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141B1 - 광픽업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141B1
KR960016141B1 KR1019930022590A KR930022590A KR960016141B1 KR 960016141 B1 KR960016141 B1 KR 960016141B1 KR 1019930022590 A KR1019930022590 A KR 1019930022590A KR 930022590 A KR930022590 A KR 930022590A KR 960016141 B1 KR960016141 B1 KR 960016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medium
light
incident
light emitting
optical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2361A (ko
Inventor
김성민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2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6141B1/ko
Publication of KR9500123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23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1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25Optical beam sources therefor, e.g. laser control circuitry specially adapted for optical storage devices; Modulators, e.g. means for controlling the size or intensity of optical spots or optical traces
    • G11B7/127Lasers; Multiple laser array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135Means for guiding the beam from the source to the record carrier or from the record carrier to the detector
    • G11B7/1381Non-lens elements for altering the properties of the beam, e.g. knife edges, slits, filters or stop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광픽업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 2 도(A)와 (B)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에 채용가능한 발광부의 회전기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 3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에 대한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 4 도는 제 1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다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제 5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에서 채용가능한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2 실시예는 나타낸 도면.
제 7 도는 제 6 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2 실시예에서 채용가능한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보호막2A : 편광막
2B : 반사막10 : 기록매체
20 : 대물렌드30 : 콜리메이트렌즈
40 : 빔스플리터50 : 레이저발광부
60 : 광검출부100 : 차광판
200,300,400 : 광흡수막
본 발명은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이 형성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대용량의 정보데이터가 기록된 광디스크와 같은 기록매체는 통상적으로 정보를 나타내는 다수의 피트가 형성된 단일의 정보기록층을 갖추게 되는 바, 그러한 기록매체에서 정보데이터의 보다 높은 기록밀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광픽업장치에 의해 집광되는 스폿(spot)의 크기를 작게 해주어야만 되지만, 그와 같이 스폿의 크기를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광의 파장을 짧게하거나 대물렌즈의 개구를 크게 주어야만 된다.
그러나, 대물렌즈의 개구를 크게 하면 촛점심도가 짧아지게 될 뿐만 아니라 렌즈의 설계 및 제조가 어렵기 때문에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광의 파장을 짧게 하는 방향으로 개발이 진행되고는 있지만, 아직 괄목할 만한 진전이 없는 상황이다.
그에 대해, 기록매체에 기록되는 정보데이터의 양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기록매체의 전체적인 치수를 크게 해서 정보기록용량이 보다 증대되도록 해주는 방안이 고려될 수는 있지만, 그 경우에는 디스크재생시스템의 기구적 설계의 변경도 수반되어야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하나의 기록매체의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형성해서 정보의 기록용량을 2배 이상으로 증가시키는 방안이 제안된 상태이다.
여기서, 통상적인 기록매체 재생시스템에 구비되는 광픽업장치는 대체로 정형화된 초점심도를 갖도록 설계되기 때문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이 형성된 기록매체의 재생에는 적용 불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의 개발이 요망되는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형성된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수직/수평편광빔을 적용하여 독취할 수 있도록 된 광픽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광픽업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상기 발광부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 그 빔스플리터로부터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 및, 그 콜리메이트렌즈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투사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빔스플리터를 매개로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광검출부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90°회전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수직편광빔과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에는 상기 발광소자의 회전을 위한 회전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발광소자로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 광픽업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회전기구는 모터와, 그 모터에 연결된 제 1 기어, 상기 발광부에 연결된 제 2 기어 및, 상기 제 1 기어와 제 2 기어사이에서 상기 제 1 기어의 회전을 상기 제 2 기어로 전달하는 커플러기어가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커플러기어에는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기어를 매개로 인가받아 상기 제 2 기어에 상기 발광소자의 90°회전력으로 전달하기 위한 톱니가 형성된다.
또,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 사이에는 상기 콜리메이트렌즈로부터 상기 대물렌즈의 중심부분으로 입사되는 빔을 차단해서 입사빔이 상기 기록매체에 수직하게 입사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광판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차광판을 대신하여 상기 대물렌즈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을 형성해도 된다.
더욱이, 상기 발광소자는 상부면에 윈도우를 갖춘 하우징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차광수단으로서는 그 윈도우에 상기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빔의 중심부분을 차단하기 위한 광흡수막으로 형성되어도 바람직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 그 빔스플리터로부터의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 및, 그 콜리메이트렌즈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투사하는 대물렌즈 및,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빔스플리터를 매개로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광검출부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록매체에 형성된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해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제1 및 제 2 발광소자로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광픽업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양태에 따르면,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와, 그 발광부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 그 빔스플리터로부터의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 및, 그 콜리메이트렌즈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에 투사하는 대물렌즈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기록매체의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대한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기록매체로부터의 반사빔을 상기 빔스플리터를 매개로 수광하여 수평편광빔과 수직편광빔을 분리시키는 편광빔 스플리터와, 그 편광빔 스플리터로부터 수평편광빔을 수광하여 포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제 1 광검출부 및,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로부터 수직편광빔을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제 2 광검출부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제1 및 제 2 발광소자로 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광픽업장치가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렌즈로부터 상기 대물렌즈의 중심부분으로 입사되는 빔을 차단해서 입사빔이 상기 기록매체에 수직하게 입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차광판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대물렌즈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으로 형성되고, 또는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300)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 및 제 2 발광소자는 상부에 윈도우를 갖춘 하우징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윈도우에 광흡수막으로 형성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10은 상부가 제 1 정보기록층으로 기능하는 투명기판(3)과, 상기 투명기판(3)상에 설치된 편광막(2A), 상기 편광막(2A)상에 설치되어 그 상부가 제 2 정보기록층으로 기능하는 투명층(4), 상기 투명층(4)상에 설치된 반사막(2B) 및, 상기 반사막(2B)상에 형성된 보호막(1)으로 이루어진 기록매체를 나타내는 바, 그러한 종류의 기록매체(10)로서는 레이저디스크라든지 콤팩트디스크와 같은 광디스크와 광자기 테이프 등이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편광막(2A)은 상기 투명기판(3)을 통해서 입사되는 수직편광빔은 반사시키는 반면 수평편광빔은 투과시키도록 형성되고, 상기 반사막(2B)은 상기 투명기판(3)과 상기 편광막(2A) 및 투명층(4)을 통해서 입사되는 수평편광빔을 반사시키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도의 광픽업장치에는 상기 발광부(50)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40)와, 상기 빔스플리터(40)로부터의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30),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10)에 투사하는 대물렌즈(20), 및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 반사되는 반사빔을 상기 대물렌즈(20)와 콜리메이트렌즈(30) 및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인가받아 상기 기록매체(10)에 대한 포커싱 및 트래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도록 된 광검출부(60)가 설치된다.
또, 상기 기록매체(10)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50)는 90°회전에 의해 수직편광빔과 수평편광빔을 발생하게 레이저다이오드와 같은 발광소자를 포함하게 된다.
또한, 상기 대물렌즈(20)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 사이에는 차광판(100)이 설치되는 바, 그 차광판(100)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 상기 대물렌즈(20)의 중심부분으로 입사되는 빔을 차단하게 된다. 즉, 그 차광판(100)은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편광빔 및/또는 수평편광빔이 수직하게 입사될 경우 상기 기록매체(10)의 편광막(12)에서 수직편광빔과 수평편광빔이 모두 반사될 우려를 제거하게 된다. 그와 같이 차광판(100)을 설치하더라도 대물렌즈(20)의 해상도가 그다지 영향을 받지는 않게 되는바, 대물렌즈(20)의 중심부분을 차광한 상태에서도 대물렌즈의 해상도를 감소시키지 않도록 하는 구성의 응용방식은 알려진 상태이다.
그리고, 상기 발광부(50)에는 제 2 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구동회로(21)에 의해 구동제어되는 모터(22)와 이 모터(22)에 연결된 제 1 기어(23), 상기 발광부(50)에 연결된 제 2 기어(25) 및 상기 제 1 기어(23)와 제 2 기어(25)사이에서 상기 제 1 기어(23)의 회전을 상기 제 2 기어(25)로 전달하는 커플러기어(24)에 의한 회전기구가 연결된다.
상기 모터구동회로(21)는 상기 기록매체(10)의 제1 및 제 2 정보기록층 중에서 정보의 독취대상으로 되는 정보기록층에 대응하여 제어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제어되어 상기 모터(22)를 정역구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발광부(50)의 발광소자가 90°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커플러기어(24)의 주변에는 제 2 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터(22)의 회전력을 제 1 기어(23)를 매개로 인가받아 상기 발광소자의 90°회전력으로 전달되도록 상기 제 2 기어(25)와 치합되는 톱니가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먼저, 기록매체(10)의 투명기판(3)에 형성된 제 1 정보기록층의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경우에는 발광부(50)의 발광소자가 수직편광빔을 방사하도록 해서 그 수직편광빔이 빔스플리터(40)와 콜리메이트렌즈(30) 및 대물렌즈(20)를 매개로 기록매체(10)에 입사되도록 하게 되면, 상기 수직편광빔이 기록매체(10)의 편광막(2A)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된 수직편광빔이 대물렌즈(20)와 콜리메이트렌즈(30) 및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광검출부(60)에 입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광검출부(60)에 입사된 반사빔을 기초로 상기 기록매체(10)의 제 1 정보기록층에 대한 포커싱 및 트래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기록매체의 투명층(4)에 형성된 제 2 정보기록층을 독취할 경우에는 제어수단(도시 생략)의 제어하에 상기 모터구동회로(21)에 의해 모터(22)가 회전하게 되고, 그 모터(22)의 회전에 제 1 기어(23)와 커플링 기어(24) 및 제 2 기어(25)의 작용에 의해 발광부(50)에 전달되어 발광소자에서는 수평편광빔이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에서 발생된 수평편광빔이 빔스플리터(40)와 콜리메이트렌즈(30) 및 대물렌즈(20)를 매개로 기록매체(10)에 입사되면, 그 수평편광빔이 기록매체(10)의 편광막(2A)을 투과하여 투명층(4)을 매개로 반사막(2B)에서 반사되고, 그 반사된 수평편광빔이 대물렌즈(20)와 콜리메이트렌즈(30) 및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광검출부(60)에 입사되게 되며, 그에 따라 상기 광검출부(60)에 입사된 반사빔을 처리하여 상기 기록매체(10)의 제 2 정보기록층에 대한 포커싱 및 트래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1 실시예에 의하면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간단한 구성으로 독취할 수 있게 된다.
제 3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제 3 도에 도시된 변형예는 제 1 실시예의 차광판(100)을 대신하여 대물렌즈(2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200)을 형성해서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 대물렌즈(20)의 중심부분으로 인가되는 편광빔을 흡수하도록 된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광픽업장치의 구조를 간단화할 수 있게 된다.
제 4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제 4 도의 구성에서는 상기 차광판(100)을 대신하여 콜리메이트렌즈(3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300)을 형성해서 빔스플리터(40)로부터 콜리메이트렌즈(30)의 중심부분으로 인가되는 편광빔을 흡수하도록 된 점이 제 1 실시예와 다르고, 그러한 구성에 의해서도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과 더불어 광픽업장치의 크기를 저감시킬 수 있게 된다.
제 5 도는 상기 제 1 실시예 및 그 변형예에 채용가능한 발광부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 1 도의 발광부(50)에 구비되는 발광소자(56)는 제 2 도(A)와 (B)에 나타낸 회전기구에 연결된 베이스(58)상에 설치됨과 더불어 상부면에 윈도우(54)가 설치된 하우징(52)에 의해 커버링된다. 따라서, 상기 발광소자(56)에서의 발광빔이 상기 윈도우(54)를 통과하여 빔스플리터(40)에 입사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차광판(100)과 광흡수막(200,300)을 대신하여 상기 윈도우(54)의 중심부분에 광흡수막(400)을 설치해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실시예에서는 제 7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광부(50)를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56A)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56B)를 갖추어 구성해도 되는데, 이 경우에는 모터(22)와 기어(23,24,25)에 의한 회전기구의 구성은 필요없게 된다. 그리고, 이 경우에도 상기한 차광판(100)과 광흡수막(200,300)을 대신하여 윈도우(54)의 중심부분에 광흡수막(400)을 설치해도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마찬가지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제 6 도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장치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그 제 2 실시예에 따르면 기록매체(10)에서 반사되어 콜리메이트렌즈(30)와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입사되는 편광빔중 수직편광빔을 소정의 각도(예컨대 90°)반사시키고 상기 편광빔중 수평편광빔을 투과시키는 편광빔 스플리터(45)가 더 설치되게 된다.
그리고, 제 1 도에 도시된 광검출부(60)에 대해서는 상기 수평편광빔을 수광해서 제 2 정보기록층에 대한 포커싱 및 트래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된 제 1 광검출부(60A)와, 상기 수직편광빔을 수광해서 제 1 기록층에 대한 포커싱 및 트래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데이터를 독취하도록 된 제 2 광검출부(60B)로 분리 구성되게 된다. 따라서, 제 6 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도 제 1 실시예와 유사한 효과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제 2 실시예에서 발광부(50)로서 제 7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채용해서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56A)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56B)를 동시적으로 작동시키고, 그에 따라 기록매체(10)의 2개 정보기록층에서 반사되는 수평편광빔과 수직편광빔을 각각 광검출부(60A,60B)에서 동시적으로 검출하도록 할 수도 있게 되며, 그러한 경우에는 정보데이터의 독취속도를 2배로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는 기록매체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할 수 있는 광픽업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3)

  1.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10)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40), 상기 빔스플리터(40)로부터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30) 및,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10)에 투사하는 대물렌즈(20) 및,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10)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광검출부(60)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90°회전에 의해 상기 기록매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수직편광빔과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단일의 발광소자(56)로 구성되고, 상기 발광부(50)에는 상기 발광소자(56)의 회전을 위한 회전기구가 연결되며, 상기 발광소자(56)로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설치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구는 모터(22)와, 이 모터(22)에 연결된 제 1 기어(23), 상기 발광부(50)에 연결된 제 2 기어(25) 및, 상기 제 1 기어(23)와 제 2 기어(25)사이에서 상기 제 1 기어(23)의 회전을 상기 제 2 기어(25)로 전달하는 커플러기어(24)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플러기어(24)에는 상기 모터(22)의 회전력을 상기 제 1 기어(23)를 매개로 인가받아 상기 제 2 기어(25)로 상기 발광소자(56)에 대한 90°회전력을 전달하도록 톱니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20)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 상기 대물렌즈(20)의 중심부분으로 입사되는 빔을 차단해서 입사빔이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하게 입사되지 못하도록 하는 차광판(10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2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56)는 상부에 윈도우(54)를 갖춘 하우징(52)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윈도우(54)에 광흡수막(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8.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10)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40), 상기 빔스플리터(40)로부터의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30) 및,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10)에 투사하는 대물렌즈(20) 및,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광을 상기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10)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광검출부(60)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상기 기록매체(10)에 형성된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해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56A)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56B)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발광소자(56A,56B)로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9. 일측면에 다수의 정보기록층을 갖춘 기록매체(10)에 입사되는 레이저빔을 발생시키는 발광부(50)와, 상기 발광부(50)로부터의 입사빔과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빔을 분리시키는 빔스플리터(40), 상기 빔스플리터(40)로부터의 입사빔을 평행빔으로 변화시키는 콜리메이트렌즈(30) 및,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의 평행빔을 상기 기록매체(10)에 투사하는 대물렌즈(20)를 갖춘 광픽업장치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50)는 상기 기록매체(10)의 다수의 정보기록층에 대한 수직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1 발광소자(56A)와 수평편광빔을 발생시키는 제 2 발광소자(56B)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기록매체(10)로부터의 반사빔을 상기 빔스플리터(40)를 매개로 수광하여 수평편광빔과 수직편광빔을 분리시키는 편광빔 스플리터(45)와,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45)로부터 수평편광빔을 수광하여 포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10)에 기록된 데이터를 독취하는 제 1 광검출부(60A) 및, 상기 편광빔 스플리터(45)로부터 수직편광빔을 수광하여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함과 더불어 상기 기록매체(10)에 기록된 정보데이터를 독취하는 제 2 광검출부(60B)를 더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발광소자(56A,56B)로부터의 입사빔중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입사되는 빔성분을 차단하는 차광수단이 더 포함되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20)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로부터 상기 대물렌즈(20)의 중심부분으로 입사되는 빔을 차단해서 입사빔이 상기 기록매체(10)에 수직하게 입사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차광판(1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대물렌즈(2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2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콜리메이트렌즈(30)의 표면 중심에 광흡수막(3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소자(56A,56B)는 상부에 윈도우(54)를 갖춘 하우징(52)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차광수단은 상기 윈도우(54)에 광흡수막(400)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장치.
KR1019930022590A 1993-10-28 1993-10-28 광픽업장치 KR960016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590A KR960016141B1 (ko) 1993-10-28 1993-10-28 광픽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2590A KR960016141B1 (ko) 1993-10-28 1993-10-28 광픽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61A KR950012361A (ko) 1995-05-16
KR960016141B1 true KR960016141B1 (ko) 1996-12-04

Family

ID=193667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590A KR960016141B1 (ko) 1993-10-28 1993-10-28 광픽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61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2361A (ko) 1995-05-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22870A (en) Optical pickup for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EP0453576B1 (en) Optical pickup apparatus and optical reproducing apparatus
US4973836A (en) Optical pickup device including a beam splitter having an inclined plane
JP2919632B2 (ja) 光記録媒体の記録又は/及び再生装置
KR100314919B1 (ko) 광자기헤드장치
US6125091A (en) Optical pickup apparatus for use with various types of optical disks
US7394745B2 (en) Optical pickup device and optical disk playback device provided therewith
KR100213270B1 (ko) 양면 디스크용 광 픽업
KR960016141B1 (ko) 광픽업장치
KR100689722B1 (ko) 내부에 이동 가능형 소자의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계를포함한 광학 주사장치
JP3439903B2 (ja) 光ディスク装置用光学ヘッド
US5822295A (en) Optical head device to maximize the effective diameter of an objective lens
US6097689A (en) Optical pickup system incorporated therein a polarizing film and a pair of 1/4 wavelength plates
US5566157A (en) Optical pickup for information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polygon prism, hologram, and grating lens
KR100223815B1 (ko) 광픽업 시스템의 개구수 조절장치
KR100569399B1 (ko) 홀로그래픽 롬 디스크 및 이를 이용한 재생 방법
KR100421457B1 (ko) 광 픽업장치
JP2701654B2 (ja) 光ピックアップ
KR100214591B1 (ko) 씨디/디브이디 겸용 광픽업장치
TWI272602B (en) Optical reading apparatus and optical pick-up head thereof
KR19980050656A (ko) 이종 광디스크용 광픽업 장치
JPS639305B2 (ko)
KR100463427B1 (ko) 광 픽업장치
JP3608046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3249945A (ja) 光学ピツクアツ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