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6335B1 -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 Google Patents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6335B1
KR970006335B1 KR1019880008276A KR880008276A KR970006335B1 KR 970006335 B1 KR970006335 B1 KR 970006335B1 KR 1019880008276 A KR1019880008276 A KR 1019880008276A KR 880008276 A KR880008276 A KR 880008276A KR 970006335 B1 KR970006335 B1 KR 970006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axis
helical gear
hous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02007A (ko
Inventor
에이치. 블랙모어 죤
Original Assignee
에이치. 블랙모어 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 블랙모어 죤 filed Critical 에이치. 블랙모어 죤
Priority to KR101988000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6335B1/ko
Publication of KR90000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6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3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입력 또는 구동축의 축선에 따른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2-2에 따른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선 3-3에 따른 단면도.
제4도는 제1도의 선 4-4에 따른 단면도.
제5도는 제1도의 선 5-5에 따른 단면도.
제6도는 제2도에 상응하는 선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선 7-7에 따른 단면도.
제8도는 가변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제9도는 상세 도시목적으로 부분 절단한 제8도의 토오크 컨버어터의 정면도.
제10도는 제7도에 관한 설명과 유사하며 1방향 브레이크에 연결된 제8-9도의 토오크 컨버어터의 옆면도.
제11도는 제10도의 브레인크의 정면도.
제12도는 멈춤쇠끝의 다른 형상을 도시하고 있는 토오크 컨버어터의 로우터 부분의 개략도.
제13도는 제8도와 유사하나, 복수의 컨버어터들이 제10-11도의 브레이크와 함께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단면도.
제14도는 유압 토오크 컨버어터의 또 다른 실시예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50, 301, 301', 401 : 하우징 12, 14, 40, 52, 54 : 구멍
16, 321, 321', 321 : 구동축(입력축)
18, 331, 331', 331 : 피구동축(출력축)
29, 44, 44A, 44B, 44C, 403 : 헬리컬 기어
42, 42A, 64, 66, 86, 214 : 핀
80, 80A, 80B, 80C, 216, 216A, 216B : 1방향기어(1방향 브레이크)
68, 230, 230A, 230B : 연결로드 78 : 요동판
92, 94, 100, 333, 345, 353, 353', 353 : 홈
146, 146A, 146B, 146C, 170A, 170B, 170C : 피봇기구
148A, 148B : 스프링재료 부재
150, 150B, 355, 355a, 355b, 355', 355 : 멈춤쇠
160, 164, 166, 174 : 베벨기어 188, 190, 192 : 축
212, 212A, 212B : 케이싱
300, 300', 300 : 가변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
313 : 기어 챔버 315 : 유압 챔버
323 : 구동기어 331, 335 : 피구동 기어
337, 351, 405 : 키이 350, 350 : 로우터
356 : 제어장치 409 : 캐리어 케이지
415 : 링크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며, 특히 연속 가변출력 토오크를 얻을 수 있는 트랜스미션에 관한 것이다.
산업과 소비자 양자 모두의 적용에 있어서, 조절가능한 토오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동력원과 부하사이에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 대개 필요하다.
그와 같은 장치의 전형적인 예들은 자동차와 트랙터이다.
그와 같은 장치에 사용되는 종래의 트랜스미션은 선택가능한 기어, 또는 유체 클러치를 채용하고 있다.
지난 수년 동안에는, 벨트 및 폴리 배열이 조절가능한 토오크를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선택가능한 기어들은 입력축과 출력축 사이에 동력을 전달하는데 있어서, 효율적이지만, 기어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클러치에 의해 축으로부터 부하를 제거시키는 것이 필요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불편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유성기어배열도 또한 채용된 바 있으며, 유체클러치와 조합된 유성기어는 제조상 복잡하고 고가이지만 적당한 효율로 동력전달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효율이며 입력 및 출력축 사이의 토오크를 변화시키는 능력을 제공하는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스미션을 부하하에 유지시키는 동안에도 토오크가 연속적으로 변화될 수 있는 그러한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트랜스미션을 부하하에 유지시키는 동안에도 역전될 수 있는 제1실시예에서와 같은 그러한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정량구동 및 연속 가변토오크 출력의 여러 가지 양태를 조합하는 제2실시예의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상 간단하며, 비교적 저렴하고 내구성이 있는 그와같은 트랜스미션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입력축과 출력축이 서로서로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공통축에 장착되어 있으며, 동력은 입력축으로부터 아이들러 기어와 맞물린 출력축상의 기어를 이용하는 출력축으로 전달되며, 아이들러 기어는 입력축에 장착되는 요동판을 통하여 입력축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로드는 요동판과 이이들러 기어와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는 트랜스미션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조에 있어서, 복수의 아이들러 기어들이 출력출상의 기어와 맞물리며, 각각의 아이들러 기어는 연결로드와 1방향기어 또는 브레이크를 통하여 요동판에 연결되어 있다.
제2실시예에서는, 동력이 입력축으로부터 출력축으로 직접 방식으로, 또는 이와는 다른 방식으로, 미리 선정된 저기어비에 의하거나, 1과 상기 저기어비 사이에서 연속적으로 가변되는 기어비에서의 독특한 가변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의 사용에 의하여 전달시킬 수 있는 트랜스미션이 제공되어 있다.
가변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는 정압유체와 가변적으로 연장이 가능한 멈춤쇠의 상호작용을 이용하여 감지된 출력부하에 반응을 일으키는 토오크를 변화시킨다.
본 발명은 다음의 명세와 부수된 도면으로부터 이해될 것이다.
제1 내지 제5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트랜스미션 실시예는 마주보는 옆면상에 일직선으로 정렬된 구멍(12 및 14)을 가진 하우징(10)을 가지고 있다.
구동축 또는 입력축(16)은 구멍(12)내에서 축받이되어 있으며, 피구동축 또는 출력축(18)은 구멍(14)내에서 축받이되어 있다.
출력축(18)은 그 내부끝에 헬리컬기어(20)를 가지고 있으며 이 헬리컬기어(20)는 그 중앙축선이 출력축(18)과 동축을 이루어 장착되어 있다.
헬리컬기어(20)는 중앙축선을 따라서 내부에 뻗는 원통형 공동(2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공동(22)은 입력축(16)의 끝으로부터 동축상으로 돌출하는 원통형 스터브(24)를 수용하며, 이 스터브(24)는 공동(22)내에서 축받이되어서 구동축(16)과 피구동축(18)은 동축으로 유지되며 서로서로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하우징내의 구멍(14)은 26으로 표시된 하우징 한쪽 옆면의 벽을 통하여 뻗으며, 4개의 칸막이들(28,30,32 및 34)은 헬리컬기어(20)의 다른 옆면들과 마주보도록 벽(26)으로부터 향하여 안쪽으로 뻗는다.
각각의 칸막이는 서로 수직하고 구동축(16)과 피구동축(18)의 축선들에 평행한 평면으로 배치되는 2개의 평벽(36 및 38)을 가지고 있다.
칸막이(28 및 34)의 벽(36)들은 동일 평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평면은 칸막이(30 및 32)의 벽(36)을 포함하는 평면에 평행하다.
같은 방식으로, 칸막이(34)의 벽(38)은 칸막이(32)의 벽(38)과 동일한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칸막이(28 및 30)의 벽(38)들은 상기 평면에 평행하게 그리고 동일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28 및 30)의 벽(36)들은 핀(42)을 수용하는 정렬된 구멍(40)을 구비하고 있다. 핀(42)은 구멍(40)내에서 축받이되며, 헬리컬기어(20)와 맞물리는 헬리컬기어(44)를 구비한다.
헬리컬기어(44)는 회전되기 위하여 핀(42)위에 축받이되며, 하우징(50)의 한쌍의 옆판(46 및 48)은 또한 핀(42)이 판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핀(42) 주위를 축받이하는 구멍(52 및 5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0)은 또한 제2쌍의 옆판(56 및 58)들을 가지고 있으며, 옆판(56)은 판(46)에 인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으며 옆판(58)은 판(48)에 인접하여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판(56)은 핀들(46 및 56) 사이에 체결되어 있는 스페이서(60)에 의해 판(46)에 대하여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으며, 판(58)은 그 사이에 체결되는 제2스페이서(62)에 의해 판(48)에 대하여 정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핀(64)은 헬리컬기어(44)의 주변에 인접한 판들(46 및 56) 사이에 뻗어 있으며 제2핀(66)은 핀(64)과 일직선이 되어 있는 판들(48 및 58) 사이에 뻗어 있다.
연결로드(68)의 한쪽 끝은 2개의 평행한 부분(70 및 72)은 2갈래로 갈라져 있다.
부분(70)은 핀(64)을 수용하는 구멍(74)을 가지고 있으며, 부분(72)은 핀(66)을 수용하는 구멍(76)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이 부분(70 및 72)들은 핀(64 및 66)들에 축받이되어 하우징(50)에 체결된다.
연결로드(68)는 구동축(16) 및 피구동축(18)과의 공통평면내에 배치되며 이 축들의 축선과 대체로 평행하다.
하우징(50)과 마주보는 연결로드(68)의 단부는 구동축(16)의 회전과 동시에 요동되게 되는 요동판(78)상에 장착되며, 이후 설명될 것이다.
요동판(78)의 요동의 결과로서, 연결로드(68)는 하우징(50)이 축(42)의 전후로 진동을 일으키게 한다.
하우징(50)은 이후 설명될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80)에 의해 헬리컬기어(44)에 연결된다.
요동판(78)은 입력 또는 구동축(16)을 수용하는 중앙구멍(84)을 가진 원통형 디스크(82)를 이용한다.
핀(86)은 이 구멍(84)을 통하고, 구동축(16)의 중심축선을 통하여 뻗는 보어(88)를 통하여 중심선상에 뻗으며, 이에 따라 요동판(78)을 구동축에 체결한다.
요동판(78)의 디스크(82)내 구멍(84)은 구동축(16)에 대하여 요동판을 선회가능하게 지지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디스크(82)는 편평한 원통형 주변(90)을 가지며, 한쌍의 홈(92 및 94)이 이 주변(9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보올(96)의 왕복 통로를 형성한다.
U자 형상의 원통형 캡(98)이 디스크(82)의 둘레 주위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캡은 보올(96)의 왕복통로를 형성하는 홈(100 및 102)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이 캡은 디스크(8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전한다.
캡은 실질적으로 구형인 몸체(106)가 장착된 외향 연장핀(104)을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50)과 마주하는 연결로드(68)의 단부는 연결로드(68)의 단부허브(110)내의 정합개구(108)에 의해 구형 몸체(106)의 주위에서 축받이된다.
연결로드(68)는 따라서 요동을 요동판(78)으로부터 하우징(50)으로 자유로이 전달할 수 있다.
구동축(16)에 대한 요동판의 각도는 핀(114)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레버(112)에 의해 제어되며, 이 핀은 하우징(10)상에 장착된 구조리브(116)에 체결된다.
슬리이브(118)는 구동축(16)의 주위에 병진이동이 되게 배치되어 있다.
이 슬리이브(118)는 보올 베어링 조립체(122)에 의해 슬라이브상의 고정위치에 장착된 칼라(120)를 구비한다.
레버(112)의 단부는 핀(124)와 레버아암(126)에 의해 칼라(120)상에 장착된다.
요동판(78)에 인접한 슬리이브(118)의 단부는, 구동축(16)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면서 이 슬리이브로부터 뻗어 있는 아암(126)과, 핀(129A 및 129B)에 의해 선회가능하게 연결된 링크(128)에 의해 요동판(178)에 연결되어 있다.
도면을 연결로드(68)를 헬리컬기어(44)에 연결하는 독특한 1방향 브레이크(80)를 예시하고 있지만, 다른 형식의 1방향 브레이크도 또한 채용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야만 한다.
예시된 독특한 1방향 브레이크(80)는 단순한 구조, 낮은 생산비용 및 가역성 때문에 독특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1방향 브레이크(80)는 하우징(50)의 옆판(46 및 48)을 통하여 뻗어 있는 로드(130)를 이용하며, 이 로드는 옆판들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하다.
케이싱(132)은 옆판(46 및 48)들 사이의 로드(130)상에 장착되며, 로드에 부착되어 로드와 함께 회전한다.
이 케이싱(132)은 한쌍의 옆벽(134 및 136)을 가지고 있는데, 이 옆벽들은 로드(130)와, 이 옆벽(134 및 136)들 사이에 뻗어서 4각형 하우징을 형성하는 한쌍의 끝벽(138 및 140)들로부터 매달려 있다.
핀(142)은 끝벽(138 및 140)들 사이의 중앙에 뻗어 있으며, 헬리컬기어(144)는 핀(142)에 축받이된다.
이 헬리컬기어(144)는 헬리컬기어(44)의 둘레와 맞물리게 된다.
로드(130)는 구동축(16)과 피구동축(18)에 수직한 축선에 대하여 케이싱(132)을 선회가능하게 하는 피봇기구와 연결되어 있으며, 이 기구는 146으로 표시되어 있다.
만약 핀(142)이 헬리컬기어(44)와 헬리컬기어(144)와의 접촉점에서의 헬리컬기어(44)에 대한 접선과 평행하게 배치되면, 이 기어(144)는 헬리컬기어(44)와 함께 회전하려 한다. 그러나, 만약 이 기구(146)가 상기 위치로부터 핀(142)을 선회시키면, 헬리컬기어(44)는 한쪽 방향으로의 헬리컬기어(44)의 회전을 방지하는 래치로서 작용할 것이지만, 역방향으로의 회전을 허용할 것이다.
헬리컬기어(144)는 헬리컬기어(144)의 하부 선단 가장자리를 향하는 헬리컬기어(44)의 회전에 있어서 헬리컬기어(44)에 대하여 래치로서 작용한다.
따라서 요동판(78)의 요동은 연결로드(68)가 왕복되게 하고, 따라서 하우징(50)을 축(42)상 주기운동으로 구동시킨다.
1방향 브레이크(80)는 헬리컬기어(144)가 피봇기구(146)에 의해 위치되는 각도에 따르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연결로드(68)의 왕복운동을 헬리컬기어(44)에 전달할 것이다.
헬리컬기어(44)는 헬리컬기어(20)와 피구동축(18)을 구동시키기 때문에, 구동축(16)상의 단일방향 구동에 따르는 회전 방향은 피봇기구(146)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예에서, 피봇기구(146)는, 로드(130)의 한쪽 끝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한쪽 끝으로부터 매달려 있는 스프링강부재(148)를 이용한다.
이 스프링강부재의 반대 단부는 베벨기어(152)의 평표면 위에 장착된 멈춤쇠(150)와 체결된다.
베벨기어(152)는 핀(42)에 고정되며 이 핀(42)은 제어레버(154)로 뻗어 있다.
본 구조에 있어서, 연결로드(68)는 360° 회전에 걸쳐서 헬리컬기어(44)를 회전시킬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본 구조는 헬리컬기어를 단지 90° 구동시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360° 사이클의 실질적 부분에 걸쳐서 출력축을 구동시키기 위하여 헬리컬기어(44)와 동일한 복수의 헬리컬기어에 의해 동력이 전달된다.
상세구조에서는 이 추가적인 헬리컬기어들이 44A, 44B 및 44C로 표시되어 있다.
헬리컬기어(44A)는 칸막이(28) 및 칸막이(34)의 벽(38)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핀(42A)상에 축받이된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헬리컬기어(44B)는 칸막이(34 및 32)의 벽(36)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핀(42B)상에 축받이된다.
이와 같이, 헬리컬기어(44C)는 칸막이(32 및 30)의 벽(38)들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핀(42C)상에 축받이된다.
헬리컬기어(42A,42B 및 42C)의 각각은 연결로드(68A,68B 또는 68C)에 각각 연결되며, 이 연결로드들은 연결로드(78)와 동일한 방식으로 캡(98)의 둘레 주위의 등간격인 위치에서 요동판(78)의 캡(98)에 연결된다.
또한, 연결로드(68A,68B 또는 68C)의 각각은 1방향기어 또는 브레이크(80A,80B 또는 80C)에 의해 각각 헬리컬기어(44A,44B 및 44C)에 연결되며, 이 1방향기어는 1방향기어(80)와 동일하다.
각각의 1방향기어(80A,80B 또는 80C)에, 1방향기어(80)와 함께 작동이 가능한 피봇구조(146)와 유사한 피봇구조가 구비되는 것이 필요하다.
1방향기어(80A)는 매달린 스프링강부재(148A)를 가지고 있는데, 이 부재는 베벨기어(156)의 평표면상의 멈춤쇠(150A)와 체결된다.
베벨기어(156)는 베벨기어(152)와 마주보는 핀(42)의 단부에 장착된 베벨기어(158)와 맞물려서 회전운동을 레버(154)로부터 베벨기어(156)로 전달한다.
베벨기어(156)는 핀(42A)의 한쪽 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베벨기어(160)는 축(42A)의 마주보는 단부상에 장착된다. 베벨기어(160)는 축(42B)의 맞은편 단부에 장착된 베벨기어(162)와 맞물리게 된다.
베벨기어(164)는 핀(42C)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 베벨기어(166)와 맞물리게 되며, 이 핀(42c)의 반대 단부에는 핀(42)상의 베벨기어(152)와 맞물리는 베벨기어(168)가 장착된다.
1방향기어(80B)에는 피봇기구(146B)의 작동을 제공하기 위하여 베벨기어(162)상의 멈춤쇠(150B)와 체결되는 스프링강부재(148B)가 구비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방향기어(80C)용의 피봇기구(146C)의 스프링강부재(148C)는 베벨기어(146)의 후면상의 멈춤쇠(150C)까지 뻗어 있다.
여유있게 하기 위하여, 1방향기어(80)에는 피봇기구(146)에 마주보는 로드(130)의 단부로부터 작동하는 제2피봇기구(170)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제2피봇기구(170)는 구조상 피봇기구(146)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1방향기어(80A)에는 여분의 피봇기구(170A)가 구비되어 있고, 1방향기어(80B)에는 여분의 피봇기구(170B)가 구비되어 있으며, 1방향기어(80C)에는 여분의 피봇기구(170C)가 구비되어 있다.
도면에 예시되어 있는 트랜스미션의 다양한 동작부품들에 윤활을 제공하기 위하여, 하우징(10)은 액체밀봉되어 있고, 오일체(172)는 하우징내에 배치되어 있으며 오일은 부분적으로 예시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예시하고 있다.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의 트랜스미션은 동일한 하우징(10), 구동축(16) 및 요동판(78)을 포함하고 있으나, 헬리컬기어(20,44,44A,44B 및 44C)는 베벨기어 또는 마이터기어로 대체되었으며, 5개의 아이들러 기어(44,44A,44B 및 44C)를 이용하는 대신에 3개의 그와 같은 기어들이 채용되었다.
제6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 또는 구동축(16)은 출력 또는 피구동축(18)이 끝에서 동축상에 장착된 베벨기어 또는 마이터 기어(174)의 축선상에 축받이되어 이들과 함께 회전한다.
베벨기어(174)는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에서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의 헬리컬기어(20)에 상응한다.
3개의 편평한 칸막이(176,178 및 180)는 하우징의 끝벽(26)으로 안쪽으로 뻗어 있으며 입력축(16) 및 출력축(18)의 공통 축선으로부터 동일 거리에 배치되어 있고, 더우기 출력축(18) 주위에 균등간격으로 유지되어 있다.
칸막이(17,178 및 180)의 각각에는 구멍(182,184 및 186)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구멍은 출력축(18)에 수직한 공통 평면에 배치되어 있다.
축(188)은 구멍(182)안에 장착되어 칸막이(176)에 대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
축(190)은 구멍(184) 내부에 배치되어 칸막이(178)에 대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
축(192)은 구멍(186) 내부에 배치되어 칸막이(180)에 대하여 정위치에 고정된다.
각각의 축(188,190 및 192)은 단부에 나사가 형성되어 있으며, 잠금너트(194)는 칸막이(176,178 및 180)에 대하여 각각 축들을 체결하는데 이용된다.
슬리이브(196)는 축(188)상에 회전가능하게 축받이되며, 마이터기어(198)는 칸막이(176)와 마주보는 슬리이브(196)의 끝에 장착되어 마이터기어(174)와 맞물린다.
아이들러 기어(200)는 슬리이브(196)상에 장착되어 슬리이브와 함께 회전하며 이 아이들러 기어(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아이들러 기어(44)에 상응한다.
아이들러 기어(200)의 맞은편에 배치되어 있는 평행벽(204 및 206)을 가진 하우징(202)은 벽(204 및 206)내의 각각의 구멍(208 및 210)에 의해 슬리이브(196)상에 축받이된다.
케이싱(212)은 핀(214)에 의해 하우징(202) 내부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실시예의 케이싱(132)에 상응한다.
1방향기어(216)는 아이들러 기어(200)의 축선에 수직한 축선상에 케이싱내에서 장착되어 있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아이들러 기어(200)는 1방향기어(216)와 같은 헬리컬기어이다.
링(218 및 220)은 아이들러 기어(200)의 맞은편상의 벽(204 및 206)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이 링(218 및 220)들은 슬리이브(196) 주위에 축받이되어 있다.
U자 형상의 브래킷(222)은 링(218 및 220)에 각각 장착되는 단부들을 가지고 있으며, 이이들러 기어(200)의 둘레주위에 바깥쪽으로 뻗어 있다.
나선스프링(224)은 그 한쪽 단부가 브래킷(222) 위에 장착되어 있고 다른 한쪽 단부는 1방향기어(216)를 통하여 뻗어 있는 핀(226)의 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 기어는 핀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스프링(224)은 1방향기어(216)상에 선회가능한 힘을 작용시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반시계 방향으로의 아이들러 기어(200)의 회전을 제한시킨다.
제6도에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3개의 마이터기어들은, 마이터기어(198A 및 198B)가 마이터기어(198)와 동일하며 축(190 및 192)에 각각 배치된 상태로 예시되어 있다.
각각의 마이터기어(198A 및 198B)는 슬리이브(196A 및 196B) 단부에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슬리이브들은 하우징(202)과 동일한 하우징(202A 및 202B)을 선회가능하게 구비한다.
각각의 하우징(202A 및 202B)은 케이싱(212A 및 212B)을 각각 선회가능하게 구비하며, 케이싱(212A)은 1방향기어(216A)를 포함하고 케이싱(212B)은 1방향기어(216B)를 구비하며, 기어(216A 및 216B)는 기어(216)와 동일하다.
하우징(202,202A 및 202B)에는 끝판(227,227A 및 227B)이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이 끝판들은 벽(204 및 206)들 사이에 뻗어 있다.
끝판(227)은 외향 연장핀(228)을 구비하며, 끝판(226A 및 226B)들은 외향 연장핀(222A 및 228B)들을 구비한다.
연결로드(230)는 핀(228)의 한쪽 단부에 장착되어, 입력축(16)과 출력축(18)의 축선과 대체로 평행하게 요동판에 뻗어 있는데, 이 요동판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요동판(78)과 동일하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연결로드(230A)는 핀(228A)으로부터 요동판으로 뻗어 있으며, 연결로드(230B)는 핀(228B)으로부터 요동판으로 뻗어 있다.
연결로드(230A 및 230B)들은 또한 입력축(16)과 출력축(18)의 축선과 대체로 평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제1도 내지 제6도에 관하여 상기 예시된 방식으로 요동판의 주변의 운동과 병진운동이 가능하다.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는, 동력이 대략 120°의 회전에 걸쳐서 각각의 베벨기어(198)를 통하여 전달되는 것 이외에는 제1도 내지 제6도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식으로 기능을 한다.
더우기, 제6도 및 제7도의 실시예는 스프링(224,224A 및 224B)들이 케이싱(212,212A 또는 212B)상의 인장력을 언제나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유지시키기 때문에 구동축(16)에 대하여 피구동축(18)의 역전을 허용하지 않는다.
이제 제8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이후 보다 더 상세히 설명될 바와 같이, 정량저속기어와, 정량직접구동기어 및 이러한 구조를 사용함으로써 출력축 회전속도와 입력축 회전속도 사이의 속도비를, 특정저속기어와 직접구동에 의해 제공되는 1 : 1비에 의해 설정되는 한계들 사이에서 효과적으로 변화시키는 연소가변 토오크 컨버어터를 포함하고 있는 가변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가 제공되어 있다.
이제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가변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이 실시예에서 끝판(303 및 305)과, 환형 하우징 부재(307 및 309) 및 칸막이 부재(311)를 포함하는 하우징(301)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칸막이 부재는 이 하우징(301)을 기어 챔버(313)와 유압 챔버(315)로 분할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하우징을 구성하고 있는 상기 부재들은, 제8도에 잘 도시되어 있으며 판(303), 환형부재(307), 칸막이(311), 환형부재(309) 및 판(305)을 완전관통하여 뻗어 있고 하우징 둘레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보울트(317)에 의해 함께 부착된다.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축(321)은 판(303)을 거치고 유압 챔버(315)를 통하여 칸막이(311)를 지나서 구동기어(323)에 견고하게 키이 이음되어 있는 기어 챔버(313)속으로 뻗어 있다.
이 목적으로, 축(321)에는 구동기어(323)가 위치되어 있는 축소직경부분(325)이 구비되어 있으며, 키이부재(327)가 이들 사이에 설치되어 구동기어(323)가 축소직경부분에 견고히 연결되도록 유지시킨다.
축(321)의 축소직경부분(325)을 지나면 이후 설명될 목적을 위한 한층 더 축소된 직경부분(329)이 구비되어 있다.
제8도를 참조하면, 피구동축(331)이 하우징(301)속으로 장착되어 있으며, 판(305)을 거쳐서 기어 챔버(313)속으로 뻗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피구동축(331)은 구동축(321)의 한층 더 축소된 직경부분(329)을 지지하여 수용하도록 칫수가 정해져 있는 홈(333)을 포함하고 있다.
이점에 있어서, 한층 더 축소된 직경부분(329)과 홈(333)과의 결합은 단지 베어링 결합일 뿐이고 이 한층 더 축소된 직경부분(321)을 통해서 구동축(321)이 피구동축(331)을 직접 구동시키지는 않는다.
제8도를 더욱 더 참조하면, 피구동기어(335)는 키이(337)에 의하여 피구동축(331)에 키이 이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구동기어(323)를 피구동기어(335)와 구동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하여 참조번호 339로 표시된 클러스터기어가 기어 챔버(313) 내부에 구비되어 있다.
이 클러스터기어(339)는 판(305)에 형성된 홈(343)과 칸막이부재(311)에 형성된 홈(345)과의 사이에 뻗어 있는 축(34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 클러스터기어(339)는 구동기어(323)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대직경 기어부분(347)과 피구동기어(335)에 구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소직경기어부분(349)을 포함한다.
따라서,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어떤 작동조건하에서는 정량 저속기어구동이 구동기어(323), 대직경부분(347), 소직경부분(349), 피구동기어(335) 및 피구동축(331)을 거쳐 입력축(321)과 출력축(331)과의 사이에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의 작동이 발생될 조건은 이후에 보다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이제 제8도 및 제9도를 참조하면, 입력축(321)이 키이부재(351)에 의해 로우터(350)에 견고하게 키이 이음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제9도에 잘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로우터(350)는 복수의 반지름방향 연장홈(353)을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반지름방향 연장홈은 멈춤쇠부재(355)를 미끄럼이동가능하게 장착하고 있다.
각각의 홈(353)은 핀부재(357)를 장착하고 있으며 각각의 멈춤쇠부재(355)는 또 다른 핀부재(359)를 장착하고 있다.
핀부재(357 및 359) 사이에는 각각의 멈춤쇠부재(355)를 각각의 홈(353)의 표면(363)쪽으로 잡아당기려 하는 인장스프링(361)이 연결되어 있다. 제9도를 참조하여 더욱 더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멈춤쇠부재(355)는 최외곽표면(365)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 표면의 한계는 선단 가장자리(367)와 후단 가장자리(369)에 의해 형성된다.
제9도를 더욱 더 참조하면, 주변상 연장부재(307)는 또 다른 표면(373)에 의해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표면(371)이 기계 가공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표면(371)은 로우터(350)의 주변표면(375)을 따라서 압력유체(379)로 채워진 각각의 챔버(377)를 정의한다.
부재(307)의 표면(373)과 로우터(350)의 외부주변표면(375)과의 사이의 상호작용이 개별적인 챔버(377)를 완전히 밀봉시키는 작용을 하여 이에 따라 로우터(350)가 회전함에 따라 압력유체(379)가 하나의 챔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챔버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각각의 챔버(377) 내의 압력유체(379)는 정압유체로 간주될 수 있다.
이제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상기 브레이크와 유사하며 토오크 컨버어터(300)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브레이크 부재가 설명될 것이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입력축(321)과 출력축(331)을 가진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본 발명의 브레이크 기구(400)의 하우징(401)을 통하여 축받이 관계로 뻗어 있는 환형연장부재(381)를 판(305)상에 장착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400)는 키이부재(405)에 의해 연장부재(381)에 키이 이음되는 헬리컬기어(403)를 하우징(401) 내에 장착하고 있다.
그와 같이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하우징(401)에 대하여 회전될 수 있지만 브레이크(400)의 헬리컬기어(403)와 함께 회전하는 것은 제한되어 있다.
제11도를 자세히 참조하면, 핀부재(407)가 클러치 하우징(401)내에 캐리어 케이지(409)를 선회가능하게 장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캐리어 케이지(409)의 선회는 링크(415)와 만곡된 로드(417)에 의해 캐리어 케이지(409)의 한쪽 단부(413)에 연결되어 있는 핸들(411)에 의해 제어되며, 이 만곡된 로드는 캐리어 케이지(409)의 단부(413)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뻗어 있으며, 거리는 너트(419)의 위치에 의해 조절된다.
캐리어 케이지(409)의 다른쪽 단부(421)에는 압축 스프링(425)이 주위에 장착된 축(423)상에서 단부(421)가 타고 오르내릴 수 있는 구멍이 구비되어 있다.
그와 같이,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캐리어 케이지(409)를 관찰하면, 스프링(425)은 캐리어 케이지(409)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지지시키려는 경향을 갖도록 작동되는데 이 반시계방향으로의 경향은 로드(417)에 장착된 너트(419)에 의해 저지된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웜기어(429)는 캐리어 케이지(409)의 새들부분(431)에 장착되어 있다.
본 발명의 브레이크(400)의 작동에 있어서, 전환레버(411)가 제11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위치에 있을 때, 기어(403 및 429)들은 완전하게 일직선으로 정렬되어 있으며 헬리컬기어(403)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다.
전환레버(411)가 제11도의 은선으로 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경로의 반대위치로 이동될 때, 너트(419)에 의해 캐리어 케이지(409)에 가해졌던 압력은 제거되고 이에 따라 스프링(425)이 캐리어 케이지(409)의 단부상에서 아랫쪽으로 밀 수 있게 되며 이에 따라 웜기어(429)가 헬리컬기어(403)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캐리어 케이지(409)가 핀(407) 주위를 선회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캐리어 케이지(409)가 이렇게 선회함으로써 헬리컬기어(403)와 웜기어(429)가 장착된 축의 중심이 웜기어(403 및 429)의 피치 직경의 전체합의 1/2보다 더 작게 된다.
이러한 독특한 관계가 존재할 때, 웜기어(403)는 구동축(321)이 회전중인 방향과 동일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지만 반대방향으로는 회전하지 않을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동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은선위치로부터 전환레버(411)가 이동함으로써 너트(419)가 스프링(425)힘에 대하여 캐리어 케이지(409)를 기어(403 및 429)의 일직선 정렬이 재차 얻어지는 위치로 회전시키게 되어 이에 따라 기어(403)가 어느 쪽 방향으로도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 더 자세히 설명하면, 헬리컬기어들이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가로축에 장착될 때, 이 축들의 중심사이의 거리가 기어(403 및 429)의 피치직경의 전체합의 보다 작으면, 정합기어들의 정점과 뿌리 사이의 정압은 정합기어들의 면이 만나는 곳에서 정합기어들의 반경방향 압력을 역작용시키려 할 것이다.
정압은 이 기어들을 잠그려할 것이지만 반면에 반경반향압력은 이 기어들을 서로서로에 대하는 관계로 회전시키려 할 것이다.
기어(429)의 축이 유동 새들(431)에 장착되고 차례로 축(331)에 평행한 축(407)에 장착될 때, 축(407)의 중심과 축(331)의 중심이 적절하게 일정간격으로 유지된다면, 기어(431)는 기어(429)가 장착된 축과 축(331)과의 수직관계가 유지되는 한 어느 한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다.
유동새들(431)이 수직 평면으로부터 이동될 때, 기어(429)는 한쪽 방향으로 여전히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고 유동새들(431)이 기울어지는 방법에 따라서 다른 방향으로 잠길 것이다.
기어(403)가 90°이상의 분리각도를 갖는 쪽으로부터 기어(429) 속으로 회전할 때, 이 기어들은 반경방향 압력에 의해 작용되어 자유롭게 회전할 것이나, 이 각도가 90°미만일 때는 이 기어들이 정압에 의해 작용되어 잠기게 될 것이다.
제8도 내지 제1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1방향 브레이크(400)와 함께 본 발명의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300)가 설명될 것이다.
시점으로서, 압력축(321)에 연결된 원동기는 입력축(321)을 회전시키도록 작동하며, 출력축(331)은 차동기구를 통하여 원동기에 의해 운동하도록 되어 있는 차량 바퀴들에 연결되며, 브레이크 기구(400)는 제11도에 실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핸들(411) 위치에 의해 예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맞물림이 풀리게 된다는 가정이 세워져 있다.
이러한 경우에 축(321)이 회전할 것이고, 축(331)은 고정될 것이며, 클러스터기어(339)가 정지출력기어(335) 주위에서 회전하고 클러스터기어(339)를 하우징(301)에 연결하는 핀(341)이 출력기어(335) 주위에 대한 클러스터기어(339)의 회전을 하우징(301)에 전달하도록 작용할 것이기 때문에 하우징(301)은 축(3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판(305)의 연장부(381)가 하우징을 따라서 회전할 것이며 기어(403)를 하우징(301)과 동일한 방향으로 그리고 축(3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될 것이다.
이제, 차량의 운전자는 핸들(411)을 제11도에 은선으로 도시된 위치로 이동시킬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이렇게 핸들의 이동에 의하여 웜(429)이 기울어지게 되고 이렇게 기울어짐에 따라 기어(403)의 후진운동을 방지하는 한편 기어(403)의 전진 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은선 위치로 핸들(411)을 작용시키면 하우징(301)의 상기 역회전을 멈추게 하도록 작용할 것이다.
이렇게 하는 것에 따라서 구동기어(323), 클러스터기어(339) 및 출력 기어(335)를 거치는 입력축(32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출력축(331)을 회전시키게 될 것이다.
따라서, 출력축(331)은 상기 기어(323,347,349 및 335)에 의해 발생되는 기어비에 의해 결정되는 입력축(321)에 대한 속도로 회전할 것이다.
초기에는, 하우징(301)은 브레이크(400)의 작용에 의한 역회전을 배제한다면 정지상태로 유지될 것이며 초기에는 이후 설명될 바와 같이 입력축(321)과 동일한 방향으로 운동하지 않을 것이다.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챔버(353)로부터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멈춤쇠(355)의 이동은 스프링(361)이 스프링 상수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그 위에 작용하는 원심력의 정도에 영향을 주는 멈춤쇠(355)의 중량에 의해서 제어된다.
따라서, 멈춤쇠 중량과 스프링 강도를 선택함으로써, 더 나아가 챔버(377)의 특정형상 및 그에 따른 멈춤쇠(355)의 동작거리(throw)를 설계함으로써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한 동력곡선이 특정적용을 위하여 설계될 수 있다.
기어들에 의해 체결되는 브레이크(400)와 기어들에 의해 출력축(331)을 구동시키는 구동축(321)으로, 구동축(321)은 또한 로우터(350)를 회전시킨다.
초기에는 로우터(350)의 회전속도가 충분히 느릴 것이므로 멈춤쇠(355)는 스프링(361)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홈(353) 내부에 완전히 유지될 것이다.
구동축(321)과 로우터(350)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입력축(321)의 가속도 곡선상의 어떤 지점에서, 멈춤쇠(355)에 가해지는 원심력은 스프링(361)에 의해 가해지는 스프링 힘을 이겨내도록 충분히 클 것이다.
이 지점에서, 멈춤쇠(355)는 바깥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것이며 입력축(321)의 가속도 곡선을 따라 이 지점을 넘어선 어떤 지점에서 각각의 멈춤쇠(355)의 가장자리(369)는 로우터(350)가 회전함에 따라 챔버(377) 속으로 돌출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할 때, 각각의 멈춤쇠(355)의 가장자리(369)와 각각의 챔버(377)의 외부벽(371)과의 사이의 공간에 약간 제한된 개구가 형성될 것이다.
이 약간 제한된 개구는 챔버를 형성하는 로우터(350)와 환형부재(307)와의 사이에 힘의 불균형이 발생되도록 할 것인데, 이러한 힘의 불균형에 의하여 압력축(321)과 출력축(33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전체 하우징(301)의 미소회전이 일어난다.
하우징(301)의 이러한 미소회전은 출력축(331)과 입력축(321) 사이의 기어비를 미소하게 감소시키는 작용을 할 것이다.
이는 핀(341)을 거쳐서 하우징(301)이 클러스터기어(339)를 출력기어(335)의 둘레 주위에 구비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입력축(321)의 매회전 마다에는 하우징(301)의 미소회전이 존재하게 되는데 이 미소회전은 하우징(301)이 정지되어 있을 경우에 회전하게 되는 것보다 더 약간 더 멀리 출력축(331)을 회전되게 한다.
로우터(350)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멈춤쇠(355)의 가장자리가 챔버(377)속으로 뻗게 되는 크기는 증가되고 이에 따라 압력차동효과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하우징(301)의 회전속도가 증가한다.
로우터(350)로부터의 각각의 멈춤쇠(355)의 연장에 있어서 각각의 미소증분증가로 입력축(321)과 출력축(331) 사이의 기어비는 이에 따라 감소될 것이다.
예컨대, 하우징(301)이 정지된 상태에서의 초기 기어비가 출력축(331)의 매회전당 입력축(321)이 6번 회전하면, 하우징(301)의 초기 미소회전은 기어비를 출력축(331)의 매회전당 5번의 입력축(321) 회전으로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각본에서 입력축(321)의 매 6회 회전당 출력축은 1.2회전수로 회전할 것이다.
입력축(321)의 회전속도가 그 이상 증가하면, 멈춤쇠(355)는 각각의 홈(353)으로 바깥쪽으로 약간 더 뻗을 것이므로 하우징은 약간 더 빠르게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며 기어비는 출력축(331)의 매회전당 입력축(321)의 4회 회전으로 변화될 것이므로 입력축(321)의 매 6회 회전당 출력축은 1 1/2회 회전수로 회전할 것이다.
입력축(321)의 회전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가끔은 입력축의 회전율이 멈춤쇠(355)에 충분한 원심력을 발생시키기에 충분한 고레벨 상태에 있을 것이며 이 멈춤쇠들은 챔버(377)의 외부벽(371)과 체결되기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할 때, 각각의 챔버(377) 내에 밀봉되어 유지되는 유체(379), 로우터(35) 및 환형부재(307)를 통한 하우징(301)은 서로 결합되어 일체로서 이동할 것이므로 출력축(331)은 또한 핀(341)과 클러스터기어(339)의 상호작용에 의해 하우징(301)과 함께 강제적으로 이동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멈춤쇠(355)가 표면(371)과 체결될 때,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입력축(321)과 출력축(331)과의 사이의 직접구동이 달성되는 모우드에 있게 될 것이다.
입력축(321)과 출력축(331)이 이러한 직접 구동모우드로 작동하는 상태에서 축(331)이 1 : 1 기어비로 회전하기에는 너무 큰 추가적인 부하가 축(331)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이러한 사실이 출력축(331), 기어(335), 클러스터기어(339) 및 핀(341)을 거쳐 하우징(301)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챔버(377)내에서 감지될 것이다.
이러한 추가적인 부하의 감지는 멈춤쇠(355)의 표면상에 작용하는 유체에 의해 확인될 것이며 이에 따라 가장자리(369)를 벽(371)으로부터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출력축(331)에 대한 하우징(301)의 회전속도가 미세감소되게 한다.
출력축(331)에 대한 하우징(301)의 회전속도의 이러한 미세감소는 이전에 얻어진 직접 구동비 이상으로 기어비를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부하가 증가됨에 따라 벽(371)들로부터 멈춤쇠(355)들의 가장자리(369)들 사이의 거리는 따라서 증가할 것이며 이에 따라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301)로 하여금 부하가 토오크 컨버어터(300)를 거쳐 입력축(321)에 의해 구동될 수 있기에 충분한 레벨로 기어비를 자동적으로 증가시킬 수 있게 한다.
따라서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요구되는 바에 따라 미리 선정될 수 있는 고정된 직접 구동 저속 끝기어비와, 요구되는 바에 따라 선정될 수 있는 고정된 고기어비와, 멈춤쇠(355), 유체(379) 및 챔버(377)의 벽 사이의 상호 작용에 의한 상기 기어비 사이에서의 무한변속성을 포함한다.
제12도는 멈춤쇠(355,355a 및 355b)가 장착된 상태의 로우터(350)의 개략도이다. 멈춤쇠(355)는 제9도에 도시된 멈춤쇠(355)와 동일한 반면에, 멈춤쇠(355a,355b)는 상기 유체(379)와 상호 작용하는 끝부분이 약간 다른 형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2도는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에게는 명백한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한 상이한 동력 곡선을 얻기 위하여 멈춤쇠(355)의 끝부분들이 변경될 수 있는 몇가지 방법을 도시하기 위하여 포함되어 있다.
이제 제1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토오크 컨버어터(300)가 본 장치의 사용에 의해 얻어질 수 있는 기어비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컨대 각각의 토오크 컨버어터(300)가 4 : 1의 입력 대 출력 저속 끝기어비와 1 : 1의 고속 끝기어비를 가진다면, 2개의 토오크 컨버어터(300)를 연속적으로 적층시킴으로써 16 : 1로부터 1 : 1 사이의 기어비 변화가 달성될 수 있다.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입력축(321')과,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해서는 또한 입력축(321)을 구성하는 출력축(331')을 가지고 있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오크 컨버어터(300) 판(305)의 연장부(381)는 브레이크(400)의 헬리컬기어(403)에 키이 이음되어 있다.
이를 염두에 두면, 제13도의 실시예의 작동은 자명하게 될 것이다.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입력축이 전방으로 회전하는 상태에서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해서는 또한 입력축(321)을 형성하는 출력축(331')은 토오크 컨버어터(300')내의 각각의 기어비에 대해 선택된 특정 기어비를 따르는 비율로 더욱 더 천천히 회전할 것이다.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축(331',321)은 토오크 컨버어터(300)내에 구비된 특정 기어비에 따라서 출력축(331)을 더욱 더 천천히 회전시킬 것이다.
그러므로, 예컨대 토오크 컨버어터(300' 및 300) 양자에 대하여 선택된 기어비가 4 대 1일 경우에는 입력축(321')의 매 16회 회전단 출력축(331)은 한번 회전할 것이다.
브레이크(400)의 체결이 풀린 상태에서 하우징(301' 및 301)들은 각각의 축(321' 및 321)의 회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것이다.
브레이크(400)가 체결된 상태에서, 하우징(301' 및 301)의 이러한 후진 회전은 정지될 것이고 이 시점에서 출력축(331)은 입력축(321')과 동일방향으로 토오크 컨버어터(300' 및 300)내의 각각의 기어비에 따르는 비로 회전할 것이다.
축(321')이 어떤 회전속도 이상으로 가속됨에 따라, 멈춤쇠(355')는 각각의 스프링(361)의 스프링힘에 대하여 각각의 홈(351')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기 시작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하우징(301')은 상기 압력차동력에 의하여 입력축(321')과 동일 방향으로 천천히 회전하기 시작할 것이다.
따라서 입력축(321')과 출력축(331')과의 사이의 기어비는 출력축(331')의 속도가 입력축(321')의 속도에 접근하기 시작함에 따라 감소되기 시작할 것이다.
출력축(331')은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해서는 또한 입력축(321)이기 때문에, 이러한 작용으로 로우터(350)의 회전속도가 증가되게 되며 이에 따라 어떤 지점에서 멈춤쇠(355)가 각각의 홈(353)으로부터 바깥쪽으로 뻗기 시작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현상이 일어나면,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의해 발생되는 기어비는 이에 따라 입력축(321)과 출력축(331)과의 사이의 기어비보다 더 저속비로 되기 시작할 것이다.
출력축(331)의 속도는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변화하는 기어비와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변화하는 기어비 양자에 의해 영향을 받을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증가효과는 제13도의 장치가 하나의 토오크 컨버어터 단독시보다도 훨씬 더 넓은 범위의 기어비들을 갖게 되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각각의 토오크 컨버어터가 4 : 1의 저속끝과 1 : 1의 고속끝의 입력 대 출력기어비를 가진 상태로 제13도에 관하여 주어진 실시예에서, 제13도의 장치는 기어비의 변화를 나타내는 곡선이 상기 변수들, 즉 각각의 멈춤쇠(355,355')의 표면(365,365')의 형상, 각각의 챔버(377 및 377')의 구조, 각각의 스프링(361,361')의 스프링 상수 및 각각의 멈춤쇠(355 및 355')의 중량에 종속되어 있는 상태에서 16에서 1까지의 사이에서 무한히 변화가 가능한 기어비를 갖는다.
따라서 토오크 컨버어터를 더욱 더 적층시킴으로써 승수효과에 의해 군용탱크 및 대형 불도저와 같은 차량의 작동에 유용할 수 있는 매우 낮은 기어비가 얻어질 수 있다.
제14도에 관하여 본 발명의 개량된 유압식 토오크 컨버어터의 또 다른 실시예가 설명될 것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제8도 및 제13도에 관한 상기 특징과 동일한 특징들이 동일한 참조번호에 2중 프라임을 첨자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4도에 도시되어 있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300)와 구조적으로 동일한 것이다.
입력축(321), 로우터(350) 및 홈(353)들에 대한 특정 변형에서는 유일한 차이점이 있다.
제14도에 관하여, 입력축(321)은 그 안에 길이방향 유체 통로(330)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 유체통로는 축(321)의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는 복수의 출력통로(332)를 그 한쪽끝에 가지고 있다.
각각의 통로(332)는 각각의 통로(334)가 통로(330)를 각각의 로우터 홈(353)과 유체적으로 연결시키는 상태로 로우터(350)내의 상응하는 통로(334)와 연결되도록 배열되어 있다.
통로(330)의 다른쪽 끝에서, 복수의 통로(336)는 통로(330)에 유체적으로 연결되도록 그리고 축(321)내부에 반경방향으로 뻗도록 배열되어 있다.
베어링(338)은 통로(336)에 의해 형성된 개구와 둘러싸는 관계로 구비되어 있으며 축(321)은 베어링(338)의 내부에서 이 베어링에 대하여 회전한다.
베어링(338) 내부에는 환형 챔버(340)가 한편으로는 각각의 통로(336)와 유체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편으로는 베어링 통로(342)를 거쳐 보다 더 외부의 통로(344)와 연결되어 구비되어 있다.
통로(344)는 펌프(348)와, 공급 및 배출밸브(352)를 거쳐 압력유체의 저장소(346)로 연결된다.
이 공급 및 배출 밸브(352)는 유체를 저장소(346)로부터 통로(344)를 거쳐 환형챔버(340)로 공급하며 유체를 환형챔버(340)로부터 통로(354)를 거쳐 탱크(346)로 배출시킨다.
필요하다면 마이크로 컴퓨터 또는 다른 형태의 컴퓨터일 수도 있는 제어장치(356)는 펌프(348) 및 밸브(352)의 작동을 제어하고 이에 따라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작동을 제어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제어배선(358)은 장치(356)와 펌프(348) 사이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또 다른 제어배선(362)은 제어장치(356)와 밸브(352) 사이에 연결되어 배치되어 있다.
제14도의 실시예는 필요하다면, 제8도의 실시예가 조작될 수 있는 방식과 동일한 방식으로 조작이 가능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단순히 챔버(340) 내의 유체가 탱크(346)로 배출되는 위치에 밸브(352)를 유지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에서, 유체의 압력은 멈춤쇠(355)에 어떠한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챔버(377)에 대하여 멈춤쇠(355)의 위치를 제어하고 이에 따라 토오크 컨버어터(300)의 토오크 곡선을 변화시키고자 한다면, 제어장치(356)가 가동되고 이에 따라 저장소(346)를 환형챔버(340)와 연결시키는 밸브(352) 내의 통로를 개방시키고 또한 바라는 성능 특성에 따른 선정압력에서 유체를 저장소(346)로부터 환형챔버(340)로 제공하기 위해 펌프(348)를 작동시킬 수 있다.
밸브(352)가 개방되고 펌프(348)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저장소(346)로부터의 유체는 통로(344)를 거쳐서, 환형챔버(340) 속으로, 축통로(336,330 및 332) 속으로 그리고 각각의 홈(353) 속으로 흐를 것이다.
멈춤쇠(355)의 후면에서의 유체압력이 증가됨에 따라, 멈춤쇠는 로우터의 속도에 관계없이 로우터(350)내부에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따라서, 제어장치(356)는 입력축(321)의 회전속도에 관계없이 어떤 선정된 기어비가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300)에 대하여 제어가능하게 설정될 수 있는 위치로 멈춤쇠(355)를 뻗게 하는 충분한 압력으로 홈(353)을 가압하도록 프로그램될 수 있다.
당해 기술분야의 숙련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이내에서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종래의 1방향 로울러 클러치 또는 스프래그 클러치는 예시된 1방향기어나 및 브레이크(80,80A,80B 및 80C)에 대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잇점의 일부분을 달성시킨다.
또한, 바라는 갯수만큼의 많은 토오크 컨버어터(300,300',300)들이 여기에서 시사하는 바에 따라 연속적으로 적층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마이터 기어들이 기능손실 없이 클러스터기어(339)에 대체될 수 있다.
또한 필요하다면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300)는 본 발명의 1방향 브레이크(400)가 없이도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모우드에서는 브레이크 밴드가 하우징(301)을 둘러싸는 관계로 장착되게 된다.
브레이크 밴드가 마찰 체결에 의해 하우징(301)의 회전을 방지하는 상태에서 토오크 컨버어터는 다양한 상호 작용기어들에 의해 발생되는 기어비를 제공하게 된다.
직접구동이 요구될 때와 입력축(321)의 회전속도가 충분히 높은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밴드가 이완되어 이에 따라 입력축(321)과 동일한 속도로 이에 따라 출력축(331)과 동일한 속도로 하우징(301)을 회전되게 한다.
제어수단은 멈춤쇠(355)의 표면(365)과 챔버(377)의 표면(371)과의 맞물림을 감지하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원동기의 꺼짐을 회피하기 위하여 브레이크 밴드를 이완시키는데 반응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명세에 의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된다는 사실을 밝히고자 한다.

Claims (25)

  1. 입력축, 출력축, 이 입력축 및 출력축이 각각 서로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공통 축선상에 상기 축들을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단,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입력축 주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입력축을 가로지르는 축선 주위로 조절가능하게 회전할 수 있는 요동판, 중심축선을 가지고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축선이 출력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출력축상에 장착되는 제1헬리컬기어, 제1헬리컬기어의 중심축선에 수직하게 배치된 중심축선을 가지며 하우징상에 장착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상에 축받이되어 제1헬리컬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하우징 및 제3축 양자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2헬리컬기어, 제3축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헬리컬기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제2판, 입력 및 출력축을 가로지르며 제3축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안에 배치되며 한쪽 단부가 제2판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단부는 요동판의 주변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로드, 그리고 제2판과 제2헬리컬기어 사이에 장착된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는 제3축의 축선과 평행한 축선을 가지며 제2헬리컬기어의 바깥쪽으로 제2판상에 장착되는 제2로드, 제2로드상에 장착되어 제2로드에 체결되어 있는 케이싱, 제2로드에 수직하고 제2로드로부터 이격되어 케이싱상에 장착되며 제3축과 수직을 이루는 평면내에 배치되고 제2헬리컬기어를 중심상에서 가로지르는 핀, 핀상에서 축받이되어 있으며 제2헬리컬기어의 주변과 체결되는 제3헬리컬기어 및 제2로드상에서 케이싱을 선회시키기 위하여 케이싱에 연결되어 있는 피봇기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2. 제1항에 있어서, 피봇기구는 제2로드상의 한쪽 단부에 장착된 스프링재료로 된 편평스트립 및 제3축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제3축상에 장착되고 멈춤쇠를 구비한 휠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스트립은 제2로드에 수직한 평면내에서 제2로드로부터 뻗어 있고 멈춤쇠를 가로지르며, 상기 멈춤쇠는 한쪽 방향으로의 휠의 회전에 반응하는 편평스트립의 한쪽면과 이 한쪽방향의 반대방향으로의 휠의 회전에 반응하는 이 스트립의 한쪽면의 반대쪽면과 체결되며, 이에 의해서 제3축의 회전은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제3헬리컬기어를 선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3. 입력축, 출력축, 이 입력축 및 출력축이 각각 서로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공통 축선상에 상기 축들을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단,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입력축 주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입력축을 가로지르는 축선 주위로 조절가능하게 회전할 수 있는 요동판, 중심축선을 가지며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축선이 출력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출력축상에 장착되는 제1헬리컬기어, 제1헬리컬기어의 중심축선에 수직하게 배치된 중심축선을 가지며 하우징상에 장착되는 제3축, 상기 제3축상에 축받이되어 제1헬리컬기어와 맞물려 있으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제2헬리컬기어, 제3축상에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헬리컬기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제2판, 일단부가 제2판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반대단부는 요동판의 주변에 연결되도록 입력 및 출력축을 가로지르는 평면안에 배치되는 연결로드, 그리고 제2판과 제2헬리컬기어 사이에 장착된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는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제2판의 시계방향운동을 방지하는 제1위치와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제2판의 반시계방향운동을 방지하는 제2위치를 가진 제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4. 입력축, 출력축, 이 입력축 및 출력축이 각각 서로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공통 축선상에 상기 축들을 장착하기 위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수단, 중심에 구멍을 가지고 입력축 주위에 동축상으로 배치되며 상기 입력축을 가로지르는 축선주위로 조절가능하게 회전할 수 있는 요동판, 중심축선을 가지며 출력축과 함께 회전하기 위하여 상기 중심축선이 출력축과 동심을 이루도록 출력축상에 장착되는 제1헬리컬기어, 하우징상에 장착되어 있는 복수의 제3축, 각각의 상기 제3축상에 축받이되어 있으며 각각 동일직경이고 제1헬리컬기어와 맞물려 있는 제2헬리컬기어, 각각의 제3축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제1헬리컬기어로부터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제2판, 복수의 연결로드 및 제2판들 중의 하나 및 인접한 제2헬리컬기어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의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제3축은 출력축에 수직하여 다른 제3축들의 축선과 공통인 평면내에 배치되며, 각각의 상기 제3축의 축선은 동일 각도로 다른 2개의 제3축의 축선과 교차하며, 각각의 상기 연결로드는 제3축의 축선에 수직한 평면에 배치되고 입력 및 출려축을 가로지르며, 한쪽 단부가 제2판중의 하나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다른 단부는 요동판의 주변주위에 등간격으로 유지된 위치에서 요동판의 주변에 연결되며, 각각의 상기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는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제2판의 시계 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제1위치와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제2판의 반시계 방향 운동을 방지하는 제2위치를 가지는 제어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5.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는 인접한 제2헬리컬기어의 바깥쪽으로 상기 1방향기어 또는 1방향 브레이크의 제2판상에 장착되는 제2로드, 상기 제2로드에 장착되어 부착되는 케이싱, 상기 제2로드에 수직하고, 상기 제2로드로부터 이격되어 케이싱상에 장착되며 제2헬리컬기어의 평면내에 배치되어 있는 핀, 상기 핀상에 축받이되어 있으며 상기 제2헬리컬기어의 주변과 체결되는 제3헬리컬기어, 선회가능하게 장착되고 그 양단부에 베벨기어를 구비하고 있는 상기 트랜스미션의 각각의 제3축, 각각의 제2로드의 한쪽 단부에 장착되는 스프링재료의 편평한 스트립을 포함하며; 인접한 제3축들의 베벨기어들은 상호 맞물려 있고, 각각의 베벨기어는 제2헬리컬기어에 인접한 베벨기어의 표면상에 멈춤쇠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스트립은 제3축에 수직한 평면내의 상기 제2로드로부터 제3축을 향하여 뻗어 있고, 스프링재료의 각각의 스트립 단부는 멈춤쇠의 하나를 체결하도록 위치되어 있어서, 제3축들의 회전에 의하여 멈춤쇠가 편평한 스트립들을 체결하고 인접한 제2헬리컬기어에 대하여 각각의 제3헬리컬기어가 선회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미션.
  6. 축, 이 축 주위에 축받이되는 구멍을 가진 판, 이 판에 대한 회전을 위해 축상에 장착된 제1헬리컬기어, 제1헬리컬기어에 직면하는 판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축에 평행한 축선 주위로 선회가능한 케이싱, 케이싱 추축선에 수직한 케이싱상에 장착되며 상기 추축선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축에 수직한 평면상에 배치되며 제1헬리컬기어의 중앙평면을 횡단하는 핀, 핀상에 축받이되어 있으며 제1헬리컬기어의 주변과 체결되는 제2헬리컬기어 및 케이싱을 추축선상에서 판에 대하여 선회시키기 위하여 케이싱에 연결되는 피봇기구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기어.
  7. 제6항에 있어서, 케이싱은 로드상에 장착되며, 로드는 판상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며, 피봇기구는 한쪽 단부가 로드상에 고정되는 스프링재료의 편평한 스트립과 제1헬리컬기어에 대하여 고정위치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휠을 포함하며, 상기 휠은 한쪽 방향으로의 휠의 회전에 반응하는 편평한 스트립의 한쪽면과 역방향으로의 휠의 회전에 반응하는 스트립의 다른쪽면과 체결되도록 적용되는 멈춤쇠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기어.
  8. a) 브레이크 하우징; b) 제1헬리컬기어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된 제1축 수단; c) 상기 제1축 수단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된 제2축 수단; d) 선회 운동을 위하여 상기 제2축 수단상에 장착되는 캐리어 케이지 수단; e) 상기 제1 및 제2축 수단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상에 장착되는 제3축 수단; f) 상기 제3축 수단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헬리컬기어의 주변과 체결되는 제2헬리컬기어; 및 g)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을 상기 제2축 수단 주위로 제어가능하게 선회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에 부착된 작동수단을 포함하여서, 상기 헬리컬기어의 톱니들이 서로서로 실질적으로 일직선으로 정렬되는 위치로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이 선회될 때 상기 제1헬리컬기어는 어느 한쪽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되고, 상기 헬리컬기어의 톱니들이 서로서로에 대하여 일직선으로 정렬되지 않는 위치로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이 선회될 때 상기 제1헬리컬기어는 오직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을 선회의 한쪽 방향으로 기울게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내에 바이어싱 수단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바이어싱 수단에 대하여 작동의 한쪽 방향으로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 수단은 상기 제1헬리컬기어에 키이 이음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축 수단이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1헬리컬기어가 회전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축은 관통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제1축 수단은 토오크 컨버어터의 하우징의 일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토오크 컨버어터는 a) 상기 토오크 컨버어터 하우징; b) 상기 하우징내의 유압 챔버; c) 상기 하우징내의 기어 챔버; d) 상기 유압 챔버내의 입력축; e) 상기 기어 챔버내의 출력축; f) 상기 입력 및 출력축을 구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된 핀 수단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기어수단; g) 상기 입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상기 유압 챔버내의 로우터수단; 및 h) 상기 구멍을 통하여 뻗어 있으며 상기 제1축 수단에 대하여 회전이 가능한 상기 출력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토오크 컨버어터 하우징은 a) 제1, 제2 및 제3판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판은 상기 유압 챔버를 정의하고, 상기 제2 및 제3판은 상기 기어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핀수단은 상기 제2 및 제3판들 사이에 연결되며; b) 상기 유압 챔버의 외부 주변을 정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제1환형부재; 및 c) 상기 기어 챔버의 외부 주변을 정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제2환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클러스터기어를 포함하며 상기 기어수단은 a) 상기 입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구동기어; b) 상기 출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피구동기어를 포함하며; c) 상기 클러스터기어는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피구동기어에 구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로우터 수단은 a) 로우터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로우터의 주변에 개방되어 있고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홈; b) 홈내에서 활주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홈에 장착된 멈춤쇠 부재; 및 c) 각각의 상기 멈춤쇠 부재와 각각의 홈과의 사이에 연결된 인장스프링부재를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인장스프링부재는 각각의 멈춤쇠를 상기 입력축을 향하여 반경방향 안쪽으로 기울게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5. 제14항에 있어서, 복수의 토오크 컨버어터는 제1토오크 컨버어터의 출력축이 제2토오크 컨버어터의 입력축을 포함하고, 제2토오크 컨버어터가 상기 제1축 부재를 포함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상기 입력축내의 통로에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압력유체로 제어가능하게 공급되어 이에 따라 상기 홈내의 상기 멈춤쇠 부재를 제어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방향 브레이크.
  17.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에 있어서, (a) 하우징; (b) 상기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의 모든 운전조건 동안에 상호 독립된 복수의 서브 챔버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내의 실질적으로 정압인 유압 챔버; (c) 상기 하우징내의 기어 챔버; (d) 상기 유압 챔버내의 입력축; (e) 상기 기어 챔버내의 출력축; (f) 상기 입력축 및 출력축들을 구동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핀수단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기어부재를 포함하는 기어수단; (g) 상기 입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상기 유압 챔버내의 로우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로우터수단은 상기 입력 및 출력축 사이에서 회전속도의 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바이어싱 수단에 의해 상기 입력축을 향하여 반경방향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으며 상기 로우터수단의 회전에 반응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a) 제1, 제2 및 제3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판은 상기 유압 챔버를 정의하고, 상기 제2 및 제3판은 상기 기어 챔버를 정의하며, 상기 핀수단은 상기 제2 및 제3판 사이에 연결되며; (b) 상기 유압 챔버의 외부 주변을 정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제1환형수단; 및 (c) 상기 기어 챔버의 외부 주변을 정의하기 위한 실질적으로 환형인 제2환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클러스터기어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기어수단은 (a) 상기 입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구동기어; (b) 상기 출력축에 키이 이음되는 피구동기어를 더 포함하며; (c) 상기 클러스터기어는 상기 구동기어를 상기 피구동기어에 구동적으로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반응수단은 상기 로우터수단 내에서 반경방향으로 뻗어 있으며 상기 로우터수단의 주변에 개방되어 있고 원주상으로 이격되어 있는 복수의 홈과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회전반응수단은 홈내에서 활주운동할 수 있도록 각각의 홈내에 장착되는 멈춤쇠부재를 포함하고 있으며; 인장스프링 수단은 각각의 상기 멈춤쇠부재와 각각의 홈과의 사이에 연결되어 있으며, 각각의 상기 인장스프링 수단은 상기 입력축을 향하여 각각의 멈춤쇠를 반경방향 안쪽으로 기울게 하기 위한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1. 제17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복수의 토오크 컨버어터는 제1토오크 컨버어터의 출력축이 제2토오크 컨버어터의 입력축을 포함하는 상태로 연속적으로 적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홈들은 상기 입력축내의 통로와 유체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통로는 압력유체로 제어 가능하게 공급되어 이에 따라 상기 홈내의 상기 멈춤쇠 부재를 제어가능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토오크 컨버어터는 연장수단 및 출력축을 가진 하우징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연장수단은 1방향 브레이크 기구의 헬리컬기어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출력축은 상기 연장수단을 통하여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4. 제17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출력축이 회전 가능하게 뻗게 하는 연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토오크 컨버어터는 (a) 브레이크 하우징; (b) 상기 브레이크 하우징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연장부에 키이 이음되는 제1헬리컬기어; (c) 상기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상기 하우징내에 장착된 제1축 수단; (d) 선회운동을 위하여 상기 제1축 수단상에 장착되는 캐리어 케이지 수단; (e) 상기 제1축 수단 및 상기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수직하게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상에 장착되는 제2축 수단; (f) 상기 제2축 수단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제1헬리컬기어의 주변과 체결되는 제2헬리컬기어; (g) 상기 캐리어 수단을 상기 제1축 수단 주위로 제어가능하게 선회시키기 위하여 상기 캐리어 케이지 수단에 부착되는 작동부재를 포함하는 1방향 브레이크 기구에 연결되며; (h) 상기 캐리어 케이지의 상기 선회는 제1헬리컬기어가 어떤 소정의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는 제1위치와 상기 제1헬리컬기어가 단지 한 방향으로만 회전되도록 제한되는 제2위치 사이에서 상기 작동부재에 의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의 상기 캐리어 케이지의 선회에 의하여 상기 제1헬리컬기어와의 일직선 정렬위치로부터 상기 제1헬리컬기어에 대한 미소 비정렬위치로 상기 제2헬리컬기어가 이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개량된 토오크 컨버어터.
KR1019880008276A 1988-07-04 1988-07-04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KR9700063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276A KR970006335B1 (ko) 1988-07-04 1988-07-04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80008276A KR970006335B1 (ko) 1988-07-04 1988-07-04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07A KR900002007A (ko) 1990-02-28
KR970006335B1 true KR970006335B1 (ko) 1997-04-25

Family

ID=19275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276A KR970006335B1 (ko) 1988-07-04 1988-07-04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63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5000B1 (ko) * 2019-03-08 2024-03-08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스티어 바이 와이어식 조향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02007A (ko) 1990-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74253A (en) Waddington drive
US3986413A (en) Four-speed automatic coupling transmission
JP2010510452A (ja) 連続可変トランスミッションベースの遊星歯車
US7987958B2 (en) Wedge one-way clutch
CN1068102C (zh) 容积式连接装置以及如此配备的传动装置
US4763544A (en) Infinitely variable positive mechanical transmission
US5800302A (en) Planetary gear drive assembly
US4873893A (en) Infinitely variable positive mechanical transmissions
US5657629A (en) Method of changing speed and torque with a continuously variable vane-type machine
US4476744A (en) Multi-speed fan drive apparatus
KR970006335B1 (ko) 무한가변 정량 기계식 트랜스미션
US4772247A (en) Integrated fixed drive belt sheaves for a continually variable transmission
US5655369A (en) Continuously variable vane-type transmission with regenerative braking
US7985156B2 (en) Mechanically controlled continuously variable automatic transmission
EP0184709B1 (en) Accessory drive device in engine
JP2008157449A (ja) 一体型一方向クラッチ
US5485725A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WO2020149764A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ая коробка передач
US5655370A (en) Vane-type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JP2925144B2 (ja) トランスミツシヨン
CN100427804C (zh) 变矩器
RU2294469C1 (ru) Гидродинамический преобразователь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для коробки передач
US2900845A (en) Transmissions
JP2007333212A (ja) 固定されたステータを備えたトルクコンバータ及びトルクコンバータにおいてタービン及びポンプの回転を制御する方法
JP3787769B2 (ja) 比率差動型無段変速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40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