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3143B1 -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 Google Patents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3143B1
KR970003143B1 KR1019940006935A KR19940006935A KR970003143B1 KR 970003143 B1 KR970003143 B1 KR 970003143B1 KR 1019940006935 A KR1019940006935 A KR 1019940006935A KR 19940006935 A KR19940006935 A KR 19940006935A KR 970003143 B1 KR970003143 B1 KR 9700031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oder
control board
module
descrambler
au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0645A (ko
Inventor
이현곤
Original Assignee
신한정밀 주식회사
박종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한정밀 주식회사, 박종명 filed Critical 신한정밀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0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3143B1/ko
Publication of KR950030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0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3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143B1/ko
Priority to US08/962,179 priority patent/US6005937A/en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6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receiving on more than one standard at wil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44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circuits 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HBROADCAST COMMUNICATION
    • H04H20/00Arrangements for broadcast or for distribution combined with broadcast
    • H04H20/65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ransmission systems for broadcast
    • H04H20/76Wir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본 발명은 국가별, 지역별로 서로 상이한 방송방식을 갖고 운용되고 있는 유선 방송망(CATV)의 디코더(DECODER)를 규격화, 모듈(MODULE)화하여 범용으로 사용 가능하게 하는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UNIVERSAL DECODER)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유선방송망(유료 TV방송망)은 제3자에 의한 불법 도청의 방지를 위하여 비디오, 오디오 신호들을 일정한 규칙으로 스크램블(SCRAMBLE)하여 전송하고, 또한 가입자측에서는 이를 일정한 규칙에 근거하여 디스크램블(DESCRAMBLE)하여 수신,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유선 방송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1]. 국가별 또는 동일 국가내에서도 지역별, 방송사별로 비디오 신호의 규격(STANDARD)이 상이하고, 바이링거(BILINGUAL) 및 스테레오 시스템(STEREO SYSTEM)이 상이할 뿐만 아니라, 전압과 전류의 사이클이 상이하며, 유선 방송용 주파수 대역의 할당 또한 상이하기 때문에 국가별, 지역별, 방송사별로 상호 호환성을 갖지 못하고 있고, 따라서 각각의 방송사와 계약한 가입자들만 가입 방송국의 방송 시청이 보장되는 제약과, 각 방송사별로 서로 다른 방송 시스템 운용으로 인해 상호 호환성있는 방송장비, 가입자 장비-특히 디코더의 제작과 구입, 설치, 관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2]. 또한 현재 세계 각국의 디코더 제작자들이 각각 고유의 자사 스크램블 시스템에서만 작동하는 디스크램블러를 내장한 디코더를 제작하여 유선 방송국에 판매하고 잇기 때문에 각 회사마다 각각 상이한 디코더를 사용하게 되며, 따라서 디코더의 호환성이 없고, 디코더에 대한 표준화 작업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3]. 또한, 컴퓨터 및 전자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어떠한 스크램블 시스템이라고 하더라도 비공식적은 불법 도청용 디스크램블러의 개발과 등장이 가능하게 되며, 방송사에서는 이러한 도청용 디스크램블러의 등장으로 인한 피해를 입게되고, 불법 도청용 디스크램블러가 유통될 즈음에 방송사에서는 스크램블 시스템을 새로운 방식으로 변경해야 하며, 이와같이 새로운 스크램블 시스템으로 변경할때 스크램블 시스템만 교체할 수 없고 디코더 박스 전체를 교체해야 되므로 막대한 교체비용을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4]. 또한, 세계적으로 새로운 스크램블 및 디스크램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각 디코더 제조사들은 자사의 스크램블 시스템만을 고집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방송국의 입장에서는 스크램블 시스템을 선택함에 있어 극히 제한적이고, 융통성을 갖기가 어려우며, 선택권을 갖지 못하고 디코더 제작자가 제시하는 스크램블 시스템을 사용할 수 밖에 없었다.
[5]. 또한, 쌍방향 유선 방송 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하여, 각 방송국과 가입자용 디코더 사이에 투-웨이 데이타 통신(TWO-WAY DATA COMMUNICATION)이 가장 중요한 핵심 기술중의 하나로 꼽히고 있는 바, 각 디코더 제작자들은 각자 고유의 데이타 통신 시스템에서만 작동하는 디코더를 제작, 판매하기 때문에 혼용할 수 없고, 따라서 쌍방향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운용에도 적지않은 제약이 따르고, 쌍방향 데이타 통신 시스템의 규격화, 모듈화가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6]. 또한, 각 디코더 제작자들이 제시하는 소프트웨어 메뉴를 고찰해 보면, 온스크린 디스플레이(OSD), 타이머, 페이버릿 채널 프로그래밍(FAVORITE CHANNEL PROGRAMMING), 자기 진단기능(SELF DIAGNOSTICS), 등등의 기능이 대부분 대동소이함에도 불구하고, 각 제작자별로 소프트웨어의 호환성이 없기 때문에 상기한 바와같이 제반 문제점들을 그대로 표출하게 되며, 이러한 운용 소프트웨어의 표준화, 이를 통한 디코더의 호환성을 부여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같이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디코더의 각 회로 구성요소들을 기능별로 블록화하고, 이 블록화된 기능을 분류하여 고정적인 기능과, 가변적인 기능으로 대별하여, 가변적인 기능블록을 교체 가능한 모듈 또는 유닛(UNIT)으로 제작함으로써, 디코더 상호간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범용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디코더를 제작하는 방법은, [1]. 콘트롤 기관(PCB), [2]. 전원 공급 유닛, [3]. 튜너모듈, [4]. 변조기 및 복조기, [5]. 비디오 스크램블 모듈, [6]. 오디오 스크램블 모듈, [7]. 데이타 통신 모듈, [8]. 바이링거 및 스테레오 모듈, [9]. 리모콘 콘트롤러의 9개 유닛(모듈)으로 구분하여 표준 규격을 정의함으로써 달성된다.
제1도는 a는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의 각 모듈의 설치를 평면에서 나타낸 도면.
b는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의 각 모듈의 설치를 측면에서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의 블록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라인 연결 및 초기화부 2 : 온/오프 검색부
3: 최소 온/최대 오프 시간 검색부 4 : 링신호 검색부
5 : 버퍼
도면 제1도의 a는 상기한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의 평면에서 보는 구성을 나타내고, b도는 측면에서 본 구성을 나타내며, 제2도는 회로 구성을 나타낸다. 상기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의 구성은 다음과 같은 유닛별 표준 규격을 정의한다.
[1]. 콘트롤기판(1)
콘트롤 기판(1)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JERROLD, SCIENTIFIC ALLANTA, ZENITH, TV/COM 매뉴(MANU)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기본 기능을 취합하고, 이들 공통적인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선정하여 제작한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공통 공약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스템 콘트롤IC 및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9개 유닛 기능을 콘트롤 할 수 있도록 기판을 설계한다.
예를 들면, JERROLD와 ZENITH의 셋탑박스(디코더가 내장되는 가입자측 장비)에 대하여, 오디오/비디오 디스크램블 방식에 대한 제어방법, 오디오 신호처리방법(음성다중, 스테레오, 모노 등), 튜닝제어방법(NTSC인가 또는 PAL인가에 따른 튜닝 데이타의 출력과 제어 등), 변복조방식(전송속도 등의 규격), 데이타 통신방식(부호화, 복호화, 데이타전송규격 등), 클록신호의 공급과 어드레스나 데이타, 콘트롤 데이타 라인(포트), 인터럽트처리 등을 동 지침서(MANU)에 근거하여 공용(겸용)으로 구성할 수 있는 것을 기본기능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다른 제작사의 모든 시스템을 운용할 수 있는 복수의 소프트웨어를 탑재한다(예를 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롬을 가지고 ZENITH 시스템이면 이 것에 해당하는 상기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키고, JERROLD 시스템이면 이 것에 해당하는 상기 탑재된 소프트웨어를 구동시킨다),
[2]. 비디오 디스크램블러(2)
비디오 디스크램블러(2)는 각 제작자별로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제공되므로 콘트롤기판(1)에 부여된 어드레스 코드(ADDRESS CODE) 및 보안코드(SECURITY CODE)와 전혀 별개의 디스크램블러용 어드레스 코드 및 보안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콘트롤기판(1)의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고, 모듈 교체시에도 디코더내의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작한다.
[3]. 튜너(3)
튜너(3)는 각국의 비디오 신호 처리기준(전송과 수신규격, 예 : NTSC, PAL 등등)에 적합하도록 모듈화하여 교체 가능하게 제작하고, 시스템 콘트롤러로 시스템 변경 가능하게 제작한다.
[4]. 변복조기(4)
변복조기(4)는 시스템 운영에 부합하도록 규격을 표준화하며, 교체 가능하도록 바이링거 및 스테레오 기능 부분을 모듈(6)로서 분리하여 바이링거 및 스테레오 모듈(6)속에 분리 장착한다.
[5]. 오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5)
오디오 디스크램블러는 각 제작자별로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제공되므로 어드레스 코드 및 보안코드를 비디오 스크램블러에 같이 이용하기 위하여 오디오 스크램블러와 비디오 스크램블러 사이에 선로 구성이 가능하게 제작한다.
[6].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은 각 국가마다 규격이 상이하므로 그 국가의 규격에 부합되는 모듈로 제작하며, 방송국에 선택권을 주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이 모듈(6)을 옵션(OPTION)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한다.
[7]. 데이타 통신모듈(7)
데이타 통신모듈(7)은 각 국가마다 주파수 할당이 다르고, 전파 장애시 방해가 없는 주파수로 변경 가능해야 되므로 유니버살 디코더의 송수신 시스템은 PLL타입의 가변 주파수 시스템으로 제작한다. 그리고, 방송국의 호우스트 컴퓨터로 각 가입자 디코더내의 송수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하게 제작하며, 쌍방향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고 아웃 밴드(OUR-BAND) 방식을 원칙으로 하여 제작한다. 또한, 아웃밴드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예비 통신만으로 인밴드(IN-BAND) 시스템이 내장되어야 한다. 이 모듈의 부착시 RF로 IPPV 기능이 수행되도록 가입자 관리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 되어야 하며, 전화 모듈로 대치할시 전화로 IPPV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제작한다.
[8]. 전원 공급 유닛(8)
전원공급유닛(8)은 분리시켜 독립적인 유닛으로 설치하며, 국가별 전압 및 사이클에 따라 전원공급유닛(8)의 교체가 가능하게 유닛화한다.
[9]. 리모트 콘트롤러
리모트 콘트롤러는 콘트롤기판(1)과 인터페이스되도록 제작하며, 기능 및 시스템은 기존 제품의 최대 공약수를 도출하여 표준화한다.
상기한 바와같은 조건을 만족하도록 콘트롤기판(1), 비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2), 튜너(3), 변복조기(4), 오디오 디스램블러 모듈(5),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 데이타 통신모듈(7), 전원공급유닛(8)을 제작하여 각 모듈(유닛)을 서로 교체 가능하게 분리할 수 있게 제작한 유니버살 디코더로 구현한다.
이러한 유니버살 디코더의 회로 구성을 살펴보면 도면 제2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디코더 회로 각부분을 통괄 제어하는 콘트롤 회로가 구비되는 콘트롤기판(1)과, 방송국에서 제3자에 의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을 갖고 스크램블되어 전송되어온 비디오신호를 상기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원래의 정상적인 비디오신호로 복원시키는 비디오 디스램블러(2)와, 상기 방송국에서 전송되어온 신호에 대해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 선국하는 튜너(3)와, 상기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어온 신호의 복조와, 가입자로부터 방송국으로 전송되는 신호의 변조를 실행하는 변복조기(4)와, 방송국에서 제3자에 의한 도청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정한 규칙을 갖고 스크램블되어 전송되어온 오디오 신호를 상기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원래의 정상적인 오디오 신호로 복원시키는 오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5)과, 상기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음성 다중 및 스테레오 신호처리를 수행하는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과, 상기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상기 방송국과 가입자 사이의 통신 처리를 담당하는 데이타 통신모듈(7)과, 상기 회로 각부분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유닛(8)으로 구성된다.
전원공급유(8)은 이 디코더가 사용되는 곳의 전력환경에 적절한 것으로 선택되어 디코더에 탑재되므로, 해당 전력환경 예를들면 60Hz 220V의 전원을 정류하고 평활하며 직류 안정화 전원으로 변환하여 디코더에 공급함으로써 본 발명의 유니버살 디코더는 동작하게 된다.
유선방송선로를 통해서 방송국으로부터 전송되어온 방송신호는 예를 들면 NTSC 시스템이고, 이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는 도청 방지를 위해서 스크램블 되어 있으며, 스크램블 정보가 함께 전송되어 가입자측의 셋탑박스---디코더에 입력된다.
이때 콘트롤기판(1)에서는 NTSC 시스템에 해당하는 튜닝, 상기 스크램블 시스템에 대한 디스크램블링등의 기 탑재된 복수의 소프트웨어 중에서 해당 콘트롤 소프트웨어가 구동된다.
그러면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서 튜너(3) 가입자가 리모콘으로 선택한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고, 튜너(3)에서 선국된 오디오/ 비디오 신호는 각각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서 비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2)과 디스크램블러 모듈(5)에서 원래의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를 복원된다.
또, 방송국에서 가입자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는 변복조기(4)에서 상기의 적절한 규칙에 의해 복조되고, 복조된 데이타를 콘트롤기판(1)에서 처리하며, 가입자측에서 방송국으로 보내는 데이타는 변복조기(4)에서 상기의 적절한 규칙에 의해서 변조되어 송신된다.
이때 데이타 통신모듈(7)이 개입하여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 상기한 쌍방향 데이타 통신을 제어하게 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는 다음과 같은 장점과 효과를 가진다.
콘트롤기판(1)은 현재 사용하고 있는, JERROLD, SCIENTIFFIC ALLANTA, ZENITH, TV/COM의 매뉴(MANU)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기능을 취합하고, 이들 공통적인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선정하여 제작하므로, 현재 운용되고 있는 유선 방송 시스템, 즉 JERROLD, SCIENTIFFIC ALLANTA, ZENITH, TV/COM의 통괄 범용 제어를 가능하게 하며, 각 방송방식과 스크램블방식에 적합하게 각 유닛과 모듈들을 콘트롤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정된 공통 공약수 기능을 수행하도록 시스템 콘트롤러 IC 및 소프트웨어를 제작하여 9개 유닛의 유닛 기능을 콘트롤할 수 있도록 기판을 설계함으로써, 디코더의 콘트롤러에 대한 호환성을 보장한다.
비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2)은 콘트롤기판(1)에 부여된 어드레스코드 및 보안코드와 전혀 별개의 디스크램블러용 어드레스코드 및 보안코드를 부여함으로써, 콘트롤기판(1)의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고, 모듈 교체시에도 디코더내의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제작하므로, 디스크램블러가 콘트롤기판의 콘트롤 회로 제어를 받아 비디오 신호를 시청 가능한 신호로 복원함에 있어, 디코더와 별도의 독립된 어드레스코드와 보안코드를 갖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가된다.
또, 비공인-불법-디스크램블러의 범람으로 인한 피해 때문에 방송국 운영에 어려움이 따를 때는 디코더내의 비디오 디스램블러 모듈(2)만 교체하면 스크램블 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어 디코더 박스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기존의 디코더보다 경제성을 보장해주고, 새로운 디스크램블 시스템 채용으로 인한 보안성 증가를 보장하게 된다.
튜너(3)는 각국의 비디오 신호처리 기준(전송과 수신규격, 예 : NTSC, PAL 등등)에 적합하도록 모듈화하여 교체 가능하게 제작하고, 시스템 콘트롤러로 시스템 변경 가능하게 제작하므로, 콘트롤 기판(1)의 콘트롤 회로 제어를 받아 채널 선국을 수행함에 있어, 각국의 비디오 신호 처리 기준에 적합한 시스템으로의 변경이 용이하다.
변복조기(4)는 시스템 운영에 부합하도록 규격을 표준화하며, 교체 가능하도록 바이링거 및 스테레오 기능 부분을 모듈(6)로서 분리하여 바이링거 및 스테레오 모듈(6)속에 분리 장차하므로, 콘트롤기관(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방송국과 가입자 사이에 이루어지는 데이타의 변조 및 복조 처리를 각 시스템 운영에 적합하게 변경할 수 있다.
오디오 디스크램블러는 어드레스 코드 및 보안코드를 비디오 디스크램블러와 비디오 디스크램블러 사이에 선로 구성이 가능하게 제작된다.
그러므로, 디스크램블러가 콘트롤기판(1)의 콘트롤회로 제어를 받아 오디오 신호를 청취 가능한 신호로 복원함에 있어, 디코더와 별도의 독립된 어드레스코드와 보안코드를 갖기 때문에 보안성이 증가되고, 비공인-불법-디스크램블러의 범람으로 인한 피해 때문에 방송국 운영에 어려움이 따를 때는 디코더내의 오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5)만 교체하면 스크램블 시스템을 변경할 수 있어 디코더 박스 전체를 교체해야하는 기존의 디코더보다 경제성을 보장해주고, 새로운 디스크램블 시스템 채용으로 인한 보안성 증가를 보장하게 된다.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은 각 국가의 규격에 부합되는 모듈로 제작하며, 방송국에 선택권을 주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이 모듈(6)을 옵션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선계된다.
그러므로, 음성 다중 방식과 스테레오 방식이 상이한 국가, 지역에서는 해당 기능의 모듈로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을 교체하면 되고, 이는 국가간의 디코더 호환성을 보장해줄 수 있게한다.
데이타 통신모듈(7)은, PLL타잎의 가변 주파수 시스템으로 제작하므로 각 국가마다 다른 주파수 할당에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고, 전파 장애시 방해없는 주파수로 변경 가능하여 호환성과 교체의 용이성을 보장한다.
그리고, 방송국의 호우스트 컴퓨터로 각 가입자 디코더내의 송수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하게 제작하며, 쌍방향 데이타 통신이 가능하고 아웃밴드(OUT-BAND)방식을 원칙으로 하여 제작하기 때문에 방송국별로 가입자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선로 구축에 제약을 받을 염려가 없고, 또한 아우 밴드 통신에 이상이 발생하였을때 이를 회복시키기 위한 예비 통신망으로 인밴드(IN-BAND)시스템이 내장되기 때문에 통신 이상에도 용이하게 대처하여 신뢰성을 보장할 수 있게한다.
또한 이 모듈은 부착시 RF로 IPPV기능이 수행되도록 가입자 관리 소프트웨어와 인터페이스되기 때문에 편리하고, 전화모듈로 대치할시 전화로 IPPV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제작하기 때문에 전화로 IPPV기능의 수행이 가능하게 보장된다.
전원공급유닛(8)은 분리시켜 독립적인 유닛으로 설치하며, 국가별 전압및 사이클에 따라 전원공급유닛(8)의 교체가 가능하게 유닛화하므로, 국가 또는 지역별로 전압과 전류 사이클이 다를 때는 그 국가 또는 지역에 적합한 전압 전류 사이클의 전원공급유닛으로 간단하게 교체할 수 있게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에 의하면, 유니버살 디코더 사이에서도 상호 호환성이 있기 때문에 방송국은 디코더 교체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방송국의 운영방식에 따라 광범위한 비디오 및 오디오 스크램블 시스템 중에서 임의의 것을 선택할 수 있는 폭을 제공한다.
또한 디코더 고장 발생시에도 고장이 발생한 모듈만 교체하면 되기 때문에 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제품의 규격화 및 호환성이 보장되므로 모듈 또는 유닛별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염가의 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는 디코더의 각 회로 구성요소들을 기능별로 블록화하고, 이 블록화된 기능을 분류하여 고정적인 기능과 가변적인 기능으로 대별하여, 가변적인 기능블록은 교체 가능한 모듈 또는 유닛(UNIT)으로 제작하기 때문에, 디코더 상호간의 호환성을 보장하는 범용의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

  1. 유선방송 디코더의 채널선국과 오디오 및 비디오 신호의 처리 그리고 데이타 통신등을 제어하는 수단으로서 : FERROLD, SCIENTIFIC ALLANTA, ZENITH, TV/COM의 매뉴(MANU)를 분석하여 공통적인 기능을 취합하고, 이들 공통적인 기능을 기본 기능으로 선정하여 제작되는 콘트롤기판(1)과, 상기 콘트롤기판(10에 연결되어 비디오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수단으로서 : 상기 콘트롤기판(1)에 부여된 어드레스코드(ADDRESS CODE) 및 보안코드(SECURITY CODE)와 전혀 별개의 디스크램블용 어드레스코드 및 보안코드를 부여하고, 콘트롤기판(1)외 별도로 분리하여 운용하며, 모듈 교체시에도 디코더내의 다른 시스템에 영향을 주지않도록 제작된 비디오 디스크램블러 모듈(2)과, 상기 콘트롤기판(1)에 연결되어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 유선방송신호의 채널선국을 수행하는 수단으로서 : 각국의 비디오 신호처리 기준(전송과 수신규격, 예 : NTSC, PAL 등등)에 적합하도록 모듈화하여 교체가능하게 제작하고, 시스템 콘트롤러로 시스템 변경 가능하게 제작된 튜너(3)와, 상기 콘트롤기판(1)에 연결되어 제어를 받고 또 디코더와 유선방송선로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데이타 송수신에 그 데이타를 소정의 전송규격과 속도에 적합하게 변조 또는 복조하는 수단으로서; 시스템 운영에 부합하도록 규격을 표준화한 변복조기(4)와, 상기 콘트롤기판(1)에 연결되어 오디오 신호를 원래의 신호로 복원하는 수단으로서; 어드레스코드 및 보안코드를 비디오 디스크램블러에 같이 이용하기 위하여 오디오 디스크램블러와 디스크램블러 사이에 선로 구성이 가능하게 제작된 오디오 디스크램블 모듈(5)과, 상기 튜너(3)에서 튜닝되고 오디오 디스크램블러에서 복원된 오디오신호에 대하여 상기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 상기 오디오 신호의 음성다중이나 스테레오 처리를 위한 수단으로서; 각 국가의 규격에 부합되는 모듈로 제작하며, 방송국에 선택권을 주기 위하여 필요시에만 옵션(OPTION)으로 부착할 수 있도록 설계되는 바이링거/스테레오 모듈(6)과, 상기 콘트롤기판(1)의 제어를 받아, 상기 변복조기(4)에 의하여 변조 또는 복조되는 데이타의 송수신 제어를 위한 수단으로서; PLL타입의 가변 주파수 시스템으로 제작하여 각 국가마다 다른 주파수 할당에 적응하고, 전파 장애시 방해가 없는 주파수로 변경이 가능하며, 방송국과 가입자 디코더내의 송수신 주파수 변경이 가능하고 아웃밴드 방식이며, 이상 발생시 인밴드 예비 통신망으로의 전환이 가능한 데이타 통신 모듈(7)과, 디코더의 모든 구성요소들에 연결되어 그 동작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분리시켜 독립적인 유닛으로 설치하며, 국가별 전압 및 사이클에 따라 교체가 가능하게 유닛화한 전원공급유닛(8)과, 상기 콘트롤기판(1)과 인터페이스되도록 제작하며, 기능 및 시스템은 기존 제품의 최대 공약수를 도출하여 표준화한 리모트 콘트롤러로 구성된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KR1019940006935A 1994-03-07 1994-04-01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KR970003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935A KR970003143B1 (ko) 1994-04-01 1994-04-01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US08/962,179 US6005937A (en) 1994-03-07 1997-10-31 Universal decod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6935A KR970003143B1 (ko) 1994-04-01 1994-04-01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45A KR950030645A (ko) 1995-11-24
KR970003143B1 true KR970003143B1 (ko) 1997-03-14

Family

ID=193803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6935A KR970003143B1 (ko) 1994-03-07 1994-04-01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31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0645A (ko)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05937A (en) Universal decoder
US6622304B1 (en) Interface system for computing apparatus and communications stations
KR200158088Y1 (ko) 아날로그 및 디지탈 방송시청이 가능한 케이블 티브이(catv)
CN1256844A (zh) 宽带通信服务的小规格子系统
JP2000032417A (ja) 加入者制御式信号遮断装置および方法
EP0684735B1 (en) Interfacing broadcast signals with electronic devices
EP1542470A1 (en) A digital cable receiver
KR20000075649A (ko) 수신장치 및 수신방법
HU223921B1 (hu) Hálózati elosztórendszer és eljárás
KR970003143B1 (ko) 유선 방송용 유니버살 디코더
US20050060749A1 (en) Digital cable receiver
JPH0993558A (ja) 複数スクランブル方式放送システム及びデコーダ
US20060053457A1 (en) Module,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digital signals
US20110154388A1 (en) Digital broadcast receiver
KR101090066B1 (ko) 방송신호 수신장치
KR101049128B1 (ko) 케이블 방송 송수신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0501777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 consumer upgradeable decoder
EP1542463B1 (en) A broadcast routing system
KR960009392Y1 (ko) 기능 분리형 유선 방송용 컨버터
EP1043895B1 (en) Conditional access system of CATV
KR100433236B1 (ko) 복합매체처리시스템
KR100403236B1 (ko) 디지털 위성방송 수신기의 수신제한장치
KR20070113002A (ko) 방송 시스템, 채널 정보 처리 방법, 및 데이터 구조
US6597789B1 (en) Video/audio scrambling with single conversion tuners
US2002018632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bining analog set-top box converters with digital set-top box conver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4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