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489Y1 - 조립식 울타리 - Google Patents

조립식 울타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489Y1
KR970002489Y1 KR2019940002605U KR19940002605U KR970002489Y1 KR 970002489 Y1 KR970002489 Y1 KR 970002489Y1 KR 2019940002605 U KR2019940002605 U KR 2019940002605U KR 19940002605 U KR19940002605 U KR 19940002605U KR 970002489 Y1 KR970002489 Y1 KR 97000248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groove
decorative plate
plate
fe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026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5248U (ko
Inventor
김춘자
Original Assignee
김춘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춘자 filed Critical 김춘자
Priority to KR20199400026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2489Y1/ko
Publication of KR95002524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524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48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89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 E04H17/165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 E04H17/166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using prefabricated panel-like elements, e.g. wired frames using panels with rigid filling and frame with cross-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조립식 울타리
제 1도는 본 고안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 .
제 2도는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
제 3도는 본 고안의 결합상태를 보인 요부 확대 측 단면도 .
제 4도는 본 고안 장식판의 실시에를 보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지주 2, 3 : 체결편
4 : 고정판 5 : 장식판
6 : 환봉 7 : 요홈
8 : 후레임 9, 9' : 고정봉
본 고안은 가정의 마당이나 뜰 및 각종 건물 또는 공원 및 일정한 장소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하여 주변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울타리에 관한 것으로, 상, 하로 고정편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지주를 지면에 설치하고 각 저주와 지주사이의 상 하부 고정편에는 수개의 고정판이 설치되어 있는 울타리용 장식판을 체결 고정하여서 된 조립식 울타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 가정이나 공장 및 각종 건물에는 경계를 표시하고 사람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울타리를 설치하여 사용하였는바, 쫑래에 사용되어온 울타리는 격돌을 적재하여 담을 쌓아 울타리로 사용하거나 지면에 수개의 지주를 설치하고 각 지주에는 휀스를 고정설치하여 울타리로 사용하였으며, 또한 수개의 지주에 철망을 설치하여 사용하였는바, 벽돌을 적재하여 사용하는 방법은 지면을 파고 벽돌을 묻을 자리를 형성하여 여기에 일정한 높이로 콘크리이트 몰탈을 이용하여 벽돌을 적재하였기 때문에 벽돌을 운반하여야 하고, 시멘트몰탈을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동원되는 단점이 있었고 작업시간이 오래 걸렸으며 이로 인하여 불필요한 인건비를 지출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었고, 벽돌을 콘크리이트 몰탈을 이용하여 적층하기 때문에 몰탈이 굳는 시간이 오래 걸려 사람이 기대거나 강풍이 볼 경우 울타리가 넘어질 위험이 있었으며 많은 양의 벽돌과 몰탈이 필요하기 때문에 제작시공가가 고가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주를 이용하여 휀스망을 설치할 경우 벽돌에 비하여 시공은 간편하나 휀스망을 지주에 고정하여야 하므로서 작업이 물편하였으며 휀스망의 상 하 측면을 지주에 고정하여야 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었고, 지주에 철망을 설치할 경우 사람이 보행중 부주의할 경우 옷이 찢어지거나 파손되고 인체에 상처를 입을 위험이 있었고, 빗물로 인하여 녹이 발생되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었으며 미관상 보기가 흉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종래의 울타리는 일부가 파손되어 보수할 경우 작업이 복잡하고 많은 인력이 필요하였으며 작업공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개인이 수리를 하기에는 곤란한 단점이 있었고 전문가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이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면에 상 하로 체결편이 형성되어 있는 수개의 지주를 고정설치하고 상 하의 체결편에는 수개의 고정판으로 무늬가 형성되고 외부 상 하에는 체결편이 형성된 장식판을 체결고정하여 손쉽고 간단하며 장식판의 무늬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지주(1)의 양측 상 하부에 체결편(2)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 하 체결편(2)에는 양측 상 하에 체결편(3)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수개의 고정판(4)으로 무늬가 형성된 울타리용 장식판(5)을 체결고정한다.
장식판(5)의 테두리용 환봉(6)의 양측 상 하에는 체결편(3)을 고정설치하고 상 하 테두리용 환봉(6)의 내측으로는 요홈(7)이 형성된 후레임(8)을 융착고정하며, 후레임(8)의 요홈(7)에는 절곡되거나 일정한 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고정판(4)을 체결하여 장식판(5)을 구성하여서 된 것으로서, 지주(1)와 장식판(5)의 양측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편(2)(3)을 볼트와 너트를 이용하여 체결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로 울타리용 장식판(5)의 상 하부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후레임(8)의 요홈(7)에 고정판(4)을 체결한 다음 고정판(4)과 요홈(7)사이에 고정봉(9)(9')을 융착고정하여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울타리용 장식판(5)을 환봉(6)으로 테두리를 형성하되 상 하 테두리용 환봉(6)에는 요홈(7)이 형성되어 있는 후레임(8)을 요홈(7)이 대응되게 하여 고정설치하고, 요홈(7)에는 고정판(4)을 체결한 다음 융착 고정하여 장식판(5)을 구성하고 이 상태에서 지면의 경계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지주(1)의 상 하단 체결편(2)에 체결고전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후레임(8)의 요홈(7)에 비하여 고정판(4)의 두께가 얇을 경우 고정판(4)의 융착부위가 쉽게 파손되거나 소음을 일으키는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4도에서와 같이 요홈(7)에 체결된 고정판(4)을 요홈(7)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하고 이상태에서 고정판(4)과 요홈(7)사이에 고정봉(9)(9')을 체결한 다음 융착고정하여 사용하면 고정판(4)자체가 융착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전, 후로 다시 고정봉(9)(9')이 융착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견고히 고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장식판(5)의 상 하부에 설치되어 있는 후레임(8)의 요홈(7)에는 소비자가 원하는 데로 여러가지의 고정판(4)을 설치할 수 있으며 고정판(4)을 수개로 분리하거나 통판을 사용하여도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지연에 상 하로 체결편이 형성되어 있는 수 개의 지주를 고정설치하고 상 하의 체결편에는 수개의 고정판으로 무늬가 형성되고 외부 상 하에는 체결편이 형성된 장식판을 체결고정하여 손쉽고 간단하며 장식판의 무늬모양을 다양하게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용이하고 일정간격으로 지면에 지주를 설치한 다음 각 지주의 상 하부에 울타리용 장식판을 각각 체결고정하기 때문에 하나의 장식판이 파손되어도 교체가 손쉽고 간편하며, 장식판의 내부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후레임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고정판을 설치할 수가 있으며, 지주와 울타리용 장식판을 볼트로서 분리가능하게 체결하기 때문에 작업이 간단하여 작업시간을 줄여 불필요한 인력의 낭비와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

Claims (2)

  1. 지주(1)의 양측 상 하부에 체결편(2)을 일체로 형성하고, 장식판(5)의 테두리용 환봉(6) 양측 상 하에는 체결편(3)을 고정설치하며 상 하 테두리용 환봉(6)의 내측으로는 요홈(7)이 형성된 후레임(8)을 융착고정하고, 후레임(8)의 요홈(7)에는 고정판(4)을 체결하여 장식판(5)을 구성하여, 지주(1)와 장식판(5)의 양측 상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체결편(2)(3)을 체결 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2. 제1항에 있어서, 울타리용 장식판(5)의 상 하부에 융착 고정되어 있는 후레임(8)의 요홈(7)에 고정판(4)을 체결한 다음 고정판(4)과 요홈(7)사이에 고정봉(9)(9')을 융착고정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울타리.
KR2019940002605U 1994-02-14 1994-02-14 조립식 울타리 KR97000248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605U KR970002489Y1 (ko) 1994-02-14 1994-02-14 조립식 울타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02605U KR970002489Y1 (ko) 1994-02-14 1994-02-14 조립식 울타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48U KR950025248U (ko) 1995-09-15
KR970002489Y1 true KR970002489Y1 (ko) 1997-03-24

Family

ID=193771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02605U KR970002489Y1 (ko) 1994-02-14 1994-02-14 조립식 울타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248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5248U (ko) 1995-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810B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foundation and perimeter stem walls for mobile homes
US4352260A (en) Underground house and construction method
FI59844C (fi) Balk foer uppbaerande av nedersta tegelskiktet t ex ovanfoer oeppningen av en tegelvaegg eller tegelfasad
KR970002489Y1 (ko) 조립식 울타리
US20050028457A1 (en) Foundation system for prefabricated houses
KR100899677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공법을 이용한 조립식 정자
US20010045551A1 (en) Prefabricated masonry fence syste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same
JPH06117144A (ja) 外柵を備えた墓
KR101580133B1 (ko) 한옥의 지붕슬래브 서까래 고정장치 및 그를 이용한 조립식 한옥지붕
JPH0745633Y2 (ja) 植込棚用鉄筋組体
JPH06136771A (ja) 擁壁パネル取付工法
JPS5937382B2 (ja) 建物用手摺
JPH0355689Y2 (ko)
KR102378407B1 (ko) 루프 매트
JP2988924B1 (ja) 人工庭園の支柱固定用地中埋込フレ−ム
JPH11127685A (ja) 屋上緑化用仕切構造
KR200452952Y1 (ko) 문양이 성형되고 강도를 보강하는 무늬레일이 포함된 발코니 난간
KR200317111Y1 (ko) 도로 경계석
KR200290951Y1 (ko)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JPS5846979B2 (ja) 組立式手摺
KR200290950Y1 (ko) 인삼재배용 해가림 시설재
RU1506U1 (ru) Ограда
JPH10159042A (ja) 柵体用支柱及びそれを用いた柵体
JPS631718Y2 (ko)
JPS5845391Y2 (ja) 手摺子部材の組付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17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