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28Y1 -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 Google Patents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28Y1
KR970004128Y1 KR2019930027236U KR930027236U KR970004128Y1 KR 970004128 Y1 KR970004128 Y1 KR 970004128Y1 KR 2019930027236 U KR2019930027236 U KR 2019930027236U KR 930027236 U KR930027236 U KR 930027236U KR 970004128 Y1 KR970004128 Y1 KR 97000412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fixed
gripper
driver
n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723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0909U (ko
Inventor
이재윤
Original Assignee
이재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재윤 filed Critical 이재윤
Priority to KR2019930027236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28Y1/ko
Publication of KR9500109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09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2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2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04Sun vi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3/00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 B60J3/02Antiglare equipment associated with windows or windscreens; Sun visors for vehicles adjustable in position
    • B60J3/0291Preventing dazzlement during driving in the dark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제1도는 본 고안이 기존의 햇빛가리개에 장착되어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부에 대한 확대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측단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이 햇빛가리개의 하단에 결착된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7도는 제6도의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단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장착된 상태를 예시한 개략도로써,
(a)는 운전석에 장착된 상태.
(b)는 조수석에 장작된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제10도는 본 고안의 또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 참고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감광판 2 : 브라켓트
3 : 축 3' : 절곡부
5, 6, 5a, 6a : 파지구 7 : 각도조절부
9, 53 : 나사 10 : 햇빛 가리개
31, 31' : 탄성스토퍼 32 : 이탈방지턱
51, 51a, 51b : 연장부 52a : 고정부
71, 71' : 금속링 71" : 중간부재
72, 72' : 파형돌부
본 고안은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실내전방 상부측에 장착된 햇빛가리개의 하단에 각도 조절이 가능하도록 감광성 반투명판을 파지시켜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그 각도를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 야간운전자용 시력 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전자들의 야간운행시 전방에서 그 후방으로 진행하는 옆차선의 차량이 발산하는 강한 전조등 광선 때문에 전방을 주시하고 있는 운전자의 시야에 방해가 되어 눈의 피로를 가중시키고 그로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많다는 것은 익히 경험하여 알 수 있을 것이다.
이와같은 위험성, 또는 눈의 피로를 덜어주기 위하여 종래에는 운전자가 직접 반투명체로된 색안경을 착용하거나, 다른 방편으로는 기존 햇빚가리개를 하부로 내려 그 때마다 불빛의 투과 방향과 다르게 몸을 움직여 전방을 주시하기도 한다.
그러나, 색안경을 착용하는 전자의 경우에는 눈의 피로를 덜어주는 효과가 있는 반면에 인체의 유분이나 땀과 같은 분비물 때문에 안경이 자중에 의해 자꾸 밑으로 내려가 그때마다 운전자가 손으로 직접 재조정 하여야만 하므로 첫째는 번거롭고 또한 안전운전에도 도움을 주지못하며 고가인 결점이 있다.
후자는 사용목적이 다르므로 임시방편으로서의 역할 정도에 그쳐, 야간운전자의 시력보호구에 대한 문제가 대두되어 논란을 일으키고 있는 실정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들을 해소하고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다음과 같은 목적을 갖는다.
본 고안의 첫째 목적은 각도조절이 용이하고 햇빛가리개의 상부 혹은 하부에 중첩될 수 있으며, 착탈이 가능한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를 제공하여 후방으로 진행하는 옆차선의 차량이 발산하는 전조동 광선을 감광시켜 운전자가 느끼는 눈의 피로를 덜어주고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둘째 목적은 정점을 중심으로 전방, 혹은 측방으로 움직일 수 있는 햇빛가리개의 하단에 본 고안의 시력보호구가 파지되어 있으므로 야간운전에 한정치 않고 주간운전에도 필요시마다 펼쳐 직사광선으로 부터 팔목 혹은 안면을 더불어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있다.
본 고안의 셋째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되어있어 제작단가가 저렴하고, 그 제작이 용이하며 따라서 저렴한 가격에 보급될 수 있는 야간 운전자용 시력 보호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명백해질 것이다.
즉, 본 고안은 첨부된 도면 제1도 내지 제4도에서 보여주는 바와같이 하부에 감광판(1)이 통상의 고정구(21)에 의해 고정된 브라켓트(2)의 상부일측으로부터 일측상부에 탄성스토퍼(31)가 설치된 축(3)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상기 브라켓트(2)의 상단 양측에는 햇빛가리개(10)와 결합되는 파지구(5)(6)가 회동가능케 결합되며 그 중 하나의 파지구(5) 일측으로 각도조절부(7)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되,
상기 파지구(5)는 끝단일측이 연장되어 상기 햇빛가리개(10)의 일측모서리부에 파지될 수 있도록 연장부(51)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각도 조절부(7)는 내주에 다수의 파형돌부(72)가 형성된 금속링(71)이 상기 축(3)의 외주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끼워진채로 상기 파지구(5)의 일측과 연장결합되며 상기 파형돌부(72)에는 상기 축(3)의 상부에 설치된 탄성스토퍼(31)가 끼워져 이루어진다.
미설명 부호로써 8은, 파지구(5), (6)를 고정하고 있는 축(3)에 끼워진 노브를 나타낸다.
이상과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작용 및 제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하부에 감광판(1)이 고정된 브라켓트(2)의 상부 양측에는 노브(8)에 의해 결합된 파지구(5)(6)가 회동가능토록 구성되어 있고 그 상태로 햇빛가리개(10)의 하단과 그 모서리부를 집어 파지시킨 후, 운전자의 시야에 맞도록 감광판(1)을 전, 후로 움직여 그 각도를 조절하여 사용하면 되는데, 이때, 각도조절부(7)의 금속링(71)이 햇빛가리개(10)에 고정되는 파지구(5)와 연장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파지구(5)가 고정되는 것에 의해 금속링(71)은 그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가 감광판(1)을 전, 후로 움직여 주면 상기 브라켓트(2)의 상부 일측으로부터 관통고정되어 있는 축(3)이 그와함께 움직여 회동하면서 상기 축(3)의 일측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금속링(71)의 내주에서 그 각도를 조절하여 주는 탄성스토퍼(31)가 상기 금속링(71)의 내주에 형성된 파형돌부(72)내에서 그 탄발작용을 반복하여 그 각도를 가변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어 그 사용이 용이하다.
또한 파지구(5)의 연장부(51)가 햇빛가리개(10)의 일측 모서리부를 잡아 고정하고 있으므로 결국 햇빛가리개(10)의 모서리부에 배치된 골조(10')에 고정되게 되어 상기 햇빛가리개(10)와 그 결합부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동은 배제되게 된다.
이와는 반대로 이를 사용치 않을 때에는 햇빛가리개(10)의 전방 혹은 후방에 상기 감광판(1)을 절첩한 후 상기 햇빛가리개(10)를 그 상부측으로 절첩하면 되는데 이때에도 역시 상기한 각도 조절부(7)에 의해 중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본 고안의 보호구가 상기 햇빛가리개(10)에 절첩되어 있으므로 공간을 차지하는 점유면적이 별도로 소요되지 않아 공간 활용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차량충돌과 같은 교통사고 발생시 전면창이 파손되어 그 내부로 침입되는 유리파편을 막아 줄 수 있는 부수적인 기능을 더불어 얻을 수 있다.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10도는 본 고안이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는 일실시예들을 보여주는 것으로써 제5도는 상기 파지구(5)와 노브(8)를 관통하여 전방, 혹은 후방에 나사(9)를 끼워 설치하고 그 나사(9)조임에 의해 상기한 축(3)이 압지된채로 감광판(1)을 움직여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하였고, 제6도 및 제7도는 상술한 브라켓트(2)의 상부에 관통고정된 축(3)의 노출부를 일측으로 절곡형성하여 그 절곡부(3')에 노브(8)가 끼워진 파지구(5)를 회동가능하게 축설하고 나사(9)조임에 의해 상기한 축(3)이 압지된채로 그 각도가 조절될수 있도록 한 것으로 이는 상기 절곡부(3')에 의해 감광판(1)이 햇빛가리개(10)의 내면에 용이하게 절첩될 수 있도록 하였다.
제8도 및 제9도는 상술한 브라켓트(2)의 상부에 관통고정된 축(3)의 일측 노출부에는 탄성스토퍼(31')가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파형돌부(72')가 형성된 금속링(71')이 상기 탄성스토퍼(31')를 감싸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지되, 그 양측에는 이탈방지턱(32)이 상기 축(3)과 일체로되고, 상기 양측으로 각각 연장부(51a)(51b)가 형성된 파지구(5a)의 전면 중간측에 일체로 되어 그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52a)가 상기 금속링(71')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끼위져서 상기 고정부(52a)의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공(52a')에 나사(53)가 끼워져 압지된 상태로 고정되고, 그 타측노출부는 전방으로 걸리부(61)가 돌출형성된 파지구(6a)의 걸림부(61)에 괘지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것은 고정부(52a)가 금속링(71')의 외주에 감싸여진 채로 나사(53)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있고 이러한 상태로 상기 파지구(5a)(6a)를 이용해 햇빛가리개(10)의 하단, 즉 내부골조(10')에 맞추어 고정하여줌으로써, 파지구(5a)(6a)는 그 상태를 유지하여 고정되고 이때 운전자가 감광판(1)을 전, 후로 움직여 그 각도를 맞추어주면 일측에 설치된 파지구(5a) 고정부(52a)에 의해 고정된 금속링(71')의 파형돌부(72')내에서 브라켓트(2)에 고정된 축(3)의 탄성스토퍼(31')가 그 탄발작동을 반복하면서 그 각도가 쉽게 맞추어 진다. 이때 그 타측파지구(6a)의 걸림부(61)내에는 착탈 가능하게 끼워진 축(3)이 그 일측에서 일어나는 각도조절의 유, 무에 따라 연동되어 진다.
또한 상기 감광판(1)을 운전석에서 조수석으로 이동부착할 경우에는 상기 햇빛가리개(10)에서 감광판(1)을 이탈시킨다음, 파지구(5a)의 고정부(52a)에 끼워진 나사(53)를 풀어 해체하여 상기 감광판(1)의 전면에 후면으로 뒤집어 각도조절부가 조수석의 창측으로 위치할 수 있게 재결합한 후 파지구(5a)(6a)를 이용하여 조수석에 기부착된 햇빛가리개(10)의 하단에 파지하면 되는데 이때 그 타측의 파지구(6a)에는 브라켓트(2)타측에 노출된 축(3)을 끼워 그 작동을 하여주면 되고. 이때에도 역시 상술한 작용을 하게되어 편리하며, 결국 운전석에서 조수석, 또는 조수석에서 운전석으로의 이용부착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첨부된 도면 제10도에서는, 상기 브라켓트(2)에 고정된 축(3)의 노출부중간측에 상기의 축(3)보다 두꺼운 결합부(3a)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결합부(3a)에는 일측이 길이방향으로 절결된 중간부재(71")가 내면에 끼워져 고정된 상기 파지구(5a)의 고정부(52a)를 끼우고 나사(53)조임에 의해 압압되어 질수 있도록 하였으며, 이는 상기한 본안 또는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표출한다.
이와같은 본 고안에 의하면 기존 햇빛가리개(10)의 하단에 본 고안의 시력보호구를 파지시켜 사용하게 되므로써 별도의 수납공간이 필요치않고 야간운전자의 시야를 방해하는 전방에서 그 후방으로 진행하는 옆차선의 차량에서 발산되는 전조등 광선을 감광시켜 주므로 상기 운전자가 느끼는 눈의 피로를 경함시키고 그로인한 안전사고의 위험성이 배제될 뿐 아니라, 주간 사용시 직사광선으로부터 팔목, 안면등을 더불어 보호할 수 있고 저렴한 가격에 공급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가 있는 매우 유익한 고안임이 명백하다.

Claims (7)

  1. 하부에 감광판(1)이 고정된 브라켓트(2)의 상부에는 일측으로부터 축(3)이 관통되어 고정되고 이 축의 양측에는 햇빛가리개(10)와 결합되는 파지구(5)(6)가 회동가능케 결합되며 그중 하나의 파지구(5) 일측으로 각도 조절부(7)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구(5)는 일측 끝단에 연장부(51)가 일체로 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7)는 내주에 다수의 파형돌부(72)가 형성된 금속링(71)이 상기 축(3)의 외주에 일정간격을 유지하여 끼워진 채로 상기 파지구(5)의 일측과 연장 결합되고 상기 파형돌부(72)에는 한단이 축(3)의 상부에 고정된 탄성스토퍼(31)가 끼워져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7)는 파지구(5)와 노브(8)를 관통하여 나사(9)를 끼워 설치하고, 상기 나사(9)조임에 의해 상기한 축(3)이 압지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7)는 브라켓트(2)의 상부에 관통고정된 축(3)의 노출부를 일측으로 절곡형성한 절곡부(3')에 파지구(5)를 회동가능하게 축설하되, 나사(9)조임에 의해 상기한 축(3)이 압지된채로 그 각도가 조절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7)는 브라켓트(2)의 상부에 관통고정된 축(3)의 일측노출부에 탄성스토퍼(31')가 고정설치되고 내부에 다수의 파형돌부(72')가 형성된 금속링(71')이 상기 탄성스토퍼(31')를 감싸는 형태로 회동가능하게 축설되어지되. 그 양측에는 이탈방지턱(32)이 상기 축(3)과 일체로 되고,
    상단 일측으로 각각 연장부(51a)(51b)가 형성된 파지구(5a)의 전면 중간측에 일체로 되어 그 전방으로 돌출형성된 고정부(52a)가 상기 금속링(71')의 외주를 감싸는 형태로 끼워져서 상기 고정부(52a)의 중간부에 형성된 나사공(52a')에 나사(53)가 끼워져 압지된 상태로 고정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
  7.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7)는 브라켓트(2)에 고정된 축(3)의 노출부중간측에 상기의 축(3)보다 두꺼운 결합부(3a)를 일체로 형성하고 그 결합부(3a)에는 일측이 길이 방향으로 절결된 중간부재(71")가 내면에 끼워져 고정된 상태로 상기 파지구(5a)의 고정부(52a)를 끼우고 나사(53)조임에 의해 압압되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야간 운전자용 시력보호구.
KR2019930027236U 1993-10-08 1993-12-10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KR97000412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7236U KR970004128Y1 (ko) 1993-10-08 1993-12-10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930020653 1993-10-08
KR93-20653 1993-10-08
KR2019930027236U KR970004128Y1 (ko) 1993-10-08 1993-12-10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09U KR950010909U (ko) 1995-05-15
KR970004128Y1 true KR970004128Y1 (ko) 1997-05-03

Family

ID=2662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7236U KR970004128Y1 (ko) 1993-10-08 1993-12-10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28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0909U (ko) 1995-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301846A1 (en) Attachable detachable extendable and retractable side panels for eyewear
US5131101A (en) Auxiliary shielding device for safety helmets
US5666664A (en) Face protector shade
US4853973A (en) Welding helmet
EP0474775B1 (en) A welder's helmet
US5513892A (en) Sun glare shield
WO2016037539A1 (zh) 具有抬头显示式自动变光过滤器的焊接面罩
US5007109A (en) Head gear having protective lens
US4724546A (en) Visor with movable light shield
US20030151272A1 (en) Window glass and automobile equipped with the same
US6944887B2 (en) Antiglare system for a crash helmet
KR970004128Y1 (ko) 야간운전자용 시력보호구
US6089705A (en) Manually-tiltable anti-glare device
CA2201081C (en) Safety helmet visor
US3695658A (en) Glare shield
US4023892A (en) Dazzle protection spectacle devices for nocturnal drivers of motor vehicles
GB1576410A (en) Safety helmets
US20130036532A1 (en) Dual lens helmet
KR900006551Y1 (ko) 차량용 보안경을 겸한 차양판
KR200175416Y1 (ko) 자동차 태양광선 차단장치
KR940005101Y1 (ko) 차양대
KR970003060Y1 (ko) 차량용 다목적 선바이저
JPS58116223A (ja) 自動車用サングラス式日除け装置
JP3009577U (ja) 自動車の屋根部に、出し入れのできる日除けをつけた車
KR200398761Y1 (ko) 헬멧용 선바이저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