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578B1 -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578B1
KR960014578B1 KR1019940038982A KR19940038982A KR960014578B1 KR 960014578 B1 KR960014578 B1 KR 960014578B1 KR 1019940038982 A KR1019940038982 A KR 1019940038982A KR 19940038982 A KR19940038982 A KR 19940038982A KR 960014578 B1 KR960014578 B1 KR 960014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nsion tube
intermediate extension
hollow body
brush
extension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0917A (ko
Inventor
이남호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38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578B1/ko
Priority to JP7339250A priority patent/JP2937838B2/ja
Priority to US08/578,484 priority patent/US5621946A/en
Priority to CN95121800A priority patent/CN1145770A/zh
Publication of KR960020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0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578B1/ko
Priority to US08/740,897 priority patent/US5768745A/en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73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with removable brushes, combs, lips or pa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6Nozzles with fixed, e.g. adjustably fixed brushes or the like
    • A47L9/0693Specially shaped nozzles, e.g. for cleaning radiators, tubes, fans or the like; Dus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4Hoses or pipes; Hose or pipe couplings
    • A47L9/248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oses or pi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ushes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제1도는 종래기술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종래의 보조브러쉬 사용상태도.
a)도는 연장관에 장착되어 보관되는 상태도.
b), c)도는 연장관에서 돌출되어 사용되는 상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결합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의 단면도로서
a)도는 제3도의 A-A'선 단면도.
b)도는 제3도의 B-B'선 단면도.
c)도는 제4도의 C-C'선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a)도는 중간연장관의 선단으로 돌출하여 청소에 사용되는 경우.
b)도는 중간연장관내에 하부연장관이 끼워져서 몸체고정돌기가 몸체에서 인출되는 경우.
c)도는 사용완료후 중간연장관상에서 후진하여 보관되는 경우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중공형 몸체 10a,10b : 긴구멍
12 : 연장관 버튼 13 : 몸체고정돌기
15 : 스토퍼 25 : 몸체전진이동수단
29a.29b : 스프링 30a,30b : 스프링삽입구
40 : 몸체후진이동수단 42a,42b : 돌기
45 : 절개홈 47 : 하부돌기
50 : 몸체고정수단 61 : ㄱ형 래치(latch)
70 : 요홈 110 : 중간연장관
120 : 하부연장관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하부연장관 또는 흡입브러쉬의 연결에 의해서 후진하여 중간연장관상에서 보관되고, 하부연장관 또는 흡입브러쉬의 분리에 의해서 자동으로 전진하여 돌출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개선되며, 선단부에 형성된 털브러쉬의 틈새형성을 방지하여 청소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고, 청소작업시 정위치 고정이 가능하도록 개선된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는 창틀이나 구석진곳을 청소하기 위한 것으로서, 분실의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연장관에 일체로 결합시켜 사용 및 보관하는 연장관 장착형 구조가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100)는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에형 단면을 갖는 몸체부(112)를 회동가능하도록 장착시키고, 상기 몸체부(112)의 선단에는 털브러쉬(115)를 부착하여 보조브러쉬를 구성한 것으로서, 보관시에는 상기 몸체부(112)를 중간연장관(110)측으로 젖혀서, 상기 중간연장관(110)에 흡입브러쉬(미도시)를 연결하거나, 또는 하부연장관(120)의 목부(122)를 결합시키도록 되어 있으며, 사용시에는 중간연장관(110)으로부터 흡입브러쉬 또는 하부연장관(120)을 분리시키고, 상기 몸체부(112)를 상기와는 반대방향으로 젖혀서 털브러쉬(115)가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으로 돌출하도록 위치이동시킨다음 구석진곳을 청소하게 된다. (제2도의 b), c)도 참조).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100)는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으로 돌출시켜서 청소작업에 사용되는 경우 ㄷ형 몸체부(112)의 구조로 인하여 털브러쉬(115)도 ㄷ형을 이루기 때문에 털브러쉬(115)가 부착되지 않은 후면측은 청소면과의 틈새를 발생시켜 청소효율을 현저히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즉, 상기 몸체부(112)가 □형 단면을 갖추지 못하기 때문에 털브러쉬(115)도 □형의 사각구조를 형성하지 못함으로서 청소대상물의 표면에 접속되는 경우, 털브러쉬(115)의 후면측은 청소면에 접촉되지 못함으로서 이러한 부분을 재차, 청소하여야만 하거나 또는 청소하지 못하고 지나침으로서 깨끗한 청소작업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중요한 문제점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종래의 보조브러쉬(100)를 사용할때마다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으로부터 몸체부(112)를 젖혀야하고, 보관시에는 상기와는 반대로 몸체부(112)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중간연장관(110)에 밀착시켜야 하는 등 그 사용상의 번거로움도 초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털브러쉬가 사각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청소면과의 접촉시 틈새형성이 방지되어 청소효율을 향상시키고, 보관 및 사용시에는 중간연장관으로부터 자동으로 돌출 및 후진됨으로서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향상되며, 청소작업시에는 정위치에 고정가능함으로서 청소작업의 효율성을 크게 향상시킨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진공청소기에서 창틀이나 구석진곳을 청소하기 위하여 연장관에 장착되어 사용가능한 보조브러쉬에 있어서, 선단부에는 털브러쉬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긴구멍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장관에서 돌출된 스토퍼와 연장관 버튼이 끼워지며, 중간연장관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활주이동 가능한 중공형 몸체; 상기 중간연장관에 대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를 전방측으로 탄력지지하여 상기 털브러쉬가 중간연장관의 선단으로 돌출되도록 하여주는 몸체전진이동수단; 상기 중간연장관에 대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를 후진시킴으로서 상기 털브러쉬가 중간연장관의 선단에서 후진되도록 하여주는 몸체후진이동수단; 및 상기 중공형 몸체를 중간연장관에서 전진하여 털브러쉬가 중간연장관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중공형 몸체를 중간연장관에 대하여 정위치고정하는 몸체고정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보조브러쉬(1)가 전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조브러쉬(1)는 중간연장관(110)의 외측면에 상기 중간연장관(110)을 완전히 감싸면서 활주이동 가능한 중공형 몸체(5)를 갖는다. 상기 중공형 몸체(5)는 선단부에 털브러쉬(7)를 일체로 부착하고,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한쌍의 긴구멍(10a)(10b)을 형성하며, 상기 긴구멍(10a)(10b)중 전방에 위치된 긴구멍(10b)에는 중간연장관(110)의 연장관 버튼(12)과 몸체고정돌기(13)가 위치되고, 상기 몸체고정돌기(13)의 후방에서 상부로 돌출된 스토퍼(15)는 후측의 긴구멍(10a)내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 긴 구멍(10a)(10b)은 각각 그 내부에서 스토퍼(15)와, 몸체고정돌기(13) 및 연장관 버튼(12)이 이동할 수 있는 충분한 크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몸체(5)는 하부면에 길이방향의 절개부(17)를 형성하고, 하부면 외측에는 일정간격으로 한쌍의 보스(Boss)(20a)(20b)가 좌,우 대칭으로 형성되며, 상기 보스(20a)(20b)에는 스크류부재(2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5)의 폭방향 내경(d)을 고정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중공형 몸체(5)가 중간연장관(110)에 끼워지는 경우, 상기 중공형 몸체(5)를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전진시키는 몸체전진이동수단(25)은, 중간연장관(110)의 양측면상에 돌출된 한쌍의 받침턱(27a)(27b)을 갖추고, 상기 각각의 받침턱(27a)(27b)에는 스프링(29a)(29b)이 탄력되는바, 상기 스프링(29a)(29b)은 각각 몸체(5)의 양측면에 마련된 스프링삽입구(30a)(30b)내에 끼워져서 후단부가 상기 받침턱(27a)(27b)에 지지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프링(29a)(29b)는 상기 몸체(5)를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전방측으로 탄력지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중공형 몸체(5)를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후진이동시키는 몸체 후진이동수단(40)은 몸체(5)의 전방 내측면에 절개부(17)에 인접하여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된 한쌍의 돌기(42a)(42b)를 갖추고, 중간연장관(110)의 선단하부면에는 상기 돌기(42a)(42b)가 삽입가능한 절개홈(45)을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몸체(5)가 중간연장관(110)에 결합되면, 상기 돌기(42a)(42b)에는 절개홈(45)내에 끼워지며, 이는 하부연장관(120) 또는 흡입브러쉬(미도시)의 하부돌기(47)에 의해서 후방으로 밀려지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중공형 몸체(5)가 중간연장관(110)상에서 전진하여 털브러쉬(7)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실시하는 경우, 상기 중공형 몸체(5)를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고정시키는 몸체고정수단(5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연장관(110)의 연장관 버튼(12)을 구성하는 직선형 프레임(52)의 중간부를 외벽(53)에서 하부로 돌출한 힌지(55)로서 고정하고, 상기 힌지(55)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스프링(57)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탄력지지되는 누름버튼(59)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59)에 인접한 후방측에는 몸체고정돌기(13)가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한편, 힌지(55)를 중심으로 후방에는 ㄱ형의 래치(61)가 중간연장관(110)의 내벽(63)에 형성된 절결부(63a)를 관통하여 내측으로 연장된다. 또한, 상기 중간연장관(110)에 끼워지는 하부연장관(120) 또는 흡입브러쉬(미도시)의 목부에는 상기 ㄱ형의 래치(61)가 고정되는 오목홈(67)이 형성되며, 상기 중공형 몸체(5)는 긴구멍(10a)(10b) 사이에서 상기 몸체고정돌기(13)가 삽입가능한 요홈(70)이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미설명부호(72)는 고정보울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중간연장관(110)의 단부에 중공형 몸체(5)가 하부로부터 끼워지고, 이때 중공형 몸체(5)의 상부면에 형성된 긴구멍(10)에는 중간연장관(110)에서 돌출된 스토퍼(15)가 끼워지며, 상기 긴구멍(10b)에는 몸체고정돌기(13)와 연장관 버튼(12)이 삽입되는 한편, 중간연장관(110)의 하부면에 형성된 절개홈(45)에는 돌기(42a)(42b)가 삽입된다. 또한, 스프링삽입구(30a)(30b)에 끼워진 스프링(29a)(29b)의 후단부는 받침턱(27a)(27b)에 각각 밀착지지되는 상태로 위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한쌍의 보스(20a)(20b)에는 스크류부재(2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중공형 몸체(5)가 좌,우측으로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면서, 또한 폭방향의 내경(d)을 일정간격으로 유지시켜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자유롭게 활주이동 가능한 상태를 이루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는 제6도의 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연장관(110)의 양측에서 몸체(5)를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9a)(29b)이 상기 몸체(5)를 전방측으로 밀어주게되며, 따라서 몸체(5)의 후방 긴구멍(10a)은 스토퍼(15)에 걸림으로서 더 이상의 전진이 방지되며 이러한 경우 상기 몸체고정돌기(13)는 중공형 몸체(5)의 요홈(70)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누름버튼(12)은 전방 긴구멍(10b)의 후측에 위치된다. 또한, 상기 몸체(5)의 선단부에 부착된 털브러쉬(7)는 중간 연장관(110)의 선단 전방측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몸체고정돌기(13)와 요홈(70)이 결합됨에 따라서 중공형 몸체(5)는 중간연장관(110)상에 견고히 지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러한 돌출된 털브러쉬(7)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청소가 완료되어 보조브러쉬(1)를 보관하고자 하는 경우는, 사용자는 중간연장관(110)상에 하부연장관(120) 또는 흡입브러쉬(미도시)의 목부(122)로 끼우게 되는 바, 상기 하부연장관(120)의 목부(122) 하부면에 형성된 돌기(47)가 상기 중간연장관(110)의 하부에 형성된 절개홈(45)으로 끼워져서 한쌍의 돌기(42a)(42b)를 밀게된다. 즉, 제6도의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연장관(120)의 목부(122)가 털브러쉬(7)의 내측으로 진입하여 중간연장관(110)의 내부로 진행하면, 상기 절개홈(45)으로 진입하는 하부연장관(120)의 돌기(47)가 상기 중공형몸체(5)의 돌기(42a)(42b)를 밀어서 후진시킴으로서 상기 중공형 몸체(5)는 전체적으로 스프링(29a)(29b)의 탄성력을 압압하면서 후진되고, 이때 연장관 버튼(12)의 ㄱ형 래치(Latch)(61)는 하부연장관(120)의 목부(122) 선단에 의해 상승되며, 따라서 몸체고정돌기(13)와 누름버튼(59)을 힌지(55)를 중심으로 하향이동되어 각각 요홈(70)과 긴구멍(10b)에서 인출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하부연장관(120)이 더욱 전진하여 제6도의 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공형 몸체(5)의 돌기(42a)(42b)가 중간연장관(110)의 절개홈(45) 후방면에 밀착되면, 더 이상의 후진작동은 이루어지지 않으며, 이때 연장관 버튼(12)의 ㄱ형 래치(61)는 하부연장관(120)의 오목홈(67)으로 끼워지게 된다. 이는 연장관 버튼(12)에서 스프링(57)의 탄발력으로 누름버튼(59)이 항상 상부측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힌지(55)는 중심으로 래치(61)가 오목홈(67)에 위치하는 즉시 탄력적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중공형 몸체(5)는 중간연장관(110)상에서 후진된 상태로 유지되며, 이때 중간연장관(110)의 상부면에 마련된 스토퍼(15)와 몸체고정돌기(13) 및 연장관 버튼(12)은 긴구멍(10a)(10b)내에서 각각 이동되어 중공형 몸체(5)의 후진작동에 아무런 방해도 주지않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보관상태에서 다시 본 발명의 보조브러쉬(1)를 사용하고자 하면, 사용자는 단순히 연장관 버튼(12)을 하부로 눌러서 ㄱ형 래치(61)가 하부연장관(120)의 오목홈(67)에서 분리되도록 하고, 하부연장관(120)을 중간연장관(110)으로부터 인출하면, 몸체전진이동수단(25)의 스프링(29a)(29b)이 받침턱(27a)(27b)에 대하여 중공형 몸체(5)를 탄력적으로 밀어줌으로서 몸체(5)는 스토퍼(15)가 긴구멍(10a)의 후방측면에 접촉할때까지 전진이동된다. 이러한 위치에서는 긴구멍(10a)(10b) 사이의 요홈(70)이 몸체고정돌기(13)의 상부에 위치되기 때문에 상기 몸체고정돌기(13)가 요홈(70)으로 삽입되어 상기 중간연장관(110)에 대한 중공형 몸체(5)의 전방으로 이동은 스토퍼(15)에 의해 방지된다. 이는 사용자가 청소작업도중에 청소면에 대하여 털브러쉬(7)로 압압하여도 중공형 몸체(5)는 후진하지 않고 정위치에 고정되기 때문에 효과적으로 털브러쉬(7)를 이용하여 청소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중공형 몸체(5)의 선단에 부착된 털브러쉬(7)가 □형의 사각밀페구조를 형성함으로서 청소면과의 접촉시 틈새의 형성이 방지되고, 따라서 깨끗한 청소작업이 가능하며, 그에따른 청소효율이 크게 향상된다. 또한, 중간연장관(110)상에 하부연장관(120) 또는 흡입브러쉬의 목부를 탈착시키는 작동만으로도 몸체(5)의 전,후진작동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사용상의 편리함이 크게 개선되며, 털브러쉬(7)를 청소면에 압압하는 경우에도 중공형 몸체(5)이 이동이 방지되고 견고히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기 때문에 청소작업이 매우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Claims (4)

  1. 진공청소기에서 창틀이나 구석진곳을 청소하기 위하여 연장관에 장착되어 사용가능한 보조브러쉬에 있어서, 선단부에는 털브러쉬(7)가 일체로 부착되고, 상부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복수개의 긴 구멍(10a)(10b)이 형성되어 상기 중간연장관(100)에서 돌출된 스토퍼(15)와, 몸체고정돌기(13) 및 연장관 버튼(12)이 끼워지며, 중간연장관(110)의 외측면에 결합되어 활주이동 가능한 중공형 몸체(5); 상기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5)를 전방측으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29a)(29b)을 갖추어 상기 털브러쉬(7)가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으로 돌출되도록 하여주는 몸체전진이동수단(25); 상기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상기 중공형 몸체(5)를 후진시킴으로서 상기 털브러쉬(7)가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에서 후진되도록 중간연장관(110)의 절개홈(45)으로 끼워지는 돌기(42a)(42b)를 중공형 몸체(5)에 형성한 몸체후진이동수단(40); 및 상기 중공형 몸체(5)가 중간연장관(110)에서 전진하여 털브러쉬(7)가 중간연장관(110)의 선단으로 노출되는 위치에서 상기 중공형 몸체(5)를 중간연장관(110)에 대하여 정위치 고정하는 몸체고정수단(5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고정수단(50)은 직선형 프레임(52)의 중간부를 외벽(53)에서 하부로 돌출한 힌지(55)로서 고정하고, 상기 힌지(55)를 중심으로 전방에는 스프링(57)에 의해서 상부측으로 지지되는 누름버튼(59)이 형성되며, 상기 누름버튼(59)에 인접한 후방측에는 몸체고정돌기(13)가 상부측으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힌지(55)를 중심으로 한 후방측에 ㄱ형 래치(61)가 형성된 연장관 버튼(12)과, 상기 중공형 몸체(5)의 긴구멍(10a)(10b) 사이에서 몸체고정돌기(13)가 삽입가능하도록 형성됨 요홈(70)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후진이동수단(40)의 돌기(42a)(42b)는 하부연장관(120)의 목부(122)에 형성된 하부돌기(47)에 의해서 후진됨으로서 상기 중공형 몸체(5)가 중간연장관(110)상에서 후진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돌기(47)는 흡입브러쉬의 목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KR1019940038982A 1994-12-26 1994-12-29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KR960014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982A KR960014578B1 (ko) 1994-12-29 1994-12-29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JP7339250A JP2937838B2 (ja) 1994-12-26 1995-12-26 真空掃除機における補助ブラシの装着された吸入管
US08/578,484 US5621946A (en) 1994-12-26 1995-12-26 Suction tube mounted with an auxiliary brush of a vacuum cleaner
CN95121800A CN1145770A (zh) 1994-12-26 1995-12-26 真空吸尘器的装配有辅助刷的吸管
US08/740,897 US5768745A (en) 1994-12-26 1996-11-04 Suction tube mounted with an auxiliary brush of a vacuum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982A KR960014578B1 (ko) 1994-12-29 1994-12-29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917A KR960020917A (ko) 1996-07-18
KR960014578B1 true KR960014578B1 (ko) 1996-10-16

Family

ID=194051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982A KR960014578B1 (ko) 1994-12-26 1994-12-29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57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0917A (ko) 1996-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44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흡입구
US5645293A (en) Collapsible structure for a stroller
US4826341A (en) Valve means for toothbrush containing toothpaste dispenser therein
JP2937838B2 (ja) 真空掃除機における補助ブラシの装着された吸入管
US6725496B2 (en) Cleaning brush
GB2266230A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duster function
US20070009315A1 (en) Optical lens cleaner
WO2022171046A1 (zh) 一种便捷挤水棉头拖把
KR960014578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KR960014573B1 (ko) 진공청소기의 연장관 장착형 보조브러쉬
KR100485698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 청소툴
CN217827755U (zh) 套筒式自挤水发泡棉拖把
KR970005036B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JPH0350846Y2 (ko)
KR0133748B1 (ko) 호스홀더기능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핸들
CN217118280U (zh) 一种马桶清洁用具
CN219699780U (zh) 一种用于刮水器的集液容器
KR200143229Y1 (ko) 진공청소기의 보조브러쉬
CN217827758U (zh) U型发泡棉拖把头及拖把
KR940000260Y1 (ko) 뷰파인더 안착장치
CN220860020U (zh) 一种平板拖把
CN220800940U (zh) 一种多功能手持拖把
KR960007457B1 (ko) 진공청소기의 틸트 연결구
KR960007458B1 (ko) 진공청소기의 틸트(Tilt) 연결구
KR960007460B1 (ko) 착탈가능한 물걸레판을 갖는 진공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