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73B1 -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 Google Patents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73B1
KR970004173B1 KR1019930013731A KR930013731A KR970004173B1 KR 970004173 B1 KR970004173 B1 KR 970004173B1 KR 1019930013731 A KR1019930013731 A KR 1019930013731A KR 930013731 A KR930013731 A KR 930013731A KR 970004173 B1 KR970004173 B1 KR 970004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reverberation
out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731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50004093A (en
Inventor
경일수
최영진
정신일
황해섭
Original Assignee
한국방송공사
홍두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방송공사, 홍두표 filed Critical 한국방송공사
Priority to KR10199300137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73B1/en
Publication of KR950004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09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73B1/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2Synthesis of acoustic wave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8Arrangements for producing a reverberation or echo s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13Application of wave-field synthesis in stereophonic audio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A method for processing a chamber sound is disclosed. First, a stereophonic sample sound is stored at a delaying buffer(S1). And then, an initial reflected sound and a reference signal of the remaining sound are generated by using the delayed sample sound(S2). Thereafter, a loop time(Ta,Tc) is calculated by using the delayed time of a comb filter(55) of each channel and an all-pass network(553) and, at the same time, a band-pass, a high-pass and a low-pass gains are calculated using the remaining sound time, a high-pass and a low-pass remaining rates(S3). And then, each of the remaining sounds of 16 channels is generated(S4). The remaining sounds of 16 channels are calculated to 4 outputs(S5). Finally, the four remaining channels are provided(S6).

Description

실내음향 처리방법Indoor acoustic treatment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실내음향 처리장치의 전체 시스템 구성도.1 is an overall system configuration of the indoor sound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2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중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의 블럭 구성도.2 is a block diagram of an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of the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중 신호처리부내 인터페이스의 상세 회로도.3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n interface in a signal processor of the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해 처리되는 잔향음 발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신호처리부의 블럭 구성도.4 is a block diagram of a signal processing unit for explaining a process of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processed by the present invention.

제5도는 제4도중 신호처리기의 상세 회로도.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ignal processor in FIG.

제6도는 제4도중 신호결합부의 상세 회로도.6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a signal coupling unit of FIG.

제7도는 제5도중 대역이득부의 실시예시도.7 is an exemplary view of a band gain unit in FIG.

제8도는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중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의 블럭 구성도.8 is a block diagram of a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of the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제9도는 본 발명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전체 플로우챠트.9 is an overall flowchart for explaining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0도의 (가)-(다)는 본 발명의 방법의 상세한 플로우챠트.(A)-(c) of FIG. 10 is a detailed flowchart of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escription of the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

1 :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2 : 마이콤1: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part 2: microcomputer

3 : 시스템메모리4 : 램디스크3: system memory 4: ramdisk

5 : 신호처리부6 : 인터페이스5: signal processor 6: interface

8 :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7 : 사용자인터페이스8: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part 7: user interface

51 :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2 : 잔향음발생부51: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2: reverberation sound generator

53 : 신호결합부521-536 : 신호처리기53: signal combination unit 521-536: signal processor

본 발명은 퍼스널 컴퓨터의 메인보드 이사(ISA)버스에 기초하여 시스템을 제어하면서 음장파라미터의 값에 따라 잔향음, 초기반사음 그리고 고유공진을 만들어 이들을 결합하여 음장을 합성해내는 실내음향 처리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acoustic processing method for synthesizing a sound field by combining reverberation sound, initial reflection sound, and inherent resonance according to the value of sound field parameters while controlling the system based on the main board ISA bus of a personal computer. will be.

일반적으로 방송 등에서 사용되는 음향신호의 수음환경은 매우 다양하므로 수음된 음향신호가 그대로 최고의 음질을 갖게 되는 경우는 거의 없기 때문에 수음된 원음의 음질을 변화시켜 목적하는 음질로 바꾸는 경우가 많다.In general, since the acoustic environment of the sound signal used in broadcasting is very diverse, the received sound signal rarely has the best sound quality. Therefore, the sound quality of the received original sound is often changed to the desired sound quality.

또한, 동일한 음질하에서도 전문콘서트홀과 같은 장소의 현장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원음의 음질에 실내의 방향을 고려한 잔향음을 만들어내야 한다. 원음의 음질을 목적하는 음질로 바꾸기 위해서는 음향신호를 처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In addition, under the same sound quality, reverberation sound considering the direction of the room should be created in the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sound so as to feel the realism of a place such as a professional concert hall. In order to change the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sound to the desired sound quality, a process of processing an acoustic signal is required.

음향신호의 처리에는 '음향신호의 보정'이라는 소극적 목적에서 '음향만들기'라는 적극적 목적까지의 여러 가지 목적이 있으며, 신호처리계통은 크게 나누어서 진폭영역처리계, 주파수 영역처리계, 시간영역처리계의 세 계통으로 나눌 수 있다. 이중에서 시간영역처리계는 원음의 음상을 변형하여 원하는 음향을 만드는 목적으로 사용되며, 대개는 음의 지연을 이용하여 구성된다.There are various purposes in the processing of acoustic signals, from the passive purpose of 'correction of the sound signal' to the active purpose of 'making sound'. The signal processing system is divided into amplitude domain processing system, frequency domain processing system and time domain processing system. It can be divided into three lines. Among them, the time domain processing system is used for the purpose of modifying the sound image of the original sound to make a desired sound, and is usually configured by using the sound delay.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음향효과를 구현시키기 위해 아날로그방식을 채택하므로서 회로가 복잡하고 정확한 음향효과를 얻어낼 수 없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a circuit is complicated and an accurate sound effect cannot be obtained by adopting an analog method to implement the sound effect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음된 음향신호에 음향특성을 결정하는 요소들을 종합한 입체적인 반사음과 잔향음 및 고유공진을 만들어 최고의 음질을 구현하고, 실내공간의 크기에 따라 공간의 음향특성을 결정하여 원하는 음질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존의 퍼스널 컴퓨터 메인보드의 이사버스에 기초하여 전체시스템을 제어하고, 최신의 디지탈신호 처리프로세서를 결합함으로써 쉽게 구현 가능하도록 하여, 최고 음질의 잔향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음장파라미터의 변경과 확장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실내음향 처리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realize the best sound quality by creating three-dimensional reflection sound, reverberation sound and inherent resonance by combining the elements that deter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in the received sound signal, and determine the acoustic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To provide the desired sound quality, the entire system is controlled based on the director bus of the existing personal computer mainboard, and the latest digital signal processor can be easily implemented to generate the highest reverberation sound. At the same time, to provide a room acoustic processing method that can easily change and expand the sound field parameters.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발명 방법이 적용된 실내음향 처리장치의 전체블럭 구성도로서, 스테레오 채널로 구성된 디지탈의 입력신호를 소정의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와;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에서 변환되어 출력되는 디지탈 스테레오 입력신호와 시스템메모리(3)에서 출력되는 음장파라미터를 상호 입력받아 잔향음 발생에 필요한 음향신호로 처리해 줌과 동시에 인터페이스(6)를 통해 이사(ISA)버스와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해주는 신호처리부(5)와; 소정의 프로그램에 의해 전체 시스템을 총괄하여 각 보드간의 데이타 교환을 제어하고 사용자인터페이스부(7)를 제어하는 마이콤(2)과; 소정의 제어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가 전원인가시 퍼스널 컴퓨터 및 마이콤(2)에 제공하여 주는 램디스크(4)와; 시스템과 사용자 사이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장파라미터의 상태를 마이콤(2)에 전달하여 원하는 잔향음이 나올 수 있도록 하는 사용자인터페이스부(7)와; 사용자가 원하는 음장파라미터를 저장해 주는 시스템메모리(3)와; 상기 각부에 의해 처리된 디지탈의 음향데이타를 아날로그신호로 변환시켜 출력시켜 주는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를 상호 연결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1 is an overall block diagram of an indoor sound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comprising: an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for converting a digital input signal composed of a stereo channel into a predetermined digital signal; The digital stereo input signal converted and output from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and the sound field parameters output from the system memory 3 are mutually input and processed into an acoustic signal necessary for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while simultaneously providing an interface 6. A signal processor 5 for controlling data input / output with an ISA bus; A microcomputer 2 which controls the data exchange between the boards and controls the user interface unit 7 by encapsulating the entire system by a predetermined program; A ram disk 4, which stores a predetermined control program and provides it to the personal computer and the microcomputer 2 when the power is supplied; A user interface unit 7 which transmits a state of a desired sound field parameter between the system and the user to the microcomputer 2 so that a desired reverberation sound is output; A system memory (3) for storing sound field parameters desired by a user; The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section 8, which converts digital sound data processed by the above sections into analog signals and outputs them, is interconnected.

상기에서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는 제2도와 같이, 스테레오 채널로 구성된 밸런스의 아날로그의 입력신호를 소정레벨로 증폭시켜 언밸런스화 하는 증폭기(11)와; 상기 증폭기(11)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내의 저주파부분만을 통과시켜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되는 얼라이어싱(aliasing)현상을 방지해 주는 저역통과필터(12)와; 상기 저역통과필터(12)를 통해 출력되는 저주파 음향신호를 소정시간동안 기억시켜 주는 샘플 호울더(13)와; 소정 주파수의 클럭신호를 A/D변환기(14)에 출력시켜 주는 클럭발생기(16)와; 시스템버스를 통해 인터럽트 신호가 입력되면 A/D변환기(14)에 인터럽트 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인터럽트신호 발생기(17)와; 상기 클럭발생기(16)로부터 클럭신호를 입력받고 인터럽트신호 발생기(17)로부터 인터럽트 제어를 받으며 샘플링 호울더(13)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의 음향신호를 소정의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A/D변환기(14)와; 상기 A/D변환기(14)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음향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시스템버스를 통해 출력시켜 주는 버퍼(1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includes an amplifier 11 which amplifies and unbalances an analog input signal having a balance composed of a stereo channel to a predetermined level as shown in FIG. 2; A low pass filter 12 which prevents aliasing occurring in a high frequency band by passing only a low frequency portion of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mplifier 11; A sample holder (13) for storing a low frequency acoustic signal output through the low pass filter (12) for a predetermined time; A clock generator 16 for outputting a clock signal of a predetermined frequency to the A / D converter 14; An interrupt signal generator 17 for outputting an interrupt signal to the A / D converter 14 when an interrupt signal is input through the system bus; An A / D converter which receives a clock signal from the clock generator 16 and receives interrupt control from the interrupt signal generator 17 and converts an analog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sampling holder 13 into a predetermined digital signal ( 14); And a buffer 15 which delays the digital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A / D converter 14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outputs it through the system bus.

또 상기 신호처리부(5)내의 인터페이스(6)는 제3도와 같이,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621)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중앙처리기(65)와 입출력장치 사이의 상태조건을 결정하여 비동기식으로 소정의 데이타를 상호 전송해 주는 핸드쉐이킹 레지스터(61)와;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621)와 내부버스 연산로직부(622)로 구성되어 중앙처리기(65)의 입출력 어드레스를 디코딩해주는 입출력 디코더(62)와; 메모리 어드레스 디코더(631), 바이트 디코더(632), 메모리 콘트롤 멀티플렉서(633), 디코더(634) 및 메모리(635)로 구성되어 이사버스와 내부버스 및 중앙처리기(65) 사이에서 메모리의 억세스를 제어하는 메모리 제어부(63)와; 데이타 버퍼(641)와 어드레스 버퍼(642)로 구성되어 소정의 데이타 및 어드레스가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출력되는 버퍼부(64)와; 음장합성 소프트웨어와, 동작영역, 음장파라미터, 지연메모리 및 입/출력데이타가 기억되는 글로벌 메모리와, 잔향음 발생용 로칼메모리를 구비하고 연산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중앙처리기(65)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interface 6 in the signal processor 5 determines the state condition between the central processor 65 and the input / output device according to the address output from the input / output address decoder 621 as shown in FIG. A handshaking register 61 for mutually transmitting the data; An input / output decoder 62 composed of an input / output address decoder 621 and an internal bus operation logic unit 622 to decode the input / output address of the central processor 65; Memory address decoder 631, byte decoder 632, memory control multiplexer 633, decoder 634, and memory 635 control access of memory between the bus and the internal bus and the central processor 65. A memory control unit 63; A buffer unit 64 comprising a data buffer 641 and an address buffer 642 for temporarily storing and outputting predetermined data and addresses; A central processor 65 having a sound field synthesis software, a global memory for storing an operating area, sound field parameters, delay memory and input / output data, a local memory for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and performing overall control functions including arithmetic functions It was equipped.

이때, 잔향음발생 과정에서 채용된 상기 음장파라미터는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저역잔향비, 프리딜레이, 잔향음레벨, 초기지연시간, 초기반사음레벨 및 실내공간크기 등 8가지가 된다.In this case, the sound field parameters employed in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process include eight kinds of reverberation time, high reverberation ratio, low reverberation ratio, predelay, reverberation sound level, initial delay time, initial reflection sound level, and indoor space size.

또한, 잔향음을 발생시켜 주는 상기 신호처리부(5)는 제4도와 같이,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음향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켜 줌과 동시에 소정의 반사음을 발생시켜 잔향음의 기준이 되는 소정신호를 출력시켜 주는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와; 수개의 신호처리기(521-536)를 홀,짝으로 병렬연결시켜 상기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 출력되는 잔향기준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실내공간으로 병렬연결시켜 상기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 출력되는 잔향기준신호와 사용자에 의해 실내공간크기,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에 대응되는 값으로 입력된 음장파라미터의 값에 의거하여 소정의 고유공진 주파수를 갖는 잔향음을 각각 16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잔향음발생부(52)와; 상기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 출력되는 초기반사음과 잔향발생부(52)에서 출력되는 16채널의 잔향음을 상호 믹서시켜 4채널의 출력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신호결합부(53)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signal processing unit 5 for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delays the digital sound signal output from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for a predetermined time and generates a predetermined reflection sound as shown in FIG. A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for outputting a predetermined signal as a reference for reverberation sound;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s are connected in parallel with each other by parallel connection of several signal processors 521-536 to the room delay by the user and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s 51. A reverberation sound having a predetermined natural resonant frequency based on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51 and a value of a sound field parameter input by a user corresponding to an indoor space size, reverberation tim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low reverberation ratio A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for outputting each of the 16 channels; A signal combiner 53 for generating a four-channel output signal by mixing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and the 16-channel reverberation sound output from the reverberation generator 52; It was equipped.

상기 잔향음발생부(52)에서 발생되는 잔향음은 16채널로 구성되며, 각 채널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기들이 존재하며, 내부계수들만 다르고 그 구성은 동일하고, 잔향기준신호중에서 레프트신호는 홀수채널(채널1∼채널15)에, 라이트 신호는 짝수패널(채널2∼채널16)에서 각각 입력으로 사용되며 각 채널에서 만들어진 잔향음은 상기 신호결합부(53)에 전달된다.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ed by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is composed of 16 channels, and there are independent signal processors for each channel, only internal coefficients are different, and the configuration thereof is the same. Among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s, the left signal is an odd channel. In (channels 1 to 15), the write signal is used as an input in the even panels (channels 2 to 16), respectively, and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ed in each channel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ombiner 53.

즉, 상기 잔향음발생부(52)내의 신호처리부(521-536)들은 각각 제5도와 같이, 상기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 출력되는 잔향기준신호를 입력받아 '1-중역이득'을 취해주는 제1대역이득부(54)와; 가산기(551), M샘플지연회로(552), 올패스네트워크(553) 및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구현부(554)로 구성되어 전체 잔향음발생의 실내공간크기,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저역잔향비를 결정하여 잔향밀도와 고유공진을 결정하는 콤필터(55)와; 상기 콤필터(55)에서 출력되는 잔향음내의 중역이득을 절반(1/2)으로 감소시켜 주는 제5대역이득부(56)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That is, the signal processing units 521-536 in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respectively receive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output from the signal delay and the reflection sound generation unit 51 as shown in FIG. A first band gain unit 54 which takes the form; It is composed of adder 551, M sample delay circuit 552, all-pass network 553, and reverberation time frequency characteristic realization unit 554, the indoor space size, reverberation time, high frequency reverberation ratio, low frequency of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A comb filter 55 for determining a reverberation ratio to determine reverberation density and natural resonance; The fifth band gain unit 56 reduces half the gain in the reverberation sound output from the comb filter 55 by half.

이때, 상기 올패스 네트워크(553)는 M샘플지연회로(552)에서 출력되는 단위 임펄스의 잔향음을 소정이득(-ga)을 갖는 임펄스로 조절해 주는 -ga이득조절부(5531)와; 상기 M샘플지연회로(552)에서 출력되는 단위 임펄스의 잔향음에 ga이득조절부(5532)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가산기(5535)와; 상기 가산기(5535)의 출력신호를 소정의 루프시간(Ta)만큼 지연시켜 주는 N샘플지연회로(5534)와; 상기 N샘플지연회로(5534)의 출력신호를 소정이득(ga)을 갖는 임펄스로 조절하여 가산기(5535)로 피드백시켜 주는 ga이득조절부(5532)와; 상기 N샘플지연회로(5534)의 출력신호를 소정이득(1-ga2)을 갖는 임펄스로 조절하여 주는 1-ga2이득조절부(5533)와; 상기 -ga이득조절부(5531)와 1-ga2이득조절부(5533)의 출력신호를 상호 가산시켜 주는 가산기(5536)로 구성되어 잔향밀도를 증가시켜 주도록 한 것이다.At this time, the all-pass network 553 includes a -ga gain control unit 5531 for adjusting the reverberation sound of the unit impulse output from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to an impulse having a predetermined gain (-ga); An adder 5535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ga gain control unit 5552 to the reverberation sound of the unit impulse output from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n N sample delay circuit 5534 for de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5535 by a predetermined loop time Ta; A ga gain control unit 5532 controlling the output signal of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to an impulse having a predetermined gain (ga) and feeding it back to the adder 5535; A 1-ga 2 gain control unit 5535 for adjus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to an impulse having a predetermined gain (1-ga 2 ); The -ga gain control unit 5531 and the 1-ga 2 gain control unit (5533) is an adder (5536) to add to each other to increase the reverberation density.

또,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구현부(554)는 상기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출력신호를 각각 입력받아 '중역이득+고역이득', '중역이득-고역이득', '(저역이득-중역이득)/16'으로 그 이득을 각각 조절해 주는 제2 내지 제4대역이득부(5542-5544)와; 상기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의 이득을 조절해 주는 제2이득조절부(5545)와; 상기 제4대역이득부(5544)의 출력신호와 제3이득조절부(5546)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제1가산기(5549)와; 상기 제1가산기(5549)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제3이득조절부(5546)를 통해 제1가산기(5549)로 피드백시켜 주는 1샘플지연회로(5547)와; 상기 제3대역이득부(5543)의 출력신호에 제1가산기(5549)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제2가산기(5550)와; 스위치(S1)를 통해 선택적으로 출력되는 제2대역이득부(5542) 및 제2이득조절부(5545)의 출력신호에 제1가산기(5549)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제3가산기(5551)와; 상기 제2가산기(5551)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주는 1샘플지연회로(5548)와; 상기 1샘플지연회로(5548)의 출력신호에 제2가산기(5550)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제4가산기(5552)와; 상기 가산기(5552)의 출력이득을 소정레벨로 조절하여 콤필터(55)내의 가산기(551)에 인가시켜 주는 제1이득조절부(5541)로 구성되어 각각 해당주파수에서 중역이득, 고역이득 및 저역이득을 계산하도록 한 것이다.In addition,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mplementation unit 554 of the reverberation time receives the output signals of the all-pass network 553, respectively, 'medium gain + high pass gain', 'medium gain-high pass gain', and '(low pass gain-medium gain). Second to fourth band gains 55542-5544, each of which adjusts its gain to < RTI ID = 0.0 > A second gain control unit 5545 for receiving an output signal of the all-pass network 553 and adjusting a gain thereof; A first adder 5549 that adds an output signal of the fourth band gain unit 5544 and an output signal of the third gain control unit 5546; A first sample delay circuit 5547 which delays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adder 5549 by a predetermined time and feeds it back to the first adder 5549 through a third gain adjusting unit 5546; A second adder 5550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adder 5549 to the output signal of the third band gain unit 5543; A third adder 5551 that adds an output signal of the first adder 5549 to the output signals of the second band gain unit 5542 and the second gain control unit 5545 selectively output through the switch S1. Wow; A one sample delay circuit 5548 for de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adder 5551 to a predetermined time; A fourth adder 5552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adder 5550 to the output signal of the first sample delay circuit 5548; The first gain control unit 5551 is configured to adjust the output gain of the adder 5552 to a predetermined level and apply it to the adder 551 in the comb filter 55, respectively. The gain was calculated.

그리고, 상기 신호결합부(53)는 제6도와 같이, 16채널의 잔향음을 입력받아 4개의 출력신호로 결합시켜 주는 잔향음결합부(537)와; 상기 잔향음결합부(537)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데이타를 16비트로 정수화시킴과 동시에 그의 이득을 제어해 주는 정수화 및 이득조절부(538)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정수화 및 이득조절부(538)는 잔향음결합부(537)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아 그의 이득을 조절해 주는 제4이득조절부(5381)와; 상기 잔향음결합부(537) 및 제4이득조절부(5381)의 출력신호를 스위치(S2)를 통해 선택적으로 입력받아 초기반사음을 가산시켜 주는 가산기(5583)와; 상기 가산기(5583)의 출력신호에 제5이득조절부(5582)의 출력신호를 가산시켜 주는 가산기(5384)와; 상기 가산기(5384)의 출력신호를 소정시간 지연시켜 제5이득조절부(5582)를 통해 다시 가산기(5384)로 피드백시켜 주는 1샘플지연회로(5385)와; 상기 가산기(5384)의 출력신호를 16비트로 정수화시켜 주는 정수화 회로(5386)를 구비하게 된다.The signal combiner 53 may include a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7 for receiving 16 reverberation sounds and combining the four reverberations into four output signals as shown in FIG. The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7 converts the predetermined data into 16 bits and controls the gain thereof. The refining and gain control unit 538 comprises a reverberation and gain control unit 538. A fourth gain control unit 5381 which receives an output signal of the sound coupling unit 537 and adjusts its gain; An adder 5583 that selectively receives the output signals of the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7 and the fourth gain control unit 5313 through a switch S2 and adds an initial reflection sound; An adder (5384) for adding the output signal of the fifth gain control unit (5582) to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5583); A one sample delay circuit (5385) for delay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5384) by a predetermined time and feeding it back to the adder (5384) through the fifth gain adjusting unit (5582); An integerizer circuit 5386 for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dder 5384 into 16 bits is provided.

제7도는 실내공간크기,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에 따른 상기 대역이득부들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지연시간인 루프시간(Tc,Ta)은 8개 음장파라미터중 실내공간 크기에 따라 16개 채널의 각 루프시간이 정해지는 실험값으로 실내공간에 따른 잔향음의 정도를 분석하여 얻어지며,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해 확정된다.7 shows an embodiment of the band gains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size, the reverberation tim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the low reverberation ratio, and the loop time Tc, Ta, which is a delay time, corresponds to the indoor space size among the eight sound field parameters. As a result, each loop time of 16 channels is determined. It is obtained by analyzing the degree of reverberation sound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and is confirmed by computer simulation.

이 값들은 프로그램상에서 테이블 형태로 갖고 있다가 실내공간 크기의 음장파라미터가 입력되면 그에 해당되는 루프시간(Tc,Ta)이 페치된다.These values are in the form of a table in the program, and the corresponding loop times (Tc, Ta) are fetched when the sound field parameters of the room size are input.

또, 상기 루프시간에 따라 고유공진주파수와 잔향지연시간이 결정되며, 상기 잔향시간은 사용자가 입력시키는 음장파라미터인 프리딜레이값에 더해져 최종 잔향지연시간이 된다.The resonant frequency and the reverberation delay tim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op time, and the reverberation time is added to the predelay value, which is a sound field parameter input by the user, to become the final reverberation delay time.

또한,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는 제8도와 같이, 시스템버스를 통해 전송되는 각 채널에 대한 어드레스를 디코딩해주는 어드레스 디코더(81)와; 시스템버스를 통해 소정의 제어신호를 발생시켜 주는 제어신호 발생기(82)와; 시스템버스를 통해 출력되는 소정의 데이타를 일시 저장시켜 줌과 동시에 그 크기를 조정해 주는 버퍼1(83)과; 상기 버퍼1(83)에서 출력되는 디지탈의 데이타를 아날로그로 변환시켜 주는 D/A변환기(84)와; 상기 D/A변환기(84)에서 출력되는 신호가 얼라이어싱(Aliasing)현상을 일으키는 것을 방지시켜 주는 얼라이어싱 방지회로(85)와; 상기 얼라이어싱 방지회로(85)에서 출력되는 신호중 저역부분만을 통과시켜 주는 저역통과필터(86)와; 상기 저역통과필터(86)의 출력신호의 크기를 조정해 주는 버퍼2(87)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In addition, the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unit 8 includes an address decoder 81 for decoding an address for each channel transmitted through the system bus as shown in FIG. 8; A control signal generator 82 for generating a predetermined control signal through the system bus; A buffer 1 (83) for temporarily storing predetermined data output through the system bus and adjusting its size; A D / A converter 84 for converting digital data output from the buffer 1 83 into analog; An anti-aliasing circuit (85) for preventing an aliasing phenomenon from a signal output from the D / A converter (84); A low pass filter 86 for passing only a low pass portion of the signal output from the anti-aliasing circuit 85; It is provided with a buffer 2 (87) for adjusting the magnitude of the output signal of the low pass filter (86).

한편, 본 발명 방법은 제9도 및 제10도의 (가)-(다)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테레오의 음향입력 샘플을 입력받아 지연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와; 소정시간 지연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초기반사음과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와; 각 채널의 콤필터(55)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루프시간(Ta,Tc)을 계산함과 동시에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대역이득, 고역이득, 중역이득 및 저역이득을 계산하는 단계(S3)와;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와;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와; 상기에서 신호결합된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On the other hand,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a)-(c) of FIGS. 9 and 10, receiving a stereo sound input sample and storing it in a delay buffer (S1); Generating an initial reflection sound and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using an acoustic signal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S2); The loop time Ta and Tc are calculated using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and the all-pass network 553 of each channel, and the band of each channel using the reverberation tim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the low reverberation ratio. Calculating gain, high gain, midrange gain, and low pass (S3);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of 16 channels (S4); A signal combining step (S5) of calculating the sixteen reverberations into four outputs; It characterized in that the step (S6) for outputting the signal-coupled reverberation sound in the four channels.

상기 지연된 음향신호를 초기반사음으로 사용하여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는, 잔향에 사용되는 소정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1)과; 초기반사음에 사용되는 지연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2)과; 잔향기준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3)과; 초기반사음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4)으로 이루어진 것이다.Generating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using the delayed sound signal as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S2) includes: reading a predetermined signal used for reverberation (S21); Reading a delay signal used for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S22); Calculating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S23);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is calculated (S24).

상기에서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는 신호처리채널을 '0'으로 하는 과정(S40)과; 콤필터(55)의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과;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에 따른 N샘플지연회로(5534)의 N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2)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3)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제5대역이득부(56)의 출력신호를 곱하여 각 채널의 잔향음을 계산하는 과정(S44)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각 채널의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 출력신호를 곱한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5)과;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6)과;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를 통과한 출력신호 데이타와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로 이루어진 콤필터(55)의 최종 궤환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7)과; M샘플지연회로(552) 및 N샘플지연회로(5534)의 데이타를 업데이트시키는 과정(S48)과; 현재 처리된 신호채널이 16보다 큰지를 검출하는 과정(S49)과; 상기 과정(S49)에서 검출한 결과 16보다 작으면, 현재의 신호처리채널을 '1'증가시킨 신호처리채널로 재차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으로 되돌아가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 것이다.The step (S4) of generating the 16 channel reverberation sound may include setting the signal processing channel to '0' (S40); Fetching M sample delay data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S41); Fetching N sample delay data of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all-pass network 553 (S42); Calculating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S43); Calculating reverberation sound of each channel by multiplying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by the output signal of the fifth band gain unit 56 (S44); Calculating data obtained by multiplying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5544 of each channel (S45); Fetching the output data of one sample delay circuit (5547, 5548) (S46); Calculating a final feedback data of the comb filter 55 including the output signal data passing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5544 and the output data of the one sample delay circuits 5547 and 5548 (S47); ; Updating the data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nd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S48); Detecting whether the currently processed signal channel is larger than 16 (S49);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in the step S49 is less than 16, the M sample delay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is regenera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hannel of which the current signal processing channel is increased by '1'. The process returns to the process of fetching data (S41) (S50).

또한,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는 수개의 신호처리기(521-536)들을 통해 각각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16개의 잔향음 출력 데이타를 각각 가감하여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계산해내는 과정(S51)과; 출력1에 레프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1의 최종출력값으로 하고, 출력2에 라이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2의 최종출력값으로 하는 과정(S5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signal combining step S5 of calculating the sixteen reverberation sounds into four outputs may be performed by adding or subtracting sixteen reverberation sound output data which are output to different values through several signal processors 521-536, respectively. Calculating an output signal (output 1 to output 4) of the channel (S51); The result of adding the left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to the output 1 is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output 1, and the result of adding the write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to the output 2 is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output 2 (S52).

또, 상기에서 신호결합된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는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 이득을 조절하는 과정(S61)과; 부동소숫점 형식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16비트의 정수로 정수화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로 출력시켜 주는 과정(S62)으로 이루어진 것이다.In addition, the step (S6) of outputting the signal-coupled reverberation sound in four channels includes the step (S61) of adjusting the gain of the output signal (output 1 to output 4) of the four channels; A floating point format output signal (outputs 1 to 4) is converted into a 16-bit integer and output to the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section 8 (S62).

이와 같은 과정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de of such a process as follows.

먼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내음향 처리장치는 시스템버스로 스퍼널 컴퓨터의 시스템버스인 이사버스를 중심으로 마이콤(2)과 시스템메모리(3)로 구성되는 시스템제어부(100), 램디스크(4), 사용자인터페이스부(7), 인터페이스(6)를 구비한 신호처리부(5),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 그리고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로 구성한다.First, the indoor sound processing apparatus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is a system bus including a system control unit 100 and a ram disk 4 which are composed of a microcomputer 2 and a system memory 3 centering on a moving bus which is a system bus of a spun computer. ), A signal processing unit 5 having a user interface unit 7, an interface 6, an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and a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unit 8.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바꾸어 시스템제어부(100)에 전달하는 것으로,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는 2개의 보드로 구성되어 한 개의 보드가 한 채널에 대한 디지탈화 작업을 수행하므로 스테레오신호의 입력이 가능하며, 2개의 보드는 마스터(master)와 슬레이브(slave)로 구별되어 슬레이브보드는 마스터보드로부터 샘플링 클럭을 받아 동작하게 된다.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converts an input analog signal into a digital signal and transmits the converted digital signal to the system control unit 100.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is composed of two boards, one board having one channel. Since digitalization is performed, stereo signals can be input. The two boards are divided into a master and a slave, so the slave board receives a sampling clock from the master board and operates.

즉, 한 샘플링 주기마다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에서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되고, 상기 마이콤(2)에서는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에 할당된 입출력 어드레스를 억세스하여 데이타를 읽어들이게 된다.That is, an interrupt signal is generated in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every one sampling period, and the microcomputer 2 reads data by accessing an input / output address assigned to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상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증폭기(11), 저역통과필터(12), 샘플 호울더(13), 클럭발생기(16), 인터럽트신호 발생기(17), A/D변환기(14) 및 버퍼(15)로 구성된 것으로 아날로그의 음향신호는 밸런스 신호로 입력되어 증폭기(11)를 통해 언밸런스 입력신호로 변환되는데, 이때 신호의 크기는 가변저항(도시생략됨)을 통하여 변환할 수 있으며, 입력신호는 +15볼트에서 -15볼트 사이의 범위에서 입력된다.As shown in FIG. 2,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includes an amplifier 11, a low pass filter 12, a sample holder 13, a clock generator 16, an interrupt signal generator 17, It consists of an A / D converter 14 and a buffer 15. The analog sound signal is input as a balance signal and converted into an unbalanced input signal through the amplifier 11, where the magnitude of the signal is a variable resistor (not shown). The input signal is input in the range of +15 volts to -15 volts.

이후, 상기 증폭기(11)의 출력신호를 입력받은 저역통과필터(12)는 아날로그의 음향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을 수행하기전, 고주파 대역에서 발생되는 얼라이어싱(aliasing)현상을 제거하기 위하여 샘플링 주파수의 반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컷오프(catoff)주파수로 하여 얼라이어싱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20킬로헤르츠의 샘플링주파수에 8킬로헤르츠 이하의 신호 성분만을 사용하였다.Thereafter, the low pass filter 12 receiving the output signal of the amplifier 11 before removing the analog sound signal to a digital signal, in order to remove the aliasing (aliasing) generated in the high frequency band The aliasing does not occur by using a frequency corresponding to half of the sampling frequency as a cutoff frequency. In the present invention, only a signal component of 8 kHz or less is used for a 20 kHz sampling frequency.

상기 저역통과필터(12)를 통해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는 입력신호의 크기가 ±10볼트인 상태로 샘플호울더(13)를 거친후 A/D변환기(14)에 그대로 입력되는데, 이때 샘플호울더(13)는 입력된 아날로그신호를 약 16마이크로초 정도 일정한 값으로 호울더하여 A/D변환기(20)에서 안정하게 아날로그의 신호를 디지탈로 변환시킬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샘플호울더(13)는 입력범위가 ±10볼트까지 되는 것을 채택하였으나 최대 ±15V까지 허용되며 에러는 20볼트 스텝입력에 대해 5마이크로초 이내에서 ±0.01%의 정확도를 유지하도록 설계하였다.The predetermined sound signal outputted through the low pass filter 12 is input to the A / D converter 14 after passing through the sample holder 13 with the magnitude of the input signal being ± 10 volts. The holder 13 holders the input analog signal to a constant value of about 16 microseconds so that the analog signal can be stably converted to digital in the A / D converter 20. The sample holder 13 has an input range of up to ± 10 volts, but is allowed up to ± 15V and the error is designed to maintain ± 0.01% accuracy within 5 microseconds for a 20 volt step input.

상기 샘플호울더(13)까지가 아날로그 입력부의 아날로그 처리부분에 해당하며, 이후는 디지탈처리를 수행한다.Up to the sample holder 13 corresponds to the analog processing portion of the analog input unit, and then performs digital processing.

상기 A/D변환기(14)를 통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음향신호는 어드레스 디코더의 제어를 받는 버퍼(15)에 일단 래치된 후, 퍼스널 컴퓨터의 시스템 제어부(100)에서 출력되는 인터럽트 요구에 의해 읽혀 들여진다.The acoustic signal converted into the digital signal through the A / D converter 14 is latched in the buffer 15 under the control of the address decoder and then read by an interrupt request output from the system control unit 100 of the personal computer. Is brought in.

이때, 시스템제어부(100)에서는 이러한 동작이 가능하도록 사용가능한 입출력 어드레스맵을 예를 들어 300H번지와 302H번지에 할당하고, A/D변환기(14)에서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은 20킬로헤르츠 주기마다 수행하며, 수정발진자를 사용하는 클럭발생기(16)에서 5.2메가헤르츠로 발진시킨 클럭신호는 2진 카운터에 의해 20킬로헤르츠로 만들어져 이중(dual) 4비트 2진 카운터를 2개 이용하여 만들어진 이 클럭신호는 A/D변환기(14)의 변환신호로 사용되고, 같이 사용되는 슬레이브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의 기준클럭으로도 사용된다.At this time, the system controller 100 assigns an input / output address map usable for such an operation to, for example, 300H and 302H, and performs analog digital conversion in the A / D converter 14 every 20 kilohertz period. The clock signal oscillated at 5.2 MHz by the clock generator 16 using the crystal oscillator is made into 20 kHz by the binary counter, and this clock signal is made by using two dual 4-bit binary counters. Is used as a conversion signal of the A / D converter 14, and is also used as a reference clock of the slav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sed together.

또한,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은 20킬로헤르츠의 주파수로 이루어지며, 시스템제어부(100)에서 50마이크로초 간격으로 두 개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중 마스터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에서만 인터럽트를 걸어준다.In addition,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is made of a frequency of 20 kHz, the system control unit 100 is interrupted only in the master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of the two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s at 50 microsecond intervals.

상기 A/D변환기(14)에서 디지탈변환이 완료된 음향신호는 버퍼(15)에 일시저장되었다가 인터럽트신호발생기(17)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인터럽트신호가 발생될때마다 시스템 버스에 실리어 시스템제어부(100)로 출력된다.The A / D converter 14 has a digital signal that has been digitally converted and is temporarily stored in the buffer 15, and whenever a predetermined interrupt signal output from the interrupt signal generator 17 is generated, a system control unit is mounted on the system bus. 100).

본 발명의 잔향음 발생과정에서 채용한 음장파라미터는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저역잔향비, 프리딜레이, 잔향음레벨, 초기지연시간, 초기반사음레벨 및 실내공간크기의 8개로서, 상기 8개의 파라미터에 대한 조정범위 및 조정단위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The sound field parameters employed in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proces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ight of reverberation time, high reverberation ratio, low reverberation ratio, predelay, reverberation sound level, initial delay time, initial reflection sound level, and indoor space size. The adjustment ranges and adjustment units for the parameters are shown in Table 1.

[표 1]TABLE 1

즉, 표 1에서와 같이 잔향시간은 500헤르츠에서 1킬로헤르츠 부근의 중역에서의 잔향으로 0.1초에서 100초 범위에서 조정가능하고 조정단위는 20√10배로 전체적으로 61단계이며 특정 실내공간크기에 대하여는 41단계로 하였고, 또 고역잔향비는 8킬로헤르츠의 잔향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조정범위는 0.1에서 2.5이고 조정단위는 5√10배로 하였으며, 저역잔향비는 40헤르츠의 잔향시간을 기준으로 하며 조정범위는 0.1에서 10 사이이고 조정단위는 5√10배이며, 프리딜레이는 1밀리초에서 200밀리초 사이에서 1밀리초 단위로 조정되고, 잔향음레벨은 입력신호레벨에 대한 상대값으로 조정범위는 0데시벨에서 -30데시벨이며 조정단위를 1데시벨이고, 초기지연시간은 1밀리초에서 200밀리초 사이에서 1밀리초단위로 조정되며, 초기반사음레벨은 0데시벨에서 -30데시벨이며 조정단위는 1데시벨이고, 실내공간크기는 1입방평방미터에서 10의 6제곱 입방평방미터 사이에서 10배 단위로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In other words, as shown in Table 1, the reverberation time is reverberation in the midrange around 500 Hz to 1 kHz, and can be adjusted from 0.1 to 100 seconds, and the adjustment unit is 20 steps by 10 times, 61 steps in total, and for a specific indoor space siz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is based on the reverberation time of 8 kHz and the adjustment range is 0.1 to 2.5 and the adjustment unit is 5√10 times. The low reverberation ratio is based on the reverberation time of 40 hertz. The range is 0.1 to 10, the adjustment unit is 5√10 times, the pre delay is adjusted in 1 millisecond units between 1 and 200 milliseconds, and the reverberation sound level is relative to the input signal level. Is 0 to -30 decibels, the adjustment unit is 1 decibel, the initial delay time is adjusted in 1 millisecond increments from 1 to 200 milliseconds, and the initial reflection level is -30 decibels to 0 decibels. It said adjustment unit is 1 decibels, indoor space was to be adjusted in one cubic m between 6 cubic square of 10 m by 10 orders of magnitude.

제4도는 본 발명에서의 잔향음 발생상태를 나타낸 블록도로서, 입력된 음향신호는 제2도의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에 의해 얻어진 디지탈 스테레오 데이타이다.4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stat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rein the input sound signal is digital stereo data obtained by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of FIG.

제4도의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의 신호지연은 제1도의 신호처리부(5)를 사용하여 수행하는데, 이때 상기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는 메모리의 읽기주소와 쓰기주소의 차를 이용하여 주소차이만큼 지연된 신호를 얻을 수 있으며, 이 방법에 의해 순수한 잔향음을 얻을 수 있는 것이 가능하다. 입력신호는 샘플링주기마다 지연메모리에 저장되고 임의 시간동안 지연된 후에 페치(fetch)된다. 지연되는 시간은 초기지연시간과 프리딜레이값에 의하여 결정되며 각각의 지연시간에 대하여 지연신호를 만들어낸다. 지연메모리는 2개 있어서 레프트와 라이트신호를 각각 지연시키게 되며 최고 200밀리초까지 지연이 가능하다. 프리딜레이값에 의해 지연된 신호는 잔향레벨의 값에 따라 레벨이 조정되어 잔향기준 신호로 되어 제4도의 잔향음발생부(52)내 16개 채널의 신호처리기(521-536)로 각각 전달된다. 초기지연시간에 의해 지연된 신호는 초기반사음레벨값에 따라 레벨이 조정되어, 초기반사음신호로 되어 신호결합부(53)에 전달된다.The signal delay in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of FIG. 4 is performed by using the signal processor 5 in FIG. 1, wherein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are read address and write address of the memory. By using the difference of the signal can be obtained delayed by the address difference, it is possible to obtain a pure reverberation sound by this method. The input signal is stored in the delay memory every sampling period and fetched after being delayed for a certain time. The delay time is determined by the initial delay time and the predelay value, and a delay signal is generated for each delay time. There are two delay memories, which delay the left and write signals respectively, and can delay up to 200 milliseconds. The signal delayed by the pre-delay valu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reverberation level value and becomes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which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processors 521-536 of 16 channels in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of FIG. The signal delayed by the initial delay time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level value, and is transmitted to the signal combiner 53 as an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상기 신호결합부(53)에 전달된 16채널의 잔향음과 초기반사음은 상호 결합되어 4채널의 출력데이타로 만들어 주는데, 이때 제1도의 신호처리부(5)는 본 발명의 잔향음 발생방법으로 음장을 합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The reverberation sound of the 16 channels and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transmitted to the signal combiner 53 are combined with each other to form 4 channels of output data. In this case, the signal processor 5 of FIG. 1 is a reverberation sound generating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serves to synthesize.

제5도는 상기 잔향음발생부(52)내의 신호처리기(521-536)들에 대한 상세회로도로서, 상기 신호처리기(521-536)에 관계되는 음장파라미터는 실내공간크기,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저역잔향비의 4종류이다. 잔향음 발생과정은 16채널로 구성되며, 각 채널에 대하여 독립된 잔향발생부(52)가 존재하며 내부계수들만 다르고 그 구성은 동일하다. 잔향기준신호중에서 레프트신호는 홀수채널에(채널1∼채널15) 라이트 신호는 짝수채널(채널2∼채널16)에 각각 입력으로 사용되며 각 채널에서 만들어진 잔향음은 전술에서와 같이 신호결합부(53)에 전달된다.FIG. 5 is a detailed circuit diagram of the signal processors 521-536 in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ng unit 52. The sound field parameters related to the signal processor 521-536 include an indoor space size, a reverberation time, and a high frequency reverberation ratio. 4 kinds of low reverberation ratio.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process is composed of 16 channels, and there is an independent reverberation generator 52 for each channel, and only internal coefficients are different, and the configuration is the same. Among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s, the left signal is input to odd channels (channels 1 to 15), and the write signal is input to even channels (channels 2 to 16), respectively. 53).

잔향음발생부(52)는 콤필터(comb filter)(55), 올패스 네트워크(allpass network)(553), 보조 잔향음 부가 및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구현부(554)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is composed of three parts: a comb filter 55, an allpass network 553, an auxiliary reverberation sound addition and reverberation time frequency characteristic implementation unit 554. have.

이때, 상기 콤필터(55)는 전체 잔향음발생의 잔향시간을 결정하며 잔향밀도와 고유공진을 결정하고, 올패스 네트워크(553)는 잔향밀도를 증가시켜 주며, 잔향시간 주파수특성구현부(554)는 잔향밀도를 샘플링주파수와 같은 정도로 고밀도화하여 보조잔향음을 만든다.At this time, the comb filter 55 determines the reverberation time of the total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determines the reverberation density and the inherent resonance, and the all-pass network 553 increases the reverberation density, and reverberation time frequency characteristic implementation unit 554. ) Makes the reverberation sound by making the reverberation density as high as the sampling frequency.

제7도는 실내공간크기,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저역잔향비에 따른 각종 대역이득의 테이블들을 나타낸 것으로, 실내공간크기에 따라 콤필터(55)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인 루프시간 Tc, Ta가 결정되며, 또 상기 루프시간에 따라 고유공진주파수와 잔향지연시간이 결정되고, 잔향지연시간은 사용자가 입력하는 음장파라미터인 프리딜레이값에 더해져 최종잔향지연시간이 되는데, 이때, 잔향밀도와 잔향의 상승시간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루프시간(Ta)에 따라 결정된다.7 shows tables of various band gains according to indoor space size, reverberation time, high pass reverberation ratio, and low pass reverberation ratio, and loops that are delay times of the comb filter 55 and the all-pass network 553 according to the indoor space size. The time Tc and Ta are determined, and the natural resonance frequency and the reverberation delay time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op time, and the reverberation delay time is added to the predelay value, which is a sound field parameter input by the user, to be the final reverberation delay time. The reverberation density and the rise time of the reverberation ar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oop time Ta of the all-pass network 553.

또한, 16채널의 신호처리기(521-536)들은, 전체 잔향음 발생장치가 임펄스 응답의 밀도가 고밀도이어야 하고, 잔향음 패턴의 지연부분이 완만한 지수포락선을 가져야 하며, 원치않는 펄스간의 상관(correlation)를 방지하기 위해 잔향음패턴의 펄스들이 충분히 랜덤해야 우수한 잔향음이 나오기 때문에 각 채널들의 루프시간을 서로 소수(prime)관계를 갖도록 하였다.In addition, the 16-channel signal processor 521-536 requires that the overall reverberation generator have a high density of impulse response, a delay portion of the reverberation pattern has a smooth exponential envelope, and the correlation between unwanted pulses ( In order to prevent correlation, the reverberation pattern pulses must be random enough so that the reverberation sound is excellent, so the loop time of each channel has a prime relationship with each other.

상기 콤필터(55)의 입력단에 단위임펄스가 가해지면 루프시간 Tc만큼 지연된 후에 출력단에 단위임펄스가 나타나며, 매 루프시간 Tc마다 임펄스신호가 출력되고, 각 임펄스의 크기는 직전 펄스크기의 중역이득배이며, 임펄스 응답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지수함수로 감쇄되고, 시간에 따른 감쇄량은 루프시간 Tc가 클수록 중역이득이 1에 가까울수록 긴 감쇄시간을 갖게 된다.When the unit impulse is applied to the input terminal of the comb filter 55, the unit impulse appears at the output stage after being delayed by the loop time Tc, and the impulse signal is output at every loop time Tc, and the magnitude of each impulse is the midrange gain of the previous pulse size. The impulse response is attenuat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over time, and the attenuation over time has a long decay time as the loop time Tc is larger and the mid-range gain is closer to one.

콤필터(55)는 시간영역에서 보면 펄스열로 잔향특성을 나타내며 주파수 영역에서는 고유공간을 부가하는 효과가 있고, 또 그때의 공진주파수는 루프시간의 역수가 된다.The comb filter 55 exhibits reverberation characteristics in a pulse train when viewed in the time domain, and has an effect of adding an inherent space in the frequency domain, and the resonant frequency at that time is the inverse of the loop time.

-ga이득조절부(5531), ga이득조절부(5532), 2개의 가산기(5535,5536), N샘플지연회로(5534) 및 1-ga2이득조절부(5533)로 구성된 상기 올패스 네트워크(553)는 입력단에 단위 임펄스가 가해지면 출력단에 -ga의 이득을 가지는 임펄스가 나타나며, 루프시간 Ta만큼 지연된 후에(1-ga2)의 이득을 가지는 임펄스가 나타난다. 그후 매 루프시간 Ta마다 임펄스 신호가 출력되며, 각 신호의 크기는 직전신호의 ga배가되고, 임펄스응답은 지수함수로 감쇄하며 ga가 1에 가까울수록 루프시간 Ta가 클수록 긴 감쇄시간을 갖는다.The all-pass network consisting of a -ga gain control unit 5531, a ga gain control unit 5532, two adders 5535 and 5536, an N sample delay circuit 5534, and a 1-ga 2 gain control unit 5535 In 553, when a unit impulse is applied to an input terminal, an impulse having a gain of -ga appears at the output terminal, and an impulse having a gain of (1-ga 2 ) after a delay by the loop time Ta appears. Thereafter, an impulse signal is output for each loop time Ta, and the magnitude of each signal is ga times the previous signal, and the impulse response is attenuated by an exponential function. As ga is closer to 1, the longer the loop time Ta, the longer the decay time.

상기 이득 ga의 값은 1보다 작은 양의 값으로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잔향음들이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감쇄되도록 하는 실험값인데, 이는 실내공간 크기에 따른 잔향음과 유사하도록 이득 ga의 값을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얻어진다.The value of the gain ga is an experimental value that causes the reverberation sounds of the all-pass network 553 to be attenuated over time with a positive value less than 1, which is similar to the reverberation sound according to the size of the indoor space. Obtained by computer simulation.

또한, 올패스 네트워크(553)는 잔향밀도와 잔향의 상승시간에 관계되며 콤필터(55)의 루프시간 Tc에 비해 1/10 정도 작게 설정했으며, ga도 중역이득에 비해 작은 값으로 설정했다.In addition, the all-pass network 553 is related to the reverberation density and the reverberation rise time, and is set to 1/10 smaller than the loop time Tc of the comb filter 55, and ga is also set to a smaller value than the midrange gain.

제2 내지 제4대역이득부(5542-5544), 제1 내지 제3이득조절부(5541,5545,5546), 2개의 1샘플지연회로(5547,5548) 및 제1 내지 제4가산기(5549-5552)로 구성된 상기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구현부(554)는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중역잔향비에 의해 결정되는데, 각각 해당 주파수에서 중역이득, 고역이득, 저역이득이 계산되어 콤필터(55)의 출력에 각각 곱해서 곱한 3개의 신호를 각각 독립된 필터에 입력된다.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5544, the first to third gain control units 5551,5545,5546, two one-sample delay circuits 5547,5548, and the first to fourth adders 5549.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implementation unit 554 of the reverberation time is configured by the reverberation tim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the mid-range reverberation ratio. The three signals multiplied by the respective outputs of 55) are input to the independent filters.

이때, 상기 필터들의 출력을 더하여 콤필터의 입력부에 궤환시키면 곱한 신호들을 각각 특정한 형태의 주파수특성곡선으로 감쇄시켜 잔향시간의 주파수특성을 구현한다.In this case, when the outputs of the filters are added and fed back to the input of the comb filter, the multiplied signals are attenuated into a specific frequency characteristic curve, respectively, to implement the frequency characteristic of the reverberation time.

중역이득을 곱한 신호는 밴드패스필터를, 고역이득을 곱한 신호는 고역필터를, 저역이득을 곱한 신호는 저역필터를 통과하게 된다.The signal multiplied by the mid-range gain passes through the bandpass filter, the signal multiplied by the high pass passes through the high pass filter, and the signal multiplied by the low pass passes through the low pass filter.

표 2는 제1-제4대역이득부의 산출방법을 나타낸 것이다.Table 2 shows a calculation method of the first to fourth band gains.

[표 2]TABLE 2

제6도와 같이 잔향음결합부(537), 정수화 및 이득조절부(538)로 구성된 신호결합부(10)는 잔향음발생부(52)에서 입력된 16채널의 잔향음과 초기반사음을 결합하여 4채널의 출력신호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게 되는데, 표 3은 16개 잔향음을 조합하는 잔향음의 결합방법을 나타낸 것으로 +기호는 더하며, -는 잔향음을 빼어 각 출력데이타는 16채널의 잔향음의 합을 나타내게 된다.As shown in FIG. 6, the signal combiner 10 including the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7 and the integer and gain control unit 538 combines the reverberation sound of the 16 channels input from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or 52 and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It plays the role of making output signal of 4 channels. Table 3 shows the combination method of reverberation sound that combines 16 reverberations. The + sign is added and-is the reverberation sound. The sum of reverberation sounds.

[표 3]TABLE 3

즉, 표 3과 같이 잔향음을 결합하여 줌으로써, 4개의 출력신호들간의 혼상관(crosscorrelation)은 모두 50퍼센트가 되며 깨끗한 공간감을 창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In other words, by combining the reverberation sound as shown in Table 3, the crosscorrelation between the four output signals is 50 percent, which can create a clean sense of space.

상기 잔향음결합부(537)의 출력중에서 출력 1,2에는 초기반사음의 레프트, 라이트신호가 더해져 최종출력으로 나가게 되고, 제4 및 제5이득조절부(5381,5382), 2개의 가산기(5383,5384), 1샘플지연회로(5385) 및 정수화회로(5386)로 구성된 상기 정수화 및 이득조절부(15)는 잔향음의 출력데이타를 16비트로 정수화하고 이득을 조정하여 출력시켜 주게 된다.Among the outputs of the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7, the outputs 1 and 2 are added to the left and right signals of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and go out to the final output, and the fourth and fifth gain control units 5381 and 5452 and two adders 5383. 5384, the one-sample delay circuit 5385, and the integerizer circuit 5386 are used to modulate the output data of the reverberation sound into 16 bits and adjust and output the gain.

이를 본 발명 방법에 의거하여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ased on the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9도는 본 발명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플로우차트로써,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로부터 입력받은 스테레오의 디지탈 음향입력 데이타를 처리하여 4채널의 출력 데이타를 만들어내는 잔향음 발생과정을 나타낸 것이다.First, FIG. 9 is a flowchart schematically illustrating a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illustrates a process of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for processing stereo digital sound input data input from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to generate 4 channels of output data. will be.

또한, 제10도의 (가)-(다)는 이를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으로, 최초의 단계(S1)에서 16비트의 스테레오 음향입력 샘플을 받아들여 부동 소숫점 형식의 데이타로 전환하여 지연 버퍼에 저장하게 되고, 두 번째 단계(S2)에서는 소정신호를 지연시켜 반사음과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로서 4096개의 부동 소숫점 형식의 메모리를 이용하여 잔향음과 초기반사음에 사용되는 지연신호를 얻은(S21,S22) 후, 음장파라미터의 잔향음 레벨과 초기레벨값에 따라서 잔향기준신호와 초기반사음의 이득을 계산하여 얻게 되는데(S23,S24), 이는 제4도의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에서 얻어지게 된다.In addition, (a)-(c) of FIG. 10 illustrates this in detail. In the first step (S1), 16-bit stereo sound input samples are taken, converted into floating-point data, and stored in a delay buffer. In the second step (S2), a delayed signal is generated to generate the reflection sound and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As a result, delay signals used for the reverberation sound and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are obtained by using 4096 floating point type memory (S21, S22). After that, the gain of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and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is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everberation sound level and the initial level value of the sound field parameter (S23, S24), which are obtained by the signal delay and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of FIG. .

또한, 세 번째 단계(S3)는 총 16개의 신호처리기(521-536)로 구성된 잔향음발생부(52)에서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각 채널의 신호처리기(521-536)에 존재하는 제1 내지 제4대역이득부(54,5542-5544)와 M샘플지연회로(552) 및 N샘플지연회로(5534)의 각 지연시간에 의해 계산된다.In addition, the third step S3 is performed by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unit 52 including 16 signal processors 521-536 in total. The first to third signals in the signal processors 521-536 of the respective channels are performed. Calculated by the delay times of the fourth band gain section 54,5542-5544,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nd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즉, 각 채널의 콤필터(55)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루프시간(Ta,Tc)을 계산함과 동시에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대역이득, 고역이득, 중역이득 및 저역이득을 계산하게 되는데, 이때 각각의 계산은 제7도의 음장파라미터 값에 따라서 얻어진다.That is, the loop time Ta and Tc are calculated using the delay times of the comb filter 55 and the all-pass network 553 of each channel, and the reverberation tim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the low reverberation ratio are calculated. The band gain, the high-band gain, the mid-range gain and the low-gain are calculated, and each calculation is obtained according to the sound field parameter value of FIG.

그리고, 네 번째 단계(S4)는 16채널의 잔향음발생단계로, 먼저 신호처리 채널을 '0'으로 클리어시키고(S40), 콤필터(55)의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 데이타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에 따른 N샘플지연회로(5534)의 N샘플지연 데이타를 각각 페치시킨(S42,S42) 후,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를 계산하여(S43) 제5대역이득부(56)의 출력신호와 곱해진 다음 잔향음결합부(53)에 출력되어진다(S44). 또한, 상기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는 상기에서 계산된 각 채널의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의 출력신호와 곱해져 3개의 중간 데이타가 만들어지게 된다(S45).The fourth step (S4) is a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step of 16 channels. First, the signal processing channel is cleared to '0' (S40), and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is performed. After fetching the M sample delay data and the N sample delay data of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all-pass network 553 (S42 and S42),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is output. It is calculated (S43) and multipli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fifth band gain unit 56 and then output to the reverberation sound combiner 53 (S44). In addition,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is multiplied by the output signal of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5544 of each channel calculated above to generate three intermediate data (S45).

이후, 상기에서 얻어진 3개의 데이타는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와 각각 가감되어(S46)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를 통과한 출력신호 데이타와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로 이루어진 콤필터(55)의 최종 궤환데이타가 얻어진다(S47).Thereafter, the three pieces of data obtained above are added to or subtracted from the output data of the first sample delay circuits 5547 and 5548 (S46), respectively, and output signal data and one sample delay passed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2-5544. The final feedback data of the comb filter 55 composed of the output data of the circuits 5547 and 5548 is obtained (S47).

이와 같이 한 샘플에 대하여 콤필터(55)의 최종 궤환데이타가 얻어지면, M샘플지연회로(552) 및 N샘플지연회로(5534)의 데이타 버퍼를 다음 샘플로 업데이트한(S48) 후, 현재 처리된 신호채널이 16보다 큰지를 검출하여(S49) 16보다 작으면, 현재의 신호처리채널을 '1' 증가시켜(S50) 신호처리채널로 재차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부터 반복 수행하게 된다.When the final feedback data of the comb filter 55 is obtained for one sample in this way, the data buffers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nd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are updated to the next sample (S48), and then the current processing. If the detected signal channel is greater than 16 (S49) and less than 16, the current signal processing channel is increased by '1' (S50) and the M sample delay circuit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is returned to the signal processing channel. In step S41, the M sample delay data is fetched.

따라서, 16개의 신호처리기(521-536)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복 계산하여 16개의 잔향음을 얻어내어 버퍼에 저장할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16 signal processors 521-536 may be repeatedly calculated in the same manner as described above to obtain 16 reverberations and store them in a buffer.

또한, 다섯 번째 단계(S5)는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해내는 단계로써, 수개의 신호처리기(521-536)들을 통해 각각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16개의 잔향음 출력데이타를 각각 표 3과 같이 가감하여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얻은(S51) 다음, 출력1은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의 레프트 초기반사음신호와 더해져 채널1(출력1)의 최종신호로 출력되고, 출력2는 신호지연 및 반사음발생부(51)의 라이트 초반사음신호와 더해져 채널2(출력2)의 최종출력값으로 출력된다(S52).In addition, the fifth step (S5) is to calculate the 16 reverberation sound to the four outputs, each of the 16 reverberation sound output data to be output at different values through the several signal processor (521-536) As shown in Table 3, four channels of output signals (outputs 1 to 4) are obtained (S51), and then output 1 is added to the signal delay and left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s of the reflection sound generating unit 51 to channel 1 (output 1). The output signal 2 is output as a final output value of the channel 2 (output 2) in addition to the signal delay and the first reflective sound signal of the reflection sound generator 51, and outputs the output signal S2.

또, 여섯 번째 단계(S6)는 상기 단계(S5)에서 신호결합된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로써,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신호결합부(53)내의 정수화 및 이득조절부(538)를 통해 이득을 조절한(S61) 후, 부동소숫점 형식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16비트의 정수로 정수화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로 출력시켜 주게(S62) 되므로서, 원하는 잔향음을 정확히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 sixth step (S6) is to output the reverberation sound signal signal-combined in the step (S5) to the four channels, the output signal of the four channels (outputs 1 to 4) in the signal combiner 53 After the gain is adjusted through the integerization and gain control unit 538 (S61), the floating point format output signals (outputs 1 to 4) are converted to 16-bit integers and output to the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unit 8. By being made (S62),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generate the desired reverberation sound.

한편, 상기 신호처리부(5)는 제3세대 디지탈신호 처리용 IC로 32비트 부동소숫점 계산이 가능한 프로세서, 즉 128K*32비트의 메모리버퍼 그리고 제어회로로 구성된 중앙처리기(65)를 사용하며, 상기 메모리중 16킬로는 글로벌 메모리로 퍼스널 컴퓨터의 마이콤의 어드레스맵에 포함되며 128킬로는 로컬(locol)메모리로 사용한다. 글로벌 메모리에는 음장합성 소프트웨어와 동작영역, 음장파라미터, 지연메모리, 그리고 입/출력 데이타 등이며 로컬메모리는 잔향음 발생을 위해 쓰인다.On the other hand, the signal processing unit 5 is a third generation digital signal processing IC using a processor capable of 32-bit floating point calculation, that is, a central processor 65 composed of a 128K * 32-bit memory buffer and a control circuit. 16 kilobytes of memory are global memory and included in the address map of the personal computer's microcomputer, while 128 kilobytes is used as local memory. Global memory includes sound field synthesis software, operating area, sound field parameters, delay memory, and input / output data. Local memory is used to generate reverberation sound.

제3도는 상기 신호처리부(5)내에서 이사(ISA)버스와의 데이타 입출력을 제어해 주는 인터페이스(6)의 상세회로로서, 중앙처리기(65)의 외부인터페이스 라인들은 프라이머리(Primary)버스와 확장(Expansion)버스의 2개 버스라인들과 DMA(Direct memory access) 인터페이스라인들 인터럽트 인터페이스 라인들 그리고 전원, 접지라인들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프라이머리 버스, DMA인터페이스라인, 시스템제어 라인 그리고 확장버스의 일부를 사용하여 신호처리부(5)의 인터페이스(6)를 구성하였다.3 is a detailed circuit of the interface 6 for controlling data input / output with the ISA bus in the signal processor 5, and the external interface lines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bus. It consists of two bus lines of the expansion bus, direct memory access (DMA) interface lines, interrupt interface lines, and power and ground line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interface 6 of the signal processor 5 is configured by using a part of the primary bus, the DMA interface line, the system control line and the expansion bus.

상기 프라이머리 버스는 대용량 메모리를 제어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어 중앙처리기(65)의 메모리영역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24비트 어드레스라인과 32비트 데이타라인 그리고 R/W, STRB, RDY의 3개의 제어라인들로 구성된다.The primary bus is used to control a large memory, occupies most of the memory area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nd includes 24 bit address lines, 32 bit data lines, and three control lines of R / W, STRB, and RDY. It consists of.

또, 상기 중앙처리기(65)는 최대속도인 16.7MIPS로 동작하려면 안정된 어드레스에서 데이타가 유효하게 되기까지 35나노초 이하이어야 하며, DMA인터페이스 라인은 HOLD, HOLDA의 두 종류인데 HOLD신호가 가해지면 중앙처리기(65)는 호울드 상태가 되고, HOLDA신호를 내보낸다. 이 신호들은 원래 외부DMA소자를 연결할 때 사용하는 것이나, 메모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외부소자와 공유하여 글로벌 메모리로 사용하는데 이용된다. 또한, 중앙처리기(65)가 호울드상태에서는 프라이머리 버스의 모든 신호들은 높은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프라이머리버스를 통하는 모든 동작은 멈추게 되며, 이때 외부 소자가 버스의 점유권을 갖게 되어 메모리로 억세스하게 되고, 확장버스를 통하여 중앙처리기(65)는 각각 8K*32비트의 확장메모리영역과 입·출력영역을 제어하게 된다. 이 버스에는 호울드기능이 없으므로 로컬 메모리 또는 입·출력 동작만이 가능하고, 이 버스는 메인 메모리와 속도가 다른 메모리 또는 입출력 소자를 사용하거나 메인메모리를 글로벌 메모리로 사용할 때 호울드상태에서 외부의 소자와 통신을 위하여 주로 사용하는 것으로, 시스템제어에 관계되는 신호는 시스템 리셋트, ROM 인에이블, 마스터클럭, 클럭출력이 있다.In order to operate at the maximum speed of 16.7 MIPS, the central processor 65 must be 35 nanoseconds or less until the data becomes valid at a stable address. The DMA interface line has two types of HOLD and HOLDA. 65 enters the holder state and emits a HOLDA signal. These signals are originally used to connect external DMA devices, but are used to share some or all of the memory with external devices and use them as global memories. In addition, when the central processor 65 is in a honed state, all signals of the primary bus are in a high impedance state, and all operations through the primary bus are stopped. At this time, the external device is given the possession of the bus and accessed to the memory. The CPU 65 controls the 8K * 32-bit extended memory area and the input / output area through the expansion bus. Since there is no hold function on this bus, only local memory or I / O operation is possible, and this bus uses external memory in the hold state when using memory or I / O devices with different speeds from the main memory, or using main memory as global memory. Mainly used for communication with devices, the signals related to system control include system reset, ROM enable, master clock, and clock output.

본 발명에서는 중앙처리기(65)의 동작을 주 제어기인, 퍼스널 컴퓨터의 마이콤에서 제어하고, 중앙처리기(65)는 리셋, 호울드 동작의 세가지 상태로 동작하며, 마이콤(2)에서는 입출력 데이타의 형태로 지정하고, 중앙처리기(65)에서 동작하는 S/W는 리셋상태에서 마이콤(2)의 메모리로 다운로드되며, 중앙처리기(65)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모드에서 동작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or 65 is controlled by the microcomputer of the personal computer, which is the main controller, the central processor 65 operates in three states of reset and hole operation, and in the microcomputer 2, the form of input / output data. S / W operating in the central processor 65 is downloaded to the memory of the microcomputer 2 in the reset state, and the central processor 65 operates in the microprocessor mode.

입출력 어드레스 디코더(621)와 내부버스 연산로직부(622)로 할 때에는 마이콤(2)은 입출력 데이타를 신호처리부(5)로 출력하여 중앙처리기(65)를 호울드 상태로 만든다.When the input / output address decoder 621 and the internal bus arithmetic logic unit 622 are used, the microcomputer 2 outputs the input / output data to the signal processing unit 5 to bring the central processor 65 into the holder state.

또한, 메모리제어부(63)는 메모리(635), 마이콤 메모리 어드레스 디코더(631), 중앙처리기 어드레스용 디코더(634), 바이트 제어신호발생용 바이트디코더, 메모리 콘트롤 멀티플렉서(633)로 구성하여 128K*32비트의 메모리중에서 16K 글로벌 메모리로, 나머지 112K는 로컬메모리로 각각 사용한다. 상기 마이콤 메모리 어드레스 디코더(631)는 비교기와 게이트로직으로 구성되는데 글로벌 메모리의 용량은 16K*32비트이며 이것은 16K바이트에 해당된다. 또, 상기 마이콤의 어드레싱은 바이트단위로 되므로 글로벌 메모리는 메모리 어드레스 맵상에서 64K영역을 점유한다.The memory controller 63 includes a memory 635, a microcomputer memory address decoder 631, a central processor address decoder 634, a byte control signal generation byte decoder, and a memory control multiplexer 633. 16K of global memory is used for memory and the remaining 112K is used for local memory. The microcomputer memory address decoder 631 includes a comparator and a gate logic. The global memory has a capacity of 16K * 32 bits, which corresponds to 16K bytes. In addition, since the addressing of the microcomputer is in bytes, the global memory occupies 64K area on the memory address map.

본 발명의 신호처리부(5)는 시스템버스의 데이타라인중에서 하위 8비트만을 이용하며, 내부 데이타 라인은 32비트로 되어 있음에 따라 마이콤(2)에서, 글로벌 메모리를 억세스할 때에는 시스템버스의 하위 2비트 어드레스 라인을 디코드하여 32비트중 어떤 바이트를 억세스하는 신호를 만들어 주어야 하는데 이것이 인터페이스(6)내의 메모리제어부(63)의 바이트 제어신호 발생용 바이트 디코더(632)이다.The signal processor 5 of the present invention uses only the lower 8 bits of the data lines of the system bus, and the internal data lines are 32 bits. Therefore, when the microcomputer 2 accesses the global memory, the lower 2 bits of the system bus are used. It is necessary to decode the address line to generate a signal for accessing any byte of 32 bits, which is the byte decoder 632 for generating the byte control signal of the memory control unit 63 in the interface 6.

또, 상기 마이콤(2)에서 글로벌 메모리를 억세스할 때에는 중앙처리기(65)는 호울드 상태로 되며, 이때에 중앙처리기(65)의 데이타와 어드레스 라인들은 고 임피던스 상태로 되고 제어라인은 비활성화 된다.In addition, when the microcomputer 2 accesses the global memory, the central processor 65 is in a honed state, and the data and address lines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re in a high impedance state and the control line is inactivated.

그러므로 제어라인들은 마이콤에서 전달되는 제어라인들과 메모리 콘트롤 멀티플렉서(633)를 통해 멀티플렉싱되어 메모리(635)에 가해진다. 즉, 상기 메모리 콘트롤 멀티플렉서(633)는 이 기능을 수행하며, 바이트 디코더(632)에서 만들어진 신호와 중앙처리기용 어드레스 디코더(631)에서 전달되는 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4개의 칩셀렉트신호(CS0-CS3)를 만들고, 시스템버스상의 MEMW신호와 중앙처리기(65)의 R/W신호를 멀티플렉싱하여 쓰기인에이블(WE)신호를 만들게 되는데, 이때 상기 멀티플렉싱과정의 실렉트신호로는 내부버스 연산로직부(622)에서 전달되는 HMODE신호를 사용한다.Therefore, the control lines are multiplexed through the memory control multiplexer 633 and the control lines delivered from the microcomputer and applied to the memory 635. That is, the memory control multiplexer 633 performs this function, and the four chip select signals CS0-CS3 are multiplexed by multiplexing the signal generated by the byte decoder 632 and the signal transmitted from the address decoder 631 for the CPU. And a write enable signal (WE) by multiplexing the MEMW signal on the system bus and the R / W signal of the central processor 65, wherein the select signal of the multiplexing process is an internal bus operation logic unit 622. Use the HMODE signal from).

또한, 어드레스 디코더(631)는 중앙처리기(65)의 어드레스라인과 메모리 스트로브를 사용하여 메모리의 칩 실렉트신호를 만드는 역할을 수행하며, 이 신호는 메모리 콘트롤 멀티플렉서(633)를 거쳐 메모리(635)에 전해진다.In addition, the address decoder 631 serves to generate a chip select signal of the memory using the address line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nd the memory strobe, and the signal is passed through the memory control multiplexer 633 to the memory 635. It is told.

또한, 데이타 버퍼(641)와 어드레스 버퍼(642)로 구성된 버퍼부(64)는 글로벌 메모리를 마이콤(2)에서 억세스할 때에만 시스템버스의 어드레스 라인 사이에는 버퍼를 두고 어드레스 디코더(631)에서 만들어진 제어신호를 버퍼의 인에이블신호로 사용하였으며, 시스템버스의 어드레스라인은 하위방향으로 2비트 쉬프트되어 내부버스의 어드레스 라인과 연결된다.In addition, the buffer unit 64 composed of the data buffer 641 and the address buffer 642 has a buffer between the address lines of the system bus only when the global memory is accessed from the microcomputer 2, and is made by the address decoder 631. The control signal is used as the enable signal of the buffer. The address line of the system bus is shifted two bits in the lower direction and connected to the address line of the internal bus.

상기 데이타 버퍼(641)는 8비트 양방향 버퍼 4개로 구성되는데 방향제어 신호로는 시스템버스의 메모리 읽기신호(MEMR)를, 인에이블신호로는 바이트 제어신호 발생용 바이트 디코더(632)의 출력을 사용하였다.The data buffer 641 is composed of four 8-bit bidirectional buffers. The memory control signal MEMR of the system bus is used as the direction control signal, and the output of the byte decoder 632 for generating the byte control signal is used as the enable signal. It was.

또, 핸드쉐이킹 레지스터(61)는 중앙처리기(65)의 소프트웨어와 마이콤(2)의 소프트웨어의 동작을 동기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데, 이때 마이콤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보드부(1) 어셈블링 구간마다 발생하는 인터럽트 신호에 동기되며, 중앙처리기(65) 소프트웨어의 동작은 마이콤(2) 소프트웨어에 동기된다.In addition, the handshaking register 61 is used for synchronizing the operation of the software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nd the software of the microcomputer 2, wherein the operation of the microcomputer software is assembled by the analog digital conversion board unit 1. It is synchronized with the interrupt signal generated for each sec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central processor 65 software is synchronized with the microcomputer 2 software.

양쪽 소프트웨어 사이의 동기작업은 두 개의 핸드쉐이킹 레지스터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데 이중 한 개는 글로벌 메모리상에 위치하고, 다른 하나는 중앙처리기(65)의 입출력영역에 있게 하여 확장버스의 신호들을 이용하여 구성한다.Synchronization between the two software is done using two handshaking registers, one of which is located in the global memory and the other is located in the input / output area of the central processor 65 and configured using the signals of the expansion bus. .

또한, 4개의 채널로 구성되며 두장의 보드로 이루어진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는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어드레스 디코더(81)와 제어신호 발생기(82)가 연결된 시스템버스에서 버퍼1(83)를 거쳐 D/A변환기(84)에 연결되며, 얼라이어싱현상을 없애기 위한 얼라이어싱 방지회로(85), 저역통과필터(86) 및 신호의 크기를 조정하는 버퍼2(87)로 구성된다.In addition, the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unit 8, which consists of four channels and consists of two boards, has a buffer 1 83 on a system bus to which the address decoder 81 and the control signal generator 82 are connected as shown in FIG. It is connected to the D / A converter 84 via), and composed of an anti-aliasing circuit 85 for eliminating an aliasing phenomenon, a low pass filter 86, and a buffer 2 87 for adjusting the size of the signal. do.

따라서, 시스템버스를 통해 지정된 채널의 어드레스가 들어오면 어드레스 디코더(81)의 출력에 의하여 버스가 온(ON)상태로 되어 버퍼1(83)에 소정의 데이타가 입력되고, 상기 버퍼1(83)에서 출력되는 소정의 음향신호는 COB(complementary offset binarg)코드를 사용하는 D/A변환기(84)를 통해 어드레스로 변환되어 도시생략된 오피앰프를 통해 버퍼링된 후 얼라이어싱 방지회로(85)를 거쳐 저역통과필터(86)를 통과한 후, 버퍼2(87)를 통해 언밸런스신호가 밸런스신호로 변환되어 출력된다.Therefore, when the address of the designated channel enters through the system bus, the bus is turned on by the output of the address decoder 81, and predetermined data is input to the buffer 1 83, and the buffer 1 83 is inputted. The predetermined sound signal outputted from is converted into an address through a D / A converter 84 using a complementary offset binarg (COB) code, buffered through an op amp, not shown, and then the anti-aliasing circuit 85 After passing through the low pass filter 86, the unbalanced signal is converted into a balance signal through the buffer 2 87 and outputted.

그리고, 램디스크(4)는 시스템 소프트웨어, 음장합성 소프트웨어 그리고 음장파라미터 테이블을 저장하는데 사용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램디스크(4)의 용량을 360킬로바이트로 하고, 할당된 입·출력 어드레스는 예를 들어 2b0H∼2b7H로 하였다.The ram disk 4 is used to store system software, sound field synthesis software and a sound field parameter tab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apacity of the ram disk 4 is 360 kilobytes, and the allocated input / output address is, for example, It was set as 2b0H-2b7H.

한편, 사용자인터페이스부(7)는 잔향음 발생에 필요한 8개 음장파라미터 값을 받아들이는 역할을 수행한다.On the other hand, the user interface 7 serves to receive the eight sound field parameter values required for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잔향음 발생패턴에 관련된 8개 음장파라미터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반사음, 잔향음 및 고유공진을 실시간으로 만들어 원음의 음질을 목적하는 음질로 만들어 최고의 음질을 만들 수 있고, 또 잔향음 발생방법을 소프트웨어에 의해 수정 가능하여 원하는 음향효과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음에 따라 수음환경이 매우 다양한 방송, 공간의 음향특성을 목적하는 음향특성으로 만들기 원하는 모든 분야에 이용가능한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reates the desired reflection sound, reverberation sound and inherent resonance in real time according to the eight sound field parameters related to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pattern to make the sound quality of the original sound the best sound quality. The reverberation sound generation method can be modified by software, so that the desired sound effect can be easily obtained. It is possible.

Claims (5)

스테레오의 음향입력 샘플을 입력받아 지연 버퍼에 저장하는 단계(S1)와; 소정시간 지연된 음향신호를 이용하여 초기반사음과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와; 각 채널의 콤필터(55)와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을 이용하여 루프시간(Ta,Tc)을 계산함과 동시에 잔향시간, 고역잔향비 및 저역잔향비를 이용하여 각 채널의 대역이득, 고역이득, 중역이득 및 저역이득을 계산하는 단계(S3)와;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와;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와; 상기에서 신호결합된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Receiving a stereo sound input sample and storing it in a delay buffer (S1); Generating an initial reflection sound and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using an acoustic signal delayed by a predetermined time (S2); The loop time Ta and Tc are calculated using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and the all-pass network 553 of each channel, and the band of each channel using the reverberation time, the high reverberation ratio and the low reverberation ratio. Calculating gain, high gain, midrange gain, and low pass (S3); Generating reverberation sound of 16 channels (S4); A signal combining step (S5) of calculating the sixteen reverberations into four outputs; Indoor sound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S6) of outputting the signal-coupled reverberation sound in four channe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된 음향신호를 초기반사음으로 사용하여 잔향기준신호를 생성시키는 단계(S2)는, 잔향에 사용되는 소정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1)과; 초기반사음에 사용되는 지연신호를 읽어내는 과정(S22)과; 잔향기준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3)과; 초기반사음신호를 계산하는 과정(S24)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using the delayed sound signal as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comprises: reading a predetermined signal used for the reverberation (S21); Reading a delay signal used for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S22); Calculating a reverberation reference signal (S23); Indoor acoustic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S24) of calculating the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6채널의 잔향음을 발생시키는 단계(S4)는, 신호처리 채널을 '0'으로 하는 과정(S40)과;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2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과; 올패스 네트워크(553)의 지연시간에 따른 N샘플지연회로(5534)의 N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2)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3)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제5대역이득부(56)의 출력신호를 곱하여 각 채널의 잔향음을 계산하는 과정(S44)과; 올패스 네트워크(5534)의 출력 데이타에 각 채널의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 출력신호를 곱한 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5)과;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6)과; 제2 내지 4대역이득부(5542-5544)를 통과한 데이타신호 데이타와 1샘플지연회로(5547,5548)의 출력 데이타로 이루어진 콤필터(55)의 최종 궤환데이타를 계산하는 과정(S47)과; M샘플지연회로(552) 및 N샘플지연회로(5534)의 데이타를 업데이트시키는 과정(S48)과; 현재 처리된 신호채널이 16보다 큰지를 검출하는 과정(S49)과; 상기 과정(S49)에서 검출한 결과 16보다 작으면, 현재의 신호처리채널을 '1'증가시킨 신호처리채널로 재차 콤필터(55) 지연시간에 따른 M샘플지연회로(552)의 M샘플지연 데이타를 페치시키는 과정(S41)으로 되돌아가는 과정(S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generating of the reverberation sound of the 16 channels (S4) comprises: setting a signal processing channel to '0' (S40); Fetching M sample delay data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22 according to the comb filter 55 delay time (S41); Fetching N sample delay data of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all-pass network 553 (S42); Calculating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S43); Calculating reverberation sound of each channel by multiplying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by the output signal of the fifth band gain unit 56 (S44); Calculating data obtained by multiplying the output data of the all-pass network 5534 by the output signals of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5544 of each channel (S45); Fetching the output data of one sample delay circuit (5547, 5548) (S46); Calculating a final feedback data of the comb filter 55 including the data signal data passed through the second to fourth band gain units 55542-5544 and the output data of the one-sample delay circuits 5547 and 5548 (S47); ; Updating the data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nd the N sample delay circuit 5534 (S48); Detecting whether the currently processed signal channel is larger than 16 (S49); If the result of the detection in the step S49 is less than 16, the M sample delay of the M sample delay circuit 552 according to the delay time of the comb filter 55 is regenerated to the signal processing channel of which the current signal processing channel is increased by '1'. Indoor sound process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returning to the process of fetching data (S41) (S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6개의 잔향음들을 4개의 출력으로 계산하는 신호결합 단계(S5)는, 수개의 신호처리기(521-536)들을 통해 각각 서로 다른 값으로 출력되는 16개의 잔향음 출력데이타를 각각 가감하여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계산해내는 과정(S51)과; 출력1에 레프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1의 최종출력값으로 하고, 출력2에 라이트 초기반사음신호를 더한 결과를 출력2의 최종출력값으로 하는 과정(S5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The signal combining step (S5) of calculating the sixteen reverberation sounds into four outputs comprises outputting sixteen reverberation sound output data through different signal processors 521-536, respectively. Calculating and outputting four output signals (output 1 to output 4) by adding and subtracting each of them (S51); And the result of adding the left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to the output 1 as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output 1, and the result of adding the write initial reflection sound signal to the output 2 as the final output value of the output 2 (S52). Wa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잔향음을 4채널로 출력시켜 주는 단계(S6)는, 4채널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 이득을 조절하는 과정(S51)과; 부동소숫점 형식의 출력신호(출력1 내지 출력4)를 16비트의 정수로 정수화하여 디지탈 아날로그 변환보드부(8)로 출력시켜 주는 과정(S62)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음향 처리방법.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outputting the reverberation sound through four channels (S6) comprises: adjusting a gain of four channels of output signals (outputs 1 to 4) (S51); And (S62) converting the output signal (outputs 1 to 4) of the floating point format into a 16-bit integer and outputting the integer to a digital analog conversion board unit (S62).
KR1019930013731A 1993-07-20 1993-07-20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KR97000417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en) 1993-07-20 1993-07-20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en) 1993-07-20 1993-07-20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93A KR950004093A (en) 1995-02-17
KR970004173B1 true KR970004173B1 (en) 1997-03-25

Family

ID=19359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731A KR970004173B1 (en) 1993-07-20 1993-07-20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73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1415A (en) * 1999-06-04 2001-01-05 정선종 Colorless reverberation genera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093A (en) 1995-0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86082A (en) Method of detecting localization of acoustic image and acoustic image localizing system
US5968148A (en) High quality audio generation by storing wave tables in system memory and having a DMA controller on the sound board for transferring the wave tables
US20050216211A1 (en) Impulse response collecting method, sound effect add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US5109415A (en) Audio signal processing system performing balance control in both amplitude and phase of audio signal
JP2000099061A (en) Effect sound adding device
KR970004173B1 (en) Sound processing method in a room
US5621801A (en) Reverberation effect imparting system
KR950010940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sounds
KR100302030B1 (en) Voice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CA2213570C (en) Electronic carillon system utilizing interpolated fractional address dsp algorithm
JP2003263178A (en) Reverberator, method of reverberation, program, and recording medium
JPS6253100A (en) Acoustic characteristic controller
JP2000097763A (en) Method for collecting impulse response, sound effect adder, and record medium
KR940002436B1 (en)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a digital tone
JPH06318092A (en) Variable delay circuit
JP2746057B2 (en) Effect giving device
JP3413322B2 (en) Reverberation device
JP2591111Y2 (en) Variable sound field playback device
US5880390A (en) Reverberation effect imparting apparatus
EP1204961B1 (en) Signal processing unit
JP2745852B2 (en) Electronic musical instrument effect device
JP2566418B2 (en) Digital audio tone control device
JPS63264000A (en) Two-channel stereophonically reproduced sound field adjusting device
JP2527465Y2 (en) Digital audio tone control device
JP4361628B2 (en) Audio signal generat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