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90Y1 - 무선호출장치 - Google Patents

무선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90Y1
KR970003990Y1 KR2019940028952U KR19940028952U KR970003990Y1 KR 970003990 Y1 KR970003990 Y1 KR 970003990Y1 KR 2019940028952 U KR2019940028952 U KR 2019940028952U KR 19940028952 U KR19940028952 U KR 19940028952U KR 970003990 Y1 KR970003990 Y1 KR 97000399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er
unit
output unit
paper output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2895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333U (ko
Inventor
이국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헌조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40028952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90Y1/ko
Publication of KR96001933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33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78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dopt a particular infrastructure
    • G06F3/128Direct printing, e.g. sending document file, using memory stick, printing from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무선호출장치
제1도는 종래 무선호출장치의 구성블럭도.
제2도는 본고안의 무선호출장치의 구성블럭도.
제3도는 본고안의 무선호출장치의 분해사시도.
제4도(a)내지 (c)는 본 고안의 출력프린터에 의한 데이타 출력의 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수신안테나 21 : 신호검출부
22 : 컨트롤러부 23 : 전원공급부
24 : LCD부 25 : 내장메모리부
26 : 페이퍼출력부 27 : 키입력부
28 : 본체 29 : 고정홈
30 : 고정후크 31 : 고정나사레버
32 : 고정나사 33 :고정나사홈
34a : 컨넥트홀 34b : 컨넥트단자
35 : 출력프린터 36 : 페이퍼절단부재
본 고안은 무선호출장치(PAGER)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피호출자가 호출자의 전화번호 등의 정보를 필요에 따라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하여 확인할수 있도록 프린터 출력시킬수 있는 무선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종래의 무선호출장치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종래의 무선호출장치의 구성블럭도이다.
종래의 무선호출장치는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갖는 페이저(Pager)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1)와, 상기 수신안테나(1)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4)와 상기 검출된 신호에 의해 무선호출장치의 각 동작을 제어하는 컨트롤러부(5)와, 상기 컨트롤러부(5)의 제어에 의해 호출자의 전화번호 및 여러정보를 저장하는 내장 메모리부(6)와, 상기 컨트롤러부(5)의 제어에 의해 호출자의 전화번호 및 수신가능지역표시, 수신시각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부(3)와, 상기 각 시스템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무선호출장치는 신호검출부(4)에서 호출신호를 검출하면 컨트롤러부(5)에서 이미 설정된 모드에 의해 진동 또는 음향으로 피호출자에게 호출신호가 수신되었음을 인지시킨다.
동시에 호출자의 전화번호가 LCD부(3)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리고 시간이 흐른후에 피호출자가 내장 메모리부(6)에 저장되어 있는 각 호출자의 전화번호 및 호출시간 등의 정보를 검색하고자 할때는 무선호출장치의 측면에 위치한 푸쉬버튼(push button)을 한 번씩 누를때마다 가장 최근에 입력된 호출자의 전화번호 및 입력시간등의 정보가 LCD부(3)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호출장치에 있어서는 푸쉬버튼을 한 번씩 누를때마다 한 호출자의 정보만 디스플레이되어 피호출자의 원하는 전화번호를 검색하기까지는 시간이 걸리고, 피호출자의 버튼조작실수로 인해 전화번호가 스킵(skip)되는 수가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무선호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써, 무선호출장치에 새로운 출력장치(프린터)를 부가하여 피호출자가 효율적으로 입력된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할 수 있는 무선호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무선호출장치는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갖는 페이저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 검출부, 상기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의해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 출력하는 내장 메모리부, 상기 컨트롤러부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 메모리부의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부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키입력부를 이용한 피호출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페이퍼 출력하는 페이퍼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무선호출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고안의 무선호출장치의 구성블럭도인 제2도에서와 같이 무선호출장치의 시스템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22)와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갖는 페이저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20)와, 상기 수신안테나(20)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21)와, 상기 컨트롤러부(22)의 제어에 의해 호출자의 전화번호, 수신시각등의 정보를 저장 출력하는 내장 메모리부(25)와, 상기 컨트롤러부(22)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27)와, 상기 키입력부(27)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메모리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부(24)로 본체(28)가 구성되고, 상기 본체(28)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키입력부(27)를 이용한 피호출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가지 기준(가장 최근의 시각에 수신된 전화번호만, 5개…10개 등의 수신 시간대의 그룹별로, 시각별, 전화번호별의 전체 출력등)으로 분류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페이퍼 출력하는 페이퍼 출력부(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페이퍼 출력부(26)는 본 고안의 무선호출장치의 분해사시도인 제3도에서와 같이 초소형의 열전사 프린터(Thermal Printer)로서, 무선호출장치의 본체(28)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29)과, 상기 고정홈(29)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26)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후크(30)에 의해 본체(28)에 결합되고, 본체(28)의 일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나사홈(33)과, 상기 고정나사홈(33)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26)에 형성되어 고정나사레버(31)에 의해 회전되는 고정나사(32)에 의한 본체(28)에 결합된 페이퍼 출력부(26)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본체(28)의 상단부에 형성된 컨넥트홀(34a)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26)의 하단부에 형성된 컨넥트단자(34b)의 결합에 의해 본체(28)로부터 전원 및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페이퍼 절단부재(36)가 형성되어 있는 페이퍼 인출구로 피호출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페이퍼가 인출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무선호출장치는 사용자가 호출자의 전화번호를 검색하고자할 때 키입력부(27)를 이용하여 LCD부(24)에 순차적으로 호출자의 내장 메모리부(2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하나씩 디스플레이 시킬것인지, 페이퍼 출력부(26)를 이용하여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부류시켜 페이퍼 출력시킬 것인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상기 페이퍼 출력의 분류는 본 고안의 출력프린터에 의한 데이터 출력의 예를 나타낸 제4도(a)내지 (c)에서와 같이 키입력부(27)를 이용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내장 메모리부(25)에 저장되어 있는 호출자의 전화번호, 수신시각 등의 정보를 수신시각 또는 전화번호를 기준으로 하여 올림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분류시켜 제4도(a)에서와 같이 가장 최근에 입력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만을 출력시키거나 제4도(b)에서와 같이 수신 시간대별로 5개, 10개 등의 그룹으로 출력시키고, 제4도(c)에서와 같이 수신시각별로 내장 메모리부(25)에 저장되어 있는 전체 전화번호를 출력시키거나, 내장메모리부(25)에 저장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수신시각에 관계없이 지역국 또는 전화번호순으로 분류하여 전체를 출력시키게 된다.
이때 지역국 또는 전화번호순으로 분류시켜 출력시키는 것은 내장 메모리부(25)에 입력되어 있는 지역번호(예를들어(0334)(02) 등의 전국의 모든 지역번호)를 이용하여 컨트롤러부(22)에서 지역번호 + 가입자 전화번호를 판단하여 분류 출력하게 된다(이외에도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기준을 달리하여 분류시켜 페이퍼 출력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고안의 무선호출장치는 사용자(피호출자)의 키입력부를 이용한 선택에 의해 필요한 기준으로 분류하여 페이퍼 출력시켜 전화번호를 검색하므로 무선호출장치에서의 보다 효율적인 운용이 이루어지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컨트롤러부,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갖는 페이저 전파를 수신하는 수신안테나,
    상기 수신안테나로 수신된 신호를 검출하는 신호검출부,
    상기 컨트롤러부의 제어에 의해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저장 출력하는 내장 메모리부, 상기 컨트롤러부에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제어신호를 입력하는 키입력부,
    상기 키입력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내장 메모리부의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LCD부로 구성된 본체와,
    상기 본체에 착탈 가능하며, 상기 키입력부를 이용한 피호출자의 선택에 의해 여러 가지 기준으로 분류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를 페이퍼 출력하는 페이퍼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페이퍼 출력부는 본체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홈과,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의 양측에 형성된 고정후크에 의해 본체에 합착되고, 본체의 일측면 중앙부에 형성된 고정나사홈과,
    상기 고정나사홈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에 형성되어 고정나사 레버에 의해 회전되는 고정나사에 의해 본체에 결합된 페이퍼 출력부가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페이퍼 출력부는 본체의 상단부에 형성된 컨넥트홀과,
    상기 컨넥트홀에 대응되게 페이퍼 출력부의 하단부에 형성된 컨넥트단자의 결합에 의해 본체로부터 전원 및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받고 페이퍼 절단부재가 형성되어 있는 페이퍼 인출구로 피호출자의 선택에 의해 분류된 호출자의 전화번호에 관한 정보가 기록된 페이퍼를 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호출장치.
KR2019940028952U 1994-11-01 1994-11-01 무선호출장치 KR970003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52U KR970003990Y1 (ko) 1994-11-01 1994-11-01 무선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28952U KR970003990Y1 (ko) 1994-11-01 1994-11-01 무선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33U KR960019333U (ko) 1996-06-19
KR970003990Y1 true KR970003990Y1 (ko) 1997-04-24

Family

ID=1939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28952U KR970003990Y1 (ko) 1994-11-01 1994-11-01 무선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90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333U (ko) 1996-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99034B2 (en) Response message transmitter and response message transmitting method in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recording program for executing the method
EP0529798B1 (en) Wireless device
FI111784B (fi) Laite, jolla talletetaan sanomia matkaviestinpäätteessä
EP0534478A2 (en) Portable telephone apparatus including electronic notebook function
KR880014785A (ko) 무선전화장치
US5203014A (en) Radio telecommunication device with a display for changed information in received signals
US657382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lerting method
KR100272717B1 (ko) 수신된 메세지의 내용을 근거로 호출 통보 방식을 변경하는 무선 수신 장치
US5802455A (en) Selective call receiver using typeface-based source identification
KR970003990Y1 (ko) 무선호출장치
EP0867846B1 (en) Radio paging receiver
US6823182B1 (en) Cellular mobile telephone apparatus
KR20010001926A (ko)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부가 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5729209A (en) Radio selective call receiver with having electronic pocket notebook function for organizing messages
JP2570495B2 (ja) 表示付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2004005013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 검색 및 표시 제어방법
KR100217728B1 (ko) 무선호출기에서 호출자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KR100217730B1 (ko) 전화번호부 기능 구현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GB2343337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capable of determining a provider access point
JPS6037845A (ja) 選択呼出システム
JP2000188634A (ja) 携帯無線端末
KR10043389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통화중 전화번호 확인 방법
JPH05176039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KR0170330B1 (ko) 무선호출 기능을 갖는 휴대용 기기 및 방법
KR960039780A (ko) 전화기의 통신국 자동선택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