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901Y1 - 화물운반용 수레 - Google Patents

화물운반용 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901Y1
KR970005901Y1 KR2019940019122U KR19940019122U KR970005901Y1 KR 970005901 Y1 KR970005901 Y1 KR 970005901Y1 KR 2019940019122 U KR2019940019122 U KR 2019940019122U KR 19940019122 U KR19940019122 U KR 19940019122U KR 970005901 Y1 KR970005901 Y1 KR 9700059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cargo
rails
freight transport
ca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91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4845U (ko
Inventor
김연
Original Assignee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김태구 filed Critical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191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901Y1/ko
Publication of KR9600048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484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9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9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3/00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 B62B3/02Hand carts having more than one axis carrying transport wheels; Steering devices therefor; Equipment therefor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요약 없슴.

Description

화물운반용 수레
제1도는 종래 화물운반용 수레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수레의 정면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수레의 평면도
제4도의 (가)도, (나)도 및 (다)도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수레의 사용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힌지4, 5 : 레일
10 : 본체20 : 보조 운반체
24, 25 : 연장레일30 : 이동체
32 : 로울러
본 고안은 화물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중량체 화물의 운반시 문턱등의 돌출 장애물이 있어도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화물운반용 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작업장내에서 화물을 운송할 경우에는 지상고가 낮아 적재 및 하역이 용이하고 고중량의 화물을 운반할 수 있으며, 저가로 제작할 수 있는 관계로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손잡이(2)를 수직설치하고, 하부에는 캐스터(12)를 부착한 형태의 화물운반용 수레(40)가 널리 쓰이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의 화물운반용 수레(40)는 캐스터(12)의 지름이 비교적 작은 관계로 평탄면에서만 사용이 가능하고 문턱 등의 돌출 장애물이 있는 경우에는 인력으로 화물운반용 수레(40)의 앞부분을 들어올려 문턱을 넘은 후 재차 화물운반용 수레(40)의 후미를 들어올려 문턱을 넘어야 하므로 화물의 운반에 많은 시간과 인력이 소모되었으며, 특히 고중량체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에는 상기한 방법과 같이 화물운반용 수레(40)를 들어올릴 수 없어 잭등의 별도 장비 없이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고안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고중량체의 화물적재시에도 돌출 장애물에 제약을 받지 않고 용이하게 화물을 운반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하 첨부한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수레(50)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에는 손잡이(2)를 수직설치하고, 하부에는 캐스터(12)를 부착한 화물운반용 수레에 있어서, 상부에는 레일(4, 5)을 설치하고 선단에는 힌지(3)를 부착한 본체(10)와, 힌지(3)에 의해 본체(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에는 캐스터(12)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본체(10)의 레일(4, 5)과 연결되도록 연장레일(24, 25)을 설치한 보조운반체(20)와, 레일(4, 5) 및 연장레일(24, 25)의 상부에서 유동가능하도록 하부에 로울러(32)를 축착한 이동체(30)를 주요구성으로 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체(10)는 일측부에 손잡이(2)를 수직으로 설치하고 하부에는 캐스터(12)를 부착한 통상의 화물운반용 수레(40)에 상부에는 레일(4, 5)을 평행하게 고정설치하였으며, 손잡이(2)와의 대향면 선단에는 힌지(3)를 부착한 것이다.
보조운반체(20)는 고중량체 화물(W)의 적재운반중 돌출 장애물(H)이 있을 경우, 용이하게 장애물(H)을 통과할 수 있는 한편, 유효적재 면적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한 본체(10)의 힌지(3)에 일측이, 연결되므로써 제2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3)를 중심으로 하여 지면에서 본체(10)의 상부까지 회동이 가능하며, 상부에는 본체(10)의 레일(4, 5)과 일치로 연결되는 연장레일(24, 25)이 설치되어 있고, 그 하부에 본체(10)의 캐스터(12)와 같은 캐스터(17)가 부착된다.
이동체(30)는 상부에 화물(W)을 적재하고 전술한 본체(10)의 레일(4, 5) 및 보조운반체(20)의 연장레일(24, 25)상에서 유동하므로써 본체(10) 및 보조운반체(20)와 지면과 이격을 용이하게 하여 장애물(H) 통과를 용이하도록 한 구성으로 본체(10)의 레일(4, 5) 및 보조운반체(20)의 연장레일(24, 25)과 동일한 간격으로 브라켓(33)에 의해 로울러(32)를 하부에 부착하므로써 본체910)의 레일(4, 5) 및 보조운반체(20)의 연장레일(24, 25)상에서 자유로운 유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의한 화물운반용 수레(50)의 작용효과를 제4도에 의해 이하 설명한다.
(가)도는 이동체(30) 상부에 화물(W)을 적재하고 보조운반체(20)를 지면에 접하도록 한 평탄면과 같은 통상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화물(W)을 적재하고, 화물운반용 수레(50)를 밀거나 끌면서 화물(W)을 운반하다가 돌출장애물(H)이 있을 경우에는 (나)도와 같이 화물(W)이 적재된 이동체(30)를 레일(4, 5) 및 보조레일(24, 25)을 통해 본체(10)로 유동시키고, 보조운반체(20)의 가이드(35)를 잡고 선단을 끌면서 들어올려 보조운반체(20)의 캐스터(12)가 돌출 장애물(H)을 통과하도록 한다음 보조운반체(20)의 캐스터(12)를 지면에 내려 놓는다.
상기한 과정후에는 (다)도와 같이 화물(W)이 적재된 이동체(30)를 보조운반체(20)의 상부로 유동시키고 보조운반체(20)와 같은 요령으로 본체(20)의 캐스터(12)가 돌출 장애물(H)을 통과하도록 본체(20)를 가볍게 밀면서 들어올리므로써 돌출 장애물(H)을 통과시킨다.
상기한 과정에 의해 화물(H)의 운반이 완료되면 보조운반체(20)를 본체(10)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화물운반용 수레(50)의 공간 차지를 최소화하고 보관이 용이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실시하는 본 고안은 고중량체의 화물(W) 문반시에도 적은 인력으로 용이하게 돌출 장애물(H)을 극복할 수 있으며 넓은 유효 제적면적에 의해 다량의 화물(W)을 적재할 수 있는 한편, 운반작업의 완료시에는 화물운반용 수레(50)에 의한 공간차지를 크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일측에는 손잡이(2)를 수직설치하고 하부에는 캐스터(12)를 부착한 화물운반용 수레에 있어서, 상부에는 레일(4, 5)을 설치하고, 선단에는 힌지(3)를 부착한 본체(10)와, 힌지(3)에 의해 본체(10)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하부에는 캐스터(12)를 구비하고 상부에는 본체(10)의 레일(4, 5)과 연결되도록 연장레일(24, 25)을 설치한 보조운반체(20)와, 레일(4, 5) 및 연장레일(24, 25)의 상부에서 유동가능하도록 하부에 로울러(32)를 구비한 이동체(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물운반용 수레
KR2019940019122U 1994-07-29 1994-07-29 화물운반용 수레 KR9700059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122U KR970005901Y1 (ko) 1994-07-29 1994-07-29 화물운반용 수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9122U KR970005901Y1 (ko) 1994-07-29 1994-07-29 화물운반용 수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45U KR960004845U (ko) 1996-02-16
KR970005901Y1 true KR970005901Y1 (ko) 1997-06-16

Family

ID=19389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9122U KR970005901Y1 (ko) 1994-07-29 1994-07-29 화물운반용 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90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7734B1 (ko) * 2019-05-09 2021-01-04 김쌍환 공중화장실용 코너선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4845U (ko) 1996-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13612A (en) Convertible trash container carrier
US4740132A (en) Device for handling containers
JPH01502897A (ja) 運搬車
US4755097A (en) Device for the handling and transfer of a load on a vehicle such as a container or a tray
US2880431A (en) Means for multiple positioning of wheel
US5507509A (en) Adjusting brace panel cart
US5993134A (en) Hand truck with load lifting mechanism
US3870126A (en) Cart stop structure for an elevator
US6543601B2 (en) Unloading apparatus
US3024036A (en) Truck for transporting filing cabinets
KR970005901Y1 (ko) 화물운반용 수레
US3399794A (en) Truck body
CA1114420A (en) Moving dolly
US4729711A (en) Hand truck
US531643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auling material objects
CN210526595U (zh) 一种物流手推车
CN217024961U (zh) 一种便于电梯轿厢装卸货物的装置
US3826512A (en) Cart
US3360145A (en) Roof buggy
US2740637A (en) Hoist hand truck
US3522895A (en) Body lifting and transporting assembly
CN211166833U (zh) Agv小车电池拆装平台
US2227283A (en) Loading ramp for hand trucks
CN212637580U (zh) 一种薄膜转运车
CN218316711U (zh) 一种建筑用运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