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316Y1 -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 Google Patents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316Y1
KR970001316Y1 KR2019930031250U KR930031250U KR970001316Y1 KR 970001316 Y1 KR970001316 Y1 KR 970001316Y1 KR 2019930031250 U KR2019930031250 U KR 2019930031250U KR 930031250 U KR930031250 U KR 930031250U KR 970001316 Y1 KR970001316 Y1 KR 9700013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air cylinder
filter
nozzl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3125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817U (ko
Inventor
소재춘
Original Assignee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조말수, 재단법인산업과학기술연구소, 백덕현 filed Critical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31250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316Y1/ko
Publication of KR95001681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81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3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31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10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liquid or fluent stat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01N1/4077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 G01N2001/4088Concentrating samples by other techniques involving separation of suspended solids filtr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여과기 지지관 및 가이드를 도시한 사시도.
제3도는 여과기 지지관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시료 채취용기 2 : 정량펌프
5,23 : 에어실린더 11 : 압축공기 탱크
14 : 연동펌프 15 : 노즐
20 : 세라믹 필터
본 고안은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각종 산업의 생산공정라인에서 사용되고 있는 여러 가지 용액들을 공정분석 등의 목적으로 일정량 샘플링 할 때, 필요한 시기에 필요한 양만큼만을 여과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샘플링이 끝난 경우에는 압축공기로 세라믹 필터에 역분사하여 필터에 낀 여러 가지 찌꺼기들을 필터로 부터 제거시켜 주므로서 장기간 필터의 교체없이 사용할 수 있도록한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산업의 생산 공정에서 사용되고 있는 많은 용액들은 여러 가지 목적에 의해 여과를 해줘야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제철소의 전기도금공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도금액의 경우에는, 도금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반응부산물로 많은 찌꺼기들이 발생되게 되며, 이러한 찌꺼기들은 제품표면에 부착될 경우 제품의 품질에 치명적인 결함을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생상라인에서는 별도의 용액 여과설비를 갖추고, 계속적으로 용액을 여과시켜 주게 되는 데, 현재 주로 사용되고 있는 여과설비로는 백필터나 원심분리 여과장치 떠는 단위시간당 여과용량이 매우 큰 설비들이 사용되고 있고, 이들 설비들은 설비가 대형일 뿐만 아니라 가격 또한 매우 비싼게 그 특징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공장에서는 공정관리상, 생산라인에서 사용중인 용액 전체를 여과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는 별도의 여과설비를 갖추지 않고 있으나, 시료용액의 성분조성분석 등을 목적으로 하여 시료용액을 샘플링할 때, 용액중에 함유된 부유물들이 함께 샘플링되어 매우 큰 분석오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어 왔다.
그런데 정확한 정량분석을 위해서는 샘플링과정에서 시료용액을 반드시 여과시켜 줘야하며, 공정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시료용액의 샘플링을 위해서 고가 장비인 여과설비를 설치한다는 것은, 경제적 부담이 너무 커서 현재는 대부분의 경우, 시료용액을 샘플링한 후 분석실이 있는 곳까지 가지고 가서 수작업으로 여과를 실시하고 있어, 분석소요시간이 장시간 소요 될뿐만아니라 신속한 분석을 위한 분석자동화 시스템의 구축이 불가능하어 공정 품질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즉, 공정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시료용액의 샘플링을 위한 종래의 방법에는 신속, 정확한 분석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그 목적은, 생산라인에서 사용중인 각종 용액들을 필요에 따라 새플링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분석을 할 수 있는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에 있어서, 배관이 시료채취용기의 상,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시료채취용기의 상단면 일측에는 에어실린더를 설한 에어실린더지지대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실린더는 시료채취용기의 상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토록 설치된 테프론 튜브에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 튜브의 하단에는 세라믹필터를 설치한 여과기 지지관이 장착됨을 물론, 상기 테프론 튜브의 상단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와 레귤레이터(regulator)를 장착한 압축공기 저장 탱크 및 연동펌프와 연결되며, 상기 연동튜브는 노즐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은 에어실린더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의 하부에는 시료용기와 배출구가 놓여짐으로서 필요에 따라 용액을 샘플링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를 마련함에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기초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디.
제1도는 본 고안에 의한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시료채취용기(1)의 일측 하단부에는 정량램프(2)를 장착한 배관(3)이 설치되며 중앙부에는 배관(3')이 설치된다. 상기 시료채취용기(1)의 상단면 일측에는 에어실린더 지지대(4)가 고정되고, 용기(1)의 상단면 중앙에는 가이드(8)가 장착되며, 상기 가이드(8)와 용기(1)의 상단면을 관통하여 상하이동가능한 테프론 튜브(7)가 설치된다. 한편, 상기 에어실린더 지지대(4)에 장착된 에어실린더(5)는 상기 테프론 튜브(7)의 상측에 연결된다.
또한, 상기 테프론 튜브(7)의 하단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여과기 지지관(6)의 몸체(17)에 연결되며,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면이 폐쇄되고 내부 중공 원통형인 지지관 몸체(17)의 중공부에는 세라믹 필터(Ceramic-filter)(20)가 오-링(O-ring)(19)과 함께 끼워지며 상기 몸체(17)의 중공부 상단에는 나사부(18)가 형성되고 상기 나사부(18)에는 필터 고정링(21)과 함께 지지관 덮개(22)를 결합한다.
또한, 상기 테프론 튜브(7)의 상단에는 T자 관(12)을 연결하며, 상기 관(12)의 일측은 솔레노이드 밸브(9) 및 레귤레이터(10)를 장착한 관(12')을 통하여 압축공기 저장 탱크(11)와 연결되고, 상기 관(12)의 타측은 프렉시블 튜브(flexible tube)(13)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프렉시블 튜브(13)는 중앙부에 연동펌프(14)를 장착하며, 타측단에는 노즐(Nozzle)(15)이 장착되고, 상기 튜브(13)의 타측부는 에어실린더(23)에 연결되고, 상기 에어 실린더(23)는 에어실린더 지지대(24)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노즐(15)의 하부에는 시료채취용기(16) 및 배출구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내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료채취용기(1)의 일측 하부에 장착된 배관(3)에는 정량 펌프(2)가 형성되며, 상기 정량펌프(2)를 작동하면 시료용액(1')이 시료채취용기(1)를 거쳐 배관(3')으로 순환되며, 상기 시료용액(1')을 채취하고자 할 때에는, 에어실린더(5)를 작동시켜 세라믹 필터(20)가 장착된 여과기 지지관(6)이 하강하여 시료용액(1')의 내부로 잠기게 되며, 이때 연동펌프(14)를 가동하면 시료용액(1')은 상기 세라믹 필터(20)에서 여과된 후 튜브(13)를 따라 노즐(15)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한편, 미리 에어실린더 고정대 (24)에 고정되어 있는 에어실린더(23)을 작동시켜, 상기노즐(15)이 배출구(25)상단에 위치하도록 한후, 일정시간(약30초)동안 시료 용액(1')을 배출시켜서 전(前) 작업에 의해 오염된 튜브(13)을 세척한다.
상기 세척이 완료되면, 에어실린더(23)를 작동하여 상기 노즐(15)을 시료채취용기(16) 상단에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시료용액(1')이 시료채취용기(16)내에 샘플링되는 것이다.
또한, 일정시간동안 샘플링한 후 다시 시료 채취용기(1)상단의 에어실린더(5)를 작동시키면, 세라믹 필터(20)를 장착한 여과기 지지관(6)이 가이드(8)를 따라 상승하게 되어 시료 용액(1')의 외부로 나오게 되며, 이때 연동폄프(14)의 작동을 멈추고 솔레노이드 밸브(9)를 열러 압축공기 탱크(11)로 부터 압축공기를 세라믹 필터(20)측으로 강하게 분사시키면, 상기 필터(20)에 부착된 찌꺼기들이 제거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장치에 의하면, 생산라인에서 사용중인 각종 용액들을 필요에 따라 조금씩 샘플링하고자 할 때 손쉽게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에어실린더(5)를 이용 세라믹 필터(20)를 상,하 운동할수 있도록 하여 필요시에만 필터가 용액에 잠겨 샘플링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샘플링이 끝날때마다 세라믹 필터(20)에 압축공기를 역방향으로 분사하여 필터에 낀 각종 미물질들을 제거시켜 주므로서 필터의 교체없이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어 공정 품질 관리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배관(3)(3')이 시료채취용기(1)의 상, 하측에 연결되며, 상기 시료채취용기(1)의 상단면 일측에는 에어실린더(5)를 설한 에어실린더 지지대(4)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실린더(5)는 시료채취용기(1)의 상단면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하 이동가능토록 설치된 테프론 튜브(7)에 연결되고, 상기 테프론 튜브(7)의 하단에는 세라믹 필터(20)를 설한 여과기 지지관(6)이 장착됨은 물론, 상기 테프론 튜브(7)의 상단은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9)와 레귤레이터(regulator)(10)를 정착한 압축공기 저장탱크(11) 및 연동펌프(14)와 연결되며, 상기 연동튜브(14)는 노즐(15)과 연결되고, 상기 노즐(15)은 에어실린더(23)에 연결되고, 상기 노즐(15)의 하부에는 시료용기 (16)와 배출구(25)가 놓여짐으로서 필요에 따라 용액을 샘플링 할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KR2019930031250U 1993-12-30 1993-12-30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KR9700013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250U KR970001316Y1 (ko) 1993-12-30 1993-12-30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31250U KR970001316Y1 (ko) 1993-12-30 1993-12-30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17U KR950016817U (ko) 1995-07-20
KR970001316Y1 true KR970001316Y1 (ko) 1997-02-22

Family

ID=193742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31250U KR970001316Y1 (ko) 1993-12-30 1993-12-30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31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1946B1 (ko) * 2001-12-18 2003-12-18 한국해양연구원 여과수 및 여과지 동시 채집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817U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8066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high-purity water
US38363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moving liquid from containers
RU2271853C2 (ru) Барабанный фильтр непрерывного действия для фильтрации жидкости, такой, как раствор, содержащий осадок
EP0555638B1 (en) Supercritical fluid contamination monitor
CA2583926C (en) Filter assembly for sampling
US4310010A (en) Apparatus for cleaning closed-end tubes
KR970001316Y1 (ko) 공정용 액체시료 채취용 여과 장치
CA2091202A1 (en) Liquid-soli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same
JP2783376B2 (ja) 自動化学分析装置
CN214485922U (zh) 一种环境监测实验室废液处置装置
Skougstad et al. Water sample filtration unit
US3282431A (en) Sample conveying and conditioning unit
US4545903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controlling the sedimentation of muds during the purification of waste waters
DE29820171U1 (de) Wasser- und Abwasseranalysevorrichtung
JPH0374154B2 (ko)
US4820425A (en) Liquid sensor for robotic filtration station
SU890116A1 (ru) Пробоотборник
RU43079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чистоты жидких сред
KR102553766B1 (ko) 침출 시험 자동화 시스템
CN116983731B (zh) 一种实验室废液处理装置
JP2996827B2 (ja) 自動分析装置
DE3519265A1 (de) Reaktorgekoppelte filtrationsanlage mit automatischem probeneinlass zur aufbereitung und analyse von proben aus fermentationsprozessen
RU21912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воды
SU1084068A1 (ru) Лабораторный аппарат дл промывки ртути
JP4347084B2 (ja) スミヤ分析装置及びスミヤ分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20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