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644Y1 -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 Google Patents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644Y1
KR970002644Y1 KR2019940005494U KR19940005494U KR970002644Y1 KR 970002644 Y1 KR970002644 Y1 KR 970002644Y1 KR 2019940005494 U KR2019940005494 U KR 2019940005494U KR 19940005494 U KR19940005494 U KR 19940005494U KR 970002644 Y1 KR970002644 Y1 KR 9700026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ontainer
rear end
lower doo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549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7183U (ko
Inventor
나연섭
Original Assignee
나연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연섭 filed Critical 나연섭
Priority to KR201994000549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644Y1/ko
Publication of KR95002718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718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6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6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6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 B60J5/062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slidable; foldable for utility vehicles or public trans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 B60J5/0477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characterised by the opening or closing movement with two doors opening in opposite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6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 B60P1/6418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the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being readily removable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being a container or simil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제1도는 종래의 탑차의 컨테이너의 개폐구조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의한 탑차용 컨테이너의 사시도.
제3도는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의 상하부 도아의 사시도.
제4도는 제 3 도의 A-A선 단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작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본 고안의 탑차용 컨테이너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에 관한 것이다.
탑차용 컨테이너는 냉장을 요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냉동장치를 구비한 상태에서 컨테이너의 후단부에 여닫이 식의 문이 장착된다. 이러한 냉동 컨테이너의 경우에는, 컨테이너 내부의 찬공기가 외부로 나가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밀폐 장치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별도의 냉동장치를 가지지 아니하고, 단지 어느 정도의 보냉 또는 보온의 효과만이 필요한 경우, 즉 대상이 되는 물건이 냉동의 요건을 필요로 하지 아니하는 빵과 같은 경우에는, 당일 수송이 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보냉의 효과만을 가지고 있으면 충분하다.
본 고안의 이러한 정도 보온의 효과만을 필요로 하는 컨테이너의 개폐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간단한 동작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구성한 것이다.
종래의 이러한 컨테이너의 구조를 제 1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제 1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의 컨테이너(1)의 도아(3)는 그 좌우측벽에 미닫이 식으로 구성하고 있다. 즉, 컨테이너의 측벽에 적정수의 도아를 좌우로 개폐 가능하도록 미닫이 식으로 구성한 것이다. 이러한 미닫이 도아는 컨테이너의 양측 또는 일측에 구성하고 있으나 다음과 같은 불편한 점이 지적되고 있었다.
종래의 컨테이너의 미닫이 식의 도어(3)는, 차량의 운행중인 진동 등에 의하여 미닫이 문 자체의 신뢰성이 떨어진다. 즉 오랜 기간의 운행으로 인하여 문 자체가 흔들 거리는 경우가 많고, 이러한 단점은 오래 쓸수록 더욱 현저하게 나타나게 되어서 제품의 신뢰성에 영향을 주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개폐가 용이하고 장기간 사용에도 견딜 수 있는 신뢰성 있는 컨테이너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탑차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측벽의 가이드 레일부에 의하여 가이드되어, 상하로 개폐되는 상하부 도아와 상기 상부 도아의 선단부와 하부 도아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부도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하여 하부 도아는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연결하는 제 1 연결 로프와, 상기 하부 도아의 선단부와 상부 도아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하부도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하여 상부 도아는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연결하는 제 2 연결 로프로 구성되어, 상하부 도어의 일측의 동작으로 상하부 도아가 같이 개폐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요지로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기초하면서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의 구조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10)는 통상 차고의 셔터등과 유사하게 상하로 개폐되는 특징으로 가지고 있으며, 상측 또는 하측의 어느 하나만이라도 열리면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컨테이너(10)는 측벽을 몇 개의 적절한 칸으로 나누고 상기 칸마다 본 고안에 의한 도아를 장착하고, 각각 독립적으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 2 도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는 측벽을 3개의 섹터(12, 14, 16)로 분할하고 있으며, 각각의 섹터(12, 14, 16)의 내부 구성은 제 3 도이하에 도시하고 있다.
제 3 도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도아를 개폐구조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도아는 상하로 개폐 가능하게 구성되며, 중심부에서 상부 도아(20)와 하부 도아(30)으로 나누어진다. 상부 도아(20)와 하부 도아는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며, 그 각각은 셔터와 같이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로편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아 자체의 형상은 이미 공지된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전체적인 것만 개략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통상 차고의 문에는 소위 셔터라고 불리우는 구조의 도아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가능하도록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셔텨 구조는 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개의 가로편(21)으로 구성되는 것이어서, 상부 또는 하부에서 방향에 바뀌어도 무리없이 일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말하며, 본 고안에서는 이러한 구조를 셔터 구조라고 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부 도아(20)와 하부 도아(30)는 각각 도아 자체는 상술한 바와 같은 셔터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양측벽에는 가이드레일부(40)가 설치되어 그 상하 운동을 유도하여 준다. 그리고 상부 도아(20) 및 하부 도아(30)의 원활한 이동을 위하여, 상기 가이드레일부(40)에서 셔터구조의 상하부도아(20, 30)의 측면에는 회전 로울러(23)를 핀결합하여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즉, 제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면이 ㄷ자형의 가이드 레일부 속으로 상하부 도아(20, 30)가 수납된 상태로 개폐되고, 상하부 도아(20, 30)의 측면에는 원형의 회전 로울러(23)가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상하부 도아(20, 30)가 상기 가이드 레일부(40)의 내부에서 원활하게 이동하는 것을 보조하는 것이다.
다음에는 제 5 도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요부인 개폐동작 상태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한 상하부 도아(20, 30)는 서로 연동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만일 사용자가 상부 도아(20) 또는 하부 도아(30)의 어느 하나를 열면 다른 도아도 같이 열리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하부 도아(30)를 잡고 아래 방향으로 내리면, 상부도아(20)도 같이 위방향으로 열리도록 구성되고, 상부 도아(20)을 아래 방향으로 내려 닫으면 하부 도아(30)도 같이 위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제 5 도를 참조하면, 상부 도아(20)의 선단부(20a)는 연결로프(32)를 통하여 하부 도아(30)의 후단부(30b)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부 도아(30)의 선단부(30a)는 연결 로프(22)를 통하여 상부 도아(20)의 후단부(30b)에 연결된다.
이러한 로프(22, 32)를 통한 연결이 상부 도아와 하부도아의 연동을 가능하게 해 주는데, 이러한 연동은 컨테이너의 측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부수개의 로울러(24, 26, 34, 36)에 의한 상호 연결의 구성에 기인한다.
상세히 살펴보면, 상부 도아(20)의 선단부(20a)는, 하부 유도 로울러(36)의 내측을 통과하고, 하부 후측 로울러(34)의 외측을 통하여 하부 도아(30)의 후단부(30b)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 도아(30)의 선단부(30a)는, 상부 유도 로울러(26)의 내측을 통과하고, 상부 후측 로울러(24)의 외측을 통하여 상부 도아(20)의 후단부(20b)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은 한마디로 요약하면, 상부 도아(20)의 선단부(20a)의 상방향의 이동이 하부 도아(30)의 후단부(30b)를 뒤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같이 열리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열린 상태에서 상부 도아(20)의 선단부(20a)를 하방향으로의 이동은 상부 도아(20)의 후단부(20b)에 연결된 연결로프(22)를 통하여 하부 도아(30)의 선당부(30a)를 상부로 끌어 올리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역으로 하부 도아(30)를 중심으로 기술하면, 하부 도아(30)를 연다는 것은 하부 도아(30)의 선단부(30a)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이 되고, 이렇게 되면, 하부 도아(30)의 선단부(30a)와 연결된 로프(22)가 상부 도아(20)의 후단부(20b)를 잡아 당겨서 상부 도아를 같이 열게 된다. 그리고 하부 도아(30)를 열린 상태에서 닫게 되면, 하부 도아(30)의 후단부(30b)와 연결된 로프(32)에 의하여 상부 도아(20)의 선단부(20a)를 아래 방향으로 잡아 당겨서 상하부 도아가 같이 닫기게 되는 결과로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은 상부 도아(20) 또는 하부 도아(30)의 어느 하나만을 열거나 닫는 동작에 의하여 대응하는 하부 도아(30) 또는 상부 도아(20)이 같이 열리거나 닫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셔터구조의 측면으로는 상하 도아의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로울러가 가이드레일부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어서, 상하 도아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탑차용 컨테이너의 구조에 있어서, 일부분의 문이 개폐가 용이할 뿐 아니라 종래의 미닫이식의 개폐 구조에 있어서 도아의 신뢰성의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또한 개폐에 있어서도 상하부 도아로 구성되는 어느 일측만을 이동 시킴으로 인하여 나머지 일측의 도아가 연동 하도록 구성되어 있어서 도아의 개폐가 훨씬 용이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탑차용 컨테이너에 있어서, 컨테이너 측벽의 가이드레일부에 의하여 가이드되고, 상하로 각각 개폐되는 상하부도아(20, 30)와; 상기 상부 도아(20)의 선단부와 하부도어(30)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상부도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하여 하부 도아는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로프(32)와; 상기 하부도아의 선단부와 상부도아의 후단부를 연결하여 하부 도아의 상승 또는 하강에 대하여 상부 도아는 하강 또는 상승하도록 연결하는 연결로프(22)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로프(32)는, 상부 도아의 선단부에서 컨테이너 앞측의 하부유도 로울러(36)의 내측과 하부 후측 로울러(34)의 외측을 거쳐 하부 도아의 후단부로 연결되고; 상기 연결로프(22)는, 하부 도아의 선단부에서 컨테이너 앞측의 상부 유도 로울러(26)의 내측과 상부 후측 로우러(24)의 외측을 거쳐 상부 도아의 후단부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테이너의 도아 개폐구조.
KR2019940005494U 1994-03-18 1994-03-18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KR9700026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494U KR970002644Y1 (ko) 1994-03-18 1994-03-18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5494U KR970002644Y1 (ko) 1994-03-18 1994-03-18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83U KR950027183U (ko) 1995-10-18
KR970002644Y1 true KR970002644Y1 (ko) 1997-03-31

Family

ID=19379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5494U KR970002644Y1 (ko) 1994-03-18 1994-03-18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64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7183U (ko) 1995-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62406B1 (ko) 냉장고
CA1044518A (en) Sliding panel for an end door of a rail car
US3980123A (en) Blow-molded articulated overhead door
KR970002644Y1 (ko) 탑차용 컨테이너의 개폐 구조
US4245482A (en) Glass door merchandiser
US3568365A (en) Door assembly
EP1703237A1 (en) Improved refrigerated exhibitor
US2106386A (en) Refrigerator closure means
US4930321A (en) Refrigerated display case with night cover
US4487242A (en) Vertically slidable window
JPH0618199Y2 (ja) リーチインショーケースの背面扉装置
US1917721A (en) Provision cabinet
JPH0113184Y2 (ko)
CN218233906U (zh) 多面板隔墙系统及并入该系统的公寓单元
US1012576A (en) Refrigerator track-door.
JP2003003757A (ja) 引き違い折畳み開閉自在のサッシ
US780939A (en) Refrigerator.
US1486742A (en) Garage door
JP2501087Y2 (ja) 保冷ロ−ルアップドアのパネル構造
KR950003506B1 (ko) 자동판매기
CA1141236A (en) Sliding door, especially for train cars and buses
KR930006475Y1 (ko) 호형레일에 따라 좌우로 개폐되는 셔터
JPH0425516Y2 (ko)
JPH0138234Y2 (ko)
JPS61367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3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