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847B1 -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 Google Patents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847B1
KR970005847B1 KR1019900000430A KR900000430A KR970005847B1 KR 970005847 B1 KR970005847 B1 KR 970005847B1 KR 1019900000430 A KR1019900000430 A KR 1019900000430A KR 900000430 A KR900000430 A KR 900000430A KR 970005847 B1 KR970005847 B1 KR 970005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ring
inner cam
cam
wheel
knitt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922A (ko
Inventor
고오지 쓰찌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후꾸하라 쇼오조오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후꾸하라 세이끼 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900011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0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 D04B9/025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one set of needles with stitch-length regul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27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stitch-length reg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제1도는 본원 제실시예를 나타내는 환편기 편성부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원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환편기 편성부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환편기 평성부의 요부단면도.
제4도는 제3도에 도시된 IV-IV선의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에 도시된 V-V선의 단면도.
제6도는 제4도에서 플레이트의 일부분을 잘려낸 플레이트 및 축받침부의 하면도.
제7도는 내측캠링 승강수단이 상이한 구성을 표시한 IV-IV선(제8도에서의 VII-VII선)의 단면도.
제8도는 제1도의 환편기 편성부의 평면도이지만, 제3도와는 내측캠링 승강수단이 상이한 구성을 표시하였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편침(編針) 4 : 킴홀더(cam holder)
6,47 : 내측캠링(cam ring) 7 : 제어캠
15 : 가이드핀 16,43 : 외측캠링
18,38 : 스프로킷휠(sprocket wheel) 19,46 : 엔들리스체인(eddless chain)
23,40 : 축받침부 23b : 긴 구멍
26 : 구동축 28 : 실캐리어링지지대
30 : 실캐리어 31 : 실안내장치
41 : 끝판(end plate) 42 : 보울트
본원 발명은 환편기에서 스티치량( 및 경우에 따라서는 실안내장치도)을 동시에 조성하는 중앙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환편기에서 편지(編地)의 밀도를 바꿀 경우, 스티치량을 소망의 밀도에 맞추어 각 급사구(給絲口)의 캠의 위치를 조정하도록 되어 있다. 즉, 캠의 위치의 조저에 의하여 바늘(針)의 작동 궤적을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구차스러운 일이면서도 그 조정에는 숙련자를 필요로 하고 있다.
또, 특히, 복합침을 사용하는 경우, 각 급사구의 캠위치의 조정에 의하여 바늘의 작동궤적을 변화시키면, 실을 편침(編針)에 공급하는 실안내장치의 설저위치도 동시에 조정하지 않으면, 편침과 실안내장치의 실길(絲道)이 접촉하고 말어, 편침은 일순간에 파손하고 말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편지의 밀도를 바꿀 경우에는, 스티치량의 조정과 실안내장치의 조정을 동시에 하지 않으면 않된다. 이것은 스티치량만의 조정 이상으로 대단히 구차스러운 작업이면서 그 조정에는 숙련자를 필요로하고 있다.
더우기, 많은 급사구를 갖는 환편기의 경우, 급사구가 많으면 많을수록 편지의 밀도를 바꿀때마다 필요이상의 노력과 시간을 소비하여 그 결과 작동비용을 상승시키고 있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다음과 같은 스티치량과 실안내 장치의 쌍방을 동시에 조정하는 중앙제어장치를 제안한 일이었다(일본국 특공소 63-31578호). 즉, 실캐리어링을 거쳐 실캐리어링지지대(지지부재)에 의하여 지지된 실안내장치와 실캐리어링지지대와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으로 된 환편기에서의 개량으로서, 그 캠링을 안내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내측캠링과 외측캠링으로 분할해서 배치하고, 이 내측캠링 위에 실캐리어링지지대와 캠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 하는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급사구(多給絲口) 환편기이다.
본 발명은 그 이전의 기술과 비교하면 각별히 효과적이다. 그러나, 내측 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하는 수단으로서 거대한 구동장치를 내·외 캠링 사이에 설치한다는 것은 이것이 상당한 장소를 차지함과 동시에 치차의 나합부(螺合部)가 정밀하게 만들어져야 하기 때문에 제작 코스트를 상승시키고 있었다.
본원 고안은 상기 발명을 개선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다급사구 환편기에서 스티치량의 조정과, 경우에 따라 실안내장치의 위치조정도, 특별한 숙련을 요하지 않고, 간단하게 또는 단시간에 할수 있으면서 동시에 제작 원가를 대폭 낮추는 것이 가능한 중앙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제1장치)는 편침의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이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을 갖고, 이 캠링은 안내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내측캠링가 외측캠링은 분할하여 배치되고, 더우기 그 내측캠링위에 캠홀더를 설치하면서 동시에 이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가능케 하는 수단으로 된 다급사구 환편기에 있어서, 그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 하는 수단이, 내외캠링 사이에 설치된 복수(複數)개의 휠(wheel) 및 전달수단과, 이 휠축과 나합되어 있는 축받침부와, 환편기 표면에 돌출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휠구동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고안의 스티치량 및 실안내장치의 중앙제어장치(제2장치)는 실캐리어링을 거쳐 실캐리어링지지대에 의하여 지지된 실안내장치와, 편침의 제어캠을 구비한 캠홀더와, 그 실캐리어링지지대와 캠홀더를 지지하는 캠링을 지니고, 이 캠링을 안내수단에 의하여 연결된 내측캠링과 외측캠링으로 분할하여 배치하고, 더우기 그 내측캠링위에 실캐리어링지지대와 캠홀더를 설치함과 동시에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가능케 하는 수단이 설치되어 있는 다급사구 환편기에서,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가능케 하는 수단이 내·외 캐링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휠 및 전달수단과, 이 휠축과 나합되어 있는 축받침부와, 환편기 표면에 돌출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휠구동축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제1, 제2장치에서 휠의 전달수단으로는 체인 또는 톱니형 벨트이다. 제1,제2장치에서 바람직한 것은 휠의 수평방향의 조정은 축받침부의 원주 방향의 긴 구멍에 의하는 것이 좋고, 또는 축받침부와 끝판을 동시에 고정하고 있는 보울트를 약간 느슨하게 한후 끝판을 회전시키므로써 자유로히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구동휠을 회전시키면, 전달 수단을 개재하여 일련의 휠을 회전시킨다. 이 휠의 회전운동은 나사부를 거쳐 가이드핀을 안내로 하여 내측캠링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한 제1장치에서 내측캠링위에 설치된 캠홀더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한 제2장치에서는 캠홀더뿐만 아니라, 실캐리어링지지대 및 실안내 장치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소망의 편지의 밀도에 맞추어 제1장치에서는 스티치량을 제2장치에서는 스티치량 및 실안내장치의 양쪽을 동시에 조정하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다.
다음에, 첨부도면에 따라 실시예를 설명하겠다.
본 고안의 제1실시에를 나타내는 제1도에서, 부호(1)은 실린더를 표시하고, 이 실린더(1)의 외주에는 원형으로 병행한 축선방향으로 뻗은 침구(2)가 형성되어 있다. 각 침구(針溝)(2)에는 수직방향으로 활동(滑動)이 자유로운 편침(3)이 수용되어 있다.
실린더(1)와 대향하는 캠홀더(4)는 보울트(5)에 의하여 내측캠링(6)위에 고정되어 있다. 이 캠홀더(4)에는 편침(3)을 제어 혹은 작동시키는 캠(7)이 설치되어 있다.
편성시에 편침(3)과 협동하는 싱커(8)는 수평 방향으로 배치된 싱커 다이얼(9)에서 반경방향으로 슬립(slip)이 자유롭게 된다. 싱커(8)는 싱커캡(Sinker cap)(10)에 장착되어 있는 싱커탭(11)에 의하여 제어 또는 작동된다. 싱커캡(10)은 캠링(2)속에 수용되어 있다.
상기한 실린더(1)의 하측부에는 이것과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구동치차(13)가 있으며, 통상 기계에 배치되어 있는 구동원에서 구동되었을때 실린더(1)와 동시에 같은 속도로 회전한다.
부호(14)는 기초부로서, 이 기초부(14)에는 안내수단, 예컨데 가이드핀(1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는 내측 캠링(6)과 외측캠링(16)이 수용되어 있다. 가이드핀(15)은 캠링 원주상에 6개소 정도 설치되어 있다. 외측캠링(16)은 보울트(17)에 의하여 기초부(14)에 고정되어 있다. 내측캠링(6)은 후술하는 수단에 의하여 단독 승강이 가능하다. 싱커캠(10)위에는 등간격으로 4내지 6개의 실캐리어링지지대(28)가 배치되어 있고, 이 실캐리어링지지대(28)의 앞끝에는 보울트(29)에 의하여 실캐리어링(30)이 설치되어 있다. 실캐리어링(30)의 아래쪽에는 실안내장치(31)가 보울트(32)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실안내장치(31)는 홀더(33)와, 편성실을 안내하기 위한 실캐리어(34)를 지니고 있다.
한편, 외측캠링(16)위에는 실캐리어링지지대(28)의 거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실캐리어링지지대(28)와 같이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캠링 지지대(35)가 있으며, 이 캠링 지지대(35)의 선단에는 캠링(12)이 보울트(36)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캠링(6)은 단독 승강을 가능케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제3도에 표시한 것 같이, 내측캠링(6)의 외경의 원주 아래에는, 6개 정도의 전달수단, 예컨대, 휠 요소(要素)로서 스프로킷휠(18)이 수용되어 있고, 각 스프로킷휠(18)에는 엔들리스(endless)체인(19)이 걸려 있다. 전달수단으로서, 톱니형 벨트 기타, 유사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스프로킷휠(18)은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수직축(20)에 고착되어 있고, 이 수직축(20)의 상단부에는 축방향의 움직임을 저지하는 끝판(21)이 나사(22)에 의하여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킷휠(휠 요소)(18)의 상단면은 내측캠링(6)의 아랫면(6a)와 맞닿도록 접촉되어 있다.
수직축(20)의 하단부는 숫나사부(20a)를 갖고, 이 숫나사부(20a)가 축받침부(23a)와 나합되어 있다. 축받침부(23)의 플랜지부에는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원주상에 3개의 긴 구멍(23b)이 형성되어 있어, 축받침부(23)가 어떤 위치에 있어도 외측캠링(16)의 아랫면에 균등하게 분할된 6개의 보울트 구멍의 어느 3개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축받침부(23)의 바로 아래에는 판(24)이 있으며, 이 축받침부(23)와 같이 보울트(25)에 의하여 외측캠링(16)의 내경·하면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복수의 스프로킷휠(18)사이에는 내측캠링(6) 윗면에 돌출되어 있는 적어도 1개의 구동축(26)을 갖는 스프로킷휠(27)이 설치되어 있다. 스프로킷휠(27)은 구동축(26)을 지니며, 내측캠링(6) 윗면에 돌출하고 있다. 제5도에 표시한 것 같이, 구동축(26)의 상단부를 6각 렌치 등의 공구로 돌리면, 그 아래쪽의 스프로킷휠(27)을 회전시켜, 엔들리스체인(19)에 의하여 일련의 스프로킷휠(휠 요소)(18)을 회전시킨다. 이 스프로킷휠(18)의 회전운동은 체인(19) 및 나사부(20a),(20b)를 거쳐 가이드핀(15)을 안내로 하여 내측캠링(6)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제7도는 내측캠링 단독승강 수단이 틀리는 별도의 실시예를 표시하고 있다. 전술한 내측캠링 단독 승강 수단과 틀리는 곳은, 엔들리스체인이 각 스프로킷휠의 내측에 걸려있는 것과, 이 휠의 축 상단부와 축받침부가 나합되어 있는 것이다.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프로킷휠(37)은 수직축(39)에 고착되어 있고, 수직축(39)의 상단수는 숫나사부(39a)를 갖고, 이 숫나사부(39a)가 측받침부(40)의 암나사부(40a)와 나합되어 있다. 축받침부(40)는 끝판(41)과 같이 보울트(42)로서 고정되어 있다.
수직축(39)의 하단부는 축방향의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외측캠링(43)의 아랫면에서 약간 돌출하고 있어, 이것에 의하여 수직축(39)의 하단부와 끝판(44)이 같이 나사(45)에 의하여 설치되었을때 끝판(44)과 외측캠링(43)의 아랫면에 약간의 간격이 생긴다.
제8도에 표시한 것 같이, 각 스프로킷휠(38)의 내측에는 전달수단, 예컨대 엔들리스체인(46)이 걸려 있고, 엔들리스체인(46)의 내측에는 제7도에 표시한 것 같이, 채널형 체인 가이드(46a)가 설치되어 있다. 전달수단으로서, 톱니형벨트 기타, 유사한 기구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체인가이드(46a)는 외측캠링(43)의 내경부(內經部)에 형성되어 있고, 때문에 내경부가 넓고, 또한 높게 되어 있다. 이에 따라 내측캠링(47)의 하측 외경부도 넓게 되어 있다.
또 복수의 스프로킷휠(38)사이에는 전술(제4도)의 캠링단독 승강장치와 같이, 내측캠링(6) 윗면에서 돌출하고 있는 적어도 1개의 구동축을 갖는 스프로킷휠이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전술의 제5도와 구조가 같다.
제5도의 도면을 다시 참조하면, 구동축(26)의 상단부를 6각 렌치등의 공구로 돌리면, 그 아래쪽의 스프로킷휠(27)을 회전시켜, 엔들리스체인(46)에 의하여 일련의 스프로킷휠(38)을 회전시킨다. 제7도의 내측캠링 단독 승강장치에 의하면, 제4도의 장치에 비하여, 작은 힘으로 구동축(26)을 회전시킬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제2도의 본 고안의 제2실시예를 표시하고 있으며, 제1도의 제1실시예와 틀리는 곳은, 내측캠링(6)위에 등간격으로 4내지 6개의 실캐리어링지지대(37)가 배치되어 있는 점이다.
한편, 외측캠링(16)위에는 실캐리어링지지대(37)의 거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그 실캐리어링지지대(37)의 같게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제1실시예의 것과 같은 캠링지지대(35)가 있다. 내측캠링만을 단독으로 승강시키는 장치에 대하여도 제1실시예와 같다.
기타, 특히 설명아니한 구성부분은 제1실시예와 같다. 본원 고안의 중앙제어장치는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내측캠링만이 단독으로 승강 가능한 것으로, 제1실시예에서 이 내측캠링위에 설치되어 있는 캠홀더를, 또 제2실시예에서는 캠홀더와 동시에 실캐리어링지지대, 나아가서는 실안내장치도 동시에 승강시키는 것이다.
더우기, 내측캠링만을 승강시키는 기구는 종래의 것과 비교하여 그 구조가 간단하여, 시판되는 물건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싼값으로 제작할 수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스티치량의 조정( 및 필요에 따라 실안내장치의 위치 조정)을 특별한 숙련작업을 요하는 일 없이 극히 간단히, 또 단시간에 할수 있기 때문에 생산성을 향상시킬수 있으면서 동시에 염가로 실시할 수 있다.

Claims (5)

  1. 편침(3)의 제어캠(7)을 구비한 캠홀더(4)와, 이 캠홀더(4)를 위에 놓은 내측캠링(6,47)와, 이 내측캠링(6,47)의 외주와 접하여 내측캠링(6,47)을 지지하는 외측캠링(16,43)을 지니고, 이 외측캠링(16,43)상에는 지지부재(28,35)와 이것에 지지된 실안내장치(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내측캠링(6,47)와 외측캠링(16,43)중 내측캠링(6,47)만을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 하는 수단을 지닌 다급사구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캠링(6,47)만을 단독으로 승강가능케 하는 수단이, 상기 내측캠링(6,47)과 외측캠링(16,43)의 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휠요소(18,38) 및 전달수단(19,46)과, 상기 휠요소(18,38)에 관련하여 작용하는 나합수단(螺合手段)(20a,23a;39a,40a)과 상기 휠요소(18,38)에 관련하여 작용하는 1개 이상의 휠구동수단(26)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휠구동수단(26)의 조작시에는 상기 전달수단(19,46)을 개재하여 일제히 각 휠요소(18,38)에 회전운동을 허여함과 동시에 상기 나합수단(20a,23a;39a,40a)에 의하여 상기 내측캠링(6,47)을 상승 또는 하강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서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
  2. 편침(3)의 제어캠(7)을 구비한 캠홀더(4)와, 이 캠홀더(4)를 얹혀 놓은 내측캠링(6,47)을 보유하는 외측캠링(16,43)을 지니고, 상기 내측캠링(6,47)상에는 상기 캠홀더(4)외에 지지부재(37)와 이것에 지지된 실안내장치(31)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상기 내측캠링(6,47)과 외측캠링(16,43) 중 상기 내측캠링(6,47)만들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 하는 수단들 지니는 다급사구 환편기에 있어서, 상기 내측캠링(6,47)만을 단독으로 승강 가능케 하는 수단, 상기 내측캠링(6,47)과 외측캠링(16,43)사이에 설치된 복수개의 휠요소(18,38) 및 전달수단(19,46)과, 상기 휠요소(18,38)에 관련하여 작용하는 나합수단(20a,23a;39a,40a)과, 상기 휠요소(18,38)에 관련하여 작용하는 1개이상의 활구동수단(26)으로 되어 있으므로, 상기 활구동수단(26)의 조작에는 상기 전달수단(19,46)을 개재하여 일제히 휠요소(18,38)에 회전운동을 허여함과 동시에 상기 나합수단(20a,23a;39a,40a)에 의하여, 상기 내측캠링(6,47) 및 이 내측캠링에 지지되어 있는 실안내장치(31)을 상승 또는 하강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서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휠요소(18,38)의 전달수단이 체인(19,46) 또는 톱니형 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편기에서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휠요소(18)의 수평방향의 조정이 축받침부(40)의 원주방향의 긴구멍(23b)에 의하여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한 환편기에서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휠요소(38)의 수평방향의 조정이 축받침부(40)와 끝판(41)을 동시에 고정하고 있는 보울트(42)에 약간 느슨하게 한 후, 끝판(41)을 회전시키므로써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한 환편기에서의 스티치량의 중앙제어장치.
KR1019900000430A 1989-01-23 1990-01-15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KR9700058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6776 1989-01-23
JP677689 1989-01-23
JP1989067447U JP2536243Y2 (ja) 1989-01-23 1989-06-09 丸編機におけるステッチ量の中央制御装置
JP89-67447 1989-06-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22A KR900011922A (ko) 1990-08-02
KR970005847B1 true KR970005847B1 (ko) 1997-04-21

Family

ID=263409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430A KR970005847B1 (ko) 1989-01-23 1990-01-15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36243Y2 (ko)
KR (1) KR970005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09326B2 (ja) * 2004-10-06 2009-08-0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プラント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922A (ko) 1990-08-02
JP2536243Y2 (ja) 1997-05-21
JPH02140991U (ko) 1990-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07560A (en) Two wheel lapping machine
KR950014410A (ko) 환편기의 스티치량 자동조정장치 및 방법
KR970005847B1 (ko) 환편기(丸編機)에서의 스티치(stitch)량의 중앙제어장치
US5388747A (en) Positive yarn feeding device
US7055346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for hosiery or the like, with device for actuating the knockover sinkers
KR0122595B1 (ko) 환편기
KR860000954B1 (ko) 환편기에 대한 스테치량 및 실안내 장치의 중앙 제어장치
DE69023216T2 (de) Rundstrickmaschine.
US5018370A (en) Central stitch controlling apparatu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
GB1531445A (en) Yarn feed roller assembly for a pattern attachment for a tufting machine
KR950003316Y1 (ko) 환편기 (丸編機)
US5224360A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having removable cylinder
CN206542700U (zh) 一种定位可靠结构紧凑的升降平台
KR20040022188A (ko) 하나이상의 가동 실 가이드를 가지는 원형 편직기
US5467864A (en) Dual purpose apparatus to manipulate workpieces
US2835120A (en) Cam means for knitting machine
KR100304420B1 (ko) 누비기
US4394988A (en) Arrangement for constant feeding of yarn
US3740972A (en) Patterning wheels for weft knitting machines
KR102243908B1 (ko) 육묘상자 강제 이송장치
KR830002903B1 (ko) 복수 니들 실린더형 양말편직기
CN216327796U (zh) 机械加工用平移机械装置
KR200165559Y1 (ko) 환편기 바늘에서 사도를 이격시키는 장치
KR0174802B1 (ko) 원통화한 정,역회전 방식의 인타샤 전용 횡편기
KR930000342B1 (ko) 환편기의 캠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