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114B1 - 스위치 장치 - Google Patents

스위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114B1
KR970000114B1 KR1019920011441A KR920011441A KR970000114B1 KR 970000114 B1 KR970000114 B1 KR 970000114B1 KR 1019920011441 A KR1019920011441 A KR 1019920011441A KR 920011441 A KR920011441 A KR 920011441A KR 970000114 B1 KR970000114 B1 KR 970000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e plate
moved
neutral position
plate
predetermined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14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1257A (ko
Inventor
타카히로 사카키노
세이키 사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요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49870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609U/ja
Priority claimed from JP050047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611U/ja
Priority claimed from JP049871U external-priority patent/JPH056610U/ja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기가이샤, 다데이시 요시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1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1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1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50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 H01H3/503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with indexing or locating means, e.g. indexing by ball and spring making use of electromagne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Tumbler or rocker switches, i.e. switches characterised by being operated by rocking an operating member in the form of a rocker button
    • H01H23/02Details
    • H01H2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3/16Driving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2Sensors
    • E05Y2400/854Swi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400/00Electronic control; Electrical power; Power supply; Power or signal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 E05Y2400/80User interfaces
    • E05Y2400/85User input means
    • E05Y2400/856Actuation thereof
    • E05Y2400/858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 E05Y2400/86Actuation thereof by body parts, e.g. by feet by han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5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5/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actuation in opposite directions, e.g. slide switch
    • H01H15/02Details
    • H01H15/06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5/10Operating parts
    • H01H15/102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 H01H15/107Operating parts comprising cam devices actuating conventional selfcontained micro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02Details
    • H01H21/18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21/22Operating parts, e.g. handle
    • H01H2021/225Operating parts, e.g. handle with push-pull operation, e.g. which can be pivoted in both directions by pushing or pulling on the same extremity of the operating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06Application power roof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300/00Orthogonal indexing scheme relating to 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or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covered by H01H
    • H01H2300/01Application power window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위치 장치
제1도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좌측면에서 본 정면도.
제3도는 제1 및 제2활주판들이 중립위치에 있게 되는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4도는 제1활주판이 자기-복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제1활주판이 자기-유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6도는 스위치 장치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7도는 스위치 기구내의 클릭 또는 조절 감각용도부 및 손잡이 복귀기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에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제10도의 선 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좌측면에서 본 정면도.
제10도는 제1과 제2활주판들 및 체결판들이 중립위치에 있게 되는 제2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제1활주판이 자기-복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제2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제1활주판이 자기-유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제2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내의 손잡이를 위해 사용되는 클릭 또는 조절 감각용도부 및 복귀기구를 나타내는 확대 단면도.
제14도는 활주판 및 체결판이 중립위치에 있게 되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라 자동차 파워 윈도우용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5도는 활주판이 자기-복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제3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6도는 활주판이 자기-유지 작동 모우드를 위해 구동되게 되는 제3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7도는 활주판이 체결판에 의해 유지되게 되는 자기-유지 작동 모우드상태에 있게 되는 제3실시예의 스위치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제14도의 좌측면에서 본 정면도.
제19도는 제14도의 선 A-A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4도의 선 B-B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1도는 제15도의 선 C-C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2도는 제15도의 선 D-D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3도는 제16도의 선 E-E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4도는 제16도의 선 F-F를 따라 취한 단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 단면.
제27도는 제4실시예를 따른 스위치 장치안에 있는 조절 또는 클릭기구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인쇄배선기판 3,103,203 : 스위치 케이스
13,15,113,115,213,215 : 작동기 17,19,117,119,217,219 : 활주판
21,25,121,125,221,225 : 평면 캠부 39,139,239 : 손잡이
43,143,243 : 주축부 55,155,255 : 솔레노이드장치
170 : 체결판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고 특히 각각의 스위치 기구내에서 자기-복귀위치 및 자기-유리위치를 갖게 되는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power window), 썬루프(sun-roof)용으로 사용되는, 수동 작동위치라 불리는 자기-복귀위치 및 자동 작동위치라 불리는 자기-유지위치를 갖는 스위치 장치를 사용하는 것은 이미 잘 아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스위치 장치는 세 개의 이동위치들 즉, 기구를 오프상태(off-state)로 유지하는 중립위치, 파워 윈도우의 유리가 예컨대 상방으로 이동되게 되는 상태로 기구를 유지하는 상방 이동위치 및 윈도우 유리가 하방으로 이동되게 되는 상태로 기구를 유지하는 하방 이동위치를 갖는다. 또한, 각각의 상방 이동 및 하방 이동위치들에는 두 개의 작동 모우드 위치 즉, 자기-복귀위치 및 자기-유지위치가 있다. 손잡이(knob)와 같은 조종기를 손으로 작동시켜 중립위치로부터 자기 복귀위치로 이동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기구는 상방 이동상태 또는 하방 이동상태로 이동된다. 그러나, 조종기가 이완되어 중립위치로 복귀될때에는 기구는 자동적으로 오프상태로 이동 및 복귀된다. 이와 반대로, 조종기가 중립위치로부터 자기-복귀위치를 횡단하여 자기-유지위치로 이동되면, 이동된 전기적인 접속부는 솔레노이드장치에 의해 유지되어 조정기가 중립위치로 복귀되어 상방 이동상태 또는 하방 이동상태를 계속해서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스위치는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 제64-226호 및 64-239호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통상적인 스위치 장치에서, 스위치 하우징상에 회전가능하게 복귀식으로 장착되는 손잡이와 같은 조종기는 상호 연결부재를 통하여 접촉부분을 갖는 판 스프링과 결합 및 접속되게 된다. 상기 판 스프링은 조종기의 회전량에 따라 상호 연결부재를 통하여 압축된다. 상기 접촉부분이 그로 인하여 요구되는 상태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접촉부 이동행정과 관련하여 자기- 복귀위치 및 자기-유지위치를 적절히 설정하기 위해, 각각의 부분품들은 고도의 정밀도를 가져야 하며, 고도의 정밀도로 서로 조립되어져야 한다. 또한, 판스프링의 압압력과 이동된 접촉부분을 적소에 보유하는 솔레노이드장치의 힘사이의 고도의 평형이 자기-유지작동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하게 된다.
상기 요구조건에 부가하여, 상기 통상적인 스위치 장치는 많은 수의 부품들 및 부품들의 복잡한 배열체를 가지면서 생산성, 성능, 작동의 신뢰성, 수명 등에 있어서 많은 문제점을 야기시키는 경향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들 및 다른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창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각각의 부분품들이 고도의 정확성을 가질 필요가 없게 되며 부분품들이 고도의 정밀도 및 고도의 평형상태에서 서로 조립되어져야 할 필요가 없게 되는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성, 성능, 작동의 신뢰성, 수명 등에 있어서 개선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전기한 목적 및 다른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수용하는 스위치 케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작동기는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와 무관하게 대응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의 접촉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축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제1활주판은 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며 제1활주판이 중립위치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갖는다. 제1활주판은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에 대향된 제2방향으로 활주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활주판은 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고 제2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활주될 때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갖는다. 제2활주판은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스프링은 제2방향으로 제1활주판을 압압하며 제1방향으로 제2활주판을 압압한다. 손잡이(knob)는 계합부분을 갖고 동 계합부분은 제1활주판상에 형성된 제1계합돌출부 및 제2활주판상에 형성된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서 계합되면서 제1 및 제2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유지용 솔레노이드수단은 이동식 부재를 포함하며 동 이동식 부재는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면서 제1활주판의 제1계합돌출부 및 제2활주판의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서 계합되어 상기 이동식 부재의 제1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그에 의해 제한되도록 한다. 전자기적 흡입장치는 상기 이동식 부재의 제1흡입력을 부여하여 제1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제1방향으로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키고 또한 이동식 부재에 제2흡입력을 부여하여 제2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제2방향으로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켜, 이동식 부재가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예정된 양보다 크게 이동될 때 이동식 부재를 그 위치에 유지시킨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들을 수용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작동기는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스위치 기구와 무관하게 대응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의 접촉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축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제1활주판은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며 제1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갖는다. 제1활주판은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에 대향된 제2방향으로 활주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활주판은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고 제2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활주될 때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 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갖는다. 제2활주판을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손잡이 계합부분을 갖고 동 계합부분은 제1활주판상에 형성된 제1계합돌출부 및 제2활주판에 형성된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서 계합되면서 제1 및 제2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체결판은, 중립위치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제1활주판이 제1의 예정량을 초과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제1활주판과 계합되기 위하여 사용되고, 제2활주판이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제2활주판과 계합되기 위하여 사용된다. 스프링은 제2방향으로 제1활주판을 압압하며 제1방향으로 제2활주판을 압압한다.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유지용 솔레노이드수단은 이동식 부재를 포함하고, 동 이동식 부재는 제1 및 제2방향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비-여자상태(non-excitation state)에서 전방위치에 유지되며 여자상태에서 후방지점에 위치되어 체결판이 제1 및 제2방향으로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될 때 전방위치에 있는 이동식 부재가 체결판과 계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판 그 위치에 유지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는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수용하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를 포함한다. 각각의 작동기는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다른 스위치 기구와 무관하게 대응되는 스위치 부분의 접촉부분을 이동시키기 위해 압출될 수 있도록 사용된다. 활주판들은,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의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며,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제1캠부분 및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활주될 때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제2캠부분을 갖는다. 손잡이는 활주판이 계합되어 제1 및 제2방향들로 활주판을 구동시키게 된다. 중립위치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체결판은 활주판이 제1의 예정량을 초과하여 제1방향으로 이동할 때 상기 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되기 위해 상기 활주판과 계합되기 위하여 사용되고 또한 활주판이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활주판과 계합되기 위하여 사용된다. 체결부재는,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제3캠부분 및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제4캠부분을 갖는다. 스프링은 체결판을 중립위치를 향하여 압압한다.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유지용 솔레노이드수단은 이동식 부재를 포함하고, 동 이동식 부재는 제1 및 제2방향에 수직하게 이동가능하게 되며 비-여자상태에서 전방쪽으로 위치되면서 여과상태에서 후방쪽으로 위치되어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전방위치에 있는 이동식 부재가 체결판과 계합되도록 함으로써 체결판을 그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을 상술한다.
제1도 내지 제7도에는 예컨대 자동차의 파워 윈도우의 스위치 장치로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한다. 스위치 장치는 인쇄배선기판(1)상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을 포함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지된 구조를 갖는 두 개의 마이크로 스위치(5),(7)들은 서로 인접되면서 케이스(3)내에서 밀봉된다.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에는 홈(9)들이 형성되며 상기 홈(9)들은 제2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마이크로 스위치(5)의 상부에서 서로 접하고 제3도에서처럼 횡방향으로 연장되어 마이크로 스위치(5)의 작동기(13)의 헤드부분이 홈(9)들 사이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유사하게, 홈(11)들이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내에 형성되어 마이크로 스위치(7)의 작동기(15)의 헤드부분이 홈(11)들 사이에서 돌출되도록 한다. 각각의 작동기(13),(15)들은 소위 누름-단추형 또는 누름-플런저(push-plunger) 형태로 되며 동 형태의 작동기들은 일정량만큼 압축됨으로써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의 접촉부분을 온-상태(on-state)로부터 오프-상태(off-state)로 또는 이와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횡방향에서 활주식으로 이동식 활주판(17),(19)들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홈(9),(11)들내에 각각 고정된다.
(이하 제1활주판으로 언급되는) 활주판(17)은 그 저부에 평면 캠부분(21)을 가지며 상기 캠부분(21)에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활주판(17)이 제3도에 도시한 중립위치로부터 제3도의 좌측면을 향하여 이동될때(제3도의 좌측면을 향하는 방향을 이하 단순히 제1방향으로 언급함), 작동기(13)은 평면 캠부분(21)을 통하여 예정된 일정량만큼 하방으로 압축된다.
제1도 및 제3도에 가장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정지기구 대편(23)은 활주판(17)의 좌측 단부상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면서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의 좌단 표면에 접지될 수 있게 되어 제3도에 도시한 중립위치에 있게 되는 활주판(17)이 제1방향에 대향된 제2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유사하게, 활주판(19)(이하 제2활주판으로서 언급됨)은 그 저부에 평면 캠부분(25)를 가지며 동 캠부분(25)에는 사다리꼴 단면형상을 갖는 오목부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3도에 도시한 중립위치에 있는 활주판(19)가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작동기(15)는 평면 캠부분(25)를 통하여 예정된 일정량만큼 하방으로 압축되게 된다. 정기기구 대편(27)은 활주판(19)의 우측 단부상에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의 우단표면에 대해 접지될 수 있게 되어 제3도에 도시한 중립위치에 있게 되는 활주판(19)가 제1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활주판(17),(19)들에는 서로 대면되는(confronted) 착지부분(29),(31)들이 각각 형성되어 압축 코일스프링(33)에도 예정된 초기 부하(preloading)가 적용된 상태에서 상기 압축 코일스프링(33)은 제2방향으로 활주판(17)을 압압하며 제1방향으로 활주판(19)를 동시에 압압하여 활주판(17),(19)들이 정상상태에서 그 중립위치에 견고히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활주판(17),(19)에는 돌출되는 계합대편(35),(37)들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계합대편(35),(37)들은 서로 평행하게 되면서 각각의 활주판들로부터 제3도의 상방행으로 돌출된다. 양 활주판(17),(19)들이 그들의 중립위치에 있게 될때, 상기 계합대편(35),(37)들은 횡방향으로 서로 격리되어 예정된 틈새(C)를 형성하게 되며 상기 틈새(C)에 수동식 손잡이(39)의 조종단부(41)이 계합되게 된다.
제1도 및 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손잡이(39)는 주축부(43)을 통하여 스위치 하우징(도시안됨)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손잡이(39)가 제1도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손잡이(39)의 조종단부(41)은 이동되어 제2활주판(19)의 계합대편(37)로부터 격리되고 제1활주판(17)을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계합대편(35)를 구동시킨다. 이와 반대로, 손잡이(39)가 제1도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조종단부(41)은 이동되어 제1활주판(17)의 계합대편(35)로부터 격리되며 제2활주판(19)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계합대편(37)을 구동시킨다.
제7도에 명확히 도시한 바와같이, 손잡이(39)에는 조절 또는 클릭핀(moderation or click pin)(47)이 제공되고 동 클릭 판(47)은 손잡이(39)로부터 스프링(45)에 의해 하방으로 압압된다. 조절핀(47)은 도시하지 않은 스위치 하우징에 고정되는 V-자형 평면 캠판(49)와 계합된다. 손잡이(39)의 중립위치로부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과 관련하여, 핀(47)은 이동되어 스프링(45)를 압축시키면서 상기 V-자형 홈의 가장 깊은 부분으로부터 V-자형 홈의 경사표면(51)을 따라 활주된다. 손잡이(39)가 예정된 회전량으로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경우, 핀(47)은 V-자형 홈의 최상단 부분 근처에서 경사부(51)상에 형성된 돌출부(53)상으로 연장되어 손잡이(39)의 회전작도에서 클릭감각 또는 조절감각을 제공하게 된다.
손잡이(39)의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회전과 관련하여 스프링(45)가 핀(47)에 의해 압축되기 때문에, 스프링(45)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39)로부터 떨어지면, 손잡이(39)를 그 중립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복귀 스프링의 역할을 하게 된다.
제2도 및 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장치(55)는 인쇄배선기판(1)상으로 장착되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3)의 일측면상에 부착된다.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는 솔레노이드장치(55)는, 제3도에서 횡방향으로 수평적으로 연장되기 위해 지지부분들(57)상에서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안내바아(59), 안내바아(59)를 따라 왕복되기 위해 안내바아상으로고정적으로 장착되게 되는 이동식 부재(61), 및 안내바아(59)의 좌우측 단부들상으로 각각 고정 배설되는 전자기적 흡착부(63),(65)들을 포함한다. 이동식 부재(61)에는 상기 틈새(C)내에 배설되는 계합돌출부(67)이 형성되어 이동식 부재(61)이 돌출되는 계합대편(35),(37)들과 계합되도록 하며, 제1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식 부재(61)의 이동은 계합적인 상기 돌출대편(35),(37)들에 의해 제한되게 된다.
제2도 내지 4도에 도시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7)은 또한 스위치의 이동위치 유지용 솔레노이드장치(55)를 전기적으로 제어하여 작동기(13)이 압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가 온-상태로 될 때에는 이동식 부재(61)이 흡착부(63)에 전자기적으로 흡인되도록 하고 작동기(15)가 압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7)이 온-상태로 될 때에는 이동식 부재(61)이 흡착부(65)에 전자기적으로 흡인되게 된다.
클릭감각을 제공하기 위해 손잡이(39)가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즉, 조종단부(41)이 돌출부분(53)상으로 연장될 때, 활주판(17),(19)들은 제1 및 제2방향으로 예정된 이동량을 초과하여 이동되게 된다. 활주판(17),(19)들의 상기와 같은 이동과 관련하여, 이동식 부재(61)은 흡착부(63),(65)에 전자기적으로 흡인되어 동 이동식 부재(61)도 또한 제1 및 제2방향으로 예정된 양을 초과하여 이동되게 된다. 이동식 부재(61)이 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때에만 상기 흡인력의 크기가 압축 코일스프링(33)의 압압력의 크기보다 크게 되도록 상기 흡인력이 세팅되기 때문에, 이동식 부재(61)은 압축스프링(33)의 압압력에 대해 흡착부(63),(65)들에 흡인되어 이동식 부재(61)을 상기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부가하여,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7)에 관한 상기한 바와같은 흡인 및 유지작동은, 윈도우 유리가 그 최상부 위치로 상방으로 이동되거나 또는 그 최하부 위치로 하방으로 이동된다는 사실에 기인한 파워 윈도우 모터내의 부하 변회의 검출 및/또는 손잡이(39)의 복귀 또는 역조종에 근거하여 차단된다(interrupted).
예를들어, 파워 윈도우장치에 사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창유리가 위로 올라갈 때, 손잡이(knob)(39)는 스프링(45)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주축부(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조작과 관련하여, 조종단부(41)은 좌측방향(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그결과 압축스프링(33)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1방향으로 활주판(17)을 이동시킨다. 활주판(17)의 좌측방향 운동 때문에, 평면 캠부(21)은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의 접촉부가 그 기구를 온-상태(ON-State)로 위치시키기 위해 이동되도록 예정된 일정한 양만큼 작동기(13)를 압축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장치의 창유리는 위로 올라간다.
이 작동동안에, 이동식 부재(61)은 흡착부(63)까지 전자기적으로 끌어 당겨지지만, 그 이동식 부재(61)은 흡착부(63)과 접축하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손잡이(38)가 예정된 회전양보다 더 많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지 못하고 활주판(17)이 예정된 이동량보다 더 많이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동식 부재(61)과 전자기적인 흡착부(63) 사이의 전자기력은 압축스프링(33)의 압압력 보다 작다.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39)를 놓으면, 손잡이(39)는 스프링(45)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고 활주판(17)은 압축 스프링(33)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은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간다. 그결과, 작동기(13)의 압축도 동시에 차단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는 창유리의 상승이 차단되도록 오프-상태(off-state)로 되돌아간다.
상기에 언급된 작동은 창유리 상승작동에 있어서 소위 자기-복귀 작동방식 또는 수동 작동방식이라 불리는데, 여기서 창유리의 상승은 손잡이(39)가 시계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되고 그것이 작동자의 손에 의해 그 위치에서 유지될때만이 실행된다.
손잡이(39)가 예정된 양보다 큰 양으로 제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주축부(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할 때, 클릭 또는 조절핀(47)은 경사부(51)의 최상부 근처의 V-자형 홈에 형성된 돌출부(53) 위까지 도달하며, 그로 인해 회전조작동안 작동자에게 클릭감각을 제공한다.
손잡이(39)가 상기에 언급된 것같이 회전할 때, 활주판(17)은 예정된 양보다 더 큰 이동량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와 관련하여 이동식 부재(61)은 전자기적인 흡인 때문에 예정된 양보다 더 큰 이동량으로 흡착부(63)까지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서, 이동식 부재(61)과 흡착부(63) 사이의 흡인력은 압축 코일스프링(33)의 압압력보다 더 크게 된다. 따라서, 이동식 부재(61)은 흡착부(63)까지 완전하게 흡입되고 압축 코일스프링(33)의 압압력에 대하여 흡착부(63)에 의해 지탱되기 때문에,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39)를 놓을 때 손잡이(39)가 스프링(45)의 압압력을 통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갈지라도 활주판(17)은 압축 코일스프링(33)의 압압력에 대하여 그 흡착부에 유지된다.
이런 작동에 있어서,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를 놓더라도, 작동기(13)은 파워 윈도우장치의 창유리가 계속 올라가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5)안에서 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밑으로 압축되어 있다.
이런 작동이 창유리를 올리기 위한 소위 자기-유지 작동방식 또는 자동 작동방식이라고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39)를 놓아도 위로 계속 올라간다.
또한, 만약 창유리가 하방으로 이동되려면, 손잡이(39)는 제1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주축부(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되며 그로 인해 압축 코일스프링(33)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2방향으로 활주판(19)를 이동시킨다. 손잡이(39)의 반시계방향의 회전양에 따라서, 창유리를 하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동 작동방식이나 자동작동방식은 창유리의 상부쪽 이동에 대해 상기에 설명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가 제8도 내지 제13도와 관련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8도 내지 제13도에서, 제1실시예에 대한 도면과 관련하여 설명되었던 부분들과 기능적으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나 특징으로 나타낸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세 개의 슬릿(slick)(103a)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103)의 세 개의 직립 벽들에 형성된다. 제1활주판(17)을 위한 안내부(109)는 두 개의 직립벽들 사이에 형성되고, 또한 제2활주판(119)를 위한 안내부(111)도 두 개의 직립벽들 사이에서 형성된다. 제1활주판(117)은 두 개의 슬릿(103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계합정지기구 대편(123)들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제1활주판의 계합정지기구 대편(123)들은 가각 슬릿(103a)들의 오른쪽 단부벽들에 대해 접지할 수 있고, 그 결과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제1활주판(117)의 이동을 막는다. 유사하게, 제2활주판(119)는 두 개의 슬릿(103a)에 이동가능하게 끼워진 계합정지기구 대편(127)들을 구비하며 형성되고, 그 대편들은 제2활주판(119)의 이동을 저지하기 위해 슬릿(103a)들의 왼쪽 단부벽들 각각에 대해 접지할 수 있다.
스프링대(109a)는 제1활주판(117)을 위한 슬릿(103a)들이 형성되는 직립벽들 사이에 있는 안내부(109)의 좌측단부에 형성된다. 유사하게, 스프링대(111a)는 제2활주판(119)를 위한 슬릿(103a)들이 형성되는 직립벽들 사이에 있는 안내부(111)의 우측단부에 형성된다. 압축 코일스프링(129)는 미리 예정된 초기 부하가 스프링(129)에 가해질 때 스프링대(109a)와 제1활주판(117) 사이에 끼워지며, 반면에 다른 압축스프링(131)은 미리 예정된 예비하중이 스프링(131)에 가해질 때 스프링대(111a)와 제2활주판(119) 사이에 끼워진다. 압축 코일스프링(129)는 제1활주판(117)을 제2방향으로 밀고, 압축 코일스프링(131)은 제2활주판(119)를 제1방향으로 밀기 때문에 제1 및 제2활주판(117),(119)들은 안정한 방법으로 제10도에 도시된 그들 각각의 중립위치에 그것에 의해서 유지된다.
활주판(117)과 (119)들은 제9도에 도시된 것 같이 상부로 돌출된 계합돌출대편(135),(137)들을 구비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양쪽 모두의 활주판들이 그들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계합돌출대편(135),(137)들은 손잡이(139)의 조종단부(141)이 틈새에 계합되도록 횡방향으로 미리 예정된 틈새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횡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체결판(170)은 계합부(109)와 (111) 양쪽 모두에 놓이고 맞물리기 때문에, 그 체결판(170)은 활주판(117)과 (119)위에 올려져 있다. 체결판(170)은 제1 및 제2활주판(117),(119)들의 계합돌출대편(135),(137)들 각각이 통과하는 계합통로(157),(159)들을 구비하며 형성되고, 그 계합돌출대편들은 계합통로가 계합할 수 있도록 돌출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제1활주판(117)과 체결판(170) 양쪽 모두가 그들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계합돌출대편(135)와 계합통로(157)이 계합돌출대편(135)의 좌측부에서 미리 예정된 틈새(Ca)를 형성하고, 유사하게 제2활주판(119)와 체결판(170) 모두가 그들의 중립위치에 있을 때 계합돌출대편(137)과 계합통로(159)가 계합돌출대편(137)의 우측부에서 미리 예정된 틈새(Cb)를 형성하도록 통로(157)과 (159)들이 가로치수는 결정된다. 이 실시예에서, 틈새(Ca)는 틈새(Cb)와 동일하다.
체결판(170)이 그 좌측단부에서 압축 코일스프링(129)와 맞물리고 그 우측단부에서 압축 코일스프링(131)과 맞물리기 때문에, 이들 스프링(129),(131)들의 압압력으로 인해 체결판(170)은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그것의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언급된 배열형태에 따라서, 제1활주판(117)이 미리 예정된 틈새(Ca)에 대응하는 이동의 크기범위내에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와 제2활주판(119)가 미리 예정된 틈새(Cb)에 대응하는 이동의 크기범위내에서 그성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체결판(170)은 그것의 중립위치에서 유지되어 있다. 즉, 제1활주판(117)이 틈새(Ca)에 대응하는 크기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계합돌출대편(135)는 제1활주판(117)을 체결판(170)과 계합하기 위해 통로(157)의 좌측단부에 대해 접지하기 때문에, 체결판(170)은 활주판(117)의 초과한 이동동안에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활주판(117)과 함께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제1활주판(117)과 연결되어 있다. 유사하게, 제2활주판(119)가 틈새(Cb)에 대응하는 크기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계합돌출대편(137)은 제2활주판(119)를 체결판(170)과 계합하기 위해 통로(159)의 우측단부에 대해 접지하기 때문에, 체결판(170)은 활주판(119)의 초과한 이동동안에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활주판(119)와 함께 제2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하여 제2활주판(119)와 연관되어 있다.
체결판(170)은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그것의 중심부에서 횡방향으로 체결 돌출부(171)을 구비하며 형성된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것같이,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장치(155)는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103)의 일측부에서 인쇄배선기판(101) 위에 설치된다.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유지용 솔레노이드장치(155)는 체결판(170)의 이동방향에 수직방향, 즉 제9도에서 좌측과 우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식 부재(165)를 포함한다. 솔레노이드장치(155)는 또한 이동식 부재(165)를 제9도에서 좌측의 우측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솔레노이드(168)을 포함한다.
이동식 부재(165)는 솔레노이드(168)이 비전자기(여자되지 않는)상태에 있을 때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된 후방위치에 위치되도록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복귀 스프링에 의해 압압된다. 솔레노이드(168)이 여자되면, 이동식 부재(165)는 제12도에 도시된 그것의 전방위치에 위치되기 위하여 전방쪽으로 이동된다. 솔레노이드장치(155)는 체결판(170)이 중립위치에 있을 때 이동식 부재(165)가 체결 돌출부(171)과 대면되어서 체결판(170)이 솔레노이드(168)의 비-여자와 여자상태에 관계없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설계된다. 반대로, 제12도에 도시된 것같이, 체결판(170)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솔레노이드(168)은 이동가능한 부재(165)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어서 이동식 부재(165)는 체결판(170)이 제1방향으로 되돌아가지 못하게 하여 체결판(170)을 그 위치에 유지하도록 체결 돌출부(171)의 좌측부와 결합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이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창유리가 상부로 이동될 때, 손잡이(139)는 제13도에 도시된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8도에서 시계방향으로 주축부(1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제8도와 관련하여 볼 수 있듯이, 이 회전조작과 관련하여 조종단부(141)은 좌측방향, 즉 제1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계합돌출대편(135)를 이동시키기 때문에, 제1활주판(117)은 압축스프링(129)의 압압력에 대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활주판(117)의 좌측방향 이동 때문에, 평면 캠부(121)은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5)의 접촉부가 온-상태로 그 기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이동되도록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113)을 압축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장치의 창유리는 상부쪽으로 올라간다.
이 작동동안에, 계합돌출대편(135)는 계합통로(157) 안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체결판(170)은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168)이 이동식 부재(165)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더라도 이동식 부재(165)는 체결 돌출부(171)과 단지 접촉할 뿐이고 계합되지는 않는다.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러질 때, 손잡이(139)는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고 활주판(117)은 압축스프링(129)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간다. 그결과, 작동기(113)에 대한 압축도 동시에 차단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5)는 창유리의 상승이 차단되도록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언급된 작동이 창유리를 상승시키는 작동이라는 점에 있어서 소위 자기-복귀 작동방식 또는 수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의 상승은 손잡이(139)가 시계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되고 그것이 작동자의 손에 의해 그 위치에서 유지될때만 실행된다.
손잡이(139)가 미리 예정된 양보다 더 많은 양으로 제8도에서 주축부(1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될 때, 클릭 또는 조절핀(147)은 경사부(151)의 최상부 근처의 V-자형 홈안에 형성된 돌출부 위까지 도달하며, 그로 인해 회전조작동안 작동자에게 클릭감각을 제공한다.
손잡이(139)가 상기에 언급된 것같이 회전될 때, 계합돌출대편(135)는 더 큰 양으로 회전되고 활주판(117)은 예정된 양보다 더 많은 이동양을 가지고 제1방향으로 회전되며, 그와 관련하여 계합돌출대편(135)는 체결판(170)의 계합통로(157)의 좌측단부와 접하고 계합되기 때문에 체결판(170)은 압축 코일스프링(129),(131)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1활주판(117)과 함께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솔레노이드(168)이 이동식 부재(165)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기 때문에, 이동식 부재(165)는 제12도에 도시된 것같이 체결 돌출부(171)의 우측단부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체결판(170)은 그 위치에 유지되고,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기 위해 제1활주판(117)과 함께 이동되지 못한다. 이 작동동안에, 만약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어져서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손잡이(139)를 되돌린다면, 활주판(117)은 계합통로(157)안의 틈새(Ca)에 대응하는 양을 가지고 압축 코일스프링(129)의 압압력으로 인해 제2방향으로 되돌아가지만, 활주판(117)의 그 이상의 복귀되는 체결판(170)에 의해 저지되고, 활주판(117)은 작동기(113)의 평면캠부(121)에 의해 예정된 일정한 양만큼 하방으로 계속해서 눌려지는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이 작동에 있어서,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에서 떨어지더라도, 작동기(113)은 파워 윈도우장치 안의 창유리가 상부로 계속해서 이동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5)안의 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압축된다.
이런 작동이 소위 창유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자기-유지 작동방식 또는 자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상부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한다.
창유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언급된 작동과 반대로, 창유리가 하방으로 이동될 때, 손잡이(139)는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8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축부(1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조작과 관련하여, 조작단부(141)은 우측방향, 즉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서 계합돌출대편(137)을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활주판(119)는 압축스프링(131)의 압압력에 대하여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활주판(119)의 우측방향 이동 때문에, 평면캠부(125)는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7)의 접촉부가 그 기구를 온-상태로 이동시키도록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115)를 압축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 장치안의 창유리는 하방으로 이동된다.
이런 작동동안에, 계합돌출대편(138)은 계합통로(159)안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체결판(170)은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168)이 이동식 부재(165)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더라도 그 이동식 부재(165)는 단지 체결돌출부(171)과 접촉할 뿐 그것과 계합되지는 않는다.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어지면, 손잡이(139)는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고, 활주판(119)는 압축스프링(131)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간다. 그결과로, 작동기(115)에 대한 압축은 동시에 차단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7)은 창유리의 하방쪽 이동이 차단되도록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상부에 언급된 작동은 창유리를 내리는 작동에 있어서 소위 자기-복귀 작동방식 또는 수동 작동방식 으로 불리우고, 여기서 창유리의 하강은 손잡이(139)가 반시계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되고 그것이 작동자의 손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될때만 실행된다.
손잡이(139)가 미리 예정된 양보다 큰 양으로 제8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축부(1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되면, 클릭 또는 조절핀(147)은 경사부(151)의 최상부 근처의 V-자 홈안에 형성된 돌출부(153) 위까지 도달하며, 그로인해 회전조작동안 작동자에게 클릭감각을 제공한다.
손잡이(139)가 상기에 언급된 것같이 회전될 때, 계합돌출대편(137)은 더 큰 양으로 회전되고 활주판(119)는 예정된 양보다 더 많은 이동량을 가지고 제2방향으로 회전되며, 그와 관련하여 계합돌출대편(137)은 체결판(170)의 계합통로(159)의 좌측단부와 접하고 계합되기 때문에 체결판(170)은 압축 코일스프링(29),(31)의 압압력에 대하여 제2활주판(119)와 함께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된다. 또한, 솔레노이드(168)이 이동식 부재(165)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기 때문에, 이동식 부재(165)는 체결돌출부(171)의 우측단부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체결판(170)은 그 위치에 유지되고,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기 위해 제2활주판(119)와 함께 이동되지 못한다. 이 작동동안에, 만약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어져서 스프링(145)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손잡이(139)를 되돌린다면, 활주판(119)는 계합통로(159)안의 틈새(Cb)에 대응하는 양을 가지고 압축 코일스프링(31)의 압압력으로 인해 제1방향으로 되돌아가지만, 활주판(119)의 그 이상의 복귀는 체결판(170)에 의해 저지되고, 활주판(119)는 작동기(115)가 평면캠부(125)에 의해 예정된 일정한 양만큼 하방으로 계속해서 눌려지는 그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이 작동에 있어서,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에서 떨어지더라도, 작동기(115)는 파워 윈도우장치 안의 창유리가 하방으로 계속해서 이동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107)안의 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압축된다.
이런 작동이 소위 창유리를 하강시키기 위한 자기-유지 작동방식 또는 자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139)로부터 떨어지더라도 하방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한다.
게다가, 상기 언급된 이들 작동동안에, 솔레노이드(168)의 여자는 창유리가 그것의 최상부나 최하부에 도달한 것에 의해 파워 윈도우 모터안에서 하중변화의 탐지에 근거를 두고 작동자에 의한 손잡이(139)의 복귀나 역 조작에 근거를 두어 차단된다.
제14도 내지 제24도와 관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제3실시예의 스위치 장치가 이하에 설명될 것이다. 이전 실시예의 부분들과 기능적으로 대응하는 부분들은 유사한 도면부호나 특징들로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있어서, 단일 활주판(217)은 우측과 좌측방향, 즉 제14도 내지 제17도와 제19도 내지 24도에서 횡방향으로 활주되도록 안내부(209),(211) 양쪽에 끼워준다. 활주판(217)은 제1평면캠부(221)(제20도에 도시됨)과 제2평면캠부(225)(19도에 도시됨)를 포함하며, 그것들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한 사다리꼴 오목부를 구비하여 각각 형성된다. 활주판(217)이 제14,19,20도에 도시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좌측방향인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작동기(213)은 제1평면캠부(221)을 통해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하방쪽으로 내리 눌려진다. 활주판(217)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우측방향인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작동기(215)는 제2평면캠부(225)를 통해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하방쪽으로 내리 눌려진다.
활주판(217)은 조작 손잡이(239)의 조작단위(214)이 제19도에 도시된 것 같이 맞물려 있는 계합돌출대편(235)를 구비하며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안내부(209),(211)에 끼워지는 것은 케이스(203)에 대해 횡방향으로 활주할 수 있고 활주판(217) 위에 올려진 체결판(270)이다. 체결판(270)은 케이스(230)에 대해 횡방향으로 왕복운동 하지만, 그 위에 형성된 계합정지지구 돌출부(233)과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203)에 형성된 슬릿(35) 사이의 계합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체결판(270)은 통로(237)을 구비하며 형성되고 그 계합돌출대편(235)는 그 통로(237)을 통하여 상부쪽으로 돌출된다. 통로(237)과 계합돌출대편(235)는 서로 작동하도록 계합될 수 있다.
제14,19,20도에 도시된 것 같이, 활주판(217)과 체결합(270) 양쪽 모두가 그들의 중입위치에 있을 때, 틈새(Ca')와 틈새(Cb')는 각각 통로(237)안에 계합돌출대편(235)의 좌측부와 우측부에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통로(237)은 틈새(Ca')가 틈새(Cb')와 동일한 치수를 갖는다.
압축 코일스프링(229)는 체결판(270)의 좌측단부와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203)의 스프링대 부분(211a) 사이에 끼워지고, 반면에 압축 코일스프링(231)은 체결판(270)이 그것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에 유지되도록 체결판(270)의 우측단부와 케이스(203)의 스프링대 부분(211b) 사이에 끼워진다.
상기 언급된 배열형태에 따라서, 활주판(217)이 예정된 틈새(Ca')에 대응하는 이동량의 범위내에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예정된 틈새(Cb')에 대응하는 이동량의 범위내에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체결판(270)은 그것의 중립위치에서 유지된다. 즉, 활주판(217)이 틈새(Ca')에 대응하는 양으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계합돌출대편(235)는 활주판(217)을 체결판(270)과 계합시키기 위해 통로(237)의 좌측단부에 대해 접해있기 때문에, 체결판(270)은 활주판(217)의 초과된 이동동안 활주판(217)과 함께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활주판(217)과 연관되어 있다. 유사하게, 틈새(Cb')에 대응하는 양으로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계합돌출대편(235)는 활주판(217)을 체결판(270)과 계합시키기 위해 통로(137)의 우측단부에 대해 접해있기 때문에, 체결판(270)은 활주판(217)의 초과된 이동동안 활주판(217)과 함께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활주판(217)과 연관되어 있다.
체결판(270)은 사다리꼴 오목부를 구비하며 형성된 제3평면캠부(247)을 그것의 바닥부에 포함하며, 캠부(247)은 체결판(270)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213)을 하부쪽으로 압축시킨다. 체결판(270)은 또한 사다리꼴 오목부를 구비하며 형성된 제4평면캠부(249)를 그것의 바닥부에 포함하며, 그 캠부(249)는 체결판(270)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215)를 하부쪽으로 압축시킨다.
체결판(270)은 또한 그것의 중심부에 일체형으로 체결돌출부(271)을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솔레노이드 장치와 유사한 솔레노이드 장치(255)는 케이스(203)의 한쪽 측부에서 인쇄 배선기판(201) 위에 설치된다.
또 달리, 제25,26,27도에 도시된 것 같이 이 실시예의 단일 활주판은 제1실시예와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체결판이 그 안에서 생략되고 제1실시예의 그것과 유사한 솔레노이드 장치는 활주판에 직접 결합된다. 활주판이 결합돌출부를 구비하고 활주판의 양쪽측부에 위치된 압압스프링들이나, 조절 또는 클릭기구의 압압스프링에 의해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239)는 그것의 주축부(243)을 통해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위치 하우징 위에 회전가능하게 지탱되어 있기 때문에 손잡이(239)가 제19도에서 중립위치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될 때, 활주판(217)은 제1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된다. 손잡이(239)가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될 때, 활주판(217)은 제2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해 구동된다. 손잡이(239)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복귀스프링 수단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쪽으로 압압된다. 또한, 클릭 또는 조절 감각 적용수단은 손잡이(239)가 회전조작 동안에 예정된 양을 초과하여 회전될 때 클릭이나 조절감각을 통해 작동자에게 알리기 위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의 작동이 하에서 설명될 것이다.
창유리가 상부쪽으로 이동될 때, 손잡이(239)는 제19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주축부(2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조작과 관련하여, 조종단부(241)은 좌측방향, 즉 제1방향으로 이동되고, 그 결과 활주판(217)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계합돌출부(235)를 이동시킨다.
활주판(217)이 좌측방향 이동 때문에, 제1평면캠부(221)은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5)의 접촉부가 온-상태로 그 기구를 위치시키기 위해 이동되도록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를 압축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 장치안의 창유리는 상부쪽으로 올라간다.
이 작동동안에, 계합돌출대편(235)는 계합통로(237)안에서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체결판(270)은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268)이 이동식 부재(255)를 전방쪽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더라도, 이동식 부재(255)는 단지 체결돌출부(271)과 접촉할 뿐 그것과 결합되지는 않는다.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로부터 떨어지면, 손잡이(239)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고 활주판(217)은 그것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간다. 그 결과, 작동기(213)의 압축은 동시에 차단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5)는 창유리의 상승이 차단되도록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언급된 작동은 창유리의 상승작동에 있어서 소위 자기-복귀 작동방식 또는 수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의 상승은 단지 손잡이(239)가 시게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되고 그것이 작동자의 손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될때만 실행된다.
손잡이(239)가 예정된 양보다 큰 양으로 제19도에서 시계 방향으로 주축부(2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될 때, 클릭감각은 회전조작동안 작동자에게 제공된다. 손잡이(239)가 상기에 언급된 것같이 회전될 때, 활주판(217)은 예정된 양보다 큰 이동양으로 제1방향으로 이동되며, 그와 관련하여 계합돌출대편(235)는 체결판(270)의 계합통로(237)의 좌측단부와 접하고 계합되기 때문에, 체결판(270)은 압축 코일스프링(229)의 압압력에 대해 활주판(217)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된다. 그러므로, 제3평면캠부(247)은 또한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213)을 압축한다. 또한, 솔레노이드(268)이 이동식 부재(255)를 전방쪽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여자되기 때문에 이동식 부재(255)는 제16도에 도시된 것같이 체결돌출부(171)의 우측단부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체결판(270)은 그 위치에서 유지되며, 그것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활주판(217)과 함께 이동되지 못한다. 이 작동동안에, 만약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로부터 떨어져서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손잡이(239)를 되돌린다면, 활주판(217)은 제17도에 도시된 것같이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지만 작동기(213)은 예정된 일정한 양만큼 제3평면캠부(247)에 의해 눌려진다.
그러므로, 이 작동에 있어서,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로부터 떨어지더라도, 작동기(213)은 압축되어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5)에서 온-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파워 윈도우 장치안의 창유리는 상부쪽으로 계속해서 이동한다.
이 작동은 창유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소위 자기 유지 작동방식 또는 자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를 놓더라도 상부쪽으로 계속 이동한다.
창유리를 상승시키기 위한 상기 언급된 작동과 반대로, 창유리가 하부쪽으로 이동될 때, 손잡이(239)는 제19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축부(2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된다.
이 회전조작과 관련하여, 조종단부(241)은 우측방향, 즉 제2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활주판(217)이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계합돌출대편(235)를 제2방향으로 이동시킨다. 활주판(217)은 우측방향 이동으로 인해, 제2평면캠부(225)는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7)의 접촉부가 그 기구를 온-상태로 놓기위해 이동되도록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215)를 압축한다. 따라서, 파워 윈도우 장치안의 창유리는 하부쪽으로 이동된다.
이 작동동안에, 계합돌출대편(235)는 계합통로(237) 안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되지만, 체결판(270)은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솔레노이드(268)이 이동식 부재(255)를 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여자되더라도 이동식 부재(255)는 단지 체결돌출부(271)과 접촉만하고 그것과 결합되지는 않는다.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로부터 떨어지면, 손잡이(239)는 복귀스프링의 압압력에 의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고 활주판(217)은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간다. 그 결과로서, 작동기(215)에 대한 압축은 동시에 차단된다. 따라서,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7)은 창유리의 하방쪽 이동을 차단하기 위해 오프-상태로 되돌아간다.
상기 언급된 작동은 창유리를 하강시키는 작동에 있어서 소위 자기-복귀 작동방식 또는 수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의 하강은 단지 손잡이(239)가 반시계 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되고 그것이 작동자의 손에 의해 그 위치에 유지될때에만 실행된다.
손잡이(239)가 예정된 양보다 큰 양으로 제19도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주축부(243)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될 때, 클릭감각은 회전조작동안 작동자를 위해 제공된다.
손잡이(239)가 상기 언급된 것같이 회전될 때, 활주판(217)은 예정된 양보다 더 큰 이동량을 가지고 제2방향으로 이동되고, 그와 관련하여 계합돌출대편(235)는 체결판(270)이 압축 코일스프링(231)의 압압력에 대해 활주판(217)과 함께 그것의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체결판(270)의 계합통로(237)의 우측단부와 접하고 결합된다. 그러므로, 제4평면캠부(249)는 예정된 일정한 양에 의해 작동기(215)를 압축한다. 더욱이, 솔레노이드(268)은 이동가능한 부재(255)를 전방쪽으로 구동시키기 위해 여자되므로, 이동식 부재(255)는 체결돌출부(271)의 좌측단부와 결합된다.
그러므로, 체결판(270)은 그 위치에서 유지되고 그것의 중립위치로 되돌아가기 위해 활주판(217)과 함께 이동되지 못한다. 이 작동동안에, 만약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로부터 떨어져서 그것의 중립위치로 손잡이(239)를 되돌린다면, 활주판(217)은 압축 코일스프링(231)의 압압력으로 인해 그것의 중립위치까지 되돌아가지만, 체결판(270)은 작동기(125)가 제4평면캠부(249)를 통해 예정된 일정한 양으로 하방으로 계속 압축되도록 그것의 위치에서 유지된다.
그러므로, 이 작동에 있어서,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를 놓을지라도, 작동기(215)는 파워 윈도우 장치의 창유리가 하부로 계속 이동하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207) 안에서 온-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계속해서 압축된다.
이 작동이 창유리를 아래로 하강하기 위한 소위 자기-유지 작동방식 또는 자동 작동방식이라 불리우며, 여기서 창유리는 작동자의 손이 손잡이(239)를 놓더라도 계속 하부쪽으로 이동한다.
또한, 상기 언급된 이들 작동동안에, 솔레노이드(268)의 여자는 창유리가 그것의 최상부나 그것의 최하부에 도달하기 때문에 파워 윈도우 모터 안에서 하중 변화의 탐지에 근거를 두고 작동자에 의한 손잡이(239)의 복귀나 역 조종에 근거를 두어 차단된다.
제25,26,27도는 본 발명에 제4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장치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언급된 것같이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제3실시예의 활주판(217)과 유사한 단일 활주판(401)이 사용되고 제1실시예의 솔레노이드 장치(55)와 유사한 양 방향 형태의 솔레노이드 장치(402)가 계합부분(402)를 통해 활주판(401)에 직접 연결한다. 계합부분(402)는 손잡이(404)의 조종단부(403)과 계합되기 위해 제25도에서 상부쪽으로 활주판(401)로부터 돌출하고, 솔레노이드 장치(402)의 이동식 부재(405)와 계합되기 위해 제26도에서 하부쪽으로 활주판(401)로부터 돌출된다. 따라서, 활주판(401)과 이동식 부재(405)는 손잡이(404)의 회전조작과 연관하여 이동된다. 또한, 제27도에 도시된 것같이, 조절 또는 클릭 기구(406)은 전기 실시예에서와 같이 손잡이(404)와 하우징(405)안에 제공된다. 스프링(407)에 의해서, 손잡이(404)와 활주판(401)과 이동식 부재(405)는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손잡이(404)가 활주판(401)을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되고 그로인해 예정된 양을 초과하여 이동식 부재(405)를 이동시킬 때, 이동식 부재는 활주판(401)이 작동기를 계속해서 압축하도록 흡착부(407) 위에 흡인되고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그 위치에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각각의 작동기에 대한 압축량은 단순히 대응하는 캠부재의 캠배열에 의해 정해지고, 활주판의 이동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작동기에 대한 압축량은 활주판의 이동변화와 상관없이 일정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활주판이 작동에 있어서 일정치 않은 양으로 이동될지라도,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의 일정한 부분은 원하는 상태로 확실하고 적절하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서, 세 개의 이동위치, 즉 기구를 오프-상태로 놓는 중립위치와 예를들어 파워 윈도우의 창유리가 상부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기구를 놓는 상방 이동위치와 창유리가 하부쪽으로 이동되는 상태로 기구를 놓는 하방 이동위치를 구비하고, 또한 두 개의 작동방식위치, 즉 상방이동과 하방이동 위치들의 부분품들이 정확한 치수를 가져야 하고 서로 정확하게 조립되어야 하는 필요조건의 필요없이, 높은 생산성과, 실행의 안정성과, 작동의 신뢰성 및 내구성을 구비할 수 있다.
게다가, 마이크로 스위치 기구가 전기적인 접촉부를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접촉부들은 전체 스위치 장치가 먼지나 주위의 습기등과 같은 주변환경에 의해 불리한 영향을 받지 않도록 마이크로 스위치 케이스안에 밀봉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및 제3실시예에 따라서, 체결판이 상방 이동위치와 하방 이동위치의 각각에서 자기유지 위치를 얻기위해 사용되므로, 체결판을 적소에 유지하기 위해 이동식 부재가 그것의 최고 행정으로 전방위치와 후방위치의 단지 두 개의 위치에서만 선택적으로 위치되는 편도형태의 스위치의 이동위치 유지용 솔레노이드 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솔레노이드 장치는 이동식 부재가 세 개의 위치에서 작동하도록 위치되고 체결판이 적소에 확실하게 유지됨으로써 자기 유지 작동을 확고히 해줄 수 있는 양방향 형태의 솔레노이드 장치와 비교하여 구조상 간단하게 제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와 범위내에서 다른 설계들이 상기 실시예를 수용한 후에 당업계에 분명해질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청구범위와 관련하여 나타낸다.

Claims (10)

  1. 스위칭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면서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작동기들중의 하나가 압축되었을 때 대응되는 스위치 기구 접촉부분이 독립적으로 스위칭되게 되는 스위치 케이스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식으로 제공되며, 제1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캠부분을 구비하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향된 제2방향으로 활주되지 않게 되는 상기 제1활주판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식으로 제공되고, 제2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구비하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상기 제2활주판 ; 상기 제1활주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압압하고 상기 제2활주판을 상기 제1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 ; 상기 제1활주판상에 형성되는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상에 형성되는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 계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계합부분을 갖는 손잡이 ; 및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면서, 상기 제1활주판의 상기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의 상기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 계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되는 상기 이동식 부재 ; 및 상기 이동식 부재에 제1흡인력을 인가시켜 상기 제1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식 부재에 제2흡인력을 인가시켜 상기 제2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식 부재가 상기 제1또는 제2방향으로 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가 그 위치에서 유지되게 하는 전기적 흡인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2.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면서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작동기들중의 하나가 압축되었을 때 대응되는 스위치기구 접촉부분이 독립적으로 스위칭되게 되는 스위치 케이스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식으로 제공되며, 제1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캠부분을 구분하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에 대향된 제2방향으로 활주되지 않게 되는, 상기 제1활주판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식으로 제공되고, 제2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게 되는 캠부분을 구비하며,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되는 상기 제2활주판 ; 상기 제1활주판상에 형성되는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상에 형성되는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에 형성되는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 계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한 계합부분을 갖는 손잡이 ;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제1활주판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1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상기 제1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제1활주판과 계합되며, 상기 제2활주판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상기 제2활주판과 함께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되기 위해 상기 제2활주판과 계합되는 체결판 ; 상기 제1활주판을 상기 제2방향으로 압압하고 상기 제2활주판을 상기 제1방향으로 압압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 ; 및 상기 제1 및 제2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며 비-여자상태에서 전방지점에 위치되고 여자상태에서 후방지점에 위치되게 되는 이동식 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위치에 있는 이동가능한 부재가 상기 체결판과 계합되어 상기 체결판을 그 위치에 보유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3.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면서 서로 인접되는 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작동기들중의 하나가 압축되었을 때 대응되는 스위치 기구 접촉부분이 독립적으로 스위칭되게 되는 스위치 케이스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고,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되었을 때 상기 제1작동기를 예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1캠부분 및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작동기를 상기 예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2캠부분을 갖는 상기 활주판 ;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상기 활주판을 구동시키기 위해 상기 활주판과 계합되는 손잡이 ;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며, 상기 활주판이 상기 제1방향으로 제1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활주판과 함께 이동되기 위해 상기 활주판과 계합되고, 상기 활주판이 상기 제2방향으로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활주판과 함께 이동되기 위해 상기 활주판과 계합되며,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3캠부분 및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작동기를 예정된 일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4캠부분을 갖는 상기 체결판 ; 상기 체결판을 그 중립위치를 향하여 압압하기 위한 스프링 수단 및 상기 제1 및 제2방향들에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면서 비-여자 상태에서 전방으로 위치되고 여자상태에서 후방으로 위치되어 상기 체결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전방지점에서상기 체결판과 계합되어 상기 체결판을 그 위치에 보유하게 되는 이동가능한 부재를 포함하는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유지용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4.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케이스의 외면으로부터 각각 돌출되면서 서로 인접되는각각의 제1 및 제2작동기들을 갖는 스위치 기구들을 그 내부에 수용하고, 상기 작동기들중의 하나가 압축되었을 때 대응되는 스위치 기구 접촉부분이 독립적으로 스위치되게 되는 스위치 케이스 ;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기 외면상에 활주가능하게 제공되고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1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1작동기를 예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1캠부분 및 활주판이 중립위치로부터 제2방향으로 이동될 때 상기 제2작동기를 예정량만큼 압축시키는 제2캠부분을 갖는 상기 활주판 ; 상기 활주판상에 형성되는 계합돌출부와 계합되면서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왕복적으로 이동가능하게 되는 계합부분을 갖는 손잡이 ; 및 스위치의 이동된 위치를 유지하기 위한 솔레노이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솔레노이드 수단은,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고 상기 계합돌출부와 계합되어 상기 제1 및 제2방향으로의 이동이 그로 인해 제한되게 되는 이동부재 ; 및 상기 이동식 부재에 제1흡인력을 인가시켜 상기 제1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키고 상기 이동식 부재에 제2흡인력을 인가시켜 상기 제2작동기를 압축시킴으로써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이동식 부재를 이동시켜 상기 이동식 부재가 상기 제1 또는 제2방향으로 예정량을 초과하여 이동될 때 상기 이동식 부재가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기적 흡인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치 장치.
  5. 기구를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회전에 응답하여 주어진 방향으로 손잡이 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손잡이 단부 이동에 따라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활주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활주판 이동에 응답하여 제1예정량만큼 작동기를 압축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압축에 응답하여 상기 기구를 온-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더 회전될 때에는, 상기 활주판상의 계합돌출부와 계합되는 이동식 부재를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흡인부분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이동식 부재 및 상기 흡인부분 사이의 힘이 스프링의 압압력보다 크게되도록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더 회전될때에는, 상기 활주판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활주판상의 계합돌출부를 체결판과 접지시키는 단계 ; 상기 접지에 응답하여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상기 체결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체결판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작동기를 압축시켜 상기 손잡이가 이완되었을 때 상기 활주판이 중립위치로 복귀되도록 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체결판으로 인해 상기 제1예정량만큼 압축된 상태로 존재되도록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8. 기구를 스위칭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손잡이를 회전시키는 단계 ; 상기 회전에 응답하여 주어진 방향으로 손잡이 단부를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손잡이 단부의 이동에 응답하여 스프링의 압압력에 대해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제1활주판 및 제2활주판중의 하나를 이동시키는 단계 ; 상기 활주판 이동에 응답하여 제1예정량만큼 작동기를 압축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압축에 응답하여 상기 기구를 온-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더 회전될 때에는, 상기 제1활주판상의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상의 제2계합돌출부 사이에서 계합되는 이동식 부재를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흡인부분을 향하여 이동시켜 상기 이동식 부재 및 흡인부분 사이의 힘이 상기 압압력 보다 크게되도록 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가 제2예정량을 초과하여 더 회전될 때에는, 상기 이동된 활주판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제1활주판상의 제1계합돌출부 및 상기 제2활주판상의 제2계합돌출부중의 하나를 체결판과 접지시키는 단계 ; 상기 접지에 응답하여 상기 주어진 방향으로 상기 체결판을 이동시키는 단계 ; 및 상기 체결판 이동에 응답하여 상기 작동기를 압축시켜 상기 손잡이가 이완될 때 상기 이동된 활주판을 중립위치로 복귀도록 하고 상기 작동기는 상기 체결판으로 인해 상기 제1예정량만큼 압축된 상태로 존재되도록 하는 단계로 또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위칭 방법.
KR1019920011441A 1991-06-28 1992-06-27 스위치 장치 KR9700001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49870 1991-06-28
JP91-49871 1991-06-28
JP049870U JPH056609U (ja) 1991-06-28 1991-06-28 スイツチ装置
JP050047U JPH056611U (ja) 1991-06-28 1991-06-28 スイツチ装置
JP049871U JPH056610U (ja) 1991-06-28 1991-06-28 スイツチ装置
JP91-50047 1991-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57A KR930001257A (ko) 1993-01-16
KR970000114B1 true KR970000114B1 (ko) 1997-01-04

Family

ID=27293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1441A KR970000114B1 (ko) 1991-06-28 1992-06-27 스위치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293143A (ko)
KR (1) KR97000011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75B1 (ko) * 2007-03-09 2008-03-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101021557B1 (ko) * 2007-11-05 2011-03-16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특히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인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3277B2 (ja) * 1996-01-18 2004-08-11 株式会社マキタ バッテリー式電動機器の充電装置
GB0100772D0 (en) * 2001-01-11 2001-02-21 Itw Ltd Slide actuated switch
GB2418779B (en) * 2004-09-30 2007-08-22 Alps Electric Co Ltd Sliding operation switch
DE102005046801A1 (de) * 2005-09-30 2007-04-05 Leopold Kostal Gmbh & Co. Kg Elektrische Schalteinrichtung
CN108885955B (zh) * 2016-03-30 2020-03-27 上海延锋金桥汽车饰件系统有限公司 用于控制台组件的机构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128752C2 (de) * 1980-10-04 1984-10-11 Zahnradfabrik Friedrichshafen Ag, 7990 Friedrichshafen Wendeschalter für Kraftfahrzeuge
JPH01161956U (ko) * 1988-04-28 1989-11-10
JPH0366133U (ko) * 1989-10-31 1991-06-27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2475B1 (ko) * 2007-03-09 2008-03-10 주식회사 신창전기 차량용 저부하 스위치
KR101021557B1 (ko) * 2007-11-05 2011-03-16 테에르베 오토모티브 일렉트로닉스 운트 콤포넌츠 게엠베하 특히 윈도우 리프터 스위치인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1257A (ko) 1993-01-16
US5293143A (en) 1994-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00825B1 (en) Switch device
US611823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ecting dynamic braking of a direct current motor
CA2135337C (en) Detented rocker switch
US5099091A (en) Three position multiple switch assembly with interlock
JP4123793B2 (ja) 押しボタンスイッチ
KR970000114B1 (ko) 스위치 장치
US5957273A (en) Universal switch
US4968862A (en) Multiple circuit switch device with drain passage
EP1498923A1 (en) Switch device
KR970000115B1 (ko) 스위치 장치
US5089715A (en) Multiposition switch device for controlling a driving means
US4760221A (en) Multiple contact switch
US5216399A (en) Automatic cancelling device for blinkers
US6838630B2 (en) Switch device
US3821534A (en) Hinged keyboard switch
US5468926A (en) Switch device
US5735391A (en) Dual slide three-position switch
EP0048552A1 (en) Electrical switches with a simplified assembly sequence
JPH056609U (ja) スイツチ装置
JPH056611U (ja) スイツチ装置
JP2002237229A (ja) キースイッチ装置の組立方法
JPH056610U (ja) スイツチ装置
CA2115872C (en) Axially operated switch for electrical circuits
KR0139457Y1 (ko) 슬라이더 작동식 마이크로스위치
JPH058842U (ja) スイツ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