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4105Y1 -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4105Y1
KR970004105Y1 KR2019910011227U KR910011227U KR970004105Y1 KR 970004105 Y1 KR970004105 Y1 KR 970004105Y1 KR 2019910011227 U KR2019910011227 U KR 2019910011227U KR 910011227 U KR910011227 U KR 910011227U KR 970004105 Y1 KR970004105 Y1 KR 970004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terminals
push rod
links
cordl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100112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3836U (ko
Inventor
김광재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100112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4105Y1/ko
Publication of KR930003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383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4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제l도는 본 고안의 적용되는 전체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의 A-A선 단면 분해 사시도.
제3도는 제1도의 B-B선 단면 분해 사시도.
제4도는 무선송수화기가 본체가 삽입되기전의 상태도.
제5도는 무선송수화기가 본체가 삽입되어진 동작상태도.
제6도는 종래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멍
3 : 무선송수화기 삽입구 4 : 누름봉 삽입공
5,5' : 충전단자출입구 6 : 지지대
7,7' : 힌지부 8 : 누름봉
9,9' : 충전단자 10,10' : 링크삽입구
12 : 링크삽입구 13,13' : 힌지삽입구
14,14' : 링크 15 : 결합핀
16 : 누름봉삽입구 17,17' : 충전단자출입구
18 : PCB기판 19 : 접촉판
20,20' : 연결단자
본 고안은 무선전화기의 충전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무선송수화기 내부에 설치된 충전밧데리에 무선전화기 본체로부터 전원을 받아 충전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종래의 무선전화기는 제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무선송수화기(50)밑면에는 단자 접촉판(52)을 부착하고 무선전화기(51) 내부에는 탄성편(55)과 일체로 형성된 충전단가(54)를 무선전화기 본체(51) 상부에 형성된 무선송수화기(1) 삽입구(53) 상면에 충전단자(54)를 돌출시켜 단자 점촉판(52)과 점촉하여 무선송수화기(1) 내뷰에 설치된 충전용 밧데리에 충전하며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같이 구성된 종래의 충전방법은 장기간 반복하여 사용할 경우 탄성편의 피로로 인하며 단성력이 약해지므로서 접촉불량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것이었다. 따라서 제품의 품질이 저하 될뿐더러 소비자에게 매우 불편함을 주게 되었던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보관하고져 안출한 것으로서 공지의 무선전화기 내부에는 쐐기 모양의 충전단자와 누름봉을 링크로 연결하며 충전단자를 상·하 운동하게 하고 무선송수화기 내부에는 탄성력이 있는 접촉판을 고정설치하며 무선송수화기 밑면에 형성된 삽입구로 누름봉을 누르면서 삽입하면서 누름봉은 하강을 하고 충전단자는 상숭을하여 접촉판에 접촉되는 장치인 겻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구성을 보면 제1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누름봉(8)은 무선전화기 본체(1) 상부에 형성된 무선송수화기 삽입구(3) 상면으로 둘출되고 들출된 누름봉(8) 좌우에는 충전단자 출입구(5)(5')를 천공하였는데 본체의 내부의 구성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제2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단턱진 힌지부(7)(7')가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6)을 형성하고 충전단자(9)(9') 하부에는 링크 삽입구(10)(10')와 핀상임구(11)를 각각 형성하었으며 링크(14)(14')의 한쪽끝단에는 단턱을 지게하여 장홈(25)(25')을 형성하고 단턱부분의 장홈(25)(25')이 겸치게 한 상태로 누름봉(8)하부에 형성된 링크삽입구(12)로 삽입한 후 핀(15)으로 두 개의 링크(14)(14')를 결함하고 이와같이 누름봉(8)좌우에 결합설치된 두 개의 링크(14)(14) 양끝단은 충전단자(9)(9')하부에 형성된 링크 삽입구(10)(10')로 삽입하여 핀(15)으로서 고정 결합하였으며, 또한 링크(14)(14')는 중심에서 편심되게 힌지 삽입구(13)(13')를 천공하여 지지대(6)에 형성된 힌지부(7)(7')에 결합 설치하였다.
이에 따라 누름봉(8)은 무선송수화기 삽입구(3) 상면에 형성된 누름봉 삽입구(4) 상촉으로 들출되며 충전단자(9)(9')는 충전단자 출입구(5)(5')내측에 위치한다. 무선송수화기(2)의 내부 구성을 보면 제3도에서 나타낸 바와같이 접촉핀(19)(19')은 갈때기 형상으로 탄성력을 갖게 하였고 하부끝단을 둥글게 형성하며 충전단자(9)(9')가 정확하고 손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였고 접촉핀(19)(19')은 상부의 연결단자(20)(20')에 핀(21)(21')을 고정설치하었다.
또한 무선송수화기(2) 하측면에는 누름봉 삽입구(16)와 충전단자 출입구(17)(17')를 형성하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본 고안의 동작을 보면,
제4 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무선송수화기(2)를 충전하기 위하며 무선송수화기 삽입구(3)에 삽입을 하면 누름봉 삽입구(16)가 누름봉(8)을 눌러 누름봉(8)은 하강을 하고 충전단자(9)(9')는 충전단자출입구(17)(17')를 동해 상승을하며 접촉핀(19)(19')에 삽입되면서 접촉을 하기 때문에 무선송수화기(2)에 충전을 할 수 있다.
또한 무선송수화기(2)를 들면 충전단자(9)(9')는 링크(14)(14')와 연결되어 있고 링크(14)(14')는 편심되게 힌지부(7)(7')와 결합되어 있으므로 충전단자(9)(9')는 자중으로 인하여 하강을 하고 누름봉(8)은 다시 상승을 하는 것이다.
한편 링크(14)(14)는 힌지부(7)(7')를 중심으로 원운동을 하므로 누름봉(8)이 상승된 상패(송수화기를 사용중일때)에서는 제4도의 도시와 같이 핀(15)은 링크(14)(14')의 장홈(25)(25')의 앞쪽에 위치하게 되고, 누름봉(8)이 하강된 상패 (충전상태)에서는 제5도의 도시와 같이 핀(15)은 링크(14)(14')의 장홈(25)(25')의 뒤쪽에 위치하게 되므로 누름봉(8)은 숭하가 동작에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는다.
따라서 충전단자는 무선전화기 내부에 설치된 접촉판과 정확한 접촉을 할 수 있어 전력 손실도 없고 소비자에게 편리함을 줄뿐더러 반 명구적인 장치이기 때문에 제품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3)

  1.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외부압력에 의해 상하 운동이 가능한 누름봉(8)과 상기 누름봉(8)에 의해 연동되는 충전단자(9)(9')와 누름봉 삽입구(16)과 연결단자(20)(2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 충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충전단자(9)(9')와 누름봉(8)은 링크(14)(14')에 의해 연동되게 구성하되, 상기 링크(14)(14')는 지지대(6)에 의해 고정되어 작동토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3. 제1항있어서,
    연결단자(20)(20')에는 충전단자(9)(9')와 접촉이 용이하도록 깔대기와 같은 형태로 탄성을 가지는 접촉핀(19)(19')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2019910011227U 1991-07-18 1991-07-18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970004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227U KR970004105Y1 (ko) 1991-07-18 1991-07-18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10011227U KR970004105Y1 (ko) 1991-07-18 1991-07-18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6U KR930003836U (ko) 1993-02-26
KR970004105Y1 true KR970004105Y1 (ko) 1997-04-29

Family

ID=193166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10011227U KR970004105Y1 (ko) 1991-07-18 1991-07-18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41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59A1 (ko) * 2016-05-03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1959A1 (ko) * 2016-05-03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충전장치
RU2696595C1 (ru) * 2016-05-03 2019-08-05 ЭлДжи ЭЛЕКТРОНИКС ИНК. Зарядное устройство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3836U (ko) 1993-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4105Y1 (ko) 무선전화기의 충전장치
KR100575746B1 (ko) 폴더형 휴대 단말기
CN209562543U (zh) Sim卡座
CN218879059U (zh) 一种多槽式数据线收纳器
CN108711687A (zh) 屏蔽式板对板组件
CN112367419A (zh) 一种显示屏、终端显示屏组件及移动终端
CN217903519U (zh) 一种可提升使用寿命的手机连接器
CN201374428Y (zh) 柔性电路板连接器
KR100509889B1 (ko) 슬라이드형 휴대폰
CN212392454U (zh) 一种四选三sim卡座
CN214478002U (zh) 一种软性电路板连接器的改进结构
CN218123913U (zh) 一种用于对讲机的音频接头装置
CN218730529U (zh) 一种按钮开关
KR200272139Y1 (ko) 휴대폰 배터리 충전기
CN210248836U (zh) 一种彩妆盒
CN218274298U (zh) 大间距微动开关
CN218770424U (zh) 便于收线的排插
CN218849911U (zh) 一种新型适配器固定电源插头
CN217428326U (zh) 一种方便收纳的蓝牙耳机
CN215378992U (zh) 一种可固定在腰袢上的通信电话
KR960003258Y1 (ko) 디바이스 테스트용 소켓어댑터
CN213660827U (zh) 一种手机连接器
CN212849094U (zh) 一种感应器对比报发送适配器
CN211352240U (zh) 一种电力监理现场专用移动终端设备
CN211398143U (zh) 一种设置弹性装置的夹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