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33137A - 프레임 데시메이션(decimation)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프레임 데시메이션(decimation)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33137A
KR960033137A KR1019950003957A KR19950003957A KR960033137A KR 960033137 A KR960033137 A KR 960033137A KR 1019950003957 A KR1019950003957 A KR 1019950003957A KR 19950003957 A KR19950003957 A KR 19950003957A KR 960033137 A KR960033137 A KR 960033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otion vectors
current frame
previous frame
skipp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39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0174462B1 (ko
Inventor
정해묵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039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4462B1/ko
Publication of KR960033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31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4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4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8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sub-sampling or interpolation, e.g. decimation or subsequent interpolation of pictures in a video sequ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2Sampling, masking or truncation of coding units, e.g. adaptive resampling, frame skipping, frame interpolation or high-frequency transform coefficient mas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3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criterion affecting or controlling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6Incoming video signal 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 H04N19/137Motion inside a coding unit, e.g. average field, frame or block difference
    • H04N19/139Analysis of motion vectors, e.g. their magnitude, direction, variance or reli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picture, frame or fiel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pix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13Processing of motion vec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 H04N19/50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predictive coding involving temporal prediction
    • H04N19/51Motion estimation or motion compensation
    • H04N19/537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 H04N19/54Motion estimation other than block-based using feature points or mesh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을 프레임 데시메이션 기법과 특징점을 이용한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 및 보상을 이용하는 비디오 신호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영상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의 실현을 위해, 본 발명에 채용되는 부호화 수단은,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양의 정수인 N개의 프레임을 스킵하면서 다수의 프레임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추정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을 추정된 변위로 보상하여 화소 단위로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감산하여 차분신호를 제공하고, 그 차분신호와 추정된 변위를 표시하는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또한 복호화수단은,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차분신호와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를 복원하는 수단; 복원된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에 근거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추정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을 추정된 변위로 보상하여 상기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수단; 복원된 상기 예측 현재 프레임을 상기 차분신호에 가산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과 복원된 상기 현재 프레임간의 N개의 스킵된 프레임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한 것이다.

Description

프레임 데시메이션(decimation)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현재 프레임 예측블럭을 포함한 영상 부호화기의 블록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현재 프레임 예측블럭의 상세한 블록구성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영상 부호화기에 상응하는 본 발명에 따른 영상 복호화기의 블록구성도.

Claims (5)

  1.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과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복원된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영상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은, 상기 비디오 신호로부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 사이에 존재하는 양의 정수인 N개의 프레임을 스킵하면서 다수의 프레임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추정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을 추정된 변위로 보상하여 화소단위로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제공하는 수단; 상기 현재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감산하여 차분신호를 제공하고, 그 차분신호와 추정된 변위를 표시하는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를 부호화하여 부호화된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복호화수단은, 부호화된 신호를 복호화하여 상기 차분신호와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를 복원하는 수단; 복원된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에 근거하여,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간의 변위를 추정하고, 상기 이전 프레임을 추정된 변위로 보상하여 상기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수단; 복원된 상기 예측 현재 프레임을 상기 차분신호에 가산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을 복원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과 복원된 상기 현재 프레임간의 N개의 스킵된 프레임을 결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호화수단내의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이전 프레임에 포함된 화소로부터 각각이 물체의 움직임을 대표하는 화소점인 다수의 특징점을 선택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과 현재 프레임을 비교하여 각 특징점에 대한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를 검출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 각각은 상기 이전 프레임의 선택 특징점중 하나와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가장 유사한 화소간의 변위인 비교수단;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와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화소에 대한 제2세트의 움직임벡터를 구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을 상기 제2세트의 움직임벡터로 보상하여 상기 예측된 현재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호화수단내의 상기 추정수단은, 상기 이전 프레임에 포함된 화소에 근거하여 상기 다수의 특징점을 복원하는 수단; 복원된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와 복원된 상기 특징점에 근거하여 상기 현재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화소에 대한 상기 제2세트의 움직임벡터를 복원하는 수단; 상기 이전 프레임을 복원된 상기 제2세트의 움직임벡터로 보상하여 복원된 상기 예측 현재 프레임을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킵된 프레임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다수의 움직임벡터와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i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 각각은 상기 이전 프레임의 상기 특징점 각각을 상기 이전 프레임의 해당 특징점 각각 곱하기 i/(N+1) 만큼 이동함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ⅰ번째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 각각과 상기 이전 프레임의 각각의 특징점간의 움직임벡터는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 각각에 i/(N+1)을 곱함으로서 결정하는 수단; 상기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화소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상기 다수의 움직임벡터와 상기 i 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을 이용하여 결정하여 상기ⅰ번째 프레임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스킵된 프레임을 결정하는 수단은, 상기 다수의 움직임벡터와 상기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을 결정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 각각은 상기 현재 프레임의 특징점 각각을 상기 복원된 현재 프레임의 해당 특징점 각각 곱하기 (N+1-i)/(N+1)만큼 이동함으로서 결정하고, 상기 ⅰ번째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 각각과 복원된 상기 현재 프레임의 각각의 특징점간의 움직임벡터는 상기 제1세트의 움직임벡터 각각에 (N+1-i)/(N+1)을 곱합으로서 결정하는 수단; 상기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에 포함된 모든 화소에 대한 움직임벡터를 상기 다수의 움직임벡터와 상기 ⅰ번째 스킵된 프레임의 상응하는 수의 화소점을 이용하여 결정하여 상기 ⅰ번째 프레임을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950003957A 1995-02-28 1995-02-28 프레임 데시메이션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01744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957A KR0174462B1 (ko) 1995-02-28 1995-02-28 프레임 데시메이션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03957A KR0174462B1 (ko) 1995-02-28 1995-02-28 프레임 데시메이션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3137A true KR960033137A (ko) 1996-09-17
KR0174462B1 KR0174462B1 (ko) 1999-03-20

Family

ID=19408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3957A KR0174462B1 (ko) 1995-02-28 1995-02-28 프레임 데시메이션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446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4462B1 (ko) 1999-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36707A (ko)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KR0148154B1 (ko) 움직임크기에 따른 동영상데이타의 부호화방법 및 장치
JP3347954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KR950010644A (ko) 공간 스케일가능 비디오 엔코딩 및 디코딩
KR970073155A (ko) 윤곽 영상신호 부호화 장치(apparatus for encoding contour of images)
BR9510541A (pt) Processo e aparelho para codificar um sinal de vídeo usando uma estimação de moviemento com base em um ponto de recurso
KR960040014A (ko) 특징점을 이용한 움직임 보상에서의 그리드 형성방법 및 장치
KR960036706A (ko) 비디오신호 부호화 장치
KR960039997A (ko) 특징점 기반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여 비디오 신호를 부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
KR960033128A (ko) 디지탈 영상 복호화 방법
KR960028555A (ko) 동화상 부호화 방법 및 동화상 복호화 방법
WO1995033341A1 (en) Moving image encoding and decoding device
KR101810118B1 (ko) 프로파일 정보 기반 움직임 추정장치 및 방법
KR960033137A (ko) 프레임 데시메이션(decimation)과 화소단위 움직임 추정을 이용하는 영상처리 시스템
JPS6351632B2 (ko)
KR940020837A (ko) 화상부호화방법 및 화상부호화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oving picture coding)
KR940006409A (ko) 화상정보에 포함된 이동 벡터 검출방법
JP4326758B2 (ja) 動画像符号化装置及び動画像復号化装置
JP2596352B2 (ja) 小数精度動きベクトル探索装置
KR970019648A (ko) 반화소 단위 움직임 추정방법
KR101895822B1 (ko) 프로파일 정보 기반 움직임 추정장치 및 방법
KR940001733A (ko) 화상데이타압축에서의 움직임추정방법 및 그 장치
JP4571173B2 (ja) 動画像復号化装置
JP4264606B2 (ja) データ処理装置およびデータ処理方法
JP4875187B2 (ja) 動画像復号化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