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1086Y1 -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 Google Patents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1086Y1
KR970001086Y1 KR2019930026859U KR930026859U KR970001086Y1 KR 970001086 Y1 KR970001086 Y1 KR 970001086Y1 KR 2019930026859 U KR2019930026859 U KR 2019930026859U KR 930026859 U KR930026859 U KR 930026859U KR 970001086 Y1 KR970001086 Y1 KR 9700010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sound
present
pattern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2685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0675U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주안상사
박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주안상사, 박주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주안상사
Priority to KR201993002685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1086Y1/ko
Publication of KR9500206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06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10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08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제1도는 본 고안의 전체 사시도.
제2도는 본 고안의 내부구조를 보인 표피 분리상태도.
제3도는 본 고안의 스위치 작동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벽걸이 101 : 걸고리
110 : 표피 111 : 문양
112 : 뒤판 120 : 메직테이프
130 : 스위치작동부 131 : 탄성편
140 : 소리발생부 141 : 음성메모리 칩
142 : 전원장치 143 : 스피커
144 : 전선
본 고안은 장식용 및 학습,오락용 벽걸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부에서 자극을 줄 경우 여러가지 다양한 소리를 발생하도록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벽걸이는 넓고 단순한 벽면을 간편하게 장식하기 위하여 걸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벽걸이는 사용자의 연령, 취향에 맞추어 여러가지 다양한 문양과 형상, 색상을 갖춘 것들이 널리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이와같은 벽걸이들은 단순히 시각적인 면만을 고려한 것으로서 어린이들이 주로 사용하는 공간의 벽걸이로는 부족함이 있었다.
특히 유아기의 호기심을 갖는 어린이들에게 있어 단순히 시각적인 효과만 있는 벽걸이는 쉽게 실증을 내게 된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고 특히 어린 유아기 어린이들의 효과적인 교육을 위하여 시각적 효과뿐 아니라 이에 맞추어 청각적 효과를 곁들인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벽걸이의 여러가지 문양 즉 갖가지 동물이나 기타 다양한 특징을 갖는 물품을 표피에 그려 놓고 내측에는 상기 여러가지 문양의 특성을 나타내는 음성메모리 칩을 구비하여 외부에서 자극을 주면 음성신호를 발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각 문양의 외부중심에는 메직테이프를 부착하여 줌으로서 별도의 새로운 문양을 덧붙여 주어 쉽게 분위기를 바꾸어 주거나 별도의 메직티이프에 붙는 재질인 헝겊으로 제작된 통상의 인형을 부착시켜 쉽게 입체화된 벽걸이 형성을 도출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제 1 도는 본 고안의 전체형상을 나타낸 일 실시예 사시도로서 벽걸이(100)의 표피(110)에 여러가지 다양한 동물이나 기타 사물의 형상 문양(111)들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벽걸이(100)의 상단부 모서리에는 벽에 간편히 걸 수 있는 걸고리(101)가 구비되고 각 문양의 표피중앙부에는 메직테이프(12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표피(110)의 내부에는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위치작동부(13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위치작동부(130)로 부터 전선(144)에 의해 소리발생부(140)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소리발생부(140)는 음성메모리 칩(141)과 전원장치(142) 및 스피커(14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치작동부(130)는 탄성편(131)의 변형으로 양단자가 접촉되어 도통되면 소리발생부(140)가 소리를 내게 되는 것이다.
즉 해당문양(예: 얼룩말)의 스위치작동부(130)를 조작하면 상기 해당 문양의 특성을 나타내는 소리(얼룩말 울음소리)가 입력된 음성메모리 칩(141)이 작동되어 음성신호를 발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 및 효과를 살펴보면 벽의 적정위치에 본 고안 벽걸이(100)가 평평해 지도록 펼쳐 걸고리(101)를 걸어 설치한 다음 통상의 벽걸이로서 시각적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요지로서 청각적 효과를 곁들일 수 있도록 한 것으로서 시각적 효과를 위해 표피(110)에 그려진 문양(111)의 내부에 설치된 스위치작동부(130)는 외부로부터의 자극에 의해 탄성편(131)이 접촉되면 전원장치(142)와 해당 문양(111)에 관계되는 소리가 기록된 음성 메모리칩(141)이 전기적인 도통상태가 되면서 발성을 하게 된다.
또한 표피(110)의 문양(111)중심부에 부착설치된 메직테이프(120)는 새로운 형상의 문양(111)을 부착시킬 수 있으므로 새로운 분위기를 쉽게 연출 할 수 있다.
특히 별도의 헝겊으로 만든 공을 적정의 거리에서 던져줌으로서 상기 메직테이프(120)에 부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공에 의한 충격으로 스위치작동부(130)를 작동시켜 소리를 나게 함으로서 조준 투척의 놀이기구로 활용 할 수 있어 벽걸이(100)뿐 아니라 새로운 놀이기구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은 어린 유아들에게 있어서는 여러가지 동물들의 실제 모습을 한 문양 직접 보면서 함께 해당 동물 문양의 울음소리를 직접 듣게 되므로 실감이 나고 흥미를 유발하는 것으로서 다양한 동물이나 기타 여러가지 사물의 소리특성을 쉽게 인식 감자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시청각 교재로서도 충분한 기능과 효과가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는 기존의 시각위주의 벽걸이 개념을 탈피하고 반도체의 발달에 힘입어 간편하게 여러가지 다양한 음색을 발하도록 함으로써 새로운 개념의 벽걸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매우 유용한 기술이다.

Claims (2)

  1. (정정)외측면에 각종 문양이 그려진 표피(110)의 내부에 스위치작동부(130) 및 별도의 전원장치(142)와 소리발생부(140)가 설치되어 각 문양을 누르면 해당 문양의 특성에 맞는 소리가 발생되도록 구성된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100)에 있어서, 상기 표피(110)에 그려진 각 문양(111)의 중심부에는 투척되는 물체가 접착되도록 하는 메직테이프(120)가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2. (삭제)
KR2019930026859U 1993-12-08 1993-12-08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KR9700010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59U KR970001086Y1 (ko) 1993-12-08 1993-12-08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26859U KR970001086Y1 (ko) 1993-12-08 1993-12-08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75U KR950020675U (ko) 1995-07-26
KR970001086Y1 true KR970001086Y1 (ko) 1997-02-17

Family

ID=19370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26859U KR970001086Y1 (ko) 1993-12-08 1993-12-08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1086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0675U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7362B2 (en) Rotating musical remote control mobile device with detachable toys
US6332824B2 (en) Convertible child's toy
US7662015B2 (en) Interactive toy unicorn
US4124022A (en) Heart novelty and relaxation device
US20120088434A1 (en) Toy Figure with Sound and Light Show
US5480340A (en) Crib toy having removable plush figure
US20190176046A1 (en) Toy with user-operable light
KR970001086Y1 (ko) 소리발생장치가 부설된 다용도 벽걸이
US20030003841A1 (en) Heart shaped novelty device
US6461217B1 (en) Talking doll having extendible appendages
US3988856A (en) Toy musical cradle
CN209333205U (zh) 一种婴童游戏垫
KR940001780Y1 (ko) 완구 청진기
CN204034261U (zh) 一种声光玩具
KR940001761Y1 (ko) 인형완구
JPS6258721B2 (ko)
JPH0321275Y2 (ko)
KR910007057Y1 (ko) 아기 울음 소리가 나는 인형
KR900007682Y1 (ko) 봉제 완구용 동물 울음장치
JP3011922U (ja) 置 物
JP3064977U (ja) キ―ホルダ
CN2158744Y (zh) 带感知响应器的布绒玩具
JPH0622385Y2 (ja) 人 形
JPS6470Y2 (ko)
JP3067806U (ja) 乗物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