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555B1 - 전기컨넥터 래치기구 - Google Patents

전기컨넥터 래치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555B1
KR970000555B1 KR1019880003341A KR880003341A KR970000555B1 KR 970000555 B1 KR970000555 B1 KR 970000555B1 KR 1019880003341 A KR1019880003341 A KR 1019880003341A KR 880003341 A KR880003341 A KR 880003341A KR 970000555 B1 KR970000555 B1 KR 9700005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sliding
slider
connectors
latch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958A (ko
Inventor
다끼노리 사사끼
노리아끼 다께나까
아끼라 가와꾸찌
유끼하루 다야마
Original Assignee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일 엘. 사이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제일 엘. 사이칙 filed Critical 에이 엠 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880011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9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5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5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01R13/6395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for wall or panel outlet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컨넥터 래치기구
제1도는 제2컨넥터로부터 분해된 다른쌍의 컨넥터와 래치된 한쌍의 컨넥터를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래치기구를 갖는 전기컨넥터의 정면도.
제2도는 제2컨넥터의 사시도.
제3a도~제3e도는 슬라이더의 작동과 래치기구를 구성하는 돌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제4도는 프린트 회로판에 배열된 제2컨넥터의 다수를 도시한 상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2컨넥터 11 : 틀
12 : 개구 15 : 슬라이더
18 : 리세스 20 : 제1컨넥터
본 발명은 전기접촉에 있어서 짝전기컨넥터의 래치용 전기컨넥터 래치기구에 관한 것이다. 단선과 다중선을 포함하는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여러 형태의 전기컨넥터가 알려져 있다. 그러한 컨넥터의 대부분이 접속 가능한 전기접촉을 갖는 짝컨넥터를 구비한다. 그러한 컨넥터는 전선접속 뿐만 아니라 프린트 기판위의 전선접속에도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컨넥터는 전선 접속을 사용할 때 외부의 큰 힘이 작용하면, 손실되거나 단절되어 전자장치에서 필수적인 전기접속의 붕괴를 초래한다.
본 발명은 래치조건에 컨넥터를 유지시키는 래치기구를 구비한 전기컨넥터쌍을 제공하므로써 외부의 힘으로 야기된 손실과 단절문제를 해결한다. 이것을 수행하기 위하여 래치기구는 제1컨넥터와 그것을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갖는 제2컨넥터로 구성된다. 래치기구는 한방향으로 작용하는 편의력의 영향아래서 제1컨넥터를 개구내로 삽입시키는 방향과 수직으로 활주가능한 제2컨넥터틀의 측벽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를 포함한다. 돌출부는 제1컨넥터의 측부로부터 돌출하여 제1컨넥터가 개구내로 삽입될 때 슬라이더와 접한다. 슬라이더는 테이퍼부와 리세스를 구비하므로 제1컨넥터가 개구내로 삽입될 때, 제1컨넥터 돌출부가 테이퍼부와 접촉하여 제1컨넥터가 개구의 예정된 깊이로 삽입될때까지 한방향에 대하여 역방향으로 이동된다. 돌출부가 테이퍼부를 넘어서 리세스에 위치할 때, 그것에 의하여 슬라이더를 편의력의 영향으로 후진 이동하도록 한다. 따라서, 돌출부는 리세스에 지지되고 컨넥터를 함께 래치시킨다.
제1컨넥터가 제2컨넥터의 개구내로 삽입되어 제1전기접촉이 제2컨넥터에 수용된 제2전기접촉과 전기적인 접속을 이루게 할 때, 래치기구의 제1컨넥터 돌출부는 제2컨넥터 슬라이더의 테이퍼부와 접촉하여 슬라이더를 편의방향(한방향의 대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고, 제1컨넥터가 개구내로 예정된 깊이 이상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는 테이퍼부를 넘어 슬라이더의 리세스에 위치한다. 그후 슬라이더는 편의력으로 옆으로 이동되어, 리세스에 있는 돌출부가 그곳에 래치된다. 리세스에서의 돌출부의 래치로 인하여, 제1컨넥터는 제2컨넥터의 개구내에 래치되고, 그 결과 둘의 컨넥터는 함께 견고하게 래치되어 외부 힘의 작용하에서도 단절되지 않는다.
본 발명이 첨부도면과 관련하여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기술된다.
제1도와 같이, 전기컨넥터는 절연전선의 다수를 갖는 전선(25)의 일단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전기컨넥터(20)와 전기적으로 제1컨넥터(20)와 연결되는 제2컨넥터(10)를 구비한다. 프린트기판(1)에 고정된 제2컨넥터(10)는 헤더(2)를 통하여 순서대로 모판(3)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2컨넥터의 틀(11)은 제1컨넥터를 수용하기 위해 외측으로 개방되는 개구(12)와 함께 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다수의 제1컨넥터(20)는 단지 하나의 제2컨넥터(1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래치기구는 그러한 다수의 제1컨넥터의 연결에 국한되지 않고, 제1컨넥터와 제2컨넥터 사이의 일대일 연결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1컨넥터(20)는 케이블(25)의 개개의 전선이 연결되어 있는 제1전기접촉(보이지 않음)의 다수를 고정시킨다. 제1도의 도시에서, 환상으로 보이는 돌출부(21)는 래치기구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제1컨넥터(20)의 후면 하단부에 위치한다. 제2도의 도시에서, 돌출부(21)는 컨넥터(20)의 정면에서 선명하게 보인다.
제2컨넥터(10)는 절연틀(11), 프린트기판(1)에 견고하게 매립되고 틀(11)의 개구(12)내로 돌출된 다수의 제2전기접촉(13)과 틀(11) 개구(12)의 내측표면을 따라 장착되고 제1도와 같이 좌우로 이동되는 슬라이더(15)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컨넥터(20)가 개구(12) 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와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컨넥터가 제2컨넥터(10)의 개구(12)내로 삽입될 때 양 컨넥터의 일치하는 접촉은 서로 연결이되고, 케이블(25)의 전선은 판(1)의 각각의 전도 통로 또는 영역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슬라이더(15)는, 아래 제3a도 내지 제3e도를 참조하여 기술되었듯이, 컨넥터(20)가 개구(12)에 삽입되어 슬라이더(15)의 리세스(18)에 위치할 때 제1컨넥터(20)의 돌출부(21)에 의해 접촉되는 테이퍼부(17)를 갖는다. 슬라이더(15)는 틀(11)에 의해 개구(12)의 내측면을 따라 지지되므로 틀(11)과 관련하여 가로방향으로 자유롭게 활주할 수 있다. 제3a도의 도시와 같이, 리세스(11a)는 제1컨넥터(20)의 돌출부(21)가 통과할 수 있도록 틀(11)의 상부에 위치한다. 리세스(11a) 아래에는, 테이퍼면(17a)을 갖는 테이퍼부(17)가 슬라이더(15)에 위치하고, 리세스(18)는 슬라이더(15)에서 테이퍼부(17) 아래쪽에 위치한다. 리세스(18)는 제1컨넥터(20)와 제2컨넥터(10)가 만날 때 돌출부(21)를 수용한다. 슬라이더(15)는 틀(11) 내측에 장착된 스프링(14)에 의해 화살표(A) 방향으로 편의된다. 슬라이더(15)의 우측 단부는 틀(11)로부터 돌출하여 한 부위(16)를 이룬다.
슬라이더(15)를 갖는 제2컨넥터(10)의 개구(12)내로 삽입된 제1컨넥터(20)의 작동을 설명한다. 제3b도와 같이, 제1컨넥터(20)가 개구(12) 내로 화살표방향(B)으로 삽입될 때, 돌출부(21)는 리세스(11a)를 통과하여 슬라이더(15)의 테이퍼면(17a)과 접촉한다. 그러므로, 컨넥터(20)가 개구(12)내로 더욱 삽입될 때, 슬라이더(15)는 좌측으로 이동되어(화살표 C방향) 스프링(14)에 의해 발생한 편의력과 대항한다. 제3C도와 같이 제1컨넥터(20)가 개구(12)내로 더욱 삽입되면 돌출부(21)가 테이퍼면(17a)을 따라 이동하고, 제3D도와 같이 테이퍼부(17)를 넘어 리세스(18)에 위치한다. 그후 슬라이더(15)는, 제3D도와 같이 리세스(18)에 돌출부(21)를 지지시키는 작용을 하는 스프링(14) 편의력에 의해 다시 우측(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리세스(18)에서 돌출부(21)의 보유로 인하여, 제1컨넥터와 제2컨넥터는 래치조건으로 유지되고 외부의 힘 아래서도 단절을 방지한다.
그러나 슬라이더(15)의 우측에서(화살표 C방향) 부위(16)를 압박함으로써 스프링(14)의 편의력은 슬라이더(15)가 좌측으로 이동되도록 극복되어 제1컨넥터(20)와 제2컨넥터(10)의 단절때와 같이, 돌출부(21)가 제3e도와 같이 리세스(18)로부터 재이동될 수 있다. 그러므로 슬라이더(15)가 화살표(C) 방향으로 이동되어 돌출부(21)가 테이퍼면(17a)으로 한정되는 가장 좁은 영역을 벗어나 제1컨넥터(20)가 화살표(D) 방향으로 이동되면 제1컨넥터는 제2컨넥터로부터 단절될 수 있다.
제4도는 프린트기판(1)에 배열된 둘의 제2컨넥터(10, 10')를 도시한다. 부위(16, 16')와 볼록부(19, 19')는 틀(11, 11')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슬라이더(15, 15')의 우측단부와 좌측단부에 각각 위치한다. 그러므로 제4도와 같이 기판(1)위에 다수의 컨넥터(10, 10')를 배열할 때, 한 컨넥터(10') 슬라이더(15')의 좌볼록부(19)가 다른 컨넥터(10) 슬라이더(15)의 홈(16a)에서 삽입되어 한 컨넥터(10')의 부위(16')가 먼 우측단부에서 압박될 때, 모든 슬라이더(15, 15')가 이동될 수 있도록 시리즈로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방법으로, 컨넥터가 가깝게 배열될 수 있고, 따라서 컨넥터가 기판에 고밀도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기술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과 제2의 컨넥터에 수용된 제1접촉과 제2접촉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컨넥터가 제2컨넥터의 개구내로 삽입될 때 각각은, 제1컨넥터의 돌출부가 제2컨넥터 슬라이더의 테이퍼부와 접촉하여 슬아이더가 편의위치로 이동(편의력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된다. 이것은 제1컨넥터 예정된 깊이의 개구내로 삽입될 때 돌출부가 테이퍼부를 지나 슬라이더의 리세스에 위치하도록 하는데, 그것에 의하여 슬라이더는 돌출부를 그속에 유지하기 위해 편의 방향에서 후진 이동되고, 제1컨넥터를 제2컨넥터의 개구내에 래치하고, 외부힘의 작용하에서도 그것들을 연결시킨다. 제2커넥터에서의 단 슬라이더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1커넥터를 수용할 수 있다. 제2컨넥터는 다수가, 제2컨넥터의 슬라이더가 옆으로 이동되면 다른 제2컨넥터의 슬라이더 역시 옆으로 이동되도록 슬라이더가 내부 접촉할 수 있도록 프린트기판 위에 각각 서로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Claims (5)

  1. 짝전기컨넥터를 함께 래치시키는 래치기구에 있어서, 제1전기컨넥터(20)는 활주작동수단(17)을 갖고 제2컨넥터(10)는 제1컨넥터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를 가지며 서로 짝으로 접촉하는 제1 및 제2전기컨넥터(20, 10), 제2컨넥터(10)에 장착되고 활주접촉부(17)와 수용영역(18)을 갖는 활주수단(15), 상기 활주수단(15)과 접촉하고 한 방향(화살표 A)으로 그것(15)을 편의하여 상기 제1컨넥터(20)의 활주작동수단(21)이 제2컨넥터(10)의 개구(12)내로 삽입된 제1컨넥터(20)의 활주접촉부(17)와 접촉하며, 상기 활주수단(15)이 상기 활주접촉부(17)를 넘어 한 방향(화살표 A)으로후진 이동되어 컨넥터(20, 10)를 함께 래치시키는 수용영역(18)에 이를때까지 한 방향의 대향(화살표 C)으로 이동되는 스프링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작동수단(21)이 돌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접촉수단(17)이 테이퍼부(17a)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영역(18)이 리세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활주수단(15)이 그것을 한 방향의 대향으로 이동시키어 상기 활주작동수단(21)을 수용영역(18)으로부터 제거하여 상기 컨넥터(20, 10)를 단절시키는 것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치기구.
KR1019880003341A 1987-03-28 1988-03-28 전기컨넥터 래치기구 KR9700005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5773 1987-03-28
JP62-75773 1987-03-28
JP62075773A JP2521085B2 (ja) 1987-03-28 1987-03-28 コネクタのロツ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58A KR880011958A (ko) 1988-10-31
KR970000555B1 true KR970000555B1 (ko) 1997-01-13

Family

ID=1358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341A KR970000555B1 (ko) 1987-03-28 1988-03-28 전기컨넥터 래치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838807A (ko)
JP (1) JP2521085B2 (ko)
KR (1) KR9700005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291178U (ko) * 1988-12-28 1990-07-19
US4986769A (en) * 1989-11-16 1991-01-22 Amp Incorporated Polarization and keying mechanism
US5662491A (en) * 1995-12-07 1997-09-02 Chrysler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for vehicle power component switche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206032A5 (ko) * 1972-11-07 1974-05-31 Socapex
JPS49121988A (ko) * 1973-03-30 1974-11-21
JPS613273Y2 (ko) * 1975-07-07 1986-02-01
FR2455374A1 (fr) * 1979-04-25 1980-11-21 Cit Alcatel Dispositif de verrouillage de connecteur
FR2502449A1 (fr) * 1981-03-23 1982-09-24 Alsthom Cgee Dispositif de fixation d'un appareil sur profiles supports
US4386243A (en) * 1981-08-04 1983-05-31 Porta Systems Corp. Telephone test shoe having resilient latching means
US4501460A (en) * 1983-05-09 1985-02-26 Convergent Technologies, Inc. Modular housing for computer system
FR2563950B1 (fr) * 1984-05-07 1989-11-03 Lb International Sa Air Connecteur electrique a contacts multiples et a verrouill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958A (ko) 1988-10-31
JP2521085B2 (ja) 1996-07-31
US4838807A (en) 1989-06-13
JPS63257188A (ja) 1988-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59808B2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roved guiding means
US7044793B2 (en) Connector assembly
US5492481A (en) Circuit card interface system
US4410222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a ribbon cable
US5055054A (en) High density connector
US6234817B1 (en) Blind-mate, floatable connectors assembly
US5876217A (en) Electric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haracteristics
US4969840A (en) Electrical connector for flexible flat cable
US5411402A (en) Connector assembly for IC card
US5460533A (en) Cable backpanel interconnection
CA1274887A (en) Daughter board/backplane assembly
US3130351A (en) Modular circuitry apparatus
EP0561642B1 (en) Electrical connector
US5213534A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for flat flexible cable
US7097496B2 (en) Connector for flexible printed circuit
US6672886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contacts
KR19990044718A (ko) 케넥터 플러그의 로크 수단
US6685488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grounding terminals
US7438556B2 (en) Electrical interconnection between multiple printed circuit boards
US5102346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cable-to-board applications
GB2260658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module holder
US4148537A (en) Zero insertion force connector for printed circuit boards
US6623302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printed substrates therein electrically contacting conductive contacts thereof by solderless
US4293179A (en) Circuit board interconnection system
KR970001944B1 (ko) 압입 끼워 맞춤 단자 핀을 갖는 전기 접속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