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813B1 -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813B1
KR970000813B1 KR1019940020643A KR19940020643A KR970000813B1 KR 970000813 B1 KR970000813 B1 KR 970000813B1 KR 1019940020643 A KR1019940020643 A KR 1019940020643A KR 19940020643 A KR19940020643 A KR 19940020643A KR 970000813 B1 KR970000813 B1 KR 9700008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s
air
fabric
knitted fabric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871A (ko
Inventor
김갑동
Original Assignee
한라산업 주식회사
김갑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산업 주식회사, 김갑동 filed Critical 한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20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813B1/ko
Publication of KR9600078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8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8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BTREATING TEXTILE MATERIALS USING LIQUIDS, GASES OR VAPOURS
    • D06B1/00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 D06B1/02Applying liquids, gases or vapours onto textile materials to effect treatment, e.g. washing, dyeing, bleaching, sizing or impregnating by spraying or projecting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45/00Wringing machines with two or more co-operating rollers; Similar cold-smoothing apparatus
    • D06F45/16Details
    • D06F45/22Roller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전체 공정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 발췌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요부가 작동하는 상태를 표시한 정면도로써,
(a)는 폭이 넓은 편직물을 유연처리할 때.
(b)는 폭이 좁은 편직물을 유연처리할 때.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 세척조 4 : 원단꼬임방지기
9 : 순환펌프 10 : 유연제침적조
11 : 걸름망 12 : 스팀열교환기
13 : 속도불균일해소기 14 : 공기주입구
15 : 물분사파이프 16, 16' : 공기주입센서
17, 17' : 메인로라 18 : 대형로라
19, 19' : 소형로라 20 : 이탈방지로라
21, 21' : 편직물폭조절기 23, 23' : 콘트롤박스
본 발명은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유연처리기는 유연처리시에 수분을 원심분리기를 사용하거나 별개의 탈수용 두개의 로라를 통과시켜 수분을 분리한 다음 다른 기계장치를 사용하여 유연제를 침투 도포시켜 다시 탈수를 하여 일정한 정단없이 무차별로 수작업을 하여 사려주는 방식으로 해야만 했으므로 두대 이상의 기계장치를 설치하게 되므로써 설치공간을 많이 차지하게 되고 여러번의 공정을 거쳐야만 했고 편직물이 확포되지 않은 꼬임상태에서는 유연제가 고르게 침투하지 못하게 되므로 약품의 처리가 균일하지 못해 편직물에 얼룩이 발생하고 펴지지 않은 상태에서 탈수로라를 통과하게 되어 심한 틀림자국이 생겨 주름부분에 탈수율과 건조효율이 극히 낮았으며 에너지의 소모는 많았고 기계장치의 다원화로 작업인력은 많이 소요되면서도 처리능률은 저하되고 유지관리비 등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인 손실이 막대한 등의 폐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폐단을 해결하기 위해 젖은 체 임의의 형상으로 꼬여진 원통형 편직물을 자동으로 풀어주는 원단꼬임방지기가 장착된 세척조를 거쳐 흡수에 용이한 온도로 가열된 유연제 용액이 내입된 침척조를 경유하는 동안 함침을 하고 편직물의 조직과 물성을 최대한 자연상태로 유지시키도록 압축공기와 물을 분사하여 유연제의 침투를 높이고 다수개의 로라가 집합된 양측 편직물 폭조절기를 통과시에 길이방향의 인장응력을 제거하여 눌름자국이나 주름이 없이 폭을 일정하게 맞추어 주는 작업을 적은 인력으로 에너지를 절감하면서 단시간에 많은 양을 자동으로 일원화하여 탈수 유연처리할 수 있는 다기능 복합장치를 발명한 것으로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체 일측에 안내로라(1)와 인입구동로라(2)를 연설하고 세척조(3)의 내부에는 원단꼬임방지기(4)를 장착하며 위에는 공기주입센서(5)(5')와 공기주입구(6)(6') 및 탈수로라(7)(7')를 설치하고 측방은 유도로라(8)와 하측은 순환펌프(9)를 안착하며 본체 중앙의 유연제침적조(10)에는 걸름망(11)과 스팀열교환기(12)를 장착하고 속도불균일해소기(13) 위로는 공기주입구(14)와 물분사파이프(15) 및 공기주입센서(16)(16')를 설치하되 상방향으로는 메인로라(17)(17') 사이에 대형로라(18)를 연접하고 소형로라(19)(19')는 메인로라(17)(17') 측방에 접하며 대형로라(18) 양측면에는 이탈방지로라(20)가 유착된 편직물폭조절기(21)(21')를 대향되게 장착하고 위로는 2차 탈수로라(22)(22')를 설치하고 콘트롤박스(23)(23')의 조작으로 제어되게 하여서 된 것이다.
미설명 부호 24는 벨트, 25는 크랭크, 26은 원단정리로라, 27은 지지축, 28은 실린더, 29는 편직물, 30은 텐테이블을 표시한다.
이와 같이 된 본 발명은 임의의 형태로 텐테이블 위의 용기에 투입된 원통형 편직물을 가동이 가능하게 끼워 넣은 상태에서 콘트롤박스(23)(23')의 자동스위치를 각각 조작하면 편직물은 회전로라(1)의 구동로라(2)를 거쳐 세척조(3) 내부에 장착된 원단꼬임방지기(4)를 연속으로 통과시에 편직물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꼬임부분이 있으면 상태를 감지하여 텐테이블을 꼬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풀어주면서 편직물을 회전로라(1)와 구동로라(2)를 거쳐 세척조(3) 내부에 장착된 원단꼬임방지기(4)를 연속으로 통과시에 편직물의 좌측이나 우측으로 꼬임부분이 있으면 상태를 감지하여 텐테이블을 꼬임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전하여 풀어주면서 편직물을 상측으로 이송할 때에 공기주입구(6)(6')로 압축공기가 분출하여 외부에 젖은 물이 피막을 형성시켜 주므로 분출이 되지 못하고 부풀어 오를 때에 주름부분이 펴지면서 공기주입센서(5)(5')에 접촉되면 공기분출이 자동조절되면서 탈수로라(7)(7')를 통과시 압착탈수되어 유도로라(8)를 거쳐 스팀열교환기(12)에 의해 적당한 온도로 가열된 유연제용액이 내입된 유연제침적조(10)에 유입되어 속도불균일해소기(13)로 천천히 이송될 때에 함침이 잘되면서 운전조작 중 발생할 수도 있는 탈수로라(7)(7')와 2차 탈수로라(22)(22') 사이의 처리속도와의 균형이 맞지 않으면 가동장치가 일시 정지되다가 다시 균형을 유지시켜 주는 작용을 하고 2차 탈수가 되기 전에 유연제 침적조(10) 일측에 설치된 걸름망(11)에 의해 정제된 용액을 순환 펌프(9)가 작동하여 물분사파이프(15)를 통해 편직물 양측으로 분출함과 동시에 공기주입구(14)로는 압축공기를 분사하므로 편직물 표면에 유연제의 침투율을 향상시키면서 표면의 이물질을 세척제거하여 주므로 주름살은 펼쳐지며 압축공기가 계속 주입되어 공기주입센서(16)(16')에 접촉되면 자동으로 공기주입이 조절되면서 대향으로 장착된 편직물조절기(21)(21')의 메인로라(17)(17')의 회전력으로 연동하는 대형로라(18)와 소형로라(19)(19')의 접촉면에 끼워지고 이탈방지로라(20)가 대형로라(18)에 감싸인 편직물을 눌러주면서 상측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 편직물의 길이방향으로의 인장응력을 제거해주고 편직물의 폭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면서 2차 탈수로라(22)(22')를 통과시에 탈수되어 크랭크의 연속작동으로 계속 배출되는 편직물을 일정한 길이로 정단해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편직물 폭의 대, 소에 관계없이 편직물폭조절기(21)(21')를 이동조절하여 다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길이방향으로의 인장응력을 해소하므로써 폭이 일정하고 변형이 없으며 유연제가 고르게 깊이 침투되어 얼룩이나 결함이 발생하지 않고 처리과정이 단일공정으로 일원화되어 좁은 공간에서 인력의 소모가 없이 에너지는 절감하면서 단시간에 많은 양을 경제적으로 유연처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 일측 세척조(3)의 내부에는 원단꼬임방지기(4)와 하측으로는 순환펌프(9)를 안착하고 중앙부분 유연제침적조(10)에는 걸름망(11)과 스팀열교환기(12)를 장착하며 속도불균일해소기(13) 위로는 공기주입구(14)와 물분사파이프(15) 및 공기주입센서(16)(16')를 설치하되 상방향으로는 메인로라(17)(17') 사이에 대형로라(18)를 연접하고 소형로라(19)(19')는 메인로라(17)(17') 측방에 접하며 대형로라(18) 양측면에는 이탈방지로라(20)가 유착된 편직물폭조절기(21)(21')를 대향되게 장착되고 콘트롤박스(23)(23')의 조작으로 제어되게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KR1019940020643A 1994-08-20 1994-08-20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KR9700008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43A KR970000813B1 (ko) 1994-08-20 1994-08-20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43A KR970000813B1 (ko) 1994-08-20 1994-08-20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71A KR960007871A (ko) 1996-03-22
KR970000813B1 true KR970000813B1 (ko) 1997-01-20

Family

ID=1939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643A KR970000813B1 (ko) 1994-08-20 1994-08-20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8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6617B1 (ko) * 1999-08-25 2001-09-24 김도환 폐기물처리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71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45252A (zh) 智能化湿布热碱直辊布铗针织物丝光机
KR101890922B1 (ko) 원단 전처리 가공장치
US3594914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continuously relaxing textile fabrics
US4158297A (en) Impregnator/rinser
US7398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eating ropelike textile goods
KR970000813B1 (ko) 편직물의 자동유연처리장치
EP1608807B1 (en) Method and machine for treating textile materials by ammonia or other liquids
US4213218A (en) Impregnator/rinser
US4199966A (en) Impregnator/rinser
CN112080880A (zh) 一种涤棉布丝光机及丝光工艺
WO2020250172A2 (en) Machine and method for continuous, open-width washing of fabrics
US4083208A (en) Apparatus for the wet treatment of textiles
KR100625607B1 (ko) 직물원단 자동 유연건조방법 및 그 장치
EP1007776B1 (en) Wet grinding method for textile material and relative device
CN105839326B (zh) 平幅洗水设备及其使用方法
KR102140833B1 (ko) 원단 전처리용 릴렉서 정련장치
US4376632A (en) Process and plant for the continuous mercerization of raw or colored open or tubular knitted fabric
CN210177132U (zh) 一种一浸多轧式低带液量轧车
CN113950548A (zh) 用于织物的连续平幅洗涤机器和方法
EP1106725A2 (en) Machine for continuously washing and finishing fabrics or the like
SU1744157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нанесени обрабатывающего раствора на текстильный материал
CN111678322A (zh) 一种用于纺织品加工的烘干装置
US3522719A (en) Device for treating a continuously moving fabric web in at least three treatment zones
KR20010084601A (ko) 환편직물의 주름제거기
BE1030894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s Einzeltexti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6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