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5591Y1 - 확장콘센트 - Google Patents

확장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5591Y1
KR970005591Y1 KR2019940010558U KR19940010558U KR970005591Y1 KR 970005591 Y1 KR970005591 Y1 KR 970005591Y1 KR 2019940010558 U KR2019940010558 U KR 2019940010558U KR 19940010558 U KR19940010558 U KR 19940010558U KR 970005591 Y1 KR970005591 Y1 KR 97000559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extension
terminal
plu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05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4429U (ko
Inventor
최실용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기정엔지니어링
최종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기정엔지니어링, 최종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기정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20199400105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5591Y1/ko
Publication of KR95003442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442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559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59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6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duplex wall receptac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01R13/2421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using coil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7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with sockets, clips or analogous contacts and secured to apparatus or structure, e.g. to a wall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확장콘센트
제1도는 확장콘센트의 일부절개 정면도
제2도는 확장콘센트의 단면상세도
제3도는 연속확장콘센트의 단면상세도이며
(가)도는 A부 평면도
(나)도는 B부 저면도
(다)도는 원격확장콘센트의 확장플러그연결부 정면도
제4도는 단자커버의 평면도
제5도는(가)(나)는 확장콘센트의 다른 실시 예시도
제6도는 확장플러그 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확장콘센트15, 25 : 플러그 연결부
16, 26 : 연결수용부27 : 연결삽입부
109, 209, 209' : 몸체101, 201, 201' : 전원프레임
102, 202, 202' : 접지프레임151, 152, 251, 252 : 스프링크립
151', 152', 251', 252' : 삽입공163, 263 : 삽입홀더
161, 162, 261, 262 : 연결단자164, 264 : 걸림확장부
200 : 연속확장콘센트212 : 원격도체수단
273 : 삽입체274 : 걸림절곡부
275 : 접속삽입부300 : 단자커버
373 : 연결삽입체361, 362 : 수용홀
이 고안은 110V용 확장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벽면의 콘센트를 하나 이상으로 확장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확장콘센트는 벽면 콘센트에 연결하기 위한 플러그와 근접된 몇개의 확장콘센트를 가지는 것으로 콘센트를 일정한거리 예컨테 1M 또는 3M의 거리를 띄워 배열할 수 없는 것이며 확장콘센트에 접지단자가 포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마이크로컴퓨터, 데이터입력장치, 테이프 및 디스크드라이브, 프린터등 전기장치들이 방전쇼크를 받게되어 심각한 위험에 빠질 수 있으며, 플러그단자와의 연결부가 불와전하게 접속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는 것이었다.
이 고안의 목적은 콘센트에 접지단자를 포함시켜 정전기를 휘산시키며 플러그 연결부를 일정한 거리를 띄워 배열할 수 있고 연결부의 접속이 확실하게 되는 확장콘센트에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고안 확장콘센트는 벽면콘센트에 연결하는 확장콘센트, 확장콘센트 또는 연속확장콘센트에 연결하는 원격확장콘센트 및 콘센트의 연결단자를 포위하는 단자커버로 구성한다.
상기 확장콘센트는 통상의 벽면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접지단자 및 전원단자를 가지는 플러그, 플러그와 확장콘센트를 연결하는 도체수단, 확장플러그를 꽂기 위한 플러그연결부, 원격확장콘센트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수용부를 가진다.
상기 원격확장콘센트는 플러그연결부 및 연결수용부를 가지는 연결삽입부몸체와 플러그연결부 및 연결삽입부를 가지는 연결삽입몸체를 원격도체수단으로 연결하여 구성하며, 상기 단자커버는 연결수용부의 연결단자를 커버하게 하는 것이다.
이 고안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확장콘센트(100)는 통상의 벽면콘센트에 접속하기 위한 두 전원단자(111) 및 접지단자(112)를 가지는 플러그(11), 플러그(11)와 확장콘센트(100)를 전원 또는 접지선에 연결하는 도체수단(12)(피복전선) 및 전기 절연체 몸체(109)를 구성하였고, 전원에 연결되는 과전류보호장치(13), 과전류보호장치(13)에 접속되며 램프를 내장한 개폐스위치(14), 스위치(14)의 전원단자에 연결된 두겹 전원프레임(101) 및 도체수단(12)의 접지도선에 연결된 접지프레임(102)을 몸체(109)에 내장하고, 플러그 연결부(15) 및 연결수용부(16)를 몸체(109)에 구성하였다.
상기 플러그연결부(15)는 몸체(109)에 확장플러그(17) 단자(171, 172)를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삽입공(151', 152')과, 두겹 전원프레임(101)의 사이를 뜨게하는 단자(171)를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스프링크립(151)과, 두겹 접지프레임(102)을 원호상으로 벌여 환봉 접지단자(172)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152)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수용부(16)는 연속확장콘센트(200)의 연결 삽입제(273) 삽입홀더(163)를 몸체(109)에 구성하고, 홀더(163)내에 걸림확장부(164)를 구성한 프레임(101, 102)의 연결단자(161, 162)를 구성하였다.
상기 원격확장콘센트(200)는 플러그연결부(25)와 연결수용부(26)를 연결수용부몸체(209)에 구성하고, 플러그연결부(25')와 연결삽입부(27)를 연결삽입부 몸체(209')에 구성하며 두 몸체(205, 209')를 피복전선등의 원격도체수단(212)으로 연결하였으며, 두겹 전원프레임(201, 201') 및 두겹 접지프레임(202, 202')을 두 몸체(209, 209')에 각각 내장하고 원격도체수단(212)으로 전원 및 접지선을 연결하였다.
상기 플러그연결부(25, 25')는 몸체(209, 209')에 확장 플러그(17) 단자(171, 172)를 내부로 삽입되게 하는 삽입공(251', 252')과, 두겹 전원프레임(201, 201')의 사이를 뜨게하여 단자(171)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251)과 두겹 접지프레임(202, 202')을 원호상으로 벌여 환봉 접지단자(172)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252)으로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수용부(26)는 몸체(209)에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연결 삽입제(273) 삽입홀더(263)를 구성하고 홀더(263)내에 걸림확장부(264)를 구성한 프레임(201, 202)의 연결단자(261, 262)를 구성하였다.
상기 연결삽입부(27)는 몸체(209')를 연장하여 연결수용부(16 또는 26)에 끼워지는 연결삽입체(273)를 구성하고 삽입체(273)내에 접속삽입부(275) 및 걸림절곡부(274)를 구비한 스프링크립(271, 272)를 구성하였다.
상기 단자커버(300)은 연결수용부(16 또는 26)의 홀더(163 또는 263)에 끼워지는 연결삽입체(363)를 구성하고 연결삽입체(363)에 연결단자(161, 162 또는 261, 262)를 커버하는 수용홀(361, 362)를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고안의 사용법은 확장콘센트(100)를 벽면콘센트에 꽂아 확장하여 사용하되,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삽입부(27)를 확장콘센트(100)의 연결수용부(16)에 꽂아 콘센트를 연결하고, 필요하면 1차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연결수용부(26)에 2차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삽입부(27)를 연결하여 콘센트를 필요한 수로 연결하여 사용한다. 이경우 콘센트의 연결은 소비전력의 과부하가 걸리지 않는 범위내에서 연결하여 사용한다. 콘센트가 필요한 수로 연결되면 단자커버(300)로 최종연결수용부(16 또는 26)의 개구를 폐쇄하고 플러그연결부(15 또는 25)에 플러그(17)을 꽂아 사용하는 것이다.
콘센트를 확장하여 사용하는 상태에서 전류는 플러그(11) 및 도체수단(12) 및 과전류 보호장치(13)를 거치고 램프내장 스위치(14)의 상태에 따라 확장콘센트의 전원 상태를 개폐하고 또한 개폐상태에 따라 램프를 켜거나 점등하게 되어 확장콘센트의 전원상태를 표시하는 것이며, 과전류가 걸린 경우에는 과전류보호장치(13)에서 전류를 차단하여 전기제품을 보호한다. 확장콘센트(100)의 스위치(14)에 연결된 전원프레임(101)이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전원프레임(201')에 접속되어 원격도체수단(212) 및 전원프레임(201)에 전류를 공급하고 또한 1차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전원프레임(201)이 2차 원격확장콘센트(200)에 연결되어 연속적인 전원 공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접지단자(112)의 접속상태를 보면 접지단자(112)는 도체수단(12)을 통해 확장콘센트(100)의 접지프레임(102)에 연결되고 다시 1차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접지프레임(202'), 원격도체수단(212), 접지프레임(202)과 2차 원격확장콘센트(200)의 접지프레임(202')에 연속접속되는 것이다.
연결수용부(16 또는 26)와 연결삽입부(27)의 연결상태를 보면 연결삽입체(273)가 삽입홀더(163 또는 263)에 끼워져 확장콘센트 끼리의 기계적인 연결이 이루어지고, 연결단자(161, 162 또는 261, 262)가 스프링크립(271, 272)에 접속삽입부(275)를 통해 삽입되어 부드럽게 연결되는 것이며, 연결 상태에서 걸림확장부(164 또는 264)가 걸림절곡부(274)에 삽입되어 전원프레임과 접지프레임 모두 안정한 연결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확장플러그(17)를 플러그연결부(15)에 꽂으면 전원단자(171)는 삽입공(151' 또는 251')을 관통하고 간격을 뜨게하여 단자를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두겹 스프링크립(151 또는 251)에 끼워져 탄접상태로 전원에 접속되는 것이며, 접지단자(172)도 원호상으로 벌려지면서 환봉상 접지단자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152 또는 252)에 물려 안정한 전기적인 연결상태를 이루게 되는 것이다.
단자커버(300)는 최종 확장콘센트(100 또는 200)의 연결수용부(16 또는 26)의 삽입홀더(161 또는 263)에 연결삽입체(363)가 끼워지고 단자(161, 162 또는 261, 262)를 수용홀(361, 362)에 수용하므로 외부 접촉을 방지하여 감전사고를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이 고안을 변경하여 적용하는 예로서 상기 확장콘센트는 전기절연몸체(109)에 전원단자와 접지단자를 직접 돌출 구성하여 플러그(11)와 도체수단(12)을 생략할 수 있으며, 과전류 보호장치 및 램프내장 개폐스위치(14)의 포함여부는 제품의 상태에 따라 상업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 고안은 원격하게 배열되는 콘센트를 하나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는 것이며, 확장콘센트에 접지단자를 포함시켜 전기제품을 접지할 수 있게 되어 있으므로 정전기를 확산시켜 확장콘센트 사용시 정전기 방전에 따른 고장을 배재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절연체의 연결부는 연결삽입부와 연력수용부로 구성되어 기계적인 연결상태가 안정하게 되는 것이고, 전원프레임 또는 접지프레임을 두겹으로 구성시켜 연결부를 스프링크립 형태로 구성하므로 접속되는 단자의 삽입 또는 이탈동작이 유연하고 연결부가 스프링의 탄성을 유지하여 연결부의 전기접속 상태가 양호해지는 것이며, 연결단자와 스프링크립에 서로 부합되는 걸림절곡부를 구성하므로 단자간의 접속상태가 양호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Claims (3)

110V용 확장콘센트에 있어서, 한개의 확장콘센트(100)와 한개이상 연결되는 원격확장콘센트(200)와 단자커버(300)로 구성하였고,
상기 확장콘센트(100)는 플러그연결부(15) 및 연결수용부(16)로 구성하였고, 전원 및 접지선에 각각 접속되며 스프링크립부(151 또는 152)와 걸림확장부(164)를 구성하는 두겹 전원프레임(101)과 접지프레임(102)을 내장하였으며,
상기 원격확장콘센트(200)는 플러그연결부(25)와, 연결수용부(26)를 연결수용부몸체(209)에 구성하고, 플러그 연결부(25)와 연결삽입부(273)를 연결삽입부 몸체(209')에 구성하며 두 몸체(209, 209')를 원격도체수단(212)으로 연결하였으며, 두겹 전원프레임(201, 201') 및 두겹 접지프레임(202, 202')을 두 몸체(209, 209')에 각각 내장하고 원격도체수단(213)으로 전원 및 접지선을 연결하였으며,
상기 단자커버(300)는 상기 연결수용부의 상기 홀더에 끼워지는 연결삽입체(363)를 구성하고 연결삽입체(363)에 연결단자 커버 수용홀(361, 362)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콘센트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연결부(15)는 확장 플러그 단자(171, 172) 삽입공(151', 152')과, 두겹 전원프레임(101)의 사이를 뜨게하여 단자(171)를 탄성적으로 잡아주는 스프링크립(151)과, 두겹 접지프레임(102)을 원호상으로 벌여 환봉 접지단자(172)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152)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연결수용부(16)는 연결 삽입체(273) 삽입홀더(163)를 구성하고 홀더(163)내에 걸림확장부(164)를 가지는 연결단자(161, 162)를 구성항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콘센트
청구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연결부(25)는 확장플러그 단자(171, 172) 삽입공(251', 252')과, 두겹 전원프레임(201, 201')의 사이를 뜨게하여 단자(171)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252)과, 두겹 접지프레임(202, 202')을 원호상으로 벌여 환봉 접지단자(172)를 탄성적으로 물어주는 스프링크립(252)으로 구성하였으며,
상기 연결수용부(26)는 몸체에 연결 삽입체(273) 삽입홀더(263)를 구성하고 홀더(263)내에 걸림확장부(264)를 구성한 연결단자(261, 262)를 구성하였으며,
상기 연결삽입부(27)는 몸체를 연장하여 상기 연결수용부에 끼워지는 연결 삽입체(273)를 구성하고 삽입체(273)내에 접속삽입부(275) 및 걸림절곡부(274)를 구비한 스프링크립(271, 272)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콘센트
KR2019940010558U 1994-05-13 1994-05-13 확장콘센트 KR97000559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558U KR970005591Y1 (ko) 1994-05-13 1994-05-13 확장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0558U KR970005591Y1 (ko) 1994-05-13 1994-05-13 확장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429U KR950034429U (ko) 1995-12-18
KR970005591Y1 true KR970005591Y1 (ko) 1997-06-07

Family

ID=1938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0558U KR970005591Y1 (ko) 1994-05-13 1994-05-13 확장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559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4429U (ko) 1995-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66712B1 (en) Remotely switched portable outlet
US4717350A (en) Multiple outlet strip with integral grounding of other equipment
US6132257A (en) Electrical socket device with overheating and overcurrent protection
US20030157824A1 (en) Power cord connecting set
WO1996000456A1 (en) Automotive blade type fuse block terminal adapter
US7148419B1 (en) Pre-wired electrical receptacle
US5848915A (en) Offset power strip
US6962506B1 (en) Electrical coupling device for use with an electrical power converter
US5998734A (en) Cover for an electrical receptacle
US4176902A (en) Method for fusing male plug at end of power line cord
KR970005591Y1 (ko) 확장콘센트
US3914565A (en) Electrical plug with ground prong activated switch
KR970005590Y1 (ko) 확장콘센트
US2862997A (en) Insulating guard
KR970005592Y1 (ko) 확장콘센트
CA2429585C (en) Quick connect/disconnect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n extended insulating tab
USRE31017E (en) Method for fusing male plug at end of power line cord
US4613192A (en) Power cord strain relief
KR970005593Y1 (ko) 확장콘센트
US5176539A (en) Safety plug
KR200419219Y1 (ko) 전기 플러그가 꽂히지 않은 경우에 콘센트의 내부와 외부가전기적으로 차단되는 콘센트를 구비하는 멀티탭
KR200183094Y1 (ko) 전기콘센트
EP1054482A2 (en) Electrical socket strip
KR102191418B1 (ko) 다중 연결이 가능한 전기 플러그
KR200301787Y1 (ko) 콘센트겸용 전원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