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65Y1 - Equipment for baking - Google Patents

Equipment for bakin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65Y1
KR970001365Y1 KR2019940033327U KR19940033327U KR970001365Y1 KR 970001365 Y1 KR970001365 Y1 KR 970001365Y1 KR 2019940033327 U KR2019940033327 U KR 2019940033327U KR 19940033327 U KR19940033327 U KR 19940033327U KR 970001365 Y1 KR970001365 Y1 KR 97000136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ead
head
hopper
lever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40033327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60019669U (en
Inventor
윤해옥
Original Assignee
박동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우 filed Critical 박동우
Priority to KR20199400333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365Y1/en
Publication of KR96001966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669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6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65Y1/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18Discharging baked goods from ti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3/00Parts or accessories of ovens
    • A21B3/07Charging or discharging oven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제빵기의 빵 분리장치Bread separators in the baker

제1도는 본 고안의 요부 장치도.1 is a main por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본 고안의 장치를 보인 사시도.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제3도는 본 고안의 로드 사이에 스프링이 탄력 설치된 상태로 캠에 밀착되는 구성을 보인 요부도.Figure 3 is a main part showing a configura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in the spring is installed elastically between the rod of the present invention.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10 : 호퍼 20 : 공급관10: hopper 20: supply pipe

30 : 빵인출수단 31 : 캠30: bread takeout means 31: cam

32 : 로드 35 : 헤드32: Load 35: Head

40 : 분리편 41 : 레버40: separating piece 41: lever

본 고안은 제빵기에 의해 안성된 빵을 분리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separate the baked bread by the baker.

즉, 예로서 호도과자와 같이 빵의 조성이 밀가루 반죽과 팥, 그리고 호도입자를 혼합하여 완성되는 빵을 자동으로 제조하는 기기에 있어서, 간단한 구조로 완성된 빵을 자동 형틀로 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at is, for example, in a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preparing bread, which is composed of dough, red beans, and hawthorn particles, such as a hawk cake, the bread of a simple structure can be separated from an automatic mold. It is.

종래의 알려진 제빵기는 본인이 국내 실용신안으로 선출원한 고안에서와 같이 밀가루 반죽과 팥(일명 앙꼬라 칭함)으로 된 겔상의 내용물이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하는 제빵기에 있어서, 호도와 같은 첨가 내용물을 자동으로 연속 공급할 수 있도록 한 것은 이미 알려진 바와 같다.In the conventional known bread maker, a baking machine for automatically supplying the gel-like contents of the dough and the red bean (aka anchovy) is automatically supplied with the additional contents such as the degree of hodoness, as in the devised by the Korean utility model. It is already known that the continuous supply is possible.

이 구조에 의하면, 반죽물과 팥, 호도입자와 같은 내용물은 자동으로 정량씩 공급하여 대부분의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 지고 있으나, 완성된 빵을 소성판에서 분리시키는 작업도 별도의 작업자에 의해 이루어 지게 하므로, 자동기기의 구실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었던 것이다.According to this structure, the contents such as dough, adzuki beans, and odor particles are automatically supplied in a quantitative manner, and most of the processes are performed automatically, but the work of separating the finished bread from the baking sheet is also performed by a separate worker. Therefore, there was a disadvantage that can not properly perform the role of automatic equipment.

이러한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94-11589호에서는 구동부의 원회전을 작동로드가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작동로드의 단부에 요동편을 연결하여 횡간을 축으로 다시 원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하여 요동편의 하측으로 작동구에 2개의 서로다른 위치로 고정된 상부와 하부인출간이 제빵몰드에 위치되는 빵을 분리토록 회동하는 구조로 된 것이 알려진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is disadvantage, in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94-11589, the operating rod converts the circular rotation of the driving part into a linear motion, and connects the swinging piece to the end of the operating rod so that the circular motion is made again across the axis. It has been known that the upper and lower draw-out intervals fixed at two different positions in the operating port to the lower side of the swing piece are rotated to separate the bread located in the baking mold.

따라서, 이 구조에 의하면 완성된 빵을 자동으로 분리시켜 수거할 수 있도록 한 이점이 있기는 하였으나, 그 동력전달과정이 원거리에 떨어져 위치되는 구동부로 부터 원운동과 직선운동, 그리고 다시 원운동이 이루어 지도록 동력상태를 전환하여 2개의 인출간이 요동되도록 구성되므로 동력손실이 매우 크다.Therefore, this structure has the advantage of automatically separating and collecting the finished bread, but the power transmission process is a circular motion, a linear motion, and again a circular motion from the drive unit located far away The power loss is very large because it is configured to switch the power state so as to swing.

또, 작동이 복잡하고 커다란 부피를 차지하므로 오동작의 염려가 많을 뿐만 아니라 다른 작업에 지장을 주어 불편을 느끼게 하거나, 고장의 염려가 많아 제품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In addition, since the operation is complicated and occupies a large volume, not only there are a lot of malfunctions, but also disturbing other operations to make you feel uncomfortable, or there is a risk of failure, such as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has been reduced.

본 고안의 목적은 각종 내용물이 자동 공급됨과 아울러, 완성된 빵을 자동분리시켜, 보다 편리하고 신속하게 빵을 제조할 수 있도록 된 제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kery that is capable of producing bread more conveniently and quickly by automatically supplying various contents and automatically separating the finished bread.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보다 간단한 구조로 완성된 빵을 분리시켜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도록 한 제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kery that can separate the finished bread with a simpler structure to give economic benefits.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고장이나 오동작의 염려가 없고 보다 제품의 신뢰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한 제빵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akery that can improve the reliability of the product without fear of malfunction or malfunction.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고안은 상부가 트여지고 그 내부로 내용물을 담겨지게 하는 호퍼(10)와;The present invention is a hopper (10) for the top is open and the contents are contained therein;

이호퍼(10)의 내측으로 부터 연결되어 소성형판(21)의 위치로 내용물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관(20)과;A supply pipe 20 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hopper 10 to guide the contents supply to the position of the plastic die 21;

개구된 소성형판(21)으로 부터 완성된 빵을 인출하여 분리하기 위한 빵안출수단(3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Bread bread means (30) is provided for withdrawing and separating the finished bread from the opened plastic mold (21);

상기 빵안출수단(30)은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캠(31)에 의해 스프링(33)으로 탄력 설치되는 로드(32)가 가이드(34)에 안내되어 헤드(35)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호퍼(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43)에 분리편(40)이 그단부에 절곡성형된 레버(41)를 힌지 설치하고, 이 레버(41)와 상기 헤드(35)가 핀(44)을 축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헤드(35)가 승강될 때 핀(44)으로 힌지결합된 레버(41)가 분리편(40)과 일체로 소성형판(21)의 상부에서 회동되며 완성된 빵을 분리토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The bread dispensing means 30 is a rod 32, which is elastically installed to the spring 33 by the cam 31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is guided to the guide 34 to be elevated together with the head 35, On the support member 43 fixed to the hopper 10, a separation piece 40 hinges a lever 41 formed at its end, and the lever 41 and the head 35 are pins 44. ), The lever 41 hinged to the pin 44 is pivo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plastic plate 21 integrally with the separating piece 40 when the head 35 is elevated. By separating the prepared bread into pieces.

따라서, 단지 헤드(35)의 상하 승강 동작으로 분리편(40)이 회동운동으로 전환되어 빵을 분리토록 구성되어 그 장치가 간단하고 적은 작동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기기으 콤펙트화가 가능하다.Therefore, only the head 35 is moved up and down, the separating piece 40 is convert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to separate the bread is configured so that the device is simple and requires a small operating space, it is possible to compact the device.

또, 다른 부품이나 작업자와의 간섭이 없으며 고장의 염려가 없이 보다 원활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or operators, and smoother operation can be continuously made without fear of failur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the accompanying drawings.

제1도는 본 고안의 제빵기 요부 장치를 정면도로 도시하고 있다.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bakery main part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또, 제2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을 사시도로 도시하고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제1도에서와 같이 본체 상측으로는 호퍼(10)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반죽 및 밭과 같은 내용물 공급용 호퍼(50)가 위치되어, 이 내용물 공급용 호퍼(50)는 캠(51)의 회동으로 크랭크(52)가 요동되어 그 내부에 채워지는 팥과 같은 내용물이 일정 간격을 두고 정량씩 소성형판(21)에 공급하게 된다.That is, as shown in FIG. 1, a hopper 50 for supplying contents such as dough and a field is position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hopper 10 above the main body, and the hopper 50 for supplying the contents is a cam 51. The crank 52 is swung by the rotation of) so that the contents, such as adzuki bean, filled in the inside thereof are supplied to the calcined plate 21 at fixed intervals.

한편, 상기 호퍼(10)는 내용물 공급용 호퍼(50)로 부터 일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상부가 트여져 내용물이 내부로 담겨질 수 있도록 하고, 그 내부 형상은 상부로 부터 하부로 점차 줄어드는 상과 하협의 형상으로 담겨진 내용물이 하부로 모여질 수 있도록 한다.On the other hand, the hopper 10 is installed at a position away from the hopper 50 for the contents supply to one side so that the upper portion is open so that the contents can be contained therein, the inner shape is gradually reduced from the upper to the lower and The contents of the lower strait can be gathered to the bottom.

상기 공급관(20)은 호퍼(10)내의 내용물을 빵이 소성토록 하는 소성형판(21)의 위치까지 안내하여 공급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연결관체이다.The supply pipe 20 is a connecting tube to guide the contents in the hopper 10 to the position of the firing plate 21 for baking the bread is made to supply.

이 공급관(20)의 상단은 호퍼(10)의 내측에 위치되고, 끝단의 출구측은 소성형판(21)이 이동되는 위치로 연결되어 그 상부측 소성형판(21)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의 소성형판(21)으로 내용물, 즉 예로서 호도빵의 경우 호도입자와 같은 내용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upper end of the supply pipe 20 is located inside the hopper 10, and the outlet side of the end is connected to the position where the firing plate 21 is moved, and the firing of the lower part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firing plate 21 is opened. As the template 21, the contents, that is, for example, in the case of the hodo bread is to be supplied with the same content as the hodo particles.

본 고안에서 공급되는 내용물은 예로서 호도나, 땅콩(이하 호도만을 예로서 총칭함)등과 같이 작은 입자상태로 빵에 혼합하는 것이다.The contents su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mixed with bread in a small particle state such as, for example, Hodo or peanut (hereinafter, referred to collectively as Hodo).

그리고, 소성형판(21)은 도시하지 않은 가열버너의 상측에서 순환하는 것에 의해 빵이 완성되는 데, 그 완성위치에서는 상측 덮개가 덮개개방수단에 의해 제1도에서와 같이 개방되어 빵이 노출된다.And the baking die 21 is completed by circulating in the upper side of the heating burner which is not shown in figure, At the completion position, the upper cover is opened by lid opening means as shown in FIG. 1, and bread is exposed. .

이때, 이 안성된 빵을 소성형판(21)으로 부터 분리하기 위해 빵인출수단(30)이 설치되는 것은 종래에서와 같다.At this time, the bread take-out means 30 is installed in order to separate the stabilized bread from the calcined plate 21 as in the prior art.

본 고안의 가장 중요한 구성상의 특징은 이 빵인출수단(30)의 장치를 보다 단순화하고 보다 적은 공간에서 정확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하는 데 있다.The most important structural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implify the apparatus of the bread take-out means 30 and to make accurate operation in a smaller space.

즉, 상기 제1도 내지 제2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도시하지 않은 모터의 구동으로 회동되는 캡(31)의 상부로 로드(32)의 단부에 롤베어링(36)을 구름 자유롭게 맞닿게 세워 설치하여, 캠(31)의 형상에 의해 로드(32)가 상, 하로 직선운동토록 하고, 이 로드(32)의 상부에 헤드(35)를 고정 설치한다.That is, as shown in the first to second to the roll bearing 36 is installed in the upper end of the rod 32 to the upper end of the cap 31 rotated by the driving of the motor not shown in the rolling free contact The rod 32 moves linearly up and down by the shape of the cam 31, and the head 35 is fixedly installed on the rod 32.

그리고, 상기 로드(32)가 직선운동하는 것을 양측의 가이드(34)로 안내토록 하고, 이 가이드(34)에 스프링(33)을 탄력 설치하여 로드(32)가 항상 캠(31)에 밀접된 상태로 동작이 이루어 지도록 한다.Then, the linear movement of the rod 32 is guided to the guide 34 on both sides, and the spring 33 is elastically installed on the guide 34 so that the rod 32 is always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31. Allow the operation to be done in the state.

제3도의 (a)는 로드(32)가 가장 하부에 위치된 상태로 스프링(33)이 자유길이에 가까운 압축 상태를 도시하고, (b)는 캠(31)의 곡선에 의해 로드(32) 및 헤드(35)가 상승된 상태에서 가이드(34)에 끼워진 스프링(33)이 크게 압축된 상태이다.(A) of FIG. 3 shows a compression state in which the spring 33 is close to the free length with the rod 32 positioned at the bottom thereof, and (b) the rod 32 is formed by the curve of the cam 31. And the spring 33 fitted to the guide 34 in the state in which the head 35 is raised is greatly compressed.

상기 가이드(34)는 로드(32)의 중단으로 프랜지(38)(39) 사이에 양측으로 설치된 상태로 가이드(34)의 상단은 상측 프랜지(38)에 고정되고, 하단은 하측 프랜지(39)에 슬라이드 가능한 상태로 스프링(38)에 의해 탄력 설치된다.The upper end of the guide 34 is fixed to the upper flange 38 while the guide 34 is installed on both sides between the flanges 38 and 39 by the interruption of the rod 32, and the lower end of the lower flange 39. It is elastically installed by the spring 38 in a slidable state.

따라서, 로드(32)의 하측은 항상 캠(41)에 탄력적으로 밀착된 상태로 캠(41)의 형상에 따라 상하 승강운동이 이루어 지는 것이다.Therefore, the lower side of the rod 32 is always made to move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shape of the cam 41 in a state of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cam 41 elastically.

이와 같이 스프링(33)에 탄력 설치된 상태로 승강되는 로드(32) 및 그 상부에 고정되는 헤드(35)에는 레버(41)가 치우친 위치로 핀(44)에 의해 유동자유록게 힌지 설치된다.In this way, the rod 32 which is lifted up and resiliently installed in the spring 33 and the head 35 fixed to the upper portion are hinged by the pin 44 in a position where the lever 41 is biased.

상기 레버(41)는 그 상단이 호퍼(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43)의 단부와 힌지 결합되고, 하단에는 소성형판(21)의 직상부에 위치되는 분리편(40)이 형성되어 있게 된다.The lever 41 is hinged to the end of the support member 43, the upper end of which is fixed to the hopper 10, the lower end is formed with a separating piece 40 which is located directly on the plastic plate 21 do.

따라서, 상기 헤드(35)가 로드(32)의 승강 왕복운동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핀(44)으로 상부가 힌지 결합된 레버(41)가 제1도의 가상선으로 도시한 것과 같이 분리편(40)과 일체로 왕복회동되며 완성된 빵을 분리토록 하는 것이다.Thus, as the head 35 is moved in the lifting reciprocating motion of the rod 32, the lever 41, which is hinged to the pin 44 at the top, is shown as the phantom line of FIG. 1. ) To reciprocate integrally to separate the finished bread.

이때, 상기 분리편(40)은 소성형판(21)이 개방된 상태에서 하부측 소성형판(21)의 직상부에 위치되는 것이며, 캠(31)에 의해 로드(32) 및 헤드(35)가 간헐적으로 상승될 때 분리편(40)이 왕복 이동되는 것에 의해 완성된 빵을 소성형판(21)으로 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separating piece 40 is located in the upper por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iring plate 21 in a state that the firing plate 21 is opened, the rod 32 and the head 35 by the cam 31 When the separation piece 40 is reciprocated when it is raised intermittently, the finished bread can be separated from the baking plate 21. As shown in FIG.

이때, 소성형판(21)은 다음 위치로 이동되어 새로운 소성형판(21)이 분리편(40)의 위치로 오게 되며, 다시 캠(31)이 1행정을 반복하여 로드(32) 및 헤드(35)가 상승될 때 핀(43)을 축으로 레버(41)와 분리편(40)이 제1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회동되어 완성된 빵을 분리하는 작업을 반복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At this time, the firing plate 21 is moved to the next position so that the new firing plate 21 comes to the position of the separation piece 40, the cam 31 is repeated one stroke to the rod 32 and the head 35 When the lever is raised, the lever 41 and the separating piece 40 are rotated as shown by the solid line of FIG. 1 with the pin 43 as the axis to repeat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completed brea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완성된 빵 내지는 과자등을 소성시키는 형틀로 부터 분리하는 일련의 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져 생산원가가 저하되고, 제작자는 물론 이용자로 하여금 편리함과, 경제적인 이익을 줄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s a series of operations to separate from the mold for firing the finished bread or sweets, etc. is automatically produced, the production cost is lowered, and the producer and the user can give convenience and economic benefits. .

그리고, 특히 헤드(35)의 상하 승강 동작으로 분리편(40)이 회동운동으로 전환되어 빵을 분리토록 구성되어, 그 장치가 간단하고 적은 작동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기기의 콤펙트화가 가능하다.In particular, the separation piece 40 is converted to the rotational movement by the vertical lifting and lowering operation of the head 35, so that the bread is separated, so that the device is simple and requires a small operating space, thereby making the apparatus compact.

또, 다른 부품이나 작업자와의 간섭이 없으며 고장의 염려가 없이 보다 원활한 동작이 지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고안인 것이다.In addition, there is no interference with other parts or operators, it is a very useful design, such as a more smooth operation can be made continuously without fear of failure.

Claims (1)

상부가 트여지고 그내부로 내용물을 담겨지게 하는 호퍼(10)와; 이 호퍼(10)의 내측으로 부터 연결되어 소성형판(21)의 위치로 내용물 공급을 안내하는 공급관(20)과; 개구된 소성형판(21)으로 부터 완성된 빵을 인출하여 분리하기 위한 빵인출수단(30)이 구비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빵인출수단(30)은 모터의 구동으로 회전되는 캠(31)에 의해 스프링(33)으로 탄력 설치되는 로드(32)가 가이드(34)에 안내되어 헤드(35)와 함께 승강되도록 하고, 상기 호퍼(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43)에 분리편(40)이 그 단부에 절곡성형된 레버(41)를 힌지 설치하고, 이 레버(41)와 상기 헤드(35)가 핀(44)을 축으로 유동 가능하게 결합하여 상기 헤드(35)가 승강될 때 핀(44)으로 힌지 결합된 레버(41)가 분리편(40)과 일체로 소성형판(21)의 상부에서 회동되며 완성된 빵을 분리토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제빵기의 빵 분리장치.A hopper 10 having an upper portion open and the contents contained therein; A supply pipe 20 connected from the inside of the hopper 10 to guide the contents supply to the position of the plastic die 21; What is claimed is provided with a bread take-out means (30) for taking out and separating the finished bread from the opened plastic mold (21); The bread take-out means 30 is a rod 32, which is elastically installed to the spring 33 by the cam 31 rotated by the drive of the motor is guided to the guide 34 to be elevated together with the head 35, On the support member 43 fixed to the hopper 10, a separation piece 40 hinges a lever 41 formed at its end, and the lever 41 and the head 35 are pins 44. ) And the lever 41 hinged to the pin 44 when the head 35 is elevated, is rotated at the top of the plastic plate 21 integrally with the separation piece 40 when the head 35 is elevated. Bread bakery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configured to separate the separated bread.
KR2019940033327U 1994-12-08 1994-12-08 Equipment for baking KR970001365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327U KR970001365Y1 (en) 1994-12-08 1994-12-08 Equipment for bak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40033327U KR970001365Y1 (en) 1994-12-08 1994-12-08 Equipment for baki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669U KR960019669U (en) 1996-07-18
KR970001365Y1 true KR970001365Y1 (en) 1997-03-04

Family

ID=19400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40033327U KR970001365Y1 (en) 1994-12-08 1994-12-08 Equipment for baking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365Y1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669U (en)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9089816U (en) A kind of frothing machine for Toast production
US419616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foam cushions
CN209502736U (en) A kind of punching press punching integration mold
KR970001365Y1 (en) Equipment for baking
CN2071430U (en) Imitating handwork type automatic stuffed bun machine
CN205325757U (en) Beefsteak cutting forming device
CN209047372U (en) A kind of band Tui Bing mechanism from dynamic pressure tea machine
CN216860671U (en) Cake compaction device that work efficiency is high for cake processing
KR200200957Y1 (en) Device for separating bread for a baking device
CN112970799A (en) Intelligent steamed bun placement machine and intelligent steamed bun baking machine
CN211251060U (en) Brake block hot briquetting device
CN208863448U (en) A kind of sesame seed cake making apparatus
CN111034747B (en) Dough kneading equipment
CN210914391U (en) Feeding device in nylon production
CN107088625B (en) A kind of tank body automatic moulding machine
CN219291451U (en) Multifunctional precise pipetting device
KR200166789Y1 (en) Soybean inserting appratus of pine-rice cake forming machine
KR970004111Y1 (en) Equipment for baking
JPH0418388Y2 (en)
JPH0418387Y2 (en)
CN213274546U (en) Finished rice automatic weighing device
CN209995235U (en) Cream feeding device of pastry pattern-mounting machine
CN213458262U (en) Intelligent salad vending machine
JPH05168393A (en) Pasty material squeezing device
CN216423545U (en) Automatic change medicine cake suppres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13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