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993Y1 -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 Google Patents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993Y1
KR970006993Y1 KR2019930030241U KR930030241U KR970006993Y1 KR 970006993 Y1 KR970006993 Y1 KR 970006993Y1 KR 2019930030241 U KR2019930030241 U KR 2019930030241U KR 930030241 U KR930030241 U KR 930030241U KR 970006993 Y1 KR970006993 Y1 KR 97000699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ball joint
shaft
spherical ball
socket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024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590U (ko
Inventor
오준남
이형규
Original Assignee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만도기계 주식회사, 정몽원 filed Critical 만도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0241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993Y1/ko
Publication of KR9500195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59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9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993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1/00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 F16D1/12Couplings for rigidly connecting two coaxial shafts or other movable machine elements allowing adjustment of the parts about the axi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10Arrangements for locking
    • F16C11/103Arrangements for locking frictionally clamped
    • F16C11/106Arrangements for locking frictionally clamped for bal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제 1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 단면도
제 2도는 본 고안의 분해사시도
제 3도는 본 고안의 우측면도
제 4도는 본 고안의 커플러의 정면도
제 5도는 본 고안을 카메라 다리에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실시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축1a : 볼죠인트
1b, 7 : 넥크부2 : 소켓부
3 : 플랜지부4 : 커플러
4a : 절개부6 : 고정스크류
8 : 커버부
본 고안은 자유도가 녹고 임의의 각도위치에서 용이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축커플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호 각도가 다르면서 고정 또는 회전되는 2개의 축간을 연결,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는 통상의 경우에 엘보 등을 볼트와 너트로 체결하는 결합, 용접에 의한 결합, 리벳팅에 의한 결합방법 등이 알려져 이동되고 있으며, 전동기 등의 축이음에는 고정커플링, 플렉시블커플링, 올덤커플링, 유니버셜 조인트 등이 널리 이용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축간 결합방법들은 어느정도 하중에 견딜 수 있으면서 원하는 임의의 위치나 각도에서 2축간을 고정할 수 없었으며 이 위치의 변위가 가능한 상태로 2축간을 결합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까지 제공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측에는 전, 후, 좌, 우 어느 방향으로 임의 각도로 회전 가능한 볼포인트와 이것과 맞닿는 소켓부 그리고 이들을 연결하는 커플러를 일체형으로 구비하고 이를 간단한 스크류의 나사조임에 따라 필요로 하는 임의의 위치나 각도에서 2축간을 용이하게 고정, 연결하며, 이 연결된 2축의 고정이나 회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축커플링을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항서 첨부한 도면과 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위치 및 회전각이 상호 다른 2축이 상호 연결되어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 2축간에 연결수단을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의 축(1) 단부에 넥크부(1b)로 연결되는 구형의 볼죠인트(1a)를 형성하고 이 구형의 볼죠인트(1a)가 안치되는 소켓부(2)에는 안치부(2a)를 형성하여 이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절구 형상의 소켓부(2)의 타측단 플랜지부(3)에는 1이상의 결합구멍(3a)을 형성하여 이 소켓부(2)에 연결 고정되는 타측에 결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소켓부(2)의 외측에는 상기 소켓부(2)와 구형의 볼죠인트(1a) 전체를 감싸서 내장하는 원통형 커플러(4)의 일방에는 볼트구멍(5)을 형성시켜주어 고정스크류(6)가 소켓부의 오목하게 파여진 넥크부(7)의 측면에 접면하면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커플러(4)의 일측 개구부에는 상기 구형의 볼죠인트(1a)를 감싸는 커버부(8)를 형성하되, 이의 일방에 여러개의 절개부(4a)를 형성시켜 상기 볼죠인트(1a)의 넥크부(1b)가 0~90°까지 임의로 삽입되어 각도가 변환된 상태로 상기 축(1)이 연결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위치 및 회전각이 상호 다른 2축의 상호 연결되어 고정 및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축(1) 단부에 넥크부(1b)로 연결되는 구형의 볼죠인트(1a)를 소켓부(2)의 안치부(2a)에 안치시키도록 하되, 이 절구 형상의 소켓부(2)는 타측단 플랜지부(3)에 형성시킨 결합구멍(3a)을 이용하여 커플러(4)가 감싸는 상태로 타측에 결합시키도록 하고, 이 커플러(4)의 일방에 형성시킨 볼트구멍(5)을 통하여 고정스크류(6)를 체결하므로써 2축간을 연결, 결합하는 것으로 상기 커플러(4) 일측 개구부의 커버부(8)에 형성된 여러개의 절개부(4a)를 선택하여 상기 축(1)의 넥크부(1b)를 삽입하고 이를 상기 고정스크류(6)를 이용하여 체결, 고정하여 2축간이 상호 다른 각도로 결합된 상태에서 고정 또는 회전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축커플링을 이용한 구체적 사용예를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고정사다리를 예시하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카메라(9)를 안치한 상태에서 하부로 신장한 카메라 다리(10)의 하단에 상기 커플링을 결합시키고 이 커플링에 연결 설치되는 축(여기서는 받침부(11))을 상기한 방법으로 고정, 결합시키게 되면, 이상태에서 상기 다리(10)가 고정된 상태로 받침부(11)만을 임의의 원하는 위치로 굴절시킬 수 있으며 이 위치의 변위가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스크류(6)를 제 1도에 도시하듯이 나사조임하여 주면 고정스크류(6)의 선단이 소켓부의 넥크부(7) 하부에 접촉되면서 압착하여 주므로 상기 볼죠인트(1a)가 소켓부(2)의 안치부(2a)에 밀착고정되고 이의 요동이 제한되는 것이다.
또, 상기 카메라 다리(10)와 받침부(11)가 상호 90°의 각도를 이룰 경우에는 상기 커플러(4)의 절개부(4a)에 볼죠인트(1a)가 연결된 넥크부(1b)를 삽입시켜 각도 변환에 따른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2축간의 연결되는 각도가 다를 경우, 상기 커플링 각도를 0~90°의 범위에서 필요로 하는 상태로의 연결, 고정이 가능하며 상기와 같이 카메라 다리 외에도 각종 기구류의 설치, 공작물 안치는 물론 회전축을 연결하는 전동기 등에도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1)

  1. 위치 및 회전각이 상호 다른 2축이 상호 연결되는 회전하도록 하기 위하여 이 2축간에 연결수단이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일측의 축(1) 단부에 넥크부(1b)로 연결되는 구형의 볼죠인트(1a)를 형성하고 이 구형의 볼죠인트(1a)가 안치되는 소켓부(2)에는 안치부(2a)를 형성하여 이들이 상호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절구 형상의 소켓부(2)의 타측단 플랜지부(3)에는 1이상의 결합구멍(3a)을 형성하여 이 소켓부(2)에 연결 고정되는 타측에 결합시키도록 하고, 상기 소켓부(2)의 외측에는 상기 소켓부(2)와 구형의 볼죠인트(1a) 전체를 감싸서 내장하는 원통형 커플러(4)의 일방에는 볼트구멍(5)을 형성시켜주어 고정스크류(6)가 소켓부의 오목하게 파여진 넥크부(7)의 측면에 접면하면서 체결되도록 하며 상기 커플러(4)의 일측 개구부에는 상기 구형의 볼죠인트(1a)를 감싸는 커버부(8)를 형성하되, 이의 일방에 여러개의 절개부(4a)를 형성시켜 상기 볼죠인트(1a)의 넥크부(1b)가 0~90°까지 임의로 삽입되어 각도가 변환된 상태로 상기 축(1)이 연결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KR2019930030241U 1993-12-29 1993-12-29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KR9700069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241U KR970006993Y1 (ko) 1993-12-29 1993-12-29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0241U KR970006993Y1 (ko) 1993-12-29 1993-12-29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90U KR950019590U (ko) 1995-07-24
KR970006993Y1 true KR970006993Y1 (ko) 1997-07-11

Family

ID=19373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0241U KR970006993Y1 (ko) 1993-12-29 1993-12-29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993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590U (ko) 1995-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80184A (en) Angular adjustable clamp yoke
US5827122A (en) Radial free motion driveline
US4703135A (en) Articulated cable bend limiting apparatus
CA2319926A1 (en) High-resistance threaded joint
KR970006993Y1 (ko) 임의 위치고정이 가능한 축커플링
US5732600A (en) Shaft assembly for use in steering systems
GB2181806A (en) Swivel pipe connections
JPH0359286B2 (ko)
JPS5854228A (ja) 軸継手
US6146280A (en) Spring biased universal joint
US4634402A (en) Universal joint capable of accommodating thrust loads
GB2139319A (en) Universal joint
US20230204076A1 (en) A shaft system
CN220272808U (zh) 一种伸缩式多向接头
GB2305788A (en) Moveable connector rotation preventing structure
US20220250258A1 (en) Articulating gripper tooling
JP3798868B2 (ja) 管継手
US3111825A (en) Shield for universal joints
KR980002930A (ko) 유니버설죠인트
JPH0349884A (ja) 管内移動ロボットの連結構造
JPS63219943A (ja) 回転式動力伝達装置
JPH01145493A (ja) 自在管継手
RU1812358C (ru) Эксцентриковое соединение
JPH0632548Y2 (ja) 壁面用ボックスコックの分岐継手
JPH088524Y2 (ja) スリップオン型ケーブル導体接続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7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