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330B1 -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 Google Patents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330B1
KR970000330B1 KR1019900000758A KR900000758A KR970000330B1 KR 970000330 B1 KR970000330 B1 KR 970000330B1 KR 1019900000758 A KR1019900000758 A KR 1019900000758A KR 900000758 A KR900000758 A KR 900000758A KR 970000330 B1 KR970000330 B1 KR 9700003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refresh
write
blocks
sense ampl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75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00012275A (en
Inventor
히로노리 아까마쯔
아끼노리 시바야마
히사가즈 고따니
준꼬 마쯔시마
Original Assignee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다니이 아끼오 filed Critical 마쓰시다 덴기 산교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2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22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3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30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Management or control of the refreshing or charge-regeneration cycl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2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 G11C11/34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 G11C11/4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 G11C11/401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electric element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using transistors forming cells needing refreshing or charge regeneration, i.e. dynamic cells
    • G11C11/4063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 G11C11/407Auxiliary circuits, e.g. for addressing, decoding, driving, writing, sensing or timing for memory cells of the field-effect type
    • G11C11/409Read-write [R-W] circuits 
    • G11C11/4091Sense or sense/refresh amplifiers, or associated sense circuitry, e.g. for coupled bit-line precharging, equalising or isolat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7/00Arrangements for writing information into, or reading information out from, a digital store
    • G11C7/06Sense amplifiers; Associated circuits, e.g. timing or triggering circuits
    • G11C7/08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ram (AREA)

Abstract

내용 없음.No content.

Description

리프레시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Refresh functio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억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irst embodiment of a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2도는 제1도의 기억장치의 메모리블럭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mory block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제3도는 제1도의 기억장치에 사용된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의 회로도.3 is a circuit diagram of a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ed in the memory device of FIG.

제4도는 제1도의 기억장치에 사용된 감지증폭기의 회로도.4 is a circuit diagram of a sense amplifier used in the memory device of FIG.

제5도는 종래 기억장치와 제1도의 기억장치에서의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도.5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time in the conventional memory device and the memory device of FIG.

제6도는 제2실시예와 종래 기억장치에서의 기록/판독시간 및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6 is a block diagram showing write / read time and refresh overhead time in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conventional storage device.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7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third embodimen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8도는 제7도의 기억장치의 메모리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mory block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제9도는 제7도의 기억장치에 사용된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의 회로도.FIG. 9 is a circuit diagram of a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used in the memory device of FIG.

제10도는 종래 기억장치와 제1 내지 제3실시예에 관한 전류흐름 양을 나타낸 그래프.10 is a graph showing the amount of current flow in the conventional memory device and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기억장치의 제4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록도.1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fourth embodiment of 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2도는 종래 기억장치와 제4실시예에서의 시간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ime in the conventional storage device and the fourth embodiment.

제13도는 리프레서 동작의 타이밍챠트.13 is a timing chart of a refresher operation.

제14도는 DRAM내의 메모리셀을 나타내는 회로도.14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memory cells in a DRAM.

제15도는 종래 DRAM의 블록도.15 is a block diagram of a conventional DRAM.

제16도는 제15도에 도시된 종래 DRAM의 메모리블록을 나타내는 블록도.FIG. 16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memory block of the conventional DRAM shown in FIG.

제17도는 종래 DRAM에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나타내는 블록도.17 is a block diagram showing refresh overhead time in a conventional DRAM.

제18도는 종래 비데오 메모리에서 리프레시시간을 나타내는 블록도.18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refresh time in a conventional video memory.

제19도는 종래 DRAM을 나타내는 블록도.19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conventional DRAM.

제20도는 리프세시 종료신호 발생회로를 나타낸 회로도.20 is a circuit diagram showing a leaf termination signal generating circuit.

본 발명은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리프레싱(refreshing)을 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한 리프레시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improved refresh function for reducing the time required for refreshing.

현재, 다이나믹 랭(이하 DRAM이라 함)은 가장 큰 메모리용량을 가진 반도체 기억장치로 사용되고 있으며, 그것의 집적도는 증가추세에 있다. DRAM에 있어서, 데이터는 그 용량을 이용하는 메모리셀에 저장된다. 메모리셀에 데이터를 유지하는 이러한 원리 때문에 메모리셀은 리프레시를 행해야 한다. 메모리셀이 리프레시를 행하지 않게 되면, 메모리셀에 저장된 데이터는 파괴된다. 또한 리프레시를 실행하는 시간주기는 DRAM의 집적도 향상에 연장되므로 리프레시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짧게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후에 이 시간주기는 리프레시 오버헤드(refresh overhead)시간으로 참조된다.Currently, dynamic lang (hereinafter referred to as DRAM) is used a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the largest memory capacity, and its density is on the rise. In a DRAM, data is stored in a memory cell using the capacity. Because of this principle of holding data in memory cells, memory cells must be refreshed. If the memory cell is not refreshe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is destroyed. In addition, since the time period for performing the refresh is extended to improve the density of the DRAM, it is required t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the refresh. This time period is then referred to as the refresh overhead time.

메모리셀에서의 리프레시 동작에 대하여 제13 및 제14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4도에는 메모리셀(MA), 감지증폭기(SA), 워드라인(W), 비트라인쌍(b,/b) 및 감지증폭기 제어회로(PLC)가 도시되어 있다. 워드라인이 작동하면, 메모리셀(MA)에 저장된 데이타는 비트라인쌍(b,/b)으로 독출되고, 감지증폭기(SA)는 이 독출데이타가 증폭되도록 작동한다. 그런 다음 증폭된 데이타가 메모리셀(M)내에 다시 기록됨으로써 리프레시가 종료된다. 이러한 방법에 있어서는 워드라인에 접속되어 있는 각 메모리셀(MA)에 대해 리프레시가 실행되므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의 길이는 워드라인의 수에 따르게 된다.The refresh operation in the memory cell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3 and 14. 14 shows a memory cell MA, a sense amplifier SA, a word line W, a pair of bit lines b and b, and a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PLC. When the word line is operated, the data stored in the memory cell MA is read into the bit line pairs b and / b, and the sense amplifier SA is operated to amplify the read data. Then, the amplified data is written back into the memory cell M, thereby completing the refresh. In this method, since refresh is performed for each memory cell MA connected to the word line, the length of the refresh overhead time depends on the number of word lines.

제15도 내지 제18도를 참조하여, 종래 반도체 기억장치에서의 리프레시 동작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기술한다. 제15도에 도시된 기억장치는 입출력장치(I/O), 데이터라인쌍(D,/D), 메모리블록(MB), 행디코더 제어회로(ROC), 열디코더 제어회로(COC), 행디코더 제어라인(RA), 열디코더 제어라인(CA) 및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L)용의 제어라인으로 이루어져 있다. DRAM의 내부구조는 제16도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다. 제16도에 있어서 CD는 열디코더, ROW는 행디코더, PLC는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 SA1~SAn은 감지증폭기, SW1~SWn은 스위칭소자, SWC1~SWCn은 스위칭소자 제어라인, b1~bn및 /b1~/bn은 비트리인쌍 PL1은 제1감지증폭기 전원라인, PL2는 제2감지증폭기 전원라인, W1~Wn은 워드라인을 각각 나타낸다.15 to 18, the refresh operation in the conventional semiconductor memory devic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he memory device shown in FIG. 15 includes an input / output device (I / O), a pair of data lines (D, / D), a memory block (MB), a row decoder control circuit (ROC), a column decoder control circuit (COC), and a row. It consists of a decoder control line (RA), a column decoder control line (CA) and a control line for the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LCL).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DRAM is shown in detail in FIG. In FIG. 16, CD is a column decoder, ROW is a row decoder, PLC is a sensing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SA 1 to SA n is a sensing amplifier, SW 1 to SW n is a switching element, SWC 1 to SWC n is a switching element control The lines, b 1 to b n and / b 1 to / b n, are non-paired pairs PL 1 for the first sense amplifier power line, PL 2 for the second sense amplifier power line, and W 1 to W n for the word line, respectively. .

제15도 및 제16도에 도시된 DRAM에 있어서는 예정된 단위시간에 워드라인(W1)에 접속된 메모리셀(MA)로부터 워드라인(Wn)에 접속된 하나로 연속적으로 리프레시가 실행되므로, 메모리셀내에 데이타가 연속적으로 재기록된다. 그러나, DRAM의 집적도가 높아지게 되면,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더 길어지게 되어 결과적으로 데이타를 판독하고 기록하는 시간주기가 짧아지게 된다. 특히, 비교되는 두 개의 기억장치중의 하나가 메모리용량면에서 다른 하나보다 4배 정도 클 경우, 기억용량이 큰 기억장치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은 작은 기억장치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제17도의 (a))보다 4배 정도 더 길어지게 된다. 특히 비데오 메모리와 같이 특수한 형태의 DRAM에 있어서는, 모든 메모리셀 내의 데이타가 차례로 독출되고 기록되어야만 하므로, 메모리셀이 그들 데이터를 보유하고 있는 동안에 모든 메모리셀을 액세스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되어, 리프레시시간이 제18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되어야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DRAM이 작은 메모리용량을 갖은 경우에는 그러한 프로세싱 오버헤드시간(제18도의(a))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In the DRAMs shown in Figs. 15 and 16, the memory is continuously executed from one of the memory cells MA connected to the word line W 1 to one connected to the word line W n at a predetermined unit time. Data is continuously rewritten in the cell. However, as the density of DRAM increases, the refresh overhead time becomes longer, resulting in a shorter time period for reading and writing data. In particular, when one of the two storage devices to be compared is four times larger than the other in terms of memory capacity, the refresh overhead time of the storage device having the large storage capacity is the refresh overhead time of the small storage device ( four times longer than a)). Especially in a special type of DRAM such as a video memory, since all the data in the memory cells must be read out and written in sequence, it becomes impossible to access all the memory cells while the memory cells hold those data, thereby reducing the refresh time. This results in a result that must be provided as shown in 18 degrees (b). If the DRAM has a small memory capacity,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such processing overhead time (Fig. 18 (a)).

DRAM의 집적도가 향상됨에 따라 메모리셀의 수가 증가하게 되어 기록과 판독동작에 사용되지 않는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길어지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고집적 DRAM에서 리프레시 횟수를 적게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것은 메모리셀의 성능을 개선, 즉 메모리셀의 데이터 유지시간을 연장하므로서 실현할 수가 있다. 그러나, 집적도의 최근 진척상태에서 볼 때, 메모리셀의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하므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짧게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다.As the density of DRAMs improves, the number of memory cells increases, resulting in a longer refresh overhead time not us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order to alleviate this problem, the number of refreshes is reduced in highly integrated DRAM. This can be realized by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the memory cell, that is, extending the data holding time of the memory cell. However, in view of the recent progress in the degree of integration, it is almost impossi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memory cells, and therefore, it is desired to shorten the refresh overhead time.

통상적으로, DRAM에서 메모리셀을 제1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몇 개의 블록으로 나누어진다.Typically, a memory cell in a DRAM is divided into several blocks as shown in FIG.

제 19도의 DRAM은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디코딩하기 위한 행어드레스 디코더(201),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발생시키기 위한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202),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 및 메모리블록(MBA,MBB)으로 구성되어 있다. 메모리블록(MBA)은 메모리셀 유니트(203)와 감지증폭기(205)를 포함한다. 다른 메모리블록(MBB)은 메모리셀 유니트(204)와 감지증폭기(206)를 포함한다.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는 리프레시가 실행될 때 제공되는 리프레시 요구신호에 따라 외부 어드레스 신호와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변화시킨다.The DRAM of FIG. 19 is composed of a row address decoder 201 for decoding an external address signal, a refresh address counter 202 for generating a refresh address, an address change circuit 209 and memory blocks MB A and MB B. It is. The memory block MB A includes a memory cell unit 203 and a sense amplifier 205. The other memory block MB B includes a memory cell unit 204 and a sense amplifier 206.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changes the external address signal and the internal refresh address in accordance with the refresh request signal provided when the refresh is executed.

행어드레스 디코더(201)는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해독하고, 기록/판독 어드레스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에 입력된다. 리프레시 어드레스신호카운터(20)는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여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에 제공한다. 리프레시 요구신호에 따라, 어드레스체인지회로(209)는 기록/판독 어드레스와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변환시킨다. 기록/판독사이클에서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는 단지 기록/판독 어드레스만을 출력시킨다. 이것이 동작시키고자 하는 하나의 메모리블록내에서 대응하는 워드라인을 발생시키고, 감지증폭기에 의해 전위변화가 증폭되어 메모리셀을 판독하거나 또는 기록하게 된다. 메모리블록(MBA)의 워드라인이 작동하여 메모리블록(MBA)에서 판독 또는 기록이 행해지는 경우, 다른 메모리블록(MBB)의 어드레스 워드라인이 작동되지 않으므로 어드레스의 리프레시는 실행되지 않는다. 리프레시를 실행하고자 할 경우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202)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209)를 통해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출력시킨다. 그러면 두 메모리블록(MBA,MBB)의 워드라인이 동시에 작동되어, 워드라인상의 전위변화는 어드레스의 메모리셀을 리프레시할 수 있도록 증폭된다. 두 메모리블록(MBA,MBB)의 하나의 워드라인에 접속된 메모리셀의 리프레시할 수 있도록 증폭된다. 두 메모리블록(MBA,MBB)의 하나의 워드라인에 접속된 메모리셀의 리프레시가 종료된 후,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202)의 리프레시 어드레스가 변환되고, 새로운 리프레시 어드레스에 대한 메모리셀의 리프레시가 실행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메모리블록(MBA,MBB)내의 모든 메모리셀이 차례로 리프레시된다.The row address decoder 201 decodes the external address signal, and the write / read address is input to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The refresh address signal counter 20 generates an internal refresh address signal and provides it to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In accordance with the refresh request signal,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converts the write / read address and the internal refresh address. In the write / read cycle,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only outputs the write / read address. This generates a corresponding word line in one memory block to operate, and the potential change is amplified by the sense amplifier to read or write the memory cell. When the word lines of a memory block (MB A) is operated by a read or write is performed in the memory blocks (MB A), because the address word lines in the other memory block (MB B) not operate the refresh address is not performed. When the refresh is to be executed, the refresh address counter 202 outputs an internal refresh address through the address change circuit 209. Then, the word lines of the two memory blocks MB A and MB B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so that the potential change on the word lines is amplified to refresh the memory cells of the address. The memory cells connected to one word line of two memory blocks MB A and MB B are amplified so as to be refreshed. After the refresh of the memory cells connected to one word line of the two memory blocks MB A and MB B is finished, the refresh address of the refresh address counter 202 is converted, and the refresh of the memory cells with respect to the new refresh address is performed. Is executed. In this way, all memory cells in the memory blocks MB A and MB B are refreshed in sequence.

종래의 DRAM에 있어서 메모리블록이 기록 또는 판독되는 경우, DRAM내에 있는 다른 메모리블록의 행어드레스 리프레시는 실행할 수가 없었다. 따라서 접속된 메모리셀을 리프레시하는데 모든 워드라인에 대해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필요하게 되므로서 기록과 판독에 대한 시간이 감소되었다.In a conventional DRAM, when a memory block is written or read out, row address refreshes of other memory blocks in the DRAM cannot be executed. Therefore, the refresh overhead time is required for all word lines to refresh the connected memory cells, thereby reducing the time for writing and reading.

종래 기술의 여러 가지 결점을 극복하는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과, 상기 메모리셀의 열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비트라인쌍과, 상기 메모리셀의 행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워드라인과, 감지증폭기와, 상기 감지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을 구비하고 ;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의 상기 워드라인을 공통으로 제어하는 제어수단과, 상기 메모리 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동작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과, 상기 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판독 및 기록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프로세스 수단과, 비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프로세스수단을 더욱 구비한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overcomes various drawbacks of the prior art, comprises a memory cell arranged in a matrix form, a pair of bit lines for selecting an open address of the memory cell, and a row address for selecting the memory cell.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comprising a word line, a sense amplifier, and a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nse amplifier;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word lines of all the memory blocks in common,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one or more blocks requir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memory block, and executing read and write operations in the selected memory block. And first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the refresh operation on the unselected memory block.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는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제1부분과, 리프레싱을 위한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분은 기록 및 판독동작에 사용되며 상기 제2부분은 리프레시 동작에 사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comprises a first portion for writing or reading and a second portion for refreshing, the first portion being used for writing and reading operations and the second portion for a refresh operation. Used for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과, 상기 메모리셀의 열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비트라인쌍과, 상기 메모리셀의 행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워드라인과, 감지증폭기와, 상기 감지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을 구비하고 ;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의 상기 워드라인을 공통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과,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 동작을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수단을 더욱 구비한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emory cell arranged in a matrix form, a pair of bit lines for selecting an open address of the memory cell, a word line for selecting a row address of the memory cell, a sense amplifier,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composed of a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for controlling the sense amplifiers; And control means for controlling the word lines of all the memory blocks in common, and process means for simultaneously executing a refresh operation in all the memory blocks.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는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제1부분과 리프레시를 위한 제2부분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부분은 기록 및 판독동작에 사용되며 상기 제2부분은 리프레시동작에 사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comprises a first portion for writing or reading and a second portion for refreshing, the first portion being us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and the second portion for the refresh operation. Used.

본 발명의 반도체 기억장치는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을 구비하고 ;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동작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수단과, 상기 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수단과, 상기 기록 및 판독동작의 시간동안에 비선택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리프레시수단과,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상기 기록 및 판독동작의 상기 시간동안에 리프레시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과, 상기 저장된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및 판독동작의 상기 시간동안에 리프레시 되지 않은 메모리셀을 선택하기 위한 다른 선택수단과, 리프레싱을 위해 설정된 시간 이내에 상기 선택된 메모리셀을 리프레싱하기 위한 다른 리프레시수단을 더욱 구비한다.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composed of memory cells arranged in a matrix form; Means for selecting one or more blocks requir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memory block,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selected memory block, and refresh in an unselected memory block during the time of the write and read operation. Refresh means for executing an operation, memory means for storing an address of a memory cell refreshed during the time of the write and read operation in the memory block, and the time of the write and read operation based on the stored address And other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memory cells that have not been refreshed in the meantime, and other refresh means for refreshing the selected memory cells within a time set for refreshing.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기억장치는 상기 시간의 종료까지 상기 선택된 모든 메모리셀이 리프레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수단을 더 포함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storage device further comprises signal means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all the selected memory cells have been refreshed by the end of the time.

따라서, 여기에 설명된 본 발명은 (1) 리프레시 오버헤드 시간이 감소된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고, (2)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요구되지 않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며, (3)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시간이 연장된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고, (4) 전류레벨의 증가가 억제되는 반도체 기억장치를 제공하는 목적을 가능케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herein provides (1)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reduced refresh overhead time, (2)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a refresh overhead time is not required, and (3) a write or rea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extended time for the purpose, and (4) to provide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in which an increase in current level is suppressed.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목적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므로서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명백하게 될 것으로 이해된다.Various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invention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by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실시예 1Example 1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본 실시예는 비데오 메모리에 유용한 반도체 기억장치이다.This embodiment is a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eful for a video memory.

제1도에는 기억장치의 외형블럭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의 기억장치는 입출력장치(I/O)와, 데이타라인쌍(D,/D)과 4개의 메모리블록(MBA~MBD)과, 행디코더 제어회로(ROC)와 열디코더 제어회로(COC)와, 행어드레스 버스(RA)와, 열어드레스 버스(CA) 및 감지증폭기 전원 제어회로(PLCL)용의 제어라인을 포함한다. 각 메모리블록(MBA~MBD)에는 열어드레스 버스(CA)의 하나의 제어라인과, 각 블록에 공통인 행어드레스 버스(RA)의 m개의 제어라인과, 제어라인(PLCL)이 접속되어 있다. 열어드레스 버스(CA)는 제어라인(4ℓ)를 전부 포함한다. 열어드레스 버스(CA)는 열디코더 제어회로(COC)의 출력을 전달하고, 행어드레스버스(RA)는 행디코더 제어회로(ROC)의 출력을 전달한다. 또한 메모리블록(MBA~MBD)은 데이타라인쌍(D,/D)을 통해 입출력장치(I/O)에 접속되어 있다.1 shows an external block of a storage device. The memory device of FIG. 1 includes an input / output device (I / O), a pair of data lines (D, / D), four memory blocks (MB A to MB D ), a row decoder control circuit (ROC), and a column decoder control circuit. (COC), hang address bus (RA), open address bus (CA), and control lines for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LCL). Each memory block MB A to MB D is connected with one control line of the open address bus CA, m control lines of the row address bus RA common to each block, and a control line PLCL. have. The open dress bus CA includes all of the control lines 4L. The open address bus CA delivers the output of the column decoder control circuit COC, and the row address bus RA delivers the output of the row decoder control circuit ROC.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are connected to the input / output device I / O through the data line pairs D and / D.

메모리블록(MBA~MBD)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조를 가지고 있고, 열디코더(CO), 행디코더(ROW),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 감지증폭기(SA1~SAn), 스위칭소자(CW1~CWn), 스위칭소자 제어라인(SWC1~SWCn), 비트라인쌍(b1~bn,/b1~bn), 워드라인(W1~Wn), 제1전원라인(PL1) 및 제2전원라인(PL2)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트라인쌍(b1~bn,/b1~bn)은 워드라인(W1~Wn)에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배열된다. 교차지점에 메모리셀(MA)이 배치된다. 행디코더(ROW)는 워드라인(W1~Wn)을 제어하여, 워드라인(W1~Wn)중의 하나를 선택한다. 비트라인쌍(b1~bn,/b1~bn)은 감지증폭기(SA1~SAn)의 입력에 결합되고, 감지증폭기(SA1~SAn)의 출력은 열디코더(CO)의 출력 제어라인(SWC1~SWCn)에 의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SW1~SWn)를 통해 데이터라인쌍(D,/D)에 접속된다.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는 제1 및 제2전원라인(PL1,PL2)을 통해 감지증폭기(SA1~SAn)을 제어한다.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have a structure as shown in FIG. 2 and include a column decoder CO, a row decoder ROW, a sense amplifier power control circuit PLC, and a sense amplifier SA 1 ~. SA n ), switching elements CW 1 to CW n , switching element control lines SWC 1 to SWC n , bit line pairs b 1 to b n , / b 1 to b n , and word lines W 1 to W n ), the first power line PL 1 and the second power line PL 2 . The bit line pairs b 1 to b n and / b 1 to b n are arranged to vertically intersect the word lines W 1 to W n . The memory cell MA is disposed at the intersection point. A row decoder (ROW) controls the word line (W 1 ~ W n), selects one of the word lines (W 1 ~ W n). Bit line pair (b 1 ~ b n, / b 1 ~ b n) is a sense amplifier coupled to the input of a (SA 1 ~ SA n), the sense amplifier output is a column decoder (CO) a (SA 1 ~ SA n) Are connected to the data line pairs D and / D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s SW 1 to SW n controlled by the output control lines SWC 1 to SWC n . The sensing amplifier power control circuit PLC controls the sensing amplifiers SA 1 to SA 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power lines PL 1 and PL 2 .

제3도는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를 나타낸다. 제어회로(PLC)를 위한 신호라인(PLCL)의 상태가 하이(H)가 되면, MOS 트랜지스터(MP3,MN3)가 턴온되므로 전원이 전원라인(PL1,PL2)에 공급된다. 제3도에서 Ⅳ1는 인버터이다. 감지증폭기 (SA1~SAn)는 제4도에 도시된 구조를 가지며, 4개의 MOS트랜지스터(MP1,MP2,MN1,MN2)로 구성되어 있다. 전원라인(PL1,PL2)에 전원이 공급되면, 감지증폭기(SA1~SAn)가 작동되어 비트라인쌍(b1~bn,/b1~bn)에 독출되는 데이타가 감지된다.3 shows a sense amplifier power control circuit (PLC). When the state of the signal line PLCL for the control circuit PLC becomes high (H), since the MOS transistors MP 3 and MN 3 are turned o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lines PL 1 and PL 2 . IV1 in FIG. 3 is an inverter. The sensing amplifiers SA 1 to SA n have the structure shown in FIG. 4 and are composed of four MOS transistors MP 1 , MP 2 , MN 1 , MN 2 . When power is supplied to the power lines PL 1 and PL 2 , the sensing amplifiers SA 1 to SA n are activated to detect data read from the bit line pairs b 1 to b n and / b 1 to b n . do.

제1도의 기억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의 기억장치는 모든 메모리셀에 저장된 데이터가 기록 또는 독출되어 지도록 차례로 억세스되는 비데오 메모리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블록(MBA)이 기록 또는 독출되도록 선택되면, 나머지 메모리블록(MBB~MBD)은 리프레시된다. 행어드레스 버스(RA)와 제어신호라인(PLCL)의 신호가 모든 메모리블록(MBA~MBD)에 공통으로 접속되어 있기 때문에, 메모리블록(MBA~MBD)의 전원제어회로(PLC)와 행디코더(ROW)는 공통으로 제어되고, 모든 메모리블록(MBA~MBD)에 있어서, 메모리블록에 공통인 어드레스를 갖는 워드라인(Wm)이 선택된다. 감지증폭기(SA1~SAn)가 작동되면, 메로리블록(MBA~MBD)가 작동되면, 메모리블록(MBA~MBD) 내의 어드레스를 갖는 워드라인(Wm)에 접속된 메모리셀에 저장되어있는 데이터가 비트라인쌍(b1~bn,/b1~bn)으로 독출되어, 감지되고 증폭된다. 증폭된 데이터중에서, 메모리블록(MBA)의 데이터만이 스위칭소자(SW1~SWn)을 통해서 데이터라인쌍(D,/D)에 전송되고, 잔여 메모리블록(MBB~MBD)의 데이터는 원래 메모리셀에 각각 재기록된다(즉, 메모리블록(MBB~MBD)의 리프레시가 실행된다.).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will be described.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device of FIG. 1 is a video memory which is sequentially accessed so that data stored in all memory cells can be written or read out. For example, when the memory block MBA is selected to be written or read out, the remaining memory blocks MB B to MB D are refreshed. Since the signal of the row address bus (RA) and control signal line (PLCL) they are connected in common to all the memory blocks (MB A ~ MB D), power supply control of the memory block (MB A ~ MB D) circuit (PLC) And row decoder ROW are controlled in common, and word lines W m having an address common to the memory blocks are selected in all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When the sense amplifiers SA 1 to SA n are activated, when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are activated, the memory cells connected to the word lines W m having addresses in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The data stored in the read-out bit line pairs b 1 to b n and / b 1 to bn are sensed and amplified. Of the amplified data, only data of the memory block MB A is transferred to the data line pairs D and / D through the switching elements SW 1 to SW n , and the data of the remaining memory blocks MB B to MB D are transferred. The data is rewritten to the original memory cells respectively (that is, refreshing of the memory blocks MB B to MB D is performed).

이러한 방법으로, 메모리블록(MBA)이 기록과 판독을 행하는 동안에 메모리블록(MBB~MBD)의 리프레시가 자동으로 실행된다. 이것이 제5도의 (c)에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서, (a)는 작은 저장용량을 가진 종래 기억장치에서의 시간을 나타내고, (b)는 큰 저장용량(a)의 작은 DRAM의 4배의 메모리용량)을 가진 다른 종래 기억장치에서의 시간을 나타낸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b)에 도시된 종래의 대형 기억장치에서는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요구된다. 이와는 반대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레시 오버헤드 시간 없이 데이터를 재기록할 수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저장용량 또는 메모리 블록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제공할 필요가 없다.In this way, the refresh of the memory blocks MB B to MB D is automatically executed while the memory blocks MB A perform writing and reading. This is schematically shown in (c) of FIG. In Fig. 5, (a) shows the time in a conventional storage device having a small storage capacity, and (b) shows the time in a conventional storage device having a large storage capacity (4 times the memory capacity of a small DRAM). Indicates the time. As shown in FIG. 5, in the conventional large memory device shown in (b), a refresh overhead time is required.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data can be rewritten without a refresh overhead ti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y to provide a refresh overhead time even if the storage capacity or the number of memory blocks is increased.

실시예 2Example 2

본 실시예는 제1도의 실시예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는 DRAM이지만, 모든 메모리블록(MBA~MBD)이 동시에 리프레시되도록 설계되었다. 그러므로 본 구조에 있어서는 다발로 된 4개의 워드라인에 대하여 리프레시가 실행된다. 이것은 워드라인의 수가 명백하게 1/4호 감소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실시예의 DRAM 이 종래의 소형DRAM(제6도의(a))과 비교하여 4배의 저장용량을 가지더라도, 본 실시예(제6도의(c))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은 종래의 대형DRAM(제6도의 (b))과 같이 증가되지 않으므로, 단위시간에서의 기록/판독시간을 감소할 필요가 없고, 또한 리프레시 동작수를 줄일 필요가 없게 된다. 결과적으로, DRAM을 설계하는데 고려해야할 유지시간 등의 조건을 줄일 수가 있게 된다.This embodiment is a DRAM having a structure similar to that of the embodiment of FIG. 1, but is designed such that all memory blocks MB A to MB D are refreshed at the same time. Therefore, in this structure, the refresh is executed for four bundled word lines. This means that the number of word lines is obviously reduced by a quarter. Although the DRAM of this embodiment has a storage capacity four times that of a conventional small DRAM (Fig. 6 (a)), the refresh overhead time of this embodiment (Fig. 6 (c)) is a conventional large DRAM. Since it is not increased as shown in (b) of FIG. 6, there is no need to reduce the recording / reading time in the unit time, and there is no need to reduce the number of refresh operations.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reduce conditions such as holding time to be considered in designing DRAM.

다시 말해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블록의 수를 증가시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짧게 할 수 있고,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낸 수 잇다.In other word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refresh overhead time can be shortened by increasing the number of memory blocks, which can be expressed as follows.

리프레시시간 = 총 워드라인/블록수×하나의 워드라인에 대한 리프레시시간Refresh time = Total word lines / blocks x Refresh time for one word line

실시예 3Example 3

제7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실시예의 상기한 구조에 있어서, 4개의 모든 메모리블록이 동시에 작동되면, 즉 각 메모리 블록에서 하나의 워드라인과 감지증폭기가 구동됨으로써,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억장치와 비교하여 전류가 4배로 증가된다. 이러한 증가된 전류는 그 자체로 문제가 되며, 전원라인의 전압강하로 인한 오기능을 야기시키고 수행성능의 감소를 발생시키며, 또한 다운컨버터등의 전원회로의 설계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제7도의 실시예는 이러한 문제점을 제거할 수가 있다.7 shows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structure of the first embodiment, when all four memory blocks are operated at the same time, that is, one word line and a sense amplifier are driven in each memory block, as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memory device as shown in FIG. The current is increased four times. This increased current is a problem in itself, causing malfunctions due to voltage drop in the power line, reducing performance, and adversely affecting the design of power circuits such as downconverters. The embodiment of FIG. 7 can eliminate this problem.

제7도의 기억장치에 있어서, 제어라인(PLCLA~PLCLD)은 메모리블록(MBA~MBD)의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에 각각 접속되고,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용의 리프레시 제어라인(RPLCLA~RPLCLD)이 더 제공된다.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는 제어라인(PLCLA~PLCLD)중의 하나에 접속된 기록/판독부분(PLCA)과 리프레시 제어라인(RPLCLA~RPLCLD)중의 하나에 접속된 리프레시부분(PLCB)으로 나누어진다. 기록/판독부분(PLCA)은 P채널 MOS트랜지스터(MP4) N채널 MOS트랜지스터(MN4) 및 인버터(Ⅳ2)로 구성되고, 리프레시부분(PLCB)은 P채널 MOS트랜지스터(MP5), N채널 MOS트랜지스터(MN5) 및 인버터(Ⅳ3)로 구성된다.In the memory device of FIG. 7, the control lines PLCL A to PLCL D are connected to the sense amplifier power control circuits PLC of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 respectively, and for the sense amplifier power control circuits PLC. The refresh control line (RPLCL A ~ RPLCL D ) of is further provided. As shown in FIG. 9, each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LC includes a write / read section PLCA connected to one of the control lines PLCL A to PLCL D and a refresh control line RPLCL A to RPLCL. D ) is divided into a refresh portion (PLCB) connected to one of them. The write / read portion (PLCA) is composed of a P-channel MOS transistor (MP 4 ), an N-channel MOS transistor (MN 4 ), and an inverter (IV 2 ), and the refresh portion (PLCB) is a P-channel MOS transistor (MP 5 ), N. It consists of a channel MOS transistor MN 5 and an inverter IV 3 .

메모리셀이 차례로 억세스되는 비데오 메모리로서 기억장치가 사용되는 경우를 설명하면서 제7도의 기억 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예를 들어, 메모리블록(MBA)은 기록 또는 독출되도록 선택되고, 잔여 메모리블록(MBB~MBD)은 리프레시되도록 선택된다. 메모리블록(MBA)에서는 기록/판독부분(PLCA)이 사용된다.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워드라인(Wn)은 다수의 메모리셀(MA)에 접속된다. 메모리블록(MBA)에서 단일 워드라인(Wn)에 접속된 메모리셀(MA)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되므로, 단일 워드라인(Wn)에 접속된 모든 메모리셀(MA)을 액세스하는데 충분한 시간이 요구된다. 대조적으로, 단일 워드라인(Wn)에 접속된 메모리셀(MA)상에서 리프레시가 동시에 실행된다. 따라서, 메모리블록(MBA~MBD)에서는 메모리블록(MBA)의 메모리셀(MA)이 연속적으로 액세스되는 동안에 리프레시를 천천히 실행할 수가 있게 되므로, 감지증폭기 전원 제어회로(PLC)를 소형으로 설계할 수가 있게 된다. 결과적으로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류 또는 전원소모를 제1도의 기억장치와 비교하여 저감시킬 수가 있다.The operation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7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case where the storage device is used as the video memory in which the memory cells are sequentially accessed. For example, the memory blocks MB A are selected to be written or read, and the remaining memory blocks MB B to MB D are selected to be refreshed. In the memory block MB A , a write / read portion PLCA is used. As shown in FIG. 8, a single word line W n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memory cells MA. Since the memory cells MA connected to the single word line W n in the memory block MB A are continuously accessed, sufficient time is sufficient to access all the memory cells MA connected to the single word line W n . Required. In contrast, refreshes are executed simultaneously on the memory cells MA connected to a single word line W n . Therefore, in the memory blocks MB A to MB D , the refresh can be performed slowly while the memory cells MA of the memory blocks MB A are continuously accessed, so that the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LC is designed to be compact. I can do it.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0, the current or power consumption of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memory device of FIG.

감지증폭기 전원제어회로(PLC)에서, 기록/판독부분(PLCA)의 트랜지스터(MP4,MN4)와 비교해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을 점유하도록 리프레시부분(PLCB)의 트랜지스터(MP5,MN5)를 설계하므로서, 리프레시에서의 전류흐름이 억제된다. 감지증폭기(SA1~SAn)에 접속된 데이터랑인쌍(D,/D)등에 의해 야기된 부하용량을 단위시간내에 감지증폭기로 충전해야 하기 때문에 기록/판독부분(PLCA)의 트랜지스터(MP4,MN4)를 다소 큰 크기로 구성해야 할 필요가 있다.In the sense amplifier power supply control circuit PLC, the transistors MP 5 and MN 5 of the refresh portion PLCB are occupied by a relatively small area compared to the transistors MP 4 and MN 4 of the write / read portion PLCA. By design, the current flow in the refresh is suppressed. The load / capacity caused by the data pairs (D, / D) connected to the sense amplifiers SA 1 to SA n must be charged with the sense amplifier within a unit time, so that the transistors MP of the write / read section PLCA 4 , MN 4 ) needs to be configured to a rather large siz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메모리블록이 동시에 리프레시 되더라도 전력소모를 억제 할 수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power consumption can be suppressed even when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are simultaneously refreshed.

실시예 4Example 4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DRAM을 나타낸다. 제11도의 DRAM은 두 개의 메모리블록(MBA,MBB)을 구비하고, 또한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해독하기 위한 행어드레스 디코더(101)와, 메모리블록(MBA)에 대해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한 제1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1)와, 메모리블록(MBB)에 대해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발생하기 위한 제2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2) 및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를 더 구비한다. 메모리블록(MBA)은 메모리셀 유니트(103)와 감지증폭기(105)를 포함한다. 다른 메모리블록(MBB)은 메모리셀 유니트(104)와 감지증폭기(106)을 포함한다.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는 외부 어드레스 신호와 리프레시가 수행될 때 공급도는 리프레시 요구신호에 따른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변환시킨다. 113은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1,112)로부터의 신호에 따라 모든 블록의 리프레시 완료를 표시하는 리프레시 종료신호를 출력하는 리프레시 종료신호 발생회로이다. 이러한 리프레시 종료신호 발생회로(113)의 회로도가 제20도에 도시되어 있다.11 shows a DR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DRAM of FIG. 11 includes two memory blocks MB A and MB B , and also generates a row address decoder 101 for decoding an external address signal, and generates an internal refresh address for the memory block MB A. for the first refresh address counter 111, a memory block (MB B) a second refresh address counter 112 and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for generating an internal refresh address for further provided. The memory block MB A includes a memory cell unit 103 and a sense amplifier 105. Another memory block MB B includes a memory cell unit 104 and a sense amplifier 106.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converts the internal refresh address according to the refresh request signal when the refresh rate is performed with the external address signal. 113 is a refresh end signal generation circuit for outputting a refresh end signal indicating completion of refresh of all blocks in accordance with signals from the refresh address counters 111 and 112. FIG. A circuit diagram of such a refresh end signal generating circuit 113 is shown in FIG.

제11도의 DRAM에서의 리프레시 동작을 설명한다. 메모리블록(MBA)으로부터 데이터가 기록 또는 독출되면 행디코더(101)은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외부어드레스 신호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가 메모리블록(MBA)에서 대응하는 워드라인을 작동시키도록 기록 또는 판독 어드레스를 출력하므로서, 메모리블록(MBA)에서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된다. 이와 동시에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2)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를 통해 소정의 시아퀀스로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메모리블록(MBB)에 출력한다. 메모리블록(MBB)에서 리프레시가 차례로 실행되는 동안에 메모리블록(MBA)에서는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된다. 다른 한편, 메모리블록(MBB)으로부터 데이터가 기록 또는 독출되면 행디코더(101)는 외부 어드레스신호를 해독하고, 이 해독된 외부 어드레스신호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에 공급된다.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가 메모리 블록(MBB)내에서 대응하는 워드라인이 작동되도록 기록 또는 판독 어드레스를 출력시키므로서, 메모리블록(MBB)에서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된다. 이와 동시에,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2)는 어드레스 체인지회로(109)를 통해 소정의 시아퀀스로 내부 리프레시 어드레스를 메모리블록(MBA)에 출력한다. 따라서 메모리블록(MBA)에서 리프레시가 차례로 실행되는 동안에 메모리블록(MBB)에서는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된다.The refresh operation in the DRAM of FIG. 11 will be described. When data is written or read out from the memory block MB A , the row decoder 101 decodes the external address signal, and the decoded external address signal is supplied to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An address change circuit 109 is hameuroseo outputs a write or read address to activate the word line corresponding to the memory block (MB A), a write or read is executed in the memory block (MB A). At the same time, the refresh address counter 112 outputs the internal refresh address to the memory block MB B in a predetermined sequence through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A refresh in the memory block (MB B) a write or read is executed in the memory block (MB A) during the Run. On the other hand, when data is written or read out from the memory block MB B , the row decoder 101 decodes the external address signal, and the decoded external address signal is supplied to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An address change circuit 109 outputs the stand because the write or read address to a word line corresponding to the memory block in the (MB B) operation, the memory block (MB B) the recording or reading running on. At the same time, the refresh address counter 112 outputs the internal refresh address to the memory block MB A in a predetermined sequence through the address change circuit 109. Therefore, the refresh in the memory block (MB A) a write or read is executed in the memory block (MB B) during the Run.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메모리블록이 리프레시되는 동안에 다른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또는 판독이 실행되므로, 각각의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1,112)는 리프레시 되어진 대응 메모리블록의 어드레스를 저장한다. 각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에 저장된 어드레스에 따라, 기록 또는 판독 동작에서 리프레시되지 않았던 메모리셀은 리프레시 오버헤드 시간에 리프레시된다. 따라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동안에 모든 메모리셀을 리프레시 할 필요가 없으므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줄일 수가 있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writing or reading is performed in another memory block while one memory block is refreshed, each refresh address counter 111 and 112 stores the address of the corresponding memory block to be refreshed. According to the address stored in each refresh address counter, memory cells that were not refreshed in the write or read operation are refreshed at the refresh overhead time. Therefore, the refresh overhead time can be reduced because it is not necessary to refresh all the memory cells during the refresh overhead time.

제12도에서,(a)는 종래 DRAM이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나타내고, (b)는 본실시예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나타낸다. 참조번호(114,116)는 종래DRAM과 본 실시예의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시간 주기를 나타내고, 참조번호(115,117)는 종래 DRAM과 본 실시예에서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각각 나타낸다. 제12도(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DRAM에서는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115)중에 모든 메모리에 대해 리프레시가 실행되므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115)이 일정하고 비교적 길다. 이와 대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르면,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117)동안에 모든 메모리셀을 리프레시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117)이 일정하지 않으며, 그 시간은 종래 DRAM의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115)보다 짧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및 판독을 위한 시간을 증가시킬 수가 있다.In Fig. 12, (a) shows a refresh overhead time for a conventional DRAM, and (b) shows a refresh overhead time for this embodiment. Reference numerals 114 and 116 denote time periods for writing or reading the conventional DRAM and this embodiment, and reference numerals 115 and 117 denote refresh overhead times in the conventional DRAM and this embodiment,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12 (a), in the conventional DRAM, the refresh overhead time 115 is constant and relatively long because refresh is performed for all memories during the refresh overhead time 115. In contrast to this,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not necessary to refresh all the memory cells during the refresh overhead time 117. Therefore, the refresh overhead time 117 is not constant, which is shorter than the refresh overhead time 115 of the conventional DRAM. As a resul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time for writing and reading.

메모리블록내의 모든 메모리셀에 대한 리프레시가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 이내에 완료되면, 메모리블록에 대응하는 리프레시 어드레스 카운터(111,112)는 메모리블록의 모든 메모리셀의 리프레시 완료를 알리는 메모리블록 리프레시 종료신호 표시를 리프레시 종료신호 발생회로(113)에 출력한다. 따라서, 제2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리프레시 어드레스카운터(즉,111,112)로부터 메모리블록의 리프레시 종료신호를 수신한 후, 리프레시 종료신호 발생회로(113)는 모든 메모리셀이 리프레시 되었다는 것을 나타내는 리프레시 종료신호를 발생한다. 따라서 이 리프레시 종료신호가 핀을 통해 칩의 외부로 출력되고 CPU와 같은 외부장치가 이 리프레시 종료신호를 검출하게 되므로서 기록/판독 동작시의 시간 손실없이 프로세스가 원활하게 실행되게 된다.When the refresh for all memory cells in the memory block is completed within the refresh overhead time, the refresh address counters 111 and 112 corresponding to the memory block finishes displaying the memory block refresh end signal indicating that the refresh of all memory cells in the memory block is completed. Output to the signal generating circuit 113. Therefore, as shown in FIG. 20, after receiving the refresh end signals of the memory blocks from all the refresh address counters (i.e., 111 and 112), the refresh end signal generating circuit 113 indicates that the refresh ends indicating that all the memory cells have been refreshed. Generate a signal. Therefore, the refresh end signal is output to the outside of the chip through the pin, and an external device such as the CPU detects the refresh end signal, so that the process can be executed smoothly without time loss during the write / read operation.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두 개의 메모리블록이 제공되었으나, 본 발명에서 메모리블록의 수는 자유로이 선택할 수가 있다.In the embodiment of FIG. 11, two memory blocks are provided, but the number of memory blocks can be freely select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 또는 판독하는데 선택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메모리블록의 메모리셀이 기록 또는 판독하는데 선택된 다른 메모리블록의 메모리셀의 기록 또는 판독과 동시에 리프레시되므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짧아지게 된다.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이 0(zero)이 아닐 경우, 기록/판독 시간에 리프레시 되지 않았던 다른 메모리블록의 메모리셀이 메모리셀의 저장 어드레스를 사용하여 리프레시되므로서, 리프레시 오버헤드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한편, 기록/판독 동작이 수행되지 않은 시간을 단축시킴으로써 DRAM의 사용효율이 효과적으로 개선된다.According to this embodiment, since the memory cells of one or more memory blocks not selected for writing or reading are refreshed simultaneously with the writing or reading of memory cells of another memory block selected for writing or reading, the refresh overhead time is shortened. When the refresh overhead time is not zero, the memory overhead of another memory block that has not been refreshed at the write / read time is refreshed using the storage address of the memory cell, thereby reducing the refresh overhead time. On the other hand, the use efficiency of DRAM is effectively improved by shortening the time during which the write / read operation is not performed.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가 취지에 벗어남이 없이 본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쉽게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청구범위는 기재된 설명으로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사람들에 의하여 동등하게 취급될 모든 특징을 포함하여 본 발명에 있는 특허받을 만한 신규성의 모든 특징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It will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of the invention are readily possibl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are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description set forth but rather to include all features of patentable novelty in the invention, including all features that would be treated equally b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be interpreted as

Claims (6)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MA)과, 상기 메모리셀의 열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비트라인쌍(bm,bm)과 상기 메모리셀의 행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워드라인(Wm)과, 감지증폭기(SAm)와, 상기 감지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PLC)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MB)과 ;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의 상기 워드라인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ROC)과 ; 상기 메모리블록들중에서 기록 및 판독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COC)과 ; 상기 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프로세스수단 및 비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2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는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제1부분(PLCA)과 리프레시를 위한 제2부분(PLCB)을 포함하고, 상기 제1부분은 기록 및 판독 동작에 사용되며 상기 제2부분은 리프레시 동작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A memory cell MA arranged in a matrix form, a pair of bit lines bm and bm for selecting an open dress of the memory cell, a word line Wm for selecting a row address of the memory cell, and a sense amplifier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MB including SAm and a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PLC for controlling the sense amplifier; Control means (ROC) for controlling the word lines of all the memory blocks; Selection means (COC) for selecting one or more blocks required for writing and reading among the memory blocks; First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selected memory block and second process means for performing a refresh operation in an unselected memory block, th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ry comprising: a first for write or read operation; A refresh function-enhanced semiconductor memory comprising a portion (PLCA) and a second portion (PLCB) for refreshing,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us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and the second portion is used for refresh operations. Device.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MA)과, 상기 메모리셀의 열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비트라인쌍(bm,bm)과, 상기 메모리셀의 행어드레스를 선택하기 위한 워드라인쌍(Wm)과, 감지증폭기(SAm)와, 상기 감지증폭기를 제어하기 위한 감지증폭기 제어회로(PLC)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MB)과,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의 상기 워드라인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수단(ROC)과, 상기 메모리블록중에서 기록 및 판독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COC)과 ; 상기 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제1프로세스수단 및 상기 모든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 동작을 동시에 실행하기 위한 제2프로세스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감지증폭기 제어회로는 기록 또는 판독을 위한 제1부분(PLCA)과 리프레시를 위한 제2부분( PLCB)을 포함하며, 상기 제1부분은 기록 및 판독 동작에 사용되고 상기 제2부분은 리프레시 동작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A memory cell MA arranged in a matrix form, bit line pairs bm and bm for selecting an open address of the memory cell, a word line pair Wm for selecting a row address of the memory cell, A plurality of memory blocks MB comprising a sense amplifier SAm, a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 PLC for controlling the sense amplifiers, control means ROC for controlling the word lines of all the memory blocks; Selecting means (COC) for selecting one or more blocks required for writing and reading among the memory blocks; First process means for execut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selected memory block and second process means for concurrently executing refresh operations in all the memory blocks, wherein the sense amplifier control circuitry is configured for writing or reading. A refresh function-enhanced semiconductor memory comprising a portion (PLCA) and a second portion (PLBB) for refreshing, wherein the first portion is us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and the second portion is used for refresh operations. Device.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된 메모리셀(MA)로 구성된 복수의 메모리블록(MB)과 ;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 동작에 필요한 하나 이상의 블록을 선택하기 위한 선택수단(COC)과 ; 상기 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기록 및 판독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수단(101,109,105(또는 106)과 ; 상기 기록 및 판독 동작의 시간이내에 비선택된 메모리블록에서 리프레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리프레시수단(112(또는 111), 106(또는 105)과 ;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상기 기록 및 판독 동작의 상기 시간이내에 리프레시되는 메모리셀의 어드레스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수단(111,112)과 ; 상기 메모리수단내에 저장된 어드레스에 의거하여 상기 기록 및 판독 동작의 상기 시간내에 리프레시되지 않은 메모리셀을 선택하기 위한 다른 선택수단(109) 및 리프레시를 위해 설정된 시간이내에 상기 선택된 메모리셀을 리프레시하기 위한 다른 리프레시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A plurality of memory blocks MB composed of memory cells MA arranged in a matrix form; Selection means (COC) for selecting one or more blocks required for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memory block; Processing means 101, 109, 105 (or 106) for executing write and read operations in the selected memory block; refresh means 112 (or 111) for executing refresh operations in an unselected memory block within the time of the write and read operation. 106 (or 105); memory means (111, 112) for storing an address of a memory cell refreshed within the time period of the write and read operation in the memory block; Refresh selection means for selecting a memory cell not refreshed within the time period of the read operation and other refresh means for refreshing the selected memory cell within the time set for refreshing Semiconductor memor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장치는 상기 시간의 종료가지 상기 선택된 모든 메모리셀의 리프레시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신호수단(11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emory device further comprises a signal means (113) for generating a signal indicating that the end of the time has been refreshed of all the selected memory cells.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PLCB)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레벨은 상기 제1부분(PLCA)의 구동을 위한 전류레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claim 2, wherein a current level for driving the second portion (PLCB) is smaller than a current level for driving the first portion (PLCA).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부분(PLCB)을 구동하기 위한 전류레벨은 상기 제1부분(PLCA)의 구동을 위한 전류레벨보다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프레시 기능 개선형 반도체 기억장치.Th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of claim 2, wherein a current level for driving the second portion (PLCB) is smaller than a current level for driving the first portion (PLCA).
KR1019900000758A 1989-01-23 1990-01-23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970000330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013818A JP2574444B2 (en) 1989-01-23 1989-01-23 Semiconductor storage device
JP1-13818 1989-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2275A KR900012275A (en) 1990-08-03
KR970000330B1 true KR970000330B1 (en) 1997-01-08

Family

ID=118438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758A KR970000330B1 (en) 1989-01-23 1990-01-23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74444B2 (en)
KR (1) KR97000033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621B1 (en) * 1997-12-24 2005-09-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access time improvement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372B1 (en) * 1997-11-03 2004-12-17 삼성전자주식회사 Synchronous dram capable of reducing auto refresh time, especially including row decoders and address buffers and bank address buffers and refresh row counte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68797A (en) * 1984-09-11 1986-04-09 Nec Corp Dynamic memory circuit
JPS62259294A (en) * 1986-05-06 1987-11-11 Toshiba Corp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S6336079A (en) * 1986-07-29 1988-0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Control method for tubing type liquid pump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9621B1 (en) * 1997-12-24 2005-09-08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access time improve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95593A (en) 1990-08-02
JP2574444B2 (en) 1997-01-22
KR900012275A (en) 1990-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68729B1 (en) Clock synchronized dynamic memory and clock synchronized integrated circuit
US7057960B1 (en) Method and architecture for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for memory devices in refresh operations
US7483333B2 (en) Memory device and method having banks of different sizes
US6233192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20050029551A1 (en) Semiconductor memory pipeline buffer
US6563757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JPH0140435B2 (en)
US6751159B2 (en) Memory device operable in either a high-power, full-page size mode or a low-power, reduced-page size mode
US20050105362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performing refresh operation
KR20100054985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mode variable refresh operation
KR950009229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KR100232336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US5251177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n improved refresh operation
EP1328942A4 (en) Method and system for hiding refreshes in a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JPS6378396A (en) Semiconductor memory
KR20030028827A (en) Semiconductor Storage and Its Refreshing Method
US651009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freshing semiconductor memory
US6631092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capable of imposing large stress on transistor
US6229758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that can read out data faster than writing it
KR20130081472A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refresh method thereof
KR100543914B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for reducing peak current during refreshing operation
KR970000330B1 (en) Semiconductor memory apparatus
KR20050069453A (en) Dynamic semiconductor memory device and operation method in power save mode of the same
US4833654A (en) Method of and circuitry for generating staggered restore timing signals in block partitioned DRAM
JPH07147085A (en) Memo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