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731Y1 - 펄스(pulse)스위치 - Google Patents

펄스(pulse)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731Y1
KR970003731Y1 KR2019940000358U KR19940000358U KR970003731Y1 KR 970003731 Y1 KR970003731 Y1 KR 970003731Y1 KR 2019940000358 U KR2019940000358 U KR 2019940000358U KR 19940000358 U KR19940000358 U KR 19940000358U KR 970003731 Y1 KR970003731 Y1 KR 97000373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rotrusion
rotary
pulse switch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03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914U (ko
Inventor
권영길
Original Assignee
권영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길 filed Critical 권영길
Priority to KR20199400003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731Y1/ko
Publication of KR9500239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9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73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731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05Electromechanical pulse gener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20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 H01H19/24Driving mechanisms allowing angular displacement of the operating part to be effective in either direction acting with snap action

Landscapes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PULSE)스위치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펄스스위치의 일측면 예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펄스스위치의 내부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요부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구성을 보인 정면예시도.
제5도는 본 고안에 따른 하부케이스의 회전구를 결합한 상태의 구성을 보인 정면예시도.
제6a, b, c도는 본 고안에 따른 펄스스위치의 구분동작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회전구 12 : 홈부
14 : 돌기부 20 : 가동부
22 : 가동돌기 30 : 판스프링
32 : 탄성돌기
본 고안은 펄스(PULSE)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자레인지, 전기밥솥, VTR 등의 가전제품 및 계측기기의 프로그램설정용 펄스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평기어의 상하부에 각기 액츄에이터(Actuator)를 결합하고 상기 평기어의 좌, 우회전으로 액츄에이터가 좌, 우로 슬라이드되어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고정단자와 접점케 하고 있었다.
또한 상기 액츄에이터의 외주면에 판스프링을 고정하여 액츄에이터의 동작시 클릭음이 발생케 하고 있는데, 이는 평기어의 지속적인 회전 동작시 불필요한 클릭음이 발생하여 귀에 거슬리기도 하고, 더우기, 부품수가 많아 제조원가가 상승하여 조립이 용이하지 못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소요되는 부품수량을 감소하여 조립을 용이하게 하면서도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펄스스위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동축의 작동축부에 축설되어 좌우회동되는 회전부재인 회전구와, 상기 회전구의 홈부와 돌기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되며 가동단자를 이동시켜 고정단자에 접점시키는 가동부재인 가동구와, 상기 가동구와 대향되어 회전구의 돌기부와 홈부를 따라 전후진되며 클릭음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재인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회동축의 회전으로 회전구가 회동되고, 상기 회전구 전면에 위치한 가동구의 가동돌기가 회전구의 돌기부와 홈부에 의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되며 가동단자가 고정단자에 접점된다.
그리고 회전구의 배면으로 판스프링의 탄성돌기가 회전구의 홈부와 돌기부를 따라 전후진되며 클릭음이 발생케 된다.
다음 본 고안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제1도 내지 제3도에는 본 고안에 따른 펄스스위치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 펄스스위치는 회전구(10)와 가동구(20) 및 판스프링(30)으로 구성된다.
상기 회전구(10)는 원형상으로 중앙에 축고정구멍(16)이 형성되고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부(14)와 홈부(12)가 정배면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가동구(20)는 장방형으로 좌우측으로 측면부(24,26)가 구비되고, 반원형의 가동돌기(22)가 일체로 형성되며, 중심부는 장방형의 홈부(28)가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상하부로 탄성돌기(32)가 일체로 절곡되어 형성되고 좌우측으로는 고정구멍(34)이 형성된다.
상기 회전구(10)는 결합되는 하부케이스(60)와 상부케이스(70) 사이에 게재되어 베어링부(50)를 관통하여 축설되는 회동축(40) 선단의 비원형상으로 작동축부(42)에 축설되고, 상기 가동구(20)는 측면부(24,26)가 하부케이스(60)의 내측면에 결합되는 가동단자(610,611)의 사이에 위치하여 결합되고 일체로 형성된 가동돌기(22)는 상기 회전구(10) 상부 전면에 위치하는데, 상기 회전구(10)의 홈부(12)에 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상하의 탄성돌기(32)가 상기 회전구(10) 배면에 형성된 홈부(12)에 위치하고, 좌우의 고정구멍(34)은 상부케이스(70) 내부면에 형성된 돌기(도시않음)에 결합된다.
첨부된 도면 중 미설명부호 620은 고정단자이며, 630은 고정단자(620)에 일체로 형성된 접점돌기이다.
그러면 제6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인 펄스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하겠다.
먼저 제6a도에서와 같이 회전구(1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동단자(610,611) 사이에 위치하던 가동구(20)가 우측으로 이동되는데, 이때 가동구(20)의 가동돌기(22)는 회전구(10)의 홈부(12)에 결합되어 있으며, 가동돌기(22)의 좌측면이 돌기부(14)의 우측면과 맞닿은 상태에서 가동구(22)가 우측으로 이동되어 가동단자(611)가 고정단자(621)의 접점돌기(631)에 닿으면서 하이레벨의 펄스 신호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판스프링(30)은 탄성돌기(32)가 회전구(10)의 홈부(12)에서 돌기부(14)의 면을 따라 후퇴된다.
이어서 제6b도에서와 같이 회전구 (1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가동구(20)의 가동돌기(22) 상부정점과 판스프링(30)의 탄성돌기(32) 상부정점이 상기 회전구(10)의 돌기부(14) 상부 정점에 위치케 되며 가동구(20)는 좌측으로 이동되려 하고 판스프링(30)은 더욱 후퇴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제6c도에서와 같이 회전구(10)를 시계방향으로 더 회전시키면 가동구(20)의 가동돌기(22) 상부정점과 판스프링(30)의 탄성돌기(32) 상부정점이 회전구(10)의 돌기부(14) 상부정점에서 미끄럼이동되며 각기 좌측 홈부(12)에 안착되며 고정구(20)는 좌측으로 이동되어 가동단자(610,611)사이도 원상복귀되고 가동단자(611)는 고정단자(621)에서 벌어지며 로우레벨의 펄스신호가 발생된다.
그리고 판스프링(30)은 후퇴된 만큼 탄성을 받아 전진되며 탄성돌기(32)가 상기 회전구(10)의 돌기부(14) 상부정점을 타고 좌측홈부(12)에 안착될 때 클릭음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회동축(40)을 시계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회전시키면 회전구(10)가 오른쪽방향으로 회전되고, 가동구(20)도 가동돌기(22)가 회전구(10)의 돌기부(14)와 홈부(12)의 곡면을 따라 좌우로 이동되며 가동단자(611)가 고정단자(621)의 접점돌기(631)에 순간적으로 접촉과 분리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연속된 펄스신호를 발생하게 되며 상기 회동축(40)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상기의 역순서로 동작케 되어 가동구(20)가 가동단자(610)를 고정단자(620)의 접점돌기(630)에서 연속적으로 접촉 및 분리동작을 반복하게 되어 연속된 펄스신호를 발생한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의 펄스스위치는 회전구의 돌기부와 홈부를 따라 가동돌기가 형성된 가동구가 좌, 우로 이동되며 순간적으로 고정단자와 가동단자를 접촉과 분리동작을 반복케하여 정확한 구분동작으로 펄스신호를 발생케 하므로 동작에 신뢰감을 줄 수 있으며, 더우기 부품수를 감소하여 제조원가를 저하시킬 수 있으면서도 조립공정이 감소되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경제적 잇점이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상하부케이스와 베어링부에 축설되어 좌우회동되는 회동축(40)과, 상기 회동축(40)의 작동축부(42)에 축설되어 좌우회동되며 연속적으로 형성된 돌기부(14)와 홈부(12)를 갖는 회전부재(10)와, 상기 회전부재(10)의 돌기부(14)와 홈부(12)의 면을 따라 전후로 왕복운동되며 클릭음을 발생하는 스프링부재(30)와, 상기 하부케이스의 양측에 결합되는 한쌍의 가동단자(610,611)와, 상기 가동단자(610,611)에 근접되게 설치되는 한쌍의 고정단자(620,621)와, 상기 스프링부재(30)와 대향되어 회전부재(10)의 돌기부(14)와 홈부(12)의 면을 따라 좌우왕복되며 상기 가동단자(610,611)를 고정단자(620,621)에 접촉분리케 하는 가동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펄스스위치.
KR2019940000358U 1994-01-12 1994-01-12 펄스(pulse)스위치 KR97000373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358U KR970003731Y1 (ko) 1994-01-12 1994-01-12 펄스(pulse)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0358U KR970003731Y1 (ko) 1994-01-12 1994-01-12 펄스(pulse)스위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14U KR950023914U (ko) 1995-08-23
KR970003731Y1 true KR970003731Y1 (ko) 1997-04-23

Family

ID=19375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0358U KR970003731Y1 (ko) 1994-01-12 1994-01-12 펄스(pulse)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73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14U (ko) 1995-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25084A (en) Rotary switch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3255319A (en) Miniature switch with contact aligned detent structure
US4728755A (en) Rotary switch construction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GB1532341A (en) Rotary electric switch
US3172983A (en) Snap-in plunger switch
CA1230911A (en) Line and program switch assembly for a timing mechanism
MY120804A (en) Multiple operation type electrical part
KR970003731Y1 (ko) 펄스(pulse)스위치
US4785278A (en) Variable resistor
US4623763A (en) Rotary multi-contact switch
US4438301A (en) Movable member membrane switch
US3442004A (en) Method of making electrical switches
US4763101A (en) Locking slide switch
GB1133935A (en) Improvements in rotary electric switches
CA1156299A (en) Electrical switch
JPH0537377Y2 (ko)
CA1266873A (en) Cammed wire snap switch
JPS6020261Y2 (ja) 回転切換装置
JP2010170924A (ja) 正転・逆転切替スイッチ
KR100255487B1 (ko) 단자 부착 구조
JP3762464B2 (ja) ダイヤル機構及びこのダイヤル機構の組立方法
GB2285885A (en) An electrical switch
JPH0743906Y2 (ja) スイッチの接点構造
TW202347385A (zh) 開關裝置
US2888528A (en) Sequence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05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