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082B1 -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 Google Patents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082B1
KR960016082B1 KR1019900000519A KR900000519A KR960016082B1 KR 960016082 B1 KR960016082 B1 KR 960016082B1 KR 1019900000519 A KR1019900000519 A KR 1019900000519A KR 900000519 A KR900000519 A KR 900000519A KR 960016082 B1 KR960016082 B1 KR 960016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valve member
torque
port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0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1643A (ko
Inventor
죤 노바세크 윌리엄
Original Assignee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 사죠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턴 코오포레이숀, 프랑크 엠 사죠벡 filed Critical 이턴 코오포레이숀
Publication of KR900011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1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0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9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characterised by means for actuating valves
    • B62D5/093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 B62D5/097Telemotor driven by steering wheel movement gerotor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 Details And Applications Of Rotary Liquid Pump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없음

Description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토크발생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유압조향장치의 개략적인 도면.
제2도는 제1도의 외형평면도로 표시하고 있는 토크발생 조향장치의 축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3-3선에 따른 횡단면도.
제4도 및 제5도는 각각 본 발명의 토크발생 조향장치의 스플 및 슬리브밸브부재의 확대평면도.
제6도 및 제7도는 스플 및 슬리브밸브부재에 의하여 형성된 밸브정합부(整合部)를 확대한 부분배치도로서, 각각 중립위치 및 작동위치를 표시한 도면.
제8도는 오리피스도로서 본 발명의 토크발생 조향장치의 유압회로를 개략적으로 표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3 : 유체입구15 : 유체출구
19 : 가압유체원23 : 유체압 응답수단
27 : 입력축(입력축수단)29 : 출력축(출력축수단)
35 :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7 : 성형부재
71 : 밸브수단115 : 부하감지포트
119 : 유체로121 :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
본 발명은 토크발생 조향장치(Torque-generating steering device)로서, 특히, 가압유체원을 이용하여 비교적 낮은 토크의 입력을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으로 변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한 형식의 토크발생기는 몇년전부터 시판되어 있으며, 본 발명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25291호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토크발생기는 조향핸들의 회전에 의하여 중립위치에서 작동(개방)위치로 변위하는 밸브수단을 구비하고 있다. 밸브수단이 작동하고 있을때 가압유체는 밸브수단을 통해서 유체압 작동식 변위기구, 예를들면, 제로터 기어세트(gerotor gear set)에 유입하여, 이것에 따라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이 발생하여 출력축에 따라 조향장치, 예를 들면 랙 피니온장치(rack-pinion device)의 피니온에 전달된다. 본 발명의 토크발생기에는 여러가지 용도가 있지만, 차량의 조향장치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며(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 용도에 관련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출원인이 알고 있는 종래의 토크발생기는, 반듯이 오픈·센터형(open·center type)의 밸브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토크발생기가 사용되어 있지 않는 밸브가 중립위치에 있을때에는 언제든지 유체가 펌프에서 밸브를 통해서 장치의 탱크에 흘러들어 가도록 되어 있다. 이와같은 오픈·센터형의 토크발생기의 작동은 전체적으로 만족할 수 있지만, 차량에 조향장치 이외의 유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제2펌프를 설치할 필요가 있다. 항상, 토크발생기를 사용하는 형식의 차량에 제2펌프 및 거기에 관련한 급·배수 장치(給·排水裝置) 및 제어장치를 설치하는 것이므로 실시불가능하고 고가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장치가 다수 있지만, 펌프는 1개만 설치한 차량에 사용할 수 있고, 부하·압력신호를 발생하는 개량식 토크발생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상기 형식의 토크발생 조향장치는 유체원과 유체연통한 유체입구 및 유체출구를 형성하고 있는 하우징 수단을 가지고 있다.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은 하우징 수단에 관련되어 있으며, 상기 변위수단을 개재한 가압유체원의 흐름에 대응하여 비교적 높은 토크의 회전운동을 하는 로터(rotor) 부재가 설치되어 있다.
밸브수단이 하우징 수단내에 배설되어 있으며, 중립위치와 작동위치를 구비하여 작동위치에 있을때에는 밸브수단과 하우징수단이 협동하여 가압유체를 유체입구에서 상기 변위수단으로, 또, 변위수단에서 유체출구로 유체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입력축의 작동에 의하여 비교적 낮은 토크입력이 밸브수단의 중립위치에서 작동위치로의 이동으로 변환되고, 또 추종수단의 작동에 의하여 로터부재의 회전이동이 밸브수단의 작동위치에서 중립위치로의 추종이동으로 변환된다. 출력축의 작동에 의하여 로터부재의 비교적 높은 토크의 회전운동이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으로 변환된다.
개량식 토크발생 조향장치는 유체로에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를 유체입구와 상기 변위수단 사이에 형상의 관계로 배치되게 설치하여 밸브수단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유량제어 오리피스의 흐름 면적은 대략 제로(0)로 되고, 밸브수단이 작동위치에 있을때, 흐름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하우징수단은 유체원의 압력응답수단과 유체연통하는 부하감지포트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 부하감지포트는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의 하류측에 있어서 유체로에도 유체연통하고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고, 그것들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제1도는 전체적으로 (11)로 표시하였다. 이하에 단지 「토크발생기」로 불리는 토크발생기 조향장치를 포함하는 유압조향장치를 개략적으로 표시하고 있다. 토크발생기(11)는 유체입구(13) 및 유체출구(15)를 구비하고 있으며, 유체출구(15)는 장치의 탱크(17)에 연결되어 있다.
유체입구(13)는 예를들면 가변경사판(21)을 설치한 가변용량형 펌프(19)의 유체출구(15)에 유체연통되어 있으며, 가변경사판(21)의 위치에 따라 어느 입력속도에 대한 펌프(19)의 흐름출력이 결정된다. 가변경사판(21)의 위치는 개략적으로 (23)으로 표시되어 있는 흐름 및 압력보정위치에 따라 결정되고, 이 보정장치(유체압 응답수단)(23)는 토크발생기(11)로부터 부하압력신호(25)를 수신하지만 그것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토크발생기(11)에는 입력축(입력축수단)(27) 및 출력축(출력축 수단)(29)이 설치되어 있다. 입력축(27)에는 조향핸들(31)이 작동연결되어 있으며, 이것에 따라 비교적 낮은 토크입력이 토크발생기(11)에 전달된다.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바와 같이 토크발생기(11)의 주기능은 비교적 낮은 토크의 입력을 받아서, 그 입력을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에 변환하는 것이며, 그 조향출력은 출력축(29)에 따른 적당한 장치, 예를들면 랙·피니온 조향장치(도면에 없음)의 피니온에 전달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토크발생기(11)는 복수의 부분을 제2도에서는 1개만을 표시하였지만, 복수의 볼트(33)에 의하여 긴밀히 맞물리어서 구성되어 있다. 토크발생기(11)는 하우징 수단으로서의 밸브하우징부(35)를 지니고 있으며, 이것에는 복수의 볼트(37)에 의하여 전단부캡(39)이 부착되어 있으며, 이 캡(39)에는 입력축(27)이 관통되어 있다.
토크발생기(11)의 후단부(제2도 우단부)에는 축지지케이싱(41)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케이싱(41)을 출력축(출력축 수단)(29)이 관통되어 있다. 밸브하우징부(35)와 축지지케이싱(41) 사이에는 내부이빨이 있는 링부재(45) 및 외부이빨이 있는 로터부재로서의 성형부재(47)를 가진 제로터 변위기구(기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3)가 설치되어 있다. 당업자에게는 공지되어 있지만, 예를 들면, 링부재(45)는 N+1개의 내부이빨을 구비하였으며, 성형부재(47)는 링부재(45)내에 편심배치되어서 N개의 외부이빨을 구비하고 있다. 성형부재(47)는 링부재(45)내를 궤도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상대궤도회전운동에 의하여 복수의 팽창 및 수축유체체적실(49)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N가 6이며, 따라서 링부재(45)는 7개의 내부이빨을 구비하고, 성형부재(47)는 6개의 외부이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링내에서는 성형부재의 6개의 궤도가 성형부재의 일회전이 된다.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부(35)에는 유체입구(13) 및 유체출구(15)(제2도에 표시없음)가 형성되어 있다. 밸브하우징부(35)에는 원통형의 밸브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하우징부(35)에는 원통형의 밸브구멍(51)이 형성되어 있다. 밸브하우징부(35)에는 환상구(57)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제2도에 점선으로 부분적으로 표시되어 있는 통로(59)에 의하여 유체출구(15)에 유체를 연통하고 있다. 또, 하우징부(35)에는 복수의 미터통로(61)(제3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들은 각각 유체체적실(49)의 1개와 유체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로부터 변위기구(43)와 밸브하우징부(35) 사이에는 포트플레이트(63)가 배치되어, 제로터 변위기구(43)와 축지지케이싱(41) 사이에는 다른 포트플레이트(65)가 배치되어 있다. 포트플레이트(63)에는 복수의 포트(67)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유체체적실(49)의 1개와 각각 미터통로(61) 사이를 유체연통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포트플레이트(65)에 포트(67)를 형성하여 성형부재(47)의 축방향의 압력균형이 되도록 하였지만, 이것은 당업자에게는 공지되어 있다.
밸브구멍(51)내에는 회전가능한 주밸브부재(스플밸브)(73) 및 상대적으로 회전가능한 추종밸브부재(슬리브밸브부재)(75)를 가진 밸브수단(71)이 배설되어 있다. 바람직한 것은 스플밸브(73)는 입력축(27)과 일체형상으로 형성하여 그것과 공전하도록 한다. 스플밸브(73)의 벽을 관통하여 슬리브밸브(75)와 맞물리도록 복수의 스프링부재(77)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기능은 슬리브밸브(75)를 스플밸브(73)에 대하여 중립위치쪽으로 억누르게 되어 있으며, 「중립」에 관해서는 제6도에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로터 변위기구(43)에는 토크발생기(11)내에서의 2개의 큰 기능이 있다. 제1기능은 그것을 가압유체가 통과하는데 대응하여 유체미터로서 기능하여 슬리브밸브(75)에 추종운동을 부여하는 것이다. 이 추종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형부재(47)에 일조의 내측스플라인(79)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과 맞물리도록 일조의 큰 직경의 외측스플라인(81)이 구동축(추종수단)(83)의 후단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구동축(83)의 전단부는 두갈래로 되었고, 핀부재(추종수단)(85)는 맞물리어 있다. 핀부재(85)가 스플밸브(73)내의 큰 개구에 삽입되어서 슬리브밸브(75)내의 개구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으며, 성형부재(47)의 궤도회전운동이 슬리브밸브(75)의 추종회전으로 변환시킨다.
제로터 변위기구(43)의 제2기능은 높은 토크의 출력을 출력축(29)에 전달하는 것이다. 이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내측스플라인(79)과 맞물리도록 일조의 큰 직경의 외측스플라인(87)이 주구동축(89)의 일단부의 주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주구동축(89)의 후단부에는 다른 조의 큰 직경의 외측스플라인(91)이 형성되어 있다. 스플라인(91)은 출력축(29)내에 형성된 일조의 직선형상의 내측스플라인(93)과 맞물리고 있다. 따라서, 제로터(43)를 가압유체가 흐르는데 대응하여 성형부재(47)의 궤도회전운동에 의하여 출력축(29)이 비교적 높은 토크로 회전한다.
제5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리브밸브(75)에는 복수의 압력포트(95)가 환상구(53)에 따라서 유체입구(13)에 연속적으로 유체연통하는 축방향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밸브(75)에는 환상구(57)에 따라서 유체입구(15)에 연속적으로 유체연통하여 복수의 복귀포트(97)도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밸브(75)에는 복수의 미터포트도 형성되어 있으며, 그 각각은 밸브구멍(51)에 열린 각 미터통로(61)의 개구와 정류유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7(N+1)개의 유체체적실(49)에 따라 7개의 미터통로(61)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므로 12(N의 2배)개의 미터포트(99)가 있다. 또, 예를들면 8개의 압력포트(95)와, 8개의 복귀포트(97)가 설치되어 있다. 제6도 및 제7도와 함께,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압력포트(95) 및 복귀포트(97)의 각각의 중심은 미터포트(99)의 1개의 중심과 원주위 방향으로 정합되어 있다.
제4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플밸브(73)에 환상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복수의 축방향슬롯(103)이 개방식으로 연통되어 있다. 스플밸브(73)의 전단부(제4도의 좌단부)측에는 다른 환상구(105)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복수의 축방향슬롯(107)이 개방식으로 연통되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조는 모두 오픈·센터식으로 된 종래형 토크발생기에서는 압력포트(95)가 제5도 보다도 더 우측에 있으며, 복귀포트(97)가 환상구(105)에 개방식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과 같으며, 환상구(101)에 개방식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제거하면 전체적으로 토크발생기 기술로는 공지의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목적은 펌프(19)의 유체출력을 변화하기 위하여 제1도에 표시한 부하압력신호(부하감지신호)(25)를 발생할 수 있는 토크발생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토크발생기가 부하감지신호를 발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밸브수단(71)이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1개의 특징에 의하면, 압력포트(95)가 환상구(101)의(제4도 및 제5도에 있어서) 축방향 좌측의 위치에 있기 때문에 스플밸브(73) 및 슬리브밸브(75)가 상대적 중립위치에 있을때 압력포트(95)를 통하는 유체연통은 스플밸브(73)의 원통형의 외표면, 즉 서로 다르게 마주보는 축방향슬롯(103) 및 (107)(제6도 참조) 사이 및 그 주위의 표면에 따라 차단된다.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슬리브밸브(75)의 우단부측에 환상의 부하감지구(109)가 형성되어 있다. 슬리브밸브(75)에는 스플밸브(73)의 환상구(101)와 부하감지구(109) 사이는 비교적 비제한적으로 유체연통시키는 복수의 반경방향통로(111)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밸브하우징부(35)에는 제3도의 우측으로 연장하여 부하감지포트(115)가 형성되어 있는 확대보스부(113)가 설치되어 있다. 하우징부(35)에는 부하감지구(109)와 부하감지포트(115) 사이를 비교적 비제한적으로 유체연통시키는 반경방향통로(117)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토크발생기(11)의 작용을 설명한다. 차량의 운전자가 조향핸들(31)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스플밸브(73)가 슬리브밸브(75)에 대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제6도에 표시되어 있는 작동위치로 회전하여 여기서 밸브하우징부(35), 슬리브밸브(75) 및 스플밸브(73)의 협동에 의하여 유체입구(13)로부터 제로터(43)를 통해서 유체출구(15)로 흐르는 유체로(119)(제8도 참조)가 형성된다. 입력축(27)으로의 비교적 낮은 토크의 입력에 대응하여 스플밸브(73)가 작동위치에 회전하면, 압력포트(95)의 반분(半分)이 인접 축방향슬롯(103)과의 중첩부분의 누적면적이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121)가 된다. 이 오리피스(121) 보다도 하류측의 축방향슬롯(103)내의 가압유체가 인접 미터포트(99)에 흘러들어가고, 이들 미터포트(99)와 축방향슬롯(103)과의 중첩부분의 누적면적이 제2가변유량제어 오리피스(122)가 된다. 이 오리피스(122)를 흐른 유체는 다음에 연속한 미터통로(61)를 통해서 제로터(43)의 팽창 유체체적실(49)로 보내진다. 이와같이 가압유체가 팽창 유체체적실(49)에 흐름으로써 성형부재(47)가 궤도회전운동을 하고, 이것이 주구동축(89)에 따라 출력축(29)의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으로 변환시킨다.
제로터 변위기구(43)의 수축 유체체적실(49)에서 배출된 유체는 연속한 미터통로(61)를 통해서 축방향슬롯(107)과 연통되어 있는 미터포트(99)로 되돌아간다. 이들 특정의 미터포트(99)와 축방향슬롯(107)의 누적중첩부분에 따라 제3가변유량제어 오리피스(123)가 형성된다. 이 오리피스(123)를 흐른 다음, 저압의 배출유체는 축방향슬롯(107)을 통해서 환상구(105)에 흐르고, 거기서부터 복귀포트(97)로 흐른다. 환상구(105)와 복귀포트(97)의 중첩부분의 누적면적에 의하여 비교적 큰 고정오리피스(124)가 형성된다. 당업자에게는 공지된 바와 같이, 조향핸들(31)을 비교적 일정한 속도 및 토크로 회전시킴으로써(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슬리브밸브(75)에 대한 스플밸브(73)의 일정변위가 얻어지고, 제로터 변위기구(43)를 통해 흐름 및 그것에 수반하여 구동축(83) 및 핀부재(85)에 따라서 슬리브밸브(75)에 전달된 추종이동에 의하여 스플 및 슬리브의 상대변위가 유지된다.
스플밸브(73) 및 슬리브밸브(75)가 제7도에 표시되어 있는 작동변위에 있을때 축방향슬롯(103)내의 가압유체가 조향부하를 즉 출력축(29)에 가해진 토크를 표시한다. 축방향슬롯(103)내의 부하압력은 환상구(101)내에도 존재하여 반경방향통로(통로수단)(11)를 통해서 부하감지구(109)에 보내진다. 부하압력은 다음에 반경방향통로(117)를 통해서 부하감지포트(115)로 보내서, 거기서부터 상술한 바와 같이 펌프(19)의 보정기(23)로 복귀한다.
부하감지 밸브장치에 관하여 전반적인 기술을 가진 것은 공지된 바와 같이, 밸브가 작동위치에서 중립위치로 복귀하는 것으로 부하신호회로 전체의 드레인(Drain)을 하기 위한 유체통로를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부하신호회로의 드레인을 행함으로써, 펌프를 비교적 저압의 대기상태로 복귀 가능하고, 이 때문에 펌프의 구동에 필요한 마력을 최저한으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중요한 특징은 비교적 단순한 스플밸브 및 슬리브밸브의 전체치수를 크게 하는 일없이, 또다른 기능을 하기 위하여 이미 밸브에 설치되어 있는 포트슬롯 및 통로만을 이용한 부하감지회로용의 드레인통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스플밸브 및 슬리브밸브가 다시 중립위치에 있을때 상술한 바와 같이 부하감지회로내의 부하압력유체에는 각 축방향슬롯(103)을 통해서 중합압력의 미터포트(99)의 각각에 유입한다. 미터포트(99)의 각각은 축바향슬롯(103) 및 (107)의 양방향과 연통할 수 있는 크기로 되어 있으므로 부하압력유체는 각 슬롯(107)에 유입한 다음에 환상구(105)에 유입한다. 부하압력유체가 환상구(105)에서 복귀포트(97)를 통해서 유체출구(15)로 흐르는 것은 스플밸브 및 슬리브밸브가 작동위치에 있을때 통상 유체통로(119)의 경우와 같은 방식이다.
본 발명에 따라 얻어진 부하압력신호(25)가 제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가변용량형 펌프의 경사판 각도를 제어하는 이외의 사용방식도 가능한 것은 당업자에게는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의 양도인에게 양도되어서 참고로 본 발명에 포함되어 있는 미국 특허 제4,043,419호에 기재되어 있는 형식의 회로내의 부하감지 우선 흐름 제어밸브로 부하압력신호(25)를 보낼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부하압력신호(25)를 압력변환기 등으로 감지하여, 그것에 따라서 얻어진 전기압력신호를 제어회로내에서 이용하여, 예를들면 토크발생기로의 유체공급원인 유압펌프를 구동하기 위하여 전기모터의 작동속도를 제어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을 당업자라면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히 상세히 설명하였다. 상기 명세서를 읽고 이해하면, 당업자라면 여러가지 변경 및 변화를 본 발명에 첨가할 수 있지만, 그와 같은 변경 및 변화는 청구범위내에 속하고, 본 발명의 일부로 볼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3)

  1. 비교적 낮은 토크의 입력을 받아서, 가압유체원의 유체압력을 변화시키는 유체압 응답수단(23)을 설치한 가압유체원(19)에 따라 상기 입력을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으로 변환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11)로서 상기 가압유체원와 유체연통되어 있는 유체입구(13) 및 유체출구(15)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수단(35)과 ; 이 하우징수단에 관련되어 있고, 통과하는 가압유체의 흐름에 대응하여 비교적 높은 토크의 회전운동을 하는 성형부재(47)를 설치한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3)과 ; 상기 하우징수단(35)내에 배설되어서, 중립위치와 작동위치를 구비하여서 작동위치에 있을때 상기 하우징수단(35)과 협동하여, 가압유체를 유체입구(13)에서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3)으로, 또 이 변환변위수단(43)으로부터 유체출구(15)로 흐르는 유체로(119)를 형성하도록 한 밸브수단(71)과 ; 상기 비교적 낮은 토크의 입력을 밸브수단의 중립위치에서 작동변위로의 이동으로 변환하는 입력축수단(27)과 ; 상기 로터부재의 회전운동을 밸브수단(71)의 작동위치로부터 중립위치로의 추종이동으로 변환하는 추종수단(83),(85)과 ; 상기 성형부재(47)의 비교적 높은 토크의 회전운동을 비교적 높은 토크의 조향출력으로 변환시키는 출력축수단(29)을 지니고 있으며, (a) 상기 유체로(119)에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121)를 유체입구(13)와 상기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3) 사이에 직렬형상의 흐름관계로 배설하여서 상기 밸브수단(71)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상기 유량제어 오리피스(121)의 흐름면적은 거의 제로(0)가 되고, 상기 밸브수단(71)이 작동위치에 있을때 상기 흐름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것과, (b) 상기 하우징수단(35)에 유체압 응답수단(23)과 유체연통하는 부하감지포트(115)를 설치해서 부하감지포트가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121)의 하류측에서의 유체로에도 유체연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밸브수단(71)이 회전가능한 스플밸브부재(73) 및 상대회전 가능한 슬리브밸브부재(75)를 지니고 있으며, 스플밸브부재(73)가 입력축수단(27)과 공정하도록 고정되어, 슬리브밸브부재가 추종이동을 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스플밸브부재(73)가 거의 원통형의 스플밸브부재를 지니고 있으며, 슬리브밸브부재(75)는 반경반향에 있어서 스플밸브부재와 하우징수단 사이에 배치된 거의 원통형의 슬리브밸브부재를 지니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하우징수단(35)이 밸브수단(71)과 유체에너지 변환변위수단(43) 사이를 유체연통시키는 복수의 미터통로(61)를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 수단이 슬리브밸브부재를 수용하기 위하여 거의 원통형의 밸브구멍(5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복수의 미터통로(61)가 동일 원주상에 있는 복수의 위치로 밸브구멍에 개방식으로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슬리브밸브부재(75)가 복수의 미터포트(99)를 슬리브밸브부재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미터통로와 유체연통하도록 배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슬리브밸브부재(75)가 미터포트에서 슬리브밸브부재의 한쪽의 축방향 단부 집합으로 복수의 압력포트(95)를 형성하고 있으며 상기 미터포트에서 슬리브밸브부재의 다른쪽의 축방향 단부 집합으로 복수의 복귀포트(97)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압력포트(95)가 유체입력(13)과 개방식으로 연속유체 연통되어 있고, 복귀포트(97)가 유체출구(15)와 개방식으로 연속 유체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슬리브밸브부재(75)에 제1축방향슬롯(103)이 형성되어 있으며, 제1축방향슬롯의 각각이, 밸브수단이 작동위치에 있을때에 압력포트(95)의 1개로부터 미터포트(99)의 1개까지를 유체연통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슬리브밸브부재(75)에 제2축방향슬롯(107)이 형성되어 있고, 제2축방향슬롯의 각각이, 밸브수단이 작동위치에 있을때에 미터포트(99)의 1개로부터 복귀포트(97)의 1개까지를 유체연통하도록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제1축방향슬롯(103) 및 압력포트(95)가 협동하여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121)를 형성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스플밸브부재(73)가 주가변 유량제어 오리피스(121) 보다도 하류측으로 제1축방향슬롯(103)과 개방식으로 유체연통한 압력환상구(101)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리브밸브부재(75) 및 하우징수단(35)이 협동하여, 부하감지포트(115)와 개방식으로 유체연통한 환상구(109)가 형성되어 있고, 슬리브밸브부재가 더욱더 스플의 환상구(101)와 슬리브의 환상구(109)를 유체연통시키는 통로수단(11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1복수의 축방향슬롯(103)과 미터포트(99)가 협동하여, 제2가변유량제어 오리피스(122)가 형성되어 있으며, 제2축방향슬롯(107)과 미터포트(99)가 협동하여 제3가변유량제어 오리피스(123)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밸브수단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미터포트(99)의 1개 이상이 동시에 제1축방향슬롯(103)의 1개 및 제2축방향슬롯(107)의 1개와 개방식으로 유체연통하여 이것에 따라서 밸브수단이 중립위치에 있을때 부하감지포트(115)와 유체출구(15) 사이에 유체연통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발생 조향장치.
KR1019900000519A 1989-01-17 1990-01-17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KR96001608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97,643 1989-01-17
US07/297,643 US4936094A (en) 1989-01-17 1989-01-17 Torque-generating steering device with load-sensing capabilit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1643A KR900011643A (ko) 1990-08-01
KR960016082B1 true KR960016082B1 (ko) 1996-11-27

Family

ID=231471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0519A KR960016082B1 (ko) 1989-01-17 1990-01-17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36094A (ko)
EP (1) EP0379124B1 (ko)
JP (1) JPH02227372A (ko)
KR (1) KR960016082B1 (ko)
DE (1) DE69023673T2 (ko)
DK (1) DK0379124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42250A (en) * 1989-04-24 1991-08-27 Eaton Corporation High-back pressure power steering device
JPH04252773A (ja) * 1991-01-28 1992-09-08 Sumitomo Eaton Kiki Kk 全油圧式操舵装置
JP2833954B2 (ja) * 1993-01-29 1998-12-09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油圧式トルク増幅装置
US5799694A (en) * 1996-10-10 1998-09-01 Eaton Corporation Steering control unit
US5873243A (en) * 1996-10-10 1999-02-23 Eaton Corporation Torque generator steering device
JP3027343B2 (ja) * 1997-03-25 2000-04-04 住友イートン機器株式会社 油圧式トルク増幅装置及びこれを組み込んだ車両用パワー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AT3343U1 (de) 1999-01-26 2000-01-25 Steyr Daimler Puch Ag Drehzahldifferenzabhängige hydraulische kupplung mit temperaturkompensation
US6575263B2 (en) 2001-04-26 2003-06-10 Eaton Corporation Torque device for electronic steer-by wire steering systems
US7052256B2 (en) * 2004-01-28 2006-05-30 Eaton Corporation Synchronized transaxle hydraulic motor
US20060210409A1 (en) * 2005-03-15 2006-09-21 Sumner William P Grease pump
ATE492455T1 (de) * 2007-10-05 2011-01-15 Cnh Italia Spa Hydraulisches lenksystem für ein fahrzeug
US9512838B2 (en) 2013-03-15 2016-12-06 Eaton Corporation Torque-generating steer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291A (en) * 1859-08-30 Improvement in fireplating iron
USRE25291E (en) * 1956-06-08 1962-12-04 Fluid pressure device and valve
US4060146A (en) * 1975-11-13 1977-11-29 Eaton Corporation Power steering mechanism
US4023646A (en) * 1975-11-24 1977-05-17 Allis-Chalmers Corporation Load sensitive hydraulic system
US4109679A (en) * 1976-04-23 1978-08-29 Eaton Corporation Controller for fluid pressure operated devices
DE2934618C2 (de) * 1979-08-28 1983-06-30 Danfoss A/S, 6430 Nordborg Hydraulischer Momentverstärker für Lenkeinrichtungen von Kraftfahrzeugen
US4336687A (en) * 1980-04-21 1982-06-29 Eaton Corporation Load sensing controller
US4620416A (en) * 1982-06-14 1986-11-04 Eaton Corporation Load sensing system
DE3635162A1 (de) * 1986-10-16 1988-04-28 Danfoss As Steuergeraet fuer eine hydrostatische lenkeinrichtung o.dg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K0379124T3 (da) 1995-12-18
EP0379124A2 (en) 1990-07-25
DE69023673T2 (de) 1996-07-04
DE69023673D1 (de) 1996-01-04
US4936094A (en) 1990-06-26
EP0379124B1 (en) 1995-11-22
EP0379124A3 (en) 1991-01-16
JPH02227372A (ja) 1990-09-10
KR900011643A (ko) 1990-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082B1 (ko) 부하감지 능력을 구비한 토크발생 조향장치
US3564848A (en) Steering equipment particularly for heavy vehicles
NO148302B (no) Styreenhet for styring av en trykkfluidumtilfoersel til en hydraulisk motor via en retningstyreventil
US4958493A (en) Open-center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SU1041044A3 (ru) Гидростатический регул тор
US3270681A (en) Rotary fluid pressure device
US3528521A (en) Hydraulic steering system
US20060254850A1 (en) Power steering system
US4488569A (en) Apparatus with staged pressure differential for controlling fluid flow
EP0502456A2 (en) Fluid controller with load sensing priority flow control capability
US4862690A (en) Steering control unit with both flow amplification and manual steering capability
US3887308A (en) Valve porting arrangement for a gerotor
US3598509A (en) Hydraulic device
US5992458A (en) Load reaction steering unit for unequal area cylinder
USRE34746E (en) Open-center steering control unit with flow amplification
US5129424A (en) Fluid controller with integral auxiliary valving
US6769249B2 (en) Low slip steering system and improved fluid controller therefor
US5042250A (en) High-back pressure power steering device
KR100316751B1 (ko) 스티어링제어유니트
US3456559A (en) Rotary device
GB1594279A (en) Hydraulic steering devices
US4355505A (en) Rotatable controller valve
GB1558869A (en) Hydraulic devices
KR930019498A (ko) 파워스티어링장치
JPS63149261A (ja) 全油圧式動力舵取装置を用いた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030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