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927B1 -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 Google Patents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927B1
KR970003927B1 KR1019940031535A KR19940031535A KR970003927B1 KR 970003927 B1 KR970003927 B1 KR 970003927B1 KR 1019940031535 A KR1019940031535 A KR 1019940031535A KR 19940031535 A KR19940031535 A KR 19940031535A KR 970003927 B1 KR970003927 B1 KR 9700039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container
lever
shaft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1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6821A (ko
Inventor
김일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구자홍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1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927B1/ko
Publication of KR960016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9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9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7/00Kitchen containers, stands or the lik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Cutting-boards, e.g. for bread
    • A47J47/02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 A47J47/04Closed containers for foodstuffs for granulated foodstuff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Devices For Warming Or Keeping Food Or Tableware Hot (AREA)

Abstract

요약없슴

Description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제1도는 종래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를 발췌한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 정량배출용기113 : 용량조절통
114 : 축봉115 : 레버
116 : 축
본 발명은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취출량을 가변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쌀 정량취출장치는 제1도와 같이 곡물진입구(2a) 및 배출구가 소정위치에 개방된 크고 작은 용량의 원통형 정량인출함체(2)(2') 외면에 기어(3)를 일체로 형성시켜서 인출기케이스(1)의 후방부에다 축봉(4)에 의해 동축상에 축설하고, 상기 인출기케이스(1)의 전방부에는 전방축봉(5)에 의해 레버가압편(6)을 축설시키되 정량인출함체(2)(2')의 기어(3)에 맞물리는 기어(7)를 가진 제1, 제2레버(8)(9)를 비틀림 코일 스프링(11)(12)에 의해 탄지되도록 전방축봉(5)에 축설시켜서 레버가압편(6)의 하부삭설홈(6a)내에 각기 위치되게 하며, 제3레버(10)는 레버가압편(6)에 고정시켜서 구성하였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쌀을 인출하기 위하여 인출코저하는 쌀의 양에 따라 선택적으로 제1, 제2레버(8)(9)을 누르면 기어(7)가 원통형 정량인출함체(2)(2')에 형성된 기어(3)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선택된 상기 원통형 정량인출함체(2)(2')가 회전하면서 쌀의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되도록 하였다.
그러나, 쌀이 인출되는 양이 정량화되어 있어 즉, 제1레버(8)에 의한 인출량과, 제2레버(9)에 의한 인출량이 정하여져 있기 때문에 상기 두가지외의 인출량을 소비자가 원하는 양만큼 인출하지 못하여 남거나 모자라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비자에게 불편을 주는 것과, 인출량을 다양하게 하기 위하여서는 인출장치의 용량을 여러가지로 구성하여야 하기 때문에 장치가 복잡하여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회전에 의하여 담겨진 일정량의 쌀을 인출시키는 정량배출용기내에 쌀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성하고, 상기 조절수단에 정량배출용기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용량조절통을 구성하며, 상기 용량조절통을 이동시켜주는 이동수단을 구비함으로써 쌀통내의 쌀량을 임의로 조절하여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 쌀의 쌀 정량취출장치를 제2도 내지 제4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쌀통(101)의 상부에 쌀을 투입하는 투입구(102)와, 상기 투입구(102)로 투입된 쌀이 저장되는 쌀저장실(103)과, 상기 쌀저장실(103)의 쌀이 유입되는 입구(104)가 형성된 정량배출용기(105)와, 상기 정량배출용기(105)가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고 쌀이 유입되는 개구부(106) 및 배출구(107)가 형성된 외곽지지체(108)와, 상기 정량배출용기(105)의 외통에 형성된 기어(109)와 결합되는 기어(110)가 형성된 레버(111)와, 상기 레버(111)의 양단이 서로 대칭되게 운동하도록 축(112)에 축설되도록 구성한 것에 있어서, 회전에 의하여 담겨진 일정량의 쌀을 인출시키는 정량배출용기(105)와, 상기 정량배출용기(105)내에서 인출되는 쌀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조절수단은 정량배출용기(105)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용량조절통(113)과, 상기 용량조절통(113)을 이동시켜주는 이동수단을 구비하였다.
그리고, 상기 이동수단은 용량조절통(113)의 일측에 축설된 축봉(114)과, 상기 축봉(114)의 선단에 연결된 레버(115)와, 상기 레버(115)의 전후가 대칭되게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축(116)을 구비하였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117은 배출서랍이고 118은 축봉(114)이 정량배출용기(105)에 축설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축수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태에서 쌀을 인출하기 위하여 레버(115)의 선단을 누르면 축(11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후단에 형성된 기어(110)와 결합되어진 기어(109)를 회전시킨다.
따라서, 기어(109)가 형성된 정량배출용기(105)가 회전함에 따라 쌀저장실(103)내의 쌀이 개구부(106)와 입구(104)로 유입되었던 것이 상기 입구(104)가 외곽지지체(108)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구(107)와 나란히 되어 배출서랍(117)으로 낙하된다.
이와 같이 정량배출용기(105)가 회전하면 개구부(106)을 막아주기 때문에 쌀저장실(13)내의 쌀의 정량배출용기(105)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와 같이 쌀을 인출하는 것은 종래의 방법과 동일한 것이나, 쌀을 인출하기에 앞서 레버(115)를 좌우로 이동시키면 레버(115)가 축(116)을 중심으로 수평운동함과 더불어 상기 레버(115)의 선단에 연결된 축봉(114)에 수평이동한다.
따라서, 축봉(114)에 일단이 연결된 용량조절통(113)이 수평이동하면서 정량배출용기(105)내에 일정량의 쌀을 담을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도록 조절하여 준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쌀통 전면에서 레버(115)의 작동에 의해 쌀 배출용량을 임의로 설정가능하므로, 한기구의 일 평균사용량을 설정한 후 단지 1번의 인출레버를 누르면 요구수량이 인출되므로 종래의 구조에서와 같이 2~3번 반복하여 누르지 않아도 되므로 편리하다.
따라서 1, 2, 3인분을 별도 배출용기가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재료비도 절감되며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도 적은 발명이다.

Claims (3)

  1. 회전에 의하여 담겨진 일정량의 쌀을 인출시키는 정량배출용기와, 상기 정량배출용기내에서 인출되는 쌀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조절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조절수단은 정량배출용기내에서 슬라이딩할 수 있도록 장착된 용량조절통과, 상기 용량조절통을 이동시켜주는 이동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이동수단은 용량조절통의 일측에 축설된 축봉과, 상기 축봉의 선단에 연결된 레버와, 상기 레버의 전후가 대칭되게 직선운동을 할 수 있도록 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KR1019940031535A 1994-11-28 1994-11-28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KR9700039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35A KR970003927B1 (ko) 1994-11-28 1994-11-28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1535A KR970003927B1 (ko) 1994-11-28 1994-11-28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21A KR960016821A (ko) 1996-06-17
KR970003927B1 true KR970003927B1 (ko) 1997-03-24

Family

ID=19399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1535A KR970003927B1 (ko) 1994-11-28 1994-11-28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9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9421B (zh) * 2017-03-20 2019-03-29 望江县东方米业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米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59421B (zh) * 2017-03-20 2019-03-29 望江县东方米业有限责任公司 一种智能米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821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6391B1 (en) Automatic machine for preparing espresso coffee
DE1574177C3 (de) Münzwechsler für Verkaufsautomaten mit selbsttätiger Nachfüllung des Münzmagazins
US4448331A (en) Dispenser for dispensing variable amounts of a granular material
DE29880038U1 (de) Geld-ausgabeautomat
WO2006108696A2 (de) Vorrichtung zum zwischenspeichern, sammeln und ausgeben von münzen
EP1843684A1 (en) Built-in coffee machine and related activation process
KR970003927B1 (ko) 쌀통의 쌀 정량취출장치
EP1261268B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having automatic and semi-automatic brewing modes
US4154329A (en) Mechanism for feeding and orienting elongated workpieces
US3661303A (en) Icecream dispenser
KR20090103655A (ko) 막대형 비닐봉지 커피믹스 인출장치
SE446956B (sv) Anordning for forflyttning av material medelst minst en axellos spiral
EP1008116B1 (en) Coin dispensing apparatus
EP0249598B1 (en) Rotating drum magazine for storing and managing coins in telephone sets or dispensers
US4227626A (en) Soda straw dispenser
CA2150879A1 (e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newspapers, magazines and the like
EP2715685A1 (en) Device for delivering by launch products from a vending machine
DE1532670C3 (de) Flüssigkeitszapfvorrichtung mit Zapfvorwahl
CN216310941U (zh) 一种新型扭蛋机
CN216623406U (zh) 一种新型扭蛋机蛋仓
CN216412282U (zh) 一种防卡蛋防掏蛋的扭蛋机出蛋机构
CN216352619U (zh) 一种可以实现同弹道出蛋的蛋仓堆叠结构
DE2706483A1 (de) Selbstauffuellende restgeldeinrichtung
KR200169425Y1 (ko) 1회용 소변검사시험지 자동판매기
CN113658387A (zh) 一种新型扭蛋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7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