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324B1 -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324B1
KR970000324B1 KR1019940033783A KR19940033783A KR970000324B1 KR 970000324 B1 KR970000324 B1 KR 970000324B1 KR 1019940033783 A KR1019940033783 A KR 1019940033783A KR 19940033783 A KR19940033783 A KR 19940033783A KR 970000324 B1 KR970000324 B1 KR 970000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ber fabric
cotton fiber
urethane
urethane solution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37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3476A (ko
Inventor
김권봉
Original Assignee
김권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권봉 filed Critical 김권봉
Priority to KR10199400337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970000324B1/ko
Publication of KR9600234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34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3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7/00Producing multi-layer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제조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조공정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 원단의 종단면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한겹면 섬유원단 B : 두겹면 섬유원단
2 : 우레탄용액조 4 : 침전정수조
3 : 분무장치 5 : 가열장치
6 : 압착로울러
본 발명은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부드러운 피부에 상처나 손상을 주지 않기 위하여 보드라운 면재질의 섬유원단을 원자재로 하고 그 표면에 수용성의 우레탄용액을 스프레이방식으로 분무하여 정수조에서 우레탄용액이 면섬유원단에 부착되어 굳게 한 것을 순간적인 방법으로 우레탄표피층만 용융되게 하는 가열장치를 통과시켜 면섬유원단의 표면에 분무되여져 있는 우레탄의 표피층만이 용융된 상태에서 한쌍의압착로울러를 이용하여 공급되어 오는 면섬유 원단의 우레탄 용융표피층이 서로 접하여 포개어지게한 상태로 압입하여 주므로서 부분용융된 우레탄표피층이 서로 용융착되어 폴리우레탄융착층을 형성하게 되어 두겹으로 포개어진 면섬유원단이 통풍은 자유롭게 이루어지나 수분은 통과하지 못하는 방수효과를 얻게 되어 어린아이들의 기저귀커버, 시이트커버, 또는 각종 의류로의 사용등 다양한 방법으로의 사용이 가능하게 할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술한 공정으로 제조된 두겹면 섬유원단은 피부와 직접 접촉하는 부위가 면섬유로 되어있어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 매우 부드러운 촉감을 유지하게 되고, 면섬유원단의 표면에 스프레이 되는 우레탄용액은 수성이므로 면과 같이 부드러운 촉감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재질의 우레탄용액을 원단 표면에 분무하여 정수조에서 침전시켜 스프레이된 우레탄용액을 굳게하고 이를 가열장치에서 분무된 우레탄의 표피만 순간적으로 용융되게 한 것을 압착로울러에서 반대쪽의 원단과 우레탄 분무층이 굳어 용융된 표피층을 서로 맞닿게 포개어 압착로울러로 용융착시켜 두겹면 섬유원단을 이루게 하므로서 그 단면을 면섬유원단-우레탄스프레이층-용융착부-우레탄스프레이층-면섬유원단으로 되는 여러겹으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태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 두겹면 섬유원단의 제조방법을 제조공정 순서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먼저 섬유 제직에 필요한 직기로 제조하여된 면섬유원단(A)을 본 발명 제조공정에 걸어 두겹 면섬유원단을 제조함에 있어서 면섬유원단(A)을 일측과 타측의 두폭으로 하여 회전드럼에서 이송되게 한 두폭원단(A)을 대향지게 설치시켜 이송되게 한 각각의 표면을 브러쉬(1) 등의 수단으로 먼지나 이물질을 제거하여 청결하게 하여주는 수단과 면섬유의 표면을 고르게 펼쳐 주는 두가지 기능의 역할을 하게한 후 수성인 우레탄을 우레탄용액조(2)에서 스프레이상태로 분무하는 분무장치(3)를 통하여 면섬유원단의 표면에 우레탄용액이 고르게 분무되어지게 하여 일부의 면과 표면층 분무용액 사이에서 미세한 간격이 유지되게 한다.
제2공정
상기한 제1공정을 거쳐서 되는 우레탄용액이 면섬유원단의 표면에 스프레이 상태로 분무된 원단을 정수조(4)에 침전시켜 우레탄용액이 물속에서 굳어지게 하여 더 이상의 퍼짐을 억제하여 스프레이된 우레탄용액의 방울과 방울 사이에 미세하나마 공간이 형성되어지게 하여 준상태에서 우레탄이 물방울 상태로 면섬유원단의 표면에 굳어진 것을 가열장치(5)에서 순간온도 약 180℃까지 가열되게 되면 우레탄 물방울의 표면중 가열장치와 근접한 위치에 속하는 표피부만 순간적으로 용융시킨 양측원단의 표면을 서로 맞닿게 하여 압착성 로울러장치(6)에서 압착하여 주면 용융된 물방울의 표피가 서로 용융착되어 두겹면 섬유원단(B)이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은 제조공정을 거쳐 생산되는 본 발명의 두겹 면섬유원단(B)은 각각의 한겹 면섬유원단(A) 사이에 우레탄분무층(10)과 물방울 상태로 분무된 분무층의 외면 표피가 상호용융되어 압착시킨 용융착부(20)를 갖는 두겹 면섬유원단(B)을 얻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제조공정에 의하여 얻어지는 방수용 두겹 면 섬유원단은 각각 별도로 제직되는 면섬유원단(A)을 두겹으로 포개어줌에 있어 수축과 인장이 자유로우면서도 외면이 보드럽고 방수성이 양호한 두겹의 면섬유 원단으로 본 발명의 제조공정에 의하여 얻어진 물품은 그 사용처가 다양하게 여러 가지 용도로의 사용이 가능한 것으로서, 특히, 피부가 제일 연약한 신생아들의 기저귀 커버용으로 바람직한 것으로 그 이유는 신생아의 피부와 접하는 기저귀와 그 커버의 내면이 면으로 되어 있어 매우 보드러우며 또한 우레탄에 의한 방수효과와 함께 우레탄을 도포한 것이 아니라 스프레이 방식으로 분무하여 이를 국부적으로 용융착시켜 높은것이므로 용융착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위에는 지그재그상이거나 구불구불한 상태에서 내, 외면의 면섬유원단이 통풍되어져 공기가 통할 수 있으므로 연약한 신생아의 피부에 소변등의 오물이 묻어 진무르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가장 바람직한 사용처리할 것이다.
그 외에도 신발이나 차량용 또는 쇼파와 같은 각종의 자류에 시이트커버지로서도 바람직한것으로 필요에 따라서는 여러 가지 형태로의 변형을 주어 다양한 용도로의 사용도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겹면섬유원단은 양쪽외면에 각각 면섬유원단이 포개어지고 그 내면에 우레탄용액을 스프레이로 분무하여서 고착된 미세한 우레탄용액을 스프레이로 분무하여서 고착된 미세한 우레탄 분무층이 무질서한 상태로 면섬유 원단의 내면에 각각 부착되어져 있고 각각의 우레탄 분무층의 표피가 상호 용융착된 용융착부에 의하여 각각의 면섬유 원단이 포개어져 두겹면섬유원단을 이루고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우레탄용액 성분은 유성보다는 수성이 가능 바람직한 것으로 유성의 경우에는 피부에 부작용을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전조에 침지시켜 우레탄 용액을 굳게 할 때 그룹이 위로 뜨게 되면 면섬유 원단에 기름이 묻어 상품가치성을 저하시키고 이를 개선하려면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우레탄용액의 성분을 수성으로 하였기 때문에 침전조에서의 굳게함이 용이하고 제품에 다른 문제점을 주지 않으면서도 부드러운 촉감을 그대로 유지하여 수용자의 기호에 맞는 질 좋은 제품을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은 제조공정으로 만들어진 본 발명의 두겹면섬유 원단은 그 제조방법이 매우 단순하면서도 원단 자체에 전혀 손상을 주지 않고 대량생산을 할 수 있어 호환성 있는 제품을 수요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2)

  1. 두폭의 면섬유원단(A)을 각각 이송하여 브러쉬로 이물질을 제거하고 고르게 펼쳐 준위에 수성인 우레탄 용액조(2)에서 스프레이 분무장치(3)로 각각의 표면에 분무하고 이를 정수조(4)에서 굳게하고 가열장치(5)에서 순간온도 180℃까지 가열하여 우레탄 분무층의 표피부만 용융시킨 상태에서 각각의 두폭 면섬유원단의 표면이 서로 포개어지게하여 압착성형 로울러장치(6)에서 압착시켜 용융표피부가 서로 겹쳐서된 부분 용융착부(20)를 갖는 방수용 두겹면섬유원단의 제조방법.
  2. 서로 대칭되는 두폭의 면섬유원단(A) 사이에 우레탄용액을 스프레이하여서된 물방울형 분무층(10)의 표피만을 용융압착한 용융착부(20)를 중간에 갖는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KR1019940033783A 1994-12-12 1994-12-12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970000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783A KR970000324B1 (ko) 1994-12-12 1994-12-12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3783A KR970000324B1 (ko) 1994-12-12 1994-12-12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76A KR960023476A (ko) 1996-07-20
KR970000324B1 true KR970000324B1 (ko) 1997-01-08

Family

ID=194010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3783A KR970000324B1 (ko) 1994-12-12 1994-12-12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700003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94B1 (ko) * 2007-04-17 2008-04-29 정추호 방수마대의 비닐코팅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6094B1 (ko) * 2007-04-17 2008-04-29 정추호 방수마대의 비닐코팅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3476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096701A (en) Transferable flocked fiber design material
KR101291866B1 (ko) 일회용 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
KR970000324B1 (ko) 방수용 두겹면 섬유원단 및 그 제조방법
DE69026579D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Gegenstandes aus thermoplastischem Verbund-Material
KR20060090354A (ko) 원단의 입체문양 가공방법
KR101305419B1 (ko) 우단 고무장갑 제조방법
TWI811347B (zh) 防滲拉鏈
KR0140263Y1 (ko) 수세미
ATE30345T1 (de) Verfahren zum aufkleben einer durchlaessigen schicht auf einen traeger aus zusammengebundenen fasern sowie die so hergestellten filze fuer papiermaschinen und filtergewebe.
CN210911515U (zh) 一种低温聚酯纤维双色条子布
JPH01213432A (ja) 毛皮織込み生地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227996Y1 (ko) 부채살대가 없는 부직포 선면판의 부채
KR200288153Y1 (ko) 실리콘이 접착된 신체용품
US3153245A (en) Embossed shoulder straps
JPH01239105A (ja) 装身用パッド及びその製造法
JPH0530450B2 (ko)
JP2593784B2 (ja) 高交絡脱脂綿素材の製造方法
CN211542716U (zh) 一种涤纶衬衫面料
JPS6321527Y2 (ko)
KR820001475Y1 (ko) 이불솜용 외피
TW393404B (en) Manufacturing method and by-products of a water-resistant and gas permeable non-woven fabric
KR880000193B1 (ko) 연마 수세미의 제조방법
JPH05181Y2 (ko)
JPS5852320Y2 (ja) シリンダ−カバ−用の熱収縮性合成樹脂製無端状網の無端接合部
KR100465101B1 (ko) 돌출주름문양이 배시된 가죽소재원단 및 의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