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764B1 -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764B1
KR970005764B1 KR1019940010222A KR19940010222A KR970005764B1 KR 970005764 B1 KR970005764 B1 KR 970005764B1 KR 1019940010222 A KR1019940010222 A KR 1019940010222A KR 19940010222 A KR19940010222 A KR 19940010222A KR 970005764 B1 KR970005764 B1 KR 970005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dow mask
frame
mask fixing
cathode ray
bimeta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02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376A (ko
Inventor
강상오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02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764B1/ko
Publication of KR950034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7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01J29/07Shadow masks for colour television tubes
    • H01J29/073Mounting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shadow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제1도는 종래 플레임이 적용된 칼라 음극선관의 요부 구조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프레임에 섀도우마스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제3도는 제1도의 A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제4도는 본발명 프레임이 적용된 칼라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도.
제5도는 본발명 프레임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
제6도는 본발명 프레임에 섀도우마스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제7도 (a), (b)는 종래와 본발명 구성에 따른 변위 보상 그래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프레임 11a : 코너부
11 : 섀도우마스크 고정부 11c : 스커트부
본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온도에 따라 변형되는 바이메탈부재를 일체화하여 기기의 작동시 상기 프레임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의 도밍(Doming)에 대한 초기보상을 효과적으로 이룰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주로 텔레비전 수상기나 모니터 등에 사용되어 영상신호(휘도신호와 칼라신호)에 의해 적, 녹, 청색의 발광체를 발광시킴에 따라 칼라 화면이 재현되도록 한 것으로서,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내부면으로 형광체(2)가 도표된 판넬(Pannel)(1)의 후방으로 단면이 축소된 네크(Neck)부(3)가 일체화되어 있는 펀넬(Funnel)(4)이 고정되어 외형을 이루고 있고, 상기 네크부(3) 내에는 전자빔을 방출시킬 수 있도록 전자총(5)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판넬(1)의 네크부(3) 전방 외주면에는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시켜 주도록 편향요크(6)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네크부(3)의 대향측인 판넬(1) 내부에는 복수개의 지지스프링(7)에 의해 프레임(8)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프레임의 후방에는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이 지자계나 누설자계에 의해 진로가 변형되지 않도록 막아주는 인너쉴드(Inner Shield)(9)가 고정되어 있고 상기 프레임(8)의 전방에는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의 일부가 통과되도록 슬롯(Slot) 혹은 도트(Dot) 형상의 구멍이 무수히 많이 뚫린 섀도우마스크(10)가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전원을 공급하면 펀넬(4) 후방으로 일체화된 네크부(3) 내의 전자총(5)이 작동되어 전자빔을 방출하고 이방출된 전자빔은 상기 네크부 전방 외주면에 설치된 편향요크(6)의 자계에 의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편향되는데, 이때 복수개의 지지스프링(7)에 의해 판넬(1)의내측으로 지지된 프레임(8)의 후방 인너쉴드(9)가 편향된 상태로 계속 방출되는 전자빔의 지자계나 누설자계를 막아 상기 전자빔의 진로가 도중에 변형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전자총(5)에서 방출된 전자빔은 프레임(8)의 전방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10)에 도달하여 일부만이 상기 섀도우마스크에 형성된 각 구멍의 통과한 다음 판넬(1)의 내측면에 도포된 형광체(2)에 부딪히므로 상기 형광체를 이루는 적, 녹, 청색이 발광하고 이에 따라 화상이 맺혀지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같은 칼라 음극선관에서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여 주는 종래 프레임(8)은 직사각 형태를 갖는 전부분이 동일한 재질의 철판물로 된 구조이므로 전자총(5)이 작동함에 따라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되어 프레임(8)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10)까지 도달한 전자빔은 약80%가 상기 섀도우마스크(10)에 의해 차단되고 나머지 20%만 섀도우마스크를 통과하여 판넬(1)의 형광체(2)에 부딪히게 되는데, 이 때 섀도우마스크(10)는 전자빔의 충돌에 의해 발열되어 열팽창되므로 제2도에 도시된 이점쇄선과 같이 부풀어 오르게 된다.
상기한 섀도우마스크(10)의 이점쇄선과 같은 부풀림은 전자총(5)이 작동되어 전자빔을 방출하기 시작한 후 수분동안 급격하게 발생하는데, 이 때 섀도우마스크(10)의 열이 상기 섀도우마스크를 고정하고 있는 프레임(8)으로 전달되므로 상기 프레임도 제2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외측으로 열팽창 된다.
한편 섀도우마스크(10)가 부풀어 오르면 상기 섀도우마스크와 판넬(1)의 간격이 달라지게 됨과 함께 섀도우마스크(10)에 형성된 구멍과 형광체(2)의 위치가 달라지므로 상기 섀도우마스크(10)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경로가 변하게 되어 경로 변위량에 대응되는 양 만큼의 미스랜딩(Miss Lnding)이 형광체에 발생되고 이로인해 화면상의 색순도가 저하되는데, 이와같은 현상은 프레임(8)이 섀도우마스크(10)의 열을 전달 받아 외측으로 열팽창되기 전까지 일어난다.
그러면 프레임(8)이 외측으로 열팽창되면 섀도우마스크(10)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경로가 다시 변하지 않게되어 형광체(2)에 미스랜딩이 발생되지 않는데, 이는 프레임(8)이 외측으로 열팽창될 때 상기 프레임을 판넬(1)에 지지시켜 주는 지지스프링(7)이 수축되면서 외측으로 팽창되는 프레임(8)을 제3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밀어주므로 가능하다.
그러나 종래 이와 같은 프레임은 전부분이 동일한 재질의 단순한 철판물로 되어 있으므로 동작시 섀도우마스크가 열을 받아 부풀어 오를때 프레임이 상기 섀도우마스크의 열을 전달받아 외부로 팽창함에 따른 도밍보상을 전적으로 지지스프링에만 의존하게 될 수 밖에 없어 상기 지지스프링의 부담율이 커지고 이에 따라 초기 도밍보상이 신속히 이루어 지지 않아 색순도가 저하된 화면 상태가 길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프레임의 섀도우마스크 접촉면 후방에 상기 프레임 보다 열변형율이 높은 바이메탈부재를 접착고정하여 섀도우마스크의 열을 전달받아 프레임이 팽창될 때 상기 프레임에 접착고정된 바이메탈 부재가 지지스프링의 수축과 더불어 변형되도록 함에 따라 초기 도밍보상을 신속히 이루어 색순도가 향상된 개끗한 화면이 빠른 시간 내에 재현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발명 형태에 따르면 코너부(11a)와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 그리고 스커트부(11c)로 일체화된 프레임(11)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후방으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와 열변형율이 서로 다른 재질로 된 바이메탈부재(12)를 부착하여 구성된 본발명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가 제공된다.
이하 본발명을 일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는 본발명 프레임을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제5도는 본발명 프레임에 섀도우마스크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제6도는 본발명 프레임이 적용된 칼라 음극선관의 요부 확대도로서, 본발명은 직사각 형태를 유지함으로서 코너부(11a)와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 그리고 스커트부(11c)로 이루어진 프레임(11)에 있어서, 상기 코너부(11a)와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를 분리하고 상기 섀도우마스크 고정부의 후방으로는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 재질보다 열변형율이 높은 재질로 된 바이메탈부재(12)를 부착한 구조이다.
이와같은 구조의 본발명 프레임이 적용된 칼라 음극선관이 작동할 때 상기 프레임(11)의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에 고정된 섀도우마스크(10)가 열을 받아 팽창되어 제5도의 이점쇄선과 같이 부풀어 오르게 되므로 기 설명된 바와같이 섀도우마스크(10)를 통과하는 전자빔의 경로가 변하게 되어 경로변위량에 대응되는 양 만큼의 미스랜딩(Miss Landing)이 형광체에 발생되는 현상이 일어남에 따라 화면상의 색순도가 저하되는데, 이때 프레임(11)이 섀도우마스크(10)의 열을 전달받아 외측으로 열변형됨과 함께 상기 프레임(11)의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 후방에 부착된 바이메탈부재(12)도 열을 전달 받아 판넬(1)쪽으로 열변형되므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가 굴곡작용을 일으킴에 따라 스커트부(11c)도 열팽창되고 이로인해 프레임(11)이 지지스프링(7)을 수축시키면서 제5도의 일점쇄선과 같이 휘어지므로 섀도우마스크(10)의 부풀어 오르는 초기 도밍보상이 신속히 이루어져 빠른시간 내에 개끗한 색상을 재현시킬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바이메탈부재(12)의 열변형에 의해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굴곡 작용이 일어날 때 코너부(11a)는 상기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굴곡작용이 일어날려는 힘보다 지지스프링(7)에 의한 판넬(1)과의 결합력이 더 커서 원하는 만큼의 굴곡 작용이 일어날 수 없을 수도 있지만 본발명 구성에서는 코너부(11a)와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를 분리하였으므로 바이메탈부재(12)의 열변형량에 의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굴곡작용이 최대한 이루어진다.
한편 본발명에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가 굴곡작용을 일으킬 수 있도록 바이메탈부재(12)가 열변형될 때 상기 바이메탈부재의 요구되는 변위량(D)은 음극선관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이는 아래으 식에 의해서 구할 수 있다.
상기 식에서(C : 만곡계수 L : 실효장 T : 바이메탈 두께)
그러므로 본발명은 제7도 (b)에 나타낸 바와같이 보밍(Doming)현상에 대한 초기 보상이 시속히 이루어 짐과 함께 상기 초기 보상이 계속적으로 유지되므로 항상 깨끗한 화면을 제공받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코너부(11a)와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 그리고 스커트부(11c)로 일체화된 프레임(11)에 있어서, 상기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후방으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와 열변형율이 서로 다른 재질로 된 바이메탈부재(12)를 부착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바이메탈부재(12)의 재질이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의 재질보다 열변형율이 더 높은 재질로 된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각 코너부(11a)와 각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1b)를 분리하여 바이메탈부재(12)의 열변형에 의한 섀도우마스크 고정부(12)의 변형이 신속히 이루어 지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KR1019940010222A 1994-05-10 1994-05-10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KR970005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222A KR970005764B1 (ko) 1994-05-10 1994-05-10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0222A KR970005764B1 (ko) 1994-05-10 1994-05-10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76A KR950034376A (ko) 1995-12-28
KR970005764B1 true KR970005764B1 (ko) 1997-04-19

Family

ID=193828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0222A KR970005764B1 (ko) 1994-05-10 1994-05-10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7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376A (ko) 1995-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27307A (en) Shadow mask for color cathode ray tube
JPS63200436A (ja) 陰極線管
EP0281114B1 (en) Color picture tube
KR970005764B1 (ko) 칼라 음극선관의 프레임 구조
US3524972A (en) Shadow mask bimetal strip means with motion-limiting bumper
EP0187026B1 (en) Color picture tube
US5252889A (en) Color CRT with means for correcting mislanding of electron beams
US6452318B1 (en) Elastic support member for color CRT
US6211609B1 (en) Corner spring for color cathode ray tube
EP1306875B1 (en) Tension mask for a cathode-ray-tube
KR950003514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544112B1 (ko) 음극선관용 마스크프레임 어셈블리
JP3021375B2 (ja) カラー陰極線管
KR100241597B1 (ko) 음극선관용 패널 어셈블리
KR100269921B1 (ko) 음극선관
KR100705843B1 (ko) 음극선관용 스프링
KR100258914B1 (ko) 롤러를 구비한 음극선관용 새도우 마스크 조립체
KR200171940Y1 (ko) 음극선관용섀도우마스크
KR100213773B1 (ko) 칼라음극선관용 새도우마스크
KR100189627B1 (ko) 음극선관용 코너스프링 장치
KR100209691B1 (ko) 칼라 음극선관
KR100261123B1 (ko) 섀도우마스크 조립체
KR100596231B1 (ko) 칼라음극선관용 스프링
JPH11339677A (ja) カラー受像管
KR19980043256A (ko) 칼라 음극선관용 섀도우마스크 프레임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2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