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888Y1 -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 Google Patents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70006888Y1 KR970006888Y1 KR2019910012970U KR910012970U KR970006888Y1 KR 970006888 Y1 KR970006888 Y1 KR 970006888Y1 KR 2019910012970 U KR2019910012970 U KR 2019910012970U KR 910012970 U KR910012970 U KR 910012970U KR 970006888 Y1 KR970006888 Y1 KR 970006888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d
- case
- opening
- lead wire
- circuit breaker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3/00—Protective overload circuit-breaking switches in which excess current opens the contacts by automatic release of mechanical energy stored by previous operation of a hand reset mechanism
- H01H73/02—Details
- H01H73/06—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02—Housings; Casings; Bases; Mountings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 (가)(나)(다)는 종래의 인출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 (가)(나)(다)는 본 고안의 인출구조를 보인 분리사시도.
제3도는 (가)(나)(다)는 제2도의 (가)(나)(다)의 결합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케이스11 : 개구부
12 : 단턱부13 : 테이퍼면
2 : 보조편21 : 절결부
본 고안은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조편을 이용하여 케이스의 가공 공수를 절감함과 동시에 다양한 경우에 따른 조립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차단기에 있어서의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를 살펴보면, 제1도 (가)에서와 같이 착단기의 케이스(10) 일측벽상에 소정 길이의 케이스의 벽두께보다 얇은 두께를 가지게 내부의 단턱홈부(20)를 두어서 된 구조로써, 이는 내부 부속장치(40)의 인출선(41) 인출이 필요없을시 그대로 적용되어 사용된다.
이후, 부속장치 1개가 내장될 시에는 2개의 인출선을 케이스(10) 하부로 인출해야 하므로 제1도 (나)에서와 같이 그 폭에 알맞게 단턱홈부(20)로 형성된 얇은 두께의 벽을 커터 등을 이용하여 커팅하여 개구부(30)를 형성해야 하며, 2개 이상의 부속장치가 내장될 시에는 제1도 (다)에서와 같이 4개 이상의 인출선 인출이 되어야 하므로 전 폭에 걸쳐 개구부(30)를 형성시켜 주어야 한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기 형성된 제1도 (가)의 상태와 같은 케이스(10)을 상황에 따라 가공해야만 하는 작업공수를 필요로 하며, 이 작업시 케이스 외관에 홈집을 발생시켜 제품에 치명적인 외관 불량이 자주 일어나 원가 상승의 주요인이 된다.
또한 케이스 사상작업으로 인한 작업환경의 불결 및 작업 능률의 저하 등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케이스의 별도 가공이 필요없이 보조편의 착탈로써 해결하도록 한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가다.
차단기의 케이스(1)로 부속장치의 설치에 따른 인출선의 인출구조에 있어서, 케이스의 일측벽 상부로부터 개구부(11)를 가지며, 하부로는 외향 단턱부(12)를 형성함과 동시에 단턱부의 측벽을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면(13)을 가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중앙에 상기 개구부의 높이에 따르는 깊이와 일정폭의 인출선 인출용 절결부(21)를 가지는 보조편(2)을 상기 양쪽 테이퍼면(13)에 가이드되게 착탈시켜서 된 구조이다.
이 보조편(2)은 결합시 상기 단턱부(12)의 저면으로부터 개구부(11)의 상면에 이르는 높이의 플레이트로 형성되는데, 그 높이는 절결부(21) 깊이의 2배 정도가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제2도(가)는 부속장치(40)가 내설되지 않을 시의 분리사시도로써 보조편(2)의 절결부(21)가 하부로 향하게 하여 테이퍼면(13)에 안내시켜 삽입결합시킨 구조로써, 제 3 도(가)에서와 같이 개구부(11)가 보조편(2)에 의해 막히게 된다.
또한, 제 2 도 (나)는 1개의 부속장치(40)가 내설될시의 분리 사시도로써 보조편(2)의 절결부(21)가 상부로 향하게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결합시킨 구조로써, 제 3 도 (나)에서와 같이 개구부(11)와 보조편(2)의 절결부(21)가 개통되어 2개의 인출선을 인출시킬 수 있게 되며, 보조편(2)을 사용치 않을 시에는 개구부(11)의 좌우 폭을 다 이용할 수가 있어 적어도 2개 이상의 부속장치의 내설시의 인출선을 효과적으로 인출할 수 있게 작용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고안은 절결부를 가지는 보조편과 이에 삽입결합된 케이스의 구조로하여 종래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에 따른 케이스의 가공 및 이에따른 외관 분량에 의한 원가 상승과 사상작업으로 인한 작업환경의 불결 및 작업능률저하 등을 일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 차단기 케이스로 부속장치 설치에 따른 인출선의 인출구조에 있어서, 케이스(1)의 일측벽 상부로부터 개구부(11)를 가지며, 하부로는 외향 단턱부(12)를 형성함과 동시에 단턱부의 측벽을 외측으로 좁아지는 테이퍼면(13)을 가지게 형성됨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개구부(11)의 높이에 따른 깊이와 일정폭의 절결부(21)를 중앙에 가지는 보조편(2)이 상기 테이퍼면에 정역상태로 가이드되게 착탈됨을 특징으로 하는 차단기용 내부 부소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2970U KR970006888Y1 (ko) | 1991-08-16 | 1991-08-16 |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10012970U KR970006888Y1 (ko) | 1991-08-16 | 1991-08-16 |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5612U KR930005612U (ko) | 1993-03-22 |
KR970006888Y1 true KR970006888Y1 (ko) | 1997-07-09 |
Family
ID=193178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10012970U KR970006888Y1 (ko) | 1991-08-16 | 1991-08-16 |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70006888Y1 (ko) |
-
1991
- 1991-08-16 KR KR2019910012970U patent/KR970006888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30005612U (ko) | 1993-03-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541538A (en) | Wiring device covers | |
KR910005522A (ko) | 케이블 커넥터 | |
BR9001463A (pt) | Conector para ser montado em um substrato | |
US5839804A (en) | Computer mainframe housing | |
KR970006888Y1 (ko) | 차단기용 내부 부속장치의 인출선 인출구조 | |
EP0289816B1 (de) | Umfassungszarge zur Verkleidung einer Wandöffnung für eine Tür oder dergleichen | |
KR880006780A (ko) | 반도체장치 | |
JPS5832993Y2 (ja) | 車両用灰皿の取付構造 | |
US3514525A (en) | Single and dual service fittings | |
JPH0331099Y2 (ko) | ||
JP2573177Y2 (ja) | 電線用プロテクタ | |
ATE89683T1 (de) | Mehrpolige entstoerdrossel, insbesondere fuer datenleitungen mit mehreren leitungszuegen. | |
KR920003137Y1 (ko) | 케이스류의 상, 하부 커버 결합구조 | |
KR100251748B1 (ko) | 통신장비의 케이블 인입 메카니즘 | |
JP2794955B2 (ja) | 配電盤の端子台 | |
JPS6238295Y2 (ko) | ||
ITUD960171A1 (it) | Scatola di raccordo per una rete di dati | |
KR920003134Y1 (ko) | 착탈기능을 구비한 기구용 케이스 | |
KR920001595Y1 (ko) | 전화 배선용 종말단자 케이스 | |
JP2562946B2 (ja) | オプション接続窓蓋機構 | |
KR940002346Y1 (ko) | 배선 닥트 | |
KR910005783Y1 (ko) | 조립식 터미날 보드 | |
KR0131226Y1 (ko) | 전기.전자제품의 쉴드 고정장치 | |
KR910005986Y1 (ko) | 전기. 전자제품의 입출력 단자 고정용 브라켓 | |
USRE27549E (en) | Single and dual service fitting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50929 Year of fee payment: 9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