en) Brush and spacer assembly
US5826299A (en)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EP0788758B1 (en) Hand-holdable vacuum cleaner
KR970007004Y1 (ko)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 브러쉬 장착구조
JP3545628B2 (ja) 電気掃除機
KR970007003Y1 (ko) 진공청소기의 바닥청소용 털솔브러쉬 장착구조
KR100424577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흡입구 장착장치
WO2021012507A1 (zh) 吸尘地刷及具有其的吸尘器
US6266846B1 (en) Vacuum cleaner
KR10023143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브러쉬
KR19990016381U (ko) 진공청소기의 빗자루형 보조 브러쉬
KR960000913Y1 (ko) 물걸레 진공청소기의 흡입구
KR0136733Y1 (ko) 진공청소기의 빗자루형 보조 브러시
KR200339351Y1 (ko) 차량용 다기능 진공청소기
KR20010047086A (ko) 진공청소기용 보조흡입구
JP4028784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148058Y1 (ko) 진공청소기
JP2707004B2 (ja) 電気掃除機のノズル
KR890000984Y1 (ko) 진공소제기의 흡입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