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949Y1 - 손등시계 - Google Patents

손등시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949Y1
KR970001949Y1 KR2019940012775U KR19940012775U KR970001949Y1 KR 970001949 Y1 KR970001949 Y1 KR 970001949Y1 KR 2019940012775 U KR2019940012775 U KR 2019940012775U KR 19940012775 U KR19940012775 U KR 19940012775U KR 970001949 Y1 KR970001949 Y1 KR 97000194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ch
hand
watch body
clock
sn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1277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713U (ko
Inventor
양성필
Original Assignee
양성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성필 filed Critical 양성필
Priority to KR2019940012775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949Y1/ko
Publication of KR96000271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71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94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949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5/00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 A44C5/14Bracelets; Wrist-watch straps; Fastenings for bracelets or wrist-watch straps characterised by the way of fastening to a wrist-watch or the like
    • GPHYSICS
    • G04HOROLOGY
    • G04BMECHANICALLY-DRIVEN CLOCKS OR WATCHES; MECHANICAL PARTS OF CLOCKS OR WATCHES IN GENERAL; TIME PIECES USING THE POSITION OF THE SUN, MOON OR STARS
    • G04B47/00Time-piec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which do not interfere with the running or the time-keeping of the time-pie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dornmen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손등시계
제1도는 종래 손목시계의 착용상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손등시계의 일실시예의 착용상태도.
제3도는 제2도의 손등시계의 평면도로서, 손목걸이의 일단이 시계 본체로부터 분리된 상태의 평면도.
제4도(a)(b)는 제2도의 손등시계에서 손목걸이의 일단과 시계본체를 착탈가능하게 연결하는 착탈수단의 두가지 예시적 실시예의 구성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손등시계의 다른 실시예의 평면도.
제6도는 본 고안의 손등시계의 또다른 실시예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 : 시계본체 12 : 손가락걸이
13 : 손목걸이 14 : S자형 연결고리
15, 17, 19 : 스냅돌기 16, 18, 20 : 스냅홈
[기술분야]
본 고안은 사람의 몸에 착용하는 휴대용 시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계본체가 손 등에 위치하도록 착용할 수 있게 한 손등시계에 관한 것이다.
[고안의 배경]
종래 사람의 몸에 착용하여 휴대할 수 있도록 한 시계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계본체(1)가 손목에 위치하게 착용하는 손목시계가 보편화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의상패션은 여성들 사이에 윗옷을 헐렁하게 입는 경향이 뚜렷하며, 그에 따라 팔소매도 손등까지 덮도록 한 의상을 입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종래의 손목시계는 시계본체(1)가 손목에 위치하기 때문에 시계를 볼 때에는 다른 한손으로 소매를 걷어올리고 보지 않으면 안되어 불편한 문제가 있었다.
또한, 손목시계는 단지 시간을 알아보는 수단에 그치는 것이 아니고 장식물(악세사리)로서의 기능을 하는데, 손을 올릴 때에는 어느 정도 외부에 노출되어야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발휘할 수 있다.그러나 종래의 손목시계는 소매가 긴 옷을 입은 상태에서는 아무리 팔을 올려도 시계본체가 외부에 전혀 노출되지 않아서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전혀 발휘할 수가 없었다.
[고안의 목적]
본 고안은 전술한 종래 손목시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소매가 긴 의상을 입더라도 시계를 보는데에 불편하지 않고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시계본체가 손 등에 위치하도록 한 손등시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고안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손등시계는 시계본체, 상기 시계본체가 손등중앙에 위치하도록 시계본체 일측에 연결된 손가락걸이, 그리고 시계본체 타측에 연결된 손목걸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안의 구체적 실시예에 대한 설명]
이하 본 고안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손등시계는 제2도 내지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현재 시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시계본체(11), 상기 시계본체(11)가 손등중앙에 위치하도록 시계본체 일측에 연결된 손가락걸이(12), 그리고 시계본체 타측에 연결된 것으로서 손목에 걸 수 있도록 된 손목걸이(13)로 구성되어 있다.
시계본체(11)는 통상의 시침, 분침, 초침에 의해서 현재시각을 나타내든지, 디지탈방식에 의해서 현재시각을 나타내든지간에, 방식에 관계없이 현재 시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라면 본 고안의 구성요소로서 이용될 수 있다.
손가락걸이(12)는 시계본체(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있는데 시계본체(11)가 손 등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는다. 손가락걸이(12)는 다섯손가락중 어느 한 손가락에 끼워지는데 중지에 끼우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손가락걸이(12)는 다양하게 그형상을 변경할 수 있는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가락과 접촉하는 손가락접촉부(12a)는 일체로 된 금속(금도금된 것이나 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함)으로 구성하고 연결부(12b)는 작은 구슬을 연결한 구성으로 할 수도 있으며, 손가락걸이 전체를 작은 구슬을 엮어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신축가능하게 구성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손목걸이(13)는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큰 구슬을 엮어서 된것으로서 팔목에 걸릴 수 있고 시계본체(11)가 손등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갖도록 되어 있다. 손목걸이(13)의 일단은 시계본체(11)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으나, 타단은 착탈수단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즉 제4도(a)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탄성을 갖는 S자형 연결고리(14)의 일측을 시계본체(11)에 연결하고 타측은 손목걸이(13)의 타단과 연결하도록 하거나 제4도(b)와 같이 손목걸이(13)의 타단에 스냅돌기(15)를 형성하고, 시계본체(11)의 일측에 스냅홈(16)을 형성하여 스냅식으로 착탈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손등시계를 착용할 때나 벗을 때마다 손목걸이(13)의 타단과 시계본체(11)를 연결 또는 분리할 수 있다.
손목걸이(13)의 형상 및 시계본체(11)와의 연결구조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는데, 제5도와 같이 일측을 절단하고 그 절단부에 각각 스냅돌기(17) 또는 스냅홈(18)을 형성하여 스냅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을 시계본체(11)에 유니버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링형고리의 형상으로 할 수도 있고,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손이 통과할 수 있는 내경을 갖는 링형고리의 형상으로 하고 손목걸이(13)의 일측에 스냅돌기(19)를 형성하고 시계본체(11)의 일측에 스냅홈(20)을 형성하여 스냅돌기(19)와 스냅홈(20)을 스냅식으로 결합하게 할 수 있는등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고안의 손등시계는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하여 실시할 수 있는데, 시계본체(11)의 일측에 손가락걸이(12)를 구성하고 타측에 손목걸이(13)를 구성하여 시계본체(11)가 손등중앙부에 위치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하고 있으므로 그 구성요소의 어떠한 변형에도 시계본체(11)가 손등중심부에 오도록 한 것이라면 본고안의 창작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고안의 손등시계는 시계본체(11)가 손등중심에 위치하기 때문에 소매가 긴 의상을 입더라도 용이하게 시계를 볼 수 있으며, 소매가 긴 의상을 입은 경우에도 팔을 조금만 올려도 시계본체(11)가 외부에 노출되고 소매가 짧은 의상을 입은 경우에는 항상 시계본체(11)가 외부에 노출되므로 장식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현재 시각을 나타내도록 되어 있는 시계본체(11), 상기 시계본체(11)가 손등중앙에 위치하도록 시계본체 일측에 연결된 손가락걸이(12), 그리고 시계본체 타측에 연결된 것으로서 손목에 걸 수 있도록 된 손목걸이(13)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등시계.
  2. 제1항에 있어서, 손목걸이(13)는 큰 구슬을 엮어서 구성된 것으로서 시계본체(11)가 손등중앙부에 위치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지며, 일단은 시계본체(11)에 고정되게 연결되어 있고, 타단은 착탈수단에 의해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등시계.
  3. 제1항에 있어서, 손목걸이(13)는 일측을 절단하고 그 절단부에 각각 스냅돌기(17)또는 스냅홈(18)을 형성하여 스냅식으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하고, 타측을 시계본체(11)에 유니버셜방향으로 회동가능하게 연결한 링형고리의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등시계.
KR2019940012775U 1994-06-02 1994-06-02 손등시계 KR97000194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775U KR970001949Y1 (ko) 1994-06-02 1994-06-02 손등시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12775U KR970001949Y1 (ko) 1994-06-02 1994-06-02 손등시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713U KR960002713U (ko) 1996-01-22
KR970001949Y1 true KR970001949Y1 (ko) 1997-03-17

Family

ID=19384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12775U KR970001949Y1 (ko) 1994-06-02 1994-06-02 손등시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94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713U (ko) 1996-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049835A1 (en) Male supporter
GB2183064A (en) Bracelet type wrist watch
WO2019069555A1 (ja) コンタクトレンズおよびアクセサリ
KR970001949Y1 (ko) 손등시계
KR200168567Y1 (ko) 장신구
CN220937041U (zh) 首饰
KR200159416Y1 (ko) 액세서리 부착용 넥타이
KR0139490Y1 (ko) 허리벨트용 시계
KR19990011793U (ko) 패션용 악세사리
KR102150761B1 (ko) 팔찌
KR200228379Y1 (ko) 손목시계용시계줄
KR910002854Y1 (ko) 묵주반지를 설한 장신용 반지의 구조
KR200182052Y1 (ko) 팔 스타킹
JPH0928424A (ja) 手の甲時計バンド
KR950004409Y1 (ko) 장신구용 시계
JP3018622U (ja) 指に装着する時計
US2610487A (en) Interchangeable or reversible earring
JP2001275720A (ja) 携帯時計の保持具構造
KR870002170Y1 (ko) 손커버
JP3019092U (ja) 手の甲と手の平を飾るブリッジ・アクセサリー
JPH05184415A (ja) 装飾品、機器類を装着する手の甲用台座
KR200171532Y1 (ko) 허리띠 바클에 접착시킬 수 있도록 자석을 부착한 넥타이
JP3061586U (ja) 指 輪
KR200252414Y1 (ko) 악세서리
KR200313526Y1 (ko) 분실방지용핸드폰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