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707Y1 -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 Google Patents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707Y1
KR970006707Y1 KR2019940021908U KR19940021908U KR970006707Y1 KR 970006707 Y1 KR970006707 Y1 KR 970006707Y1 KR 2019940021908 U KR2019940021908 U KR 2019940021908U KR 19940021908 U KR19940021908 U KR 19940021908U KR 970006707 Y1 KR970006707 Y1 KR 9700067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pedestal
holder
fishing
circular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190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6772U (ko
Inventor
이규철
Original Assignee
이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규철 filed Critical 이규철
Priority to KR201994002190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707Y1/ko
Publication of KR96000677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677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7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07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97/00Accessories for angling
    • A01K97/10Supports for ro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2/00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 F21K2/06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using chemiluminesce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낚시대 끌림 방지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제1도는 종래의 낚시대 받침대의 사용상태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받침대의 홀더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의 홀더의 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의 홀더의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의 홀더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의 홀더의 사용상태로서
(가)는 정상적인 사용상태도
(나)는 고기가 물고 나간 상태의 사용 상태도
본 고안은 통상 낚시대의 받치기 위하여 사용되는 낚시용 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낚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기가 낚시대를 끌고 나가는 경우 낚시대의 끌림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를 구비한 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먼저 제1도를 참조하면서, 통상 사용되는 낚시대의 받침대에 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호수 또는 강등에서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10)를 지면으로부터 지지하기 위하여 전반에 받침대(11)를 지면에 꽂아서 사용하고, 후방에는 낚시대(10)의 손잡이 부분을 지지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뒷받침대(12)를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그리고, 근래에 들어와서는 호수의 중앙에 떠있는 좌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하기도 하는데 이때에는 좌대에 고정된 벨트등과 같은 부분에 단순히 받침대(10)만을 고정시켜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통상 지면에 상기 받침대를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지면에 가까운 각도로 받침대의 후단부를 지면에 꽂게 되고, 좌대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통상 좌대에 설치된 벨트 값은 곳에 좌대와 수평으로 상기 받침대의 후단부를 꽂아서 사용하는 것이 보통이다.
상기의 받침대(10)는, 낚시대(10)의 전방부를 지지하기 위한 주걱형상의 홀더(11a)를 구비한다. 제2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홀더(11a)는, 단순히 2갈래로 갈라지고, 그 상면에는 밤낚시의 경우, 뒷받침대의 위치 파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케미라이트 장착공(11b)을 성형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낚시 받침대를 사용하여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지적된다.
먼저, 낚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기의 입질을 알아차리지 못하고 낚시대를 방치한 경우, 고기가 낚시대를 끌고가 버리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최근에 유해하고 있는 향어 낚시의 경우에는 이러한 경우가 더욱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낚시대의 후단부와 연결되는 뒷줄(이는 신축성이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고, 타측을 다른 부분에 고정한다)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나, 별도의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과, 뒷줄이 낚시대의 후단부에 부착된 채로 낚시대를 사용하는 것은 불편함이 뒤따른다.
또한 뒷받침대를 이용하여 고기가 낚시대를 끌고 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제품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으나, 이 역시 별개의 장치를 낚시대의 후단부에 고리를 이용하여 부착하여야 하고, 뒷받침대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점은 최근에 양어장 낚시라고 하는 일종의 좌대를 이용하여 낚시를 행하는 경우에, 뒷받침대의 사용이 어렵기 때문에, 앞받침대 자체에 낚시대의 끌림을 방지할 수가 있는 구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른 문제점으로서, 기존의 받침대에 있는 홀더는 낚시대를 안치하는 홈부분에서 상부로 연장되는 부분이 일정한 각도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그 깊이가 얕아서, 바람이 심한 경우에는 쉽게 날라가 버리는 단점도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별도의 외부 고정 수단없이 낚시대가 고기에 의하여 끌려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바람에 의하여 쉽게 낚시대가 날려가지 않아서 신뢰성 있는 낚시대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는, 낚시대를 안착시키기 위한 V형상의 홀더가 선단부에 부착된 낚시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V형상의 홀더의 하부에, 상부가 일부 개방된 원형의 몸체부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에 의하면, 낚시인의 부주의로 고기가 낚시대를 끌고 나가는 경우에, 원형몸체부에 지름이 두꺼워지는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걸리도록 하여 낚시대를 빼앗기는 일을 방지할 수 있고, 홀더의 홈이 깊어서 낚시대가 바람에 의해 쉽게 날라가는 일을 방지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의 홀더(20)는, V형상의 날개부(22)의 하부에 상부가 일부 개방된 원형몸체부(24)가 일체로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특징은 낚시대가 초리대로부터 손잡이 부분까지는 일정한 테이퍼를 가지고 만들어진다는 점에 착안하고 있다. 즉 낚시대는 초리대는 가늘고, 손잡이 부분이 굵다. 따라서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내부 직경은,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의 직경보다 다소 작게 성형되어서, 낚시대가 끌려 나갈 경우, 손잡이 부근에서 상기 원형 몸체부(24)에 걸리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 날개부(22)는 기존의 받침대의 홀더와 유사한 형상으로 성형된다. 다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낚시대가 끌려 나갈 경우, 낚시대의 손잡이 부분이 걸려서 고기의 힘에 견디도록 하기 위하여, 측면에서 보았을 경우(제4도 참조) 낚시대 받침대의 몸체부(30) 또는 받침대의 몸체부(30)에 결합되는 홀더 고정부(26)의 직각을 이루는 면에 대해서 약 10도에서 20도의 각(θ)(제4도 참조)을 가지고 수직에 가깝도록 성형된다.
상기 날개부(22)의 하단부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원형 몸체부(24)가 일체로 성형되는데, 상기 개방부(24a)는 통상의 낚시대가 위치하는 부분의 낚시대 직경보다 훨씬 크게 성형하여 낚시인이 평상시 자유롭게 낚시대를 놓았다가 둘었다가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개방부(24a)의 크기는 직경에 비해서 작게 성형되는 것이 보통인데, 원형몸체부(24)의 내부 직경이 약 67-70%의 크기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원형몸체(24)는 상기 날개부(22)의 상기 개방부(24a)를 통하여 일체로 성형되는데, 원형몸체부(24)의 내부 직경은, 낚시대의 손잡이부를 직경에 비하여 작게 성형하여야 한다.
다음에는 제4도 및 제5도를 참조하면서,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구조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 홀더의 원형몸체부(24)의 홈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면은 평행한 직선상(P)으로 성형이나. 하면은 전방을 향하여 밑으로 기울어지는 기울기를 구비한 라운딩처리(R)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라운딩 처리부(R)은,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가 끌러 나갔을 경우에, 낚시대가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홈에 더욱 확실하게 걸리도록 하기 위함이다.
다음에는 제5도를 참조하여, 원형몸체부(24)의 상부 개방부(24a)의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개방부(24a)는 상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낚시인이 위치하는 전방(f)은 넓게 성형되고 그 반대면은 상기 전방의 반내측 후방(r)은 비교적 좁게 성형된다. 이렇게 홀더의 개방부(24a)의 홈을 테이퍼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이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시대가 끌려 나갔을 경우, 낚시대는 당연치 초리대가 하방을 물속으로 끌려나가게 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원형 몸체부(24)의 하면홈이 라운딩처리(R)되어 있기 때문에, 이끌려 나가는 낚시대가 천천히 기울게 되고, 이때 상면의 적성부(P)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방(f)가 비교적 넓게 성형되어 있고, 후방(r)이 좁기 때문에 개방부(24a)의 처음에 충격적으로 걸리는 것이 아니고, 중간부분에서도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렇게 중간부분에서도 걸릴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은, 끌려나가는 낚시대가 수심을 향하여 밑으로 기울기 시작하는 것이 평상시보다 빠른 경우에도, 즉 낚시대의 직경이 상기 개방부(24a)의 전단(f) 보다 작은 경우에도, 후단(r)에 걸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원형몸체부(24)의 하면의 라운딩처리부(R)는, 하면이 지성형일 경우와 비교할 때, 지선인 경우에는 끌려 나가는 낚시대가 순간적으로 위로 들리게 되는 경우와 발생하여 개방부(24a)에 충격적으로 작용하기가 쉽다. 이러한 경우에, 충격에 의한 힘의 크기는 연속적으로 작용하는 힘의 크기에 비하면 최소한 2배 이상이 되는 것이기 때문에,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가 받은 힘의 크기가 훨 씬 커져서, 끌려나가는 낚시대를 잡지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이, 원형 몸체부(24)의 하면을 라운딩 처리하고, 상면의 개방부(24a)를 전방에서 점점 좁아지도록 성형하는 경우에는, 이러한 단점이 충분히 보완되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제4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밤낚시의 경우의 편리성을 더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홀더의 적정한 장소(낚시인의 눈에 잘 때는 부분)에 케미라이트 장착홈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에 의한 홀더의 후단부에는 낚시대 받침대(30)에 홀더를 결합하기 위한 홀더 고정부(26)이 성형된다.
상기 고정부(26)는, 받침대의 몸체부(30)의 내부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받침대 몸체부(30)의 외부에 끼워지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다음에는 제6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홀더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고자 한다. 제6도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에는 낚시인은 채비를 원하는 지점에 던진 후에 상기 홀더의 상부로부터 낚시대를 홀더의 원형몸체부 내부에 안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이 때 낚시대가 상기 홀더(20)에 안착하는 부분(M)의 직경은, 상술한 홀더의 개방부(24a)의 크기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낚시인은 자유스럽게 낚시대를 들어서 휘두르거나, 상기 홀더(20) 상에 낚시대를 놓는 것이 가능해 진다.
다음에 낚시인의 부주의로 인하여 고기의 입질을 파악하지 못한 사이에, 고기가 낚시대를 끌고 나가는 경우에는, 제6도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대의 손잡이에 인접한 부분(N)의 직경은, 홀더의 하부에 성형된 원형몸체부(24)의 내부 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원형몸체(24)의 내부에 낚시대가 걸리게 된다. 그리고 바늘에 걸린 고기는 낚시대와 평행한 방향보다는 당연히 물속으로 도망치려는 경향을 보이게 되고, 이 때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즉 물속 깊은 곳으로 잡아 당기는 힘을 보이게 되어, 받침대에 작용하는 힘은, 받침대를 꽂는 방향에 직각인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이렇게 되면, 낚시대는 자체가 가지고 있는 탄성으로 인하여 고기의 힘을 못이겨 낚시줄이 터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하면을 라운딩처리(R)하고, 상면의 개방부(24a)를 전방에서 후방으로 점점 좁게 성형하는 구성에 의하여 끌려 나가는 낚시대를 부드럽게 멈추어서 잡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에 의한 낚시대 받침대는, 상술한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낚시인 부주의로 인하여 고리가 낚시대를 끌고 아닐 경우에, 받침대의 홀더에 성형된 원형몸체부에 낚시대가 자연스럽게 걸리도록 된다. 따라서, 낚시대를 고기에서 빼앗기는 일이 없고, 더욱이 바늘에 걸린 고기의 힘을 낚시대 자체의 탄성으로 제어 가능하기 때문에, 낚시줄이 터지는 염려도 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받침대의 홀더는, 하부에 성형된 원형 몸체부로 인하여 그 깊이가 깊어서, 낚시대가 바람에 의하여 날려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받침대에 구현된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앞받침대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뒷받침대의 홀더에도 본 고안을 실시할 수 있음은 명백하다.

Claims (3)

  1. 낚시대를 안착시키기 위한 V형상의 홀더(20)가 선단부에 부착된 낚시대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V형상의 홀더(20)의 하부에, 상부가 일부 개방될 원형의 몸체부(24)를 일체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하면은, 앞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의 라운딩 처리(R)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형 몸체부(24)의 상부 개방부의 홈의 크기는 전방(f)에서 후방(r)으로 갈수록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시대 받침대.
KR2019940021908U 1994-08-04 1994-08-29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KR9700067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1908U KR970006707Y1 (ko) 1994-08-04 1994-08-29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19741 1994-08-04
KR94-19741 1994-08-04
KR2019940021908U KR970006707Y1 (ko) 1994-08-04 1994-08-29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72U KR960006772U (ko) 1996-03-13
KR970006707Y1 true KR970006707Y1 (ko) 1997-07-02

Family

ID=70736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1908U KR970006707Y1 (ko) 1994-08-04 1994-08-29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707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6772U (ko) 1996-03-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87378A (en) Fishing lure
CA1309252C (en) Upright jigging device
US4367607A (en) Weedless, changeable plastic lure
US4553348A (en) Fishing lure
US2927392A (en) Fish lure
US5335443A (en) Weight for fish lure
US5231786A (en) Fishing lure
US4280296A (en) Tandem fishhook
US1961378A (en) Fishhook
AU2011231456A1 (en) Fishing lure
US5649384A (en) Fish lure
US6112449A (en) Fishing rod holder and method
US3267603A (en) Fish grapple
US2634539A (en) Device for retrieving spinners or the like
US6006465A (en) Fishing lure harness system
KR970006707Y1 (ko) 낚시대 끌림 방지 구조를 구비한 낚시대 받침대
US3827174A (en) Fish-releasing fish hook
JP2019118313A (ja) 餌固定具
US5134800A (en) Fishing lure
GB2067882A (en) Fish hook
US5438788A (en) Fish hook setting device
US5077928A (en) Fishing line rod bobber
JP3749006B2 (ja) 釣り針
US1960488A (en) Fish lure
KR200221827Y1 (ko) 낚싯대 이탈 방지용 고정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