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417B1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417B1
KR960014417B1 KR1019930028325A KR930028325A KR960014417B1 KR 960014417 B1 KR960014417 B1 KR 960014417B1 KR 1019930028325 A KR1019930028325 A KR 1019930028325A KR 930028325 A KR930028325 A KR 930028325A KR 960014417 B1 KR960014417 B1 KR 960014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rvice
request
call
additional inform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2391A (ko
Inventor
김영화
조평동
Original Assignee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백제, 한국전기통신공사, 양승택, 재단법인한국전자통신연구소 filed Critical 조백제
Priority to KR101993002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417B1/ko
Publication of KR9500223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23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4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4Charging, metering or billing arrangements for data wireline or wireless communications
    • H04L12/141Indication of cos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50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 H04L41/5041Network service management, e.g. ensuring proper service fulfilment according to agreements characterised by the time relationship between creation and deployment of a ser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정보료 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 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No.7 공통선 신호방식 시스템의 구성도
제2도는 인접한 두 기능 블록간 인터페이스 절차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간의 구성도
제4도는 소기능 요소간 연관도
제5도는 SSP 호제어부에서의 처리 흐름도
제6도는 SCP 서비스로직부에서의 처리 흐름도
본 발명은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사용자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정보 서비스(일명 700서비스)를 전담하는 교환국에서 처리하는 통신방식과는 달리, 본 발명은 지능망을 근간으로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능망의 구성요소중 서비스교환기(SSP: Service Switching Point) 및 서비스제어시스템(SCP: Service Control Point)간 No.7 공통선 신호방식중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 또는 서비스로직부) 통신방식을 제공한다.
현재의 700 서비스의 통신방식은 과금 기능, 부가기능 및 망구성 측면에서 관련 문제점을 안고 있다. 과금 기능의 경우, 발신교환기에서 분산과금을 수행하며 과금 등급은 700-XXXX의 번호와 직접 연계되어 세분화에 한계가 있으며, 부가 기능의 경우, 현재의 통신 방식은 기본 서비스 기능만을 제공하며, 전국 대표번호, 근거리 우선루팅 및 일시별 요금변경 등 부가 기능을 제공할 수 없다. 망구성의 경우, 700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전용교환기로 회선 연결이 필요하다.
또한 종래의 통신방식은 서비스 이용자가 입력한 착신번호 자체가 생활정보 데이터베이스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는 망루팅 주소로서, 그 착신번호를 근간으로 호제어 및 서비스제어가 진행된다. 이는 서비스별로 망이 존재하는 과거와 같은 서비스 종속적 통신망을 피할 수 없다. 현재의 통신망 구조는 서비스 독립적인 하부 기반구조로 발전하고 있다. 따라서, 생활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종래의 통신방식도 지능망을 근간으로 한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방식으로 진화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능망을 근간으로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제공하기 이해 No.7 신호방식중 상위계층에서 필요한 기능요소로서 문답처리 기능응용부(Transaction Capabilitiesd Application Part; 이하, TCAP라 함) 및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Premium Rate Application Service Element; 이하, PR-ASE라 함)가 있으며, TCAP의 제어 방법은 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CCITT) 관련 권고안을 적용하며, PR-ASE를 이용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공통선 신호방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 후에 호제어부가 필수 파라미터 및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에 번호번역을 요청하기 위해 제어권을 서비스로직부로 전달하는 제1단계;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번호번역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명령제공 실패원인에 대한 해당 여부를 검사한 후에 추가정보의 유무를 결정하는 제2단계; 추가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추가 정보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처리하고 상기 호제어부로 추가정보 전송을 의뢰하는 제3단계; 상기 호제어부는 추가정보 전송을 의뢰받고 추가정보 요청수신을 처리한 후에 서비스이용자로부터 또는 시스템자체적으로 추가정보를 수집하는제4단계; 수집된 추가정보를 기초로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에 상기 서비스로직부로 추가정보를 전달하는 제5단계; 추가 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로직부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한 후에 필수 파라미터 또는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하는 제6단계;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요청 여부를 검사한 후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호제어부로 전송하는 제7단계; 상기 호제어부는 상기 서비스로직부로부터 서비스호 처리 결과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에 따라 호복구 또는 호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로직부가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요청을 의뢰한 경우에 수신한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로직부로 전달하는 제8단계; 및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사건 결과를 수신한 후에 해당 동작을 수행한 후에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에 관련된 제어를 종료하는 제9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PR-ASE 자체내의 상세한 사항(오페레이션(Operation)/오류정의, 정보요소 부호화 및 노드간 절차)을 블랙박스 형태로 가정하고 PR-ASE와 사용자(호제어부, 서비스로직부)간 국부적 정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다음 7개의 프리미티브(Primitive)를 기초로 한다. 여기서 프라미티브라 함은 국부적 정합 기능에서 상호 송수신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신호를 국어로 번역하여 표현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실제 구현시 적용되는 영문의 신호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여 설명한다.
- PR-PROVIDE'(요구, 지시, 반응, 확인)
- PR-PROMPT'(요구, 지시, 반응, 확인)
- PR-NOTIFY'(요구, 지시)
- PR-EVENT'(요구, 지시)
- PR-GAP'(요구, 지시)
- PR-CANCEL'(요구, 지시)
- PR-REJECT'(지시)
상기의 프리미티브를 기초로 본 발명은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의 번호번역 요청(호제어부) 및 번영응답(서비스로직부)을 위한 제어 방안을 제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제어 시스템의 구조도이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시스템의 구조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신호데이터 링크(Link) 기능 레벨(Level), 신호 링크 기능 레벨 및 신호망 기능 레벨로 구성되는 메시지전달부(Message Transfer Part : 이하, MTP라 함) (1, 1')는 메시지전달부 사용자가 요청하는 신호 메시지를 오류없이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신호연결제어부(SCCP: Signalling Connection Control Part)(2, 2')는 교환기와 망 특수설비들 사이의 회선 관련 정보 또는 비회선 관련 정보를 연결형 또는 비연결형 망계층 서비스로 전달하기 위해 총괄명 번역등 상기 MTP(1)의 추가적 기능을 제공한다.
종합정보통신망 사용자부(ISUP : ISDN User Part)(3)는 종합정보통신망(ISDN)에서 음성 및 비음성 교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회선 접속방법을 제공한다.
문답처리기능응용부(TCAP)(4, 4')는 통신망내 분산 환경에서 교환기와 특수센터들(예: 망서비스 데이터베이스)사이에 비회선 관련 신호 정보의 교환을 위해 응용 서비스요소간의 상호동작을 지원한다.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PR-ASE)(5, 5')는 망내에서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의 통신 환경을 지원하는 OSI(Open System Interface) 계층중 최상위 프로토콜이다.
호제어부(CC : Call Control)(6)는 서비스교환기(SSP) 기능을 수행하는 노드에서 PR-ASE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며, 전달망과 지능망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 역할을 수행한다.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로직부(PR-SL : Premium Rate Service Logic)(7)는 서비스제어시스템(SCP)기능을 수행하는 노드에서 PR-ASE 사용자 기능을 수행하며, 서비스교환기(SSP)로부터 양도받은 서비스 제어권을 이용하여 서비스 가입자의 프로파일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와 질의/응답을 통해 서비스 로직(Logic)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교환기(SSP)로 반송한다.
제2도는 인접한 두 기능 블록간 정합 절차도로서, 요구, 지시, 반응 및 확인의 순으로 발생된다.
예를 들면, 번호번역의 요청 및 응답서비스는 호제어부에서 PR-ASE로 PR-PROVIDE 요청을 발생하며(21), 서비스로직부는 PR-ASE로부터 PR-PROVIDE 지시를 수신한 후(22) 번호번역을 수행하고 PR-ASE로 PR-PROVIDE 반응을 발생시킨다(23). 최종적으로 호제어부는 PR-ASE로부터 PR-PROVIDE 확인을 PR-ASE로부터 수신한 후 번호번역 결과에 따라 착신측으로 호설정을 진행한다(24)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소프트웨어 블록간 구성도로서, 각 프리미티브에 대한 호제어부 및 서비스로직부의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 제어방법은 다음과 같다.
(1) PR-PROVIDE프리미티브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서비스로직부)가 이용하는 서비스 유형중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호의 적격검사, 번호번역 및 과금기준정보등에 대한 요청 및 응답 서비스에 관련된 일반 유형을 표시한다.
가. 서비스교환기(SSP) 처리 기능
1) 요구
호제어부는 과금기준 정보 및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 번호 번역 등을 요청히기 위해 PR-PROVIDE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PR-ASE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이를 위해 호제어부는 서비스 이용자로부터 수집한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발생교환기로부터 수신한 발신번호, 그리고 신호망 메시지의 루팅을 위한 발신주소 및 착신주소들을 PR-ASE로 전송한다. 발신번호는 원칙적으로 먼저 서비스교환기(SSP)에서 발신측을 확인한 후 서비스제어시스템(SCP)으로 전송하는 최초의 메시지에 포함해야 하나, 신호망 연동 등 예외 상황으로 인해(예:국제망-국내망) 서비스제어시스템(SCP)의 요청에 따라 전송할 수 있다.
2) 확인
호제어부의후속 호처리는 PR-PROVIDE 확인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호제어부는 이 프리미티브가 성공율 표시하고 최종 웅답인 경우 착신측으로 호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 프리미티브가 실패로 표시되어 있거나 프로토콜 오류가 감지된 경우, 착신측 정보제공자로 호설정을 중단하고 발신측으로 호복구 절차틀 수행한다.
나. 서비스제어시스템 (SCP) 처리 기능
1) 지시
서비스로직부의 과금기준 정보 및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 등은 PR-PROVIDE 지시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2) 반응
서비스로직부는 서비스 호처리가 성공한 경우, 과금기준정보 결정 및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 등을 수행한 후 PR-ASE로 PR-PROVIDE 반웅 프리미티브를 발생하여 성공 웅답율 통보한다)성공실패 표시자는 성공으로 표시함). 서비스 호처리가 실패한 경우, 명령 저공 실패원인을 결정한 후 PR-ASE로 PR-PROVIDE 반웅 프리미티브를 발생하여 실패 응답을 통보한다(성공실괘 표시자는 실패로 표시함).
(2)PR-PROMPT 프리미티브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재어부/서비스로직)가 이용하는 서비트 유헝중 서비스이용자 확인 및 메뉴 선택등을 위해 추가정보의 요청 및 웅답서비스에 관련된 호촉구 유형을 표시한다.
가. 서비스제어시스템 (SCP) 처리 기능
1) 요구
서비스로직부는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호의 번호 번역 또는 제반 검사를 위해 추가정보(예 :메뉴선택번호, 이용자식별번호 등)가 요구되는 경우 PR-PROMPT 요구 프띠미티브를 이용하여 PR-ASE로 서비스를 요청한다. 국부식별 번호는 PR-ASE로 부터 수신한 PR-PROVIDE 지시 프리미티브내의 번호를 이용한다.
2) 화일
서비스로직부의 후속 서비스 호처리는 PR-ASE로 부터 수신한 프리미티브 종류애 따라 다르다. 국부식별 번호는 PR-PROVIDE 지시 프리미티브내외 번호틀 그대로 이용한다. 서비스로직부가 PR-PROMPT 화인 프리미티브푤 수신하는 경우, 미처리된 번호 번역 또는 저반 겉사를 수행한다. 서비스로진부가 'PR-CANCEL'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는 경우, 후속서비스 호처리를 중단한다.
나. 서비스교환기(SSP) 처리 기능
1) 지시
호제어부의 추가정보 수집은 PR-PROMPT 지시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PR-ASE가 전송하는 이 프리미티브에서 국부식별 번호는 호제어부로 부터 수신한 'PR-PROVIDE' 요구 프리미티브내의 번호를 이용한다.
2) 반응
호젤어부는 추가정보 수집이 성공한 경우 PR-ASE에게 PR-PROMPT 반웅 프리미티브틀 이용하여 정보를 전송한다. 이후, PR-ASE는 구조형 다이얼로그를 이용하여 다이얼로그 계속을 요청한다. 추가정보 수집이 실패한 경우 PR-ASE에게 PR-CANCEL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해당 원인을 전송한다.
(3)PR-NOTIFY 프리미티브
정보료주납대 챌 웅용서 비스요소의 사용자 (호질 어 부/서 비 스로직 부) 가 이 용하는 서비스 유형 중 서비스 제어시스템(SCP)이 서비스교환기(SSP)에게 정보료수납대챙 서비스호의 진행상태 및 제어목록 상태등에 관한 정보 요청 서비스 유형을 표시한다.
가. 서비스제어시스템(SCP) 처리 기능
1) 요구
서비스로직부는 특정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호의 진행 상태 및 제어 목록 상태에 관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PR-NOTIFY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PR-ASE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특정 서비스호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로직부는 PR-ASE에게 전송하는 PR-PROVIDE 반응 프리미티브내의 국부식별번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나. 서비스교환기(SSP) 처리 기능
1) 지시
호제어부의 특정 서비스호에 대한 호 상태 정보 N집은 PR-NOTIFY 지시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특정 서비스호를 확인하기 위해 호제어부는 PR-ASE로부터 수신되는 PR-PROVIDE 확인 프리미티브내의 국부식별 번호를 그대로 이용한다. 이후, 호제어부는 이 프리미티브가 최종 응답이고 프로토콜 오류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 착신측 정보제공자로 호설정을 개시할 수 있다.
(4) PR-EVENT 프리미티브
정보료수납대행 응용 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서비스로직부)가 이용하는 서비스 유형중 서비스교환기(SSP)가 서비스제어시스템(SCP)에게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호의 진행상태 및 제어목록 상태 등에 관한 정보 통신 서비스 유형을 표시한다.
가. 서비스교환기(SSP) 처리 기능
1) 요구
호제어부는 특정 정보료수납대행 호의 진행 상태에 관한 정보(호실패 원인, 호접속시간 및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 등)를 통보하기 위해 PR-ASE에게 PR-EVENT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PR-ASE에게 서비스를 요청한다 호제어부는 하나의 PR-EVENT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최대 세 개의 서로 다른 사건(호진행 상태, 제어목록 상태 및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일한 사건에 대해서는(예:지능망 정합의 프로토콜 오류) 각각 하나의 PR-EVENT 요구 프리미티브를 이용하여 전송한다.
나. 서비스제어시스템(SCP) 처리 기능
1) 지시
서비스로직부의 특정 서비스호에 대한 호상태 정보 등의 수신은 PR-EVENT 지시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수신한 정보는 특정 서비스가 입자의 호입력을 유지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또는 서비스 관리를 위해 통계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서비스교환기의 PR-ASE 또는 TCAP의 프로토콜 오류로 인하여 수신된 PR-EVENT 지시 프리미티브의 경우, 문제부호는 서비스교환기(SSP)의 해당 기능블럭에서 프로토콜 오류가 발생되었음을 의미한다.
(5) PR-GAP 프리미티브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서비스로직부)가 이용하는 서비스 유형중 서비스제어시스템(SCP) 및 망의 운용을 위하여 특정 제어번호에 대해 서비스교환기(SSP)가 일정신간 동안 호차단을 요청하는 유형을 표시한다.
가. 서비스제어시스템(SCP) 처리 기능
1) 요구
서비스로직부는 서비스제어시스템(SCP) 트래픽 제어 및 망운용상, 특정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의 제어 번호에 대해 일정 시간(주기) 동안 호를 차단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PR-ASE에게 PR-GAP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한다.
나. 서비스교환기(SSP) 처리 기능
1) 지시
호제어부의 특정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호에 대한 차단은 PR-GAP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후 수행한다. 단방향 전송이 아닌 경우 이전 또는 이후에 수신된 컴포넌트(Component)에서 프로토콜 오류를 감지하더라도 즉시 후속 서비스이용자 호에 대하여 호차단 동작을 수행한다. 착신측 정보제공자로의 호설정은 이 프리미티브와는 독립적으로 수행하며, 후속 서비스이용자 호에 대하여 호차단 동작을 수행한다. 서비스이용자가 요청한 호는 일단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상의 제어번호가 제어목록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 후 제어주기지수를 기준으로 서비스제어시스템(SCP)으로 서비스 질의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6) PR-CANCEL 프리미티브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서비스로직부)가 이용하는 서비스 유형중 정상적인 서비스호 처리 상황을 벗어난 경우 서비스를 중단하는 호취소 유형을 표시한다.
가. 개시노드 처리기능
해당노드의 호제어부 또는 서비스로직부는 서비스호 처리중 정상적인 과정을 벗어난 다음 상황등에서 서비스호 수행 중단을 결정할 경우, PR-ASE에게 PR-CANCEL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한다.
- 서비스 이용자의 호취소 : 서비스교환기의 검사
- 서비스 이요자의 추가정보 : 입력지연 : 서비스교환기의 검사
- 안내 동작 불능 : 서비스교환기의 검사
- 처리 장애 : 서비스교환기 및 서비스제어시스템의 검사
- 비가용 시스템 자원 : 서비스교환기 및 서비스제어시스템의 검사
나. 수신노드 처리기능
해당노드의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의 서비스호 수행 취소는 개시노드의 서비스호 수행취소 사유로 인하여 수신된 PR-CANCEL 지시 프리미티브에 의한다.
(7) PR-REJECT 프리미티브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서비스로직부)가 이용하는 서비스 유형중 하우계층에서 발생된 프로토콜 오류를 통보받기 위한 서비스 유형을 표시한다.
그리고, 각 처리 블록의 기능 설명은 다음과 같다.
호제어부 제어(1) 및 서비스로직부 제어(2)로 구성되며, 이들 각각은 다음 기능요소들로서 구성된다.
- 호제어부 제어 (1)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요청 (3)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대기 (4)
· 추가정보 응답 (5)
· 관련 사건 대기 (6)
· 거절 대기 (7)
- 서비스로직부 제어 (2)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 응답 (8)
· 추가정보 요청 (9)
· 추가정보 대기 (10)
· 사건 처리 (11)
또한, 각 기능요소들은 다음의 소기능 요소들로 구성된다.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요청 (3)
· 번역요청 처리 (12)
· 비관련 사건 (13)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대기 (4)
· 먼역대기 호취소 (140
· 호복구 (15)
· 호접속 (16)
· 번역대기 프로토콜 오류 (17)
· 사건 통보 요청수신 (18)
· 자동호차단 요청수신 (19)
· 추가정보 요청수신 (20)
- 추가정보 응답 (5)
· 추가정보 전송 파라미터 처리 (21)
- 관련사건 대기 (6)
· 호진행상태 실패 (22)
· 호진행상태 성공 (23)
· 제어목록 상태 (24)
· 관련사건 (25)
- 거절대기 호취소 (7)
· 거절대기 프로토콜 오류 (26)
· 거절대기 호취소 (27)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응답(8)
· 명령제공 실패원인 (28)
· 번역응답파라미터 처리 (29)
· 사건 통보 요청 (30)
· 자동호차단 요청 (31)
- 추가정보 요청 (9)
· 추가정보 요청 파리미터 처리 (32)
- 추가정보 대기 (10)
· 추가정보 유효성 (33)
· 호취소 (34)
- 사건 처리 (11)
· 관련사건 (35)
· 비관련 사건 (36)
상기한 기능 블록에서 처리되는 전체적인 흐름을 다음과 같다.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 수 호제어부는 필수 파라미터 및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 번호번역을 요청하기 위해 제어권을 서비스로직부로 전달한다.
서비스로직부는 번호번역 요청을 수신한 후 명령제공 실패원인에 대한 해당 여부를 검사한 후 추가정보의 유무를 결정한다.
추가정보가 필요한 경우, 추가정보에 관련된 파라미터를 처리하고 호제어부로 추가정보 전송을 의뢰한다. 추가정보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 서비스로직부는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 여부를검사한 후 번호 번역 결과 등 필요한 데이터를 호제어부로 전송한다. 호제어부는 서비스로직부로부터 서비스호 처리 결과를 수신한 후 데이터에 따라 호복구 또는 호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로직부가 사건 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을 의뢰한 경우, 사건통보 요청수신 및 자동호차단 요청수신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로직부에게 전달한다. 서비스로직부는 사건 결과를 수신한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한 후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에 관련된 제어를 종료한다.
호제어부는 추가정보전송을 의뢰받은 경우, 추가정보 요청수신을 처리한 후 서비스이용자로부터 또는 시스템 자체적으로 추가 정보를 수집한다. 이후, 호제어부는 수집된 추가정보를 기초로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 서비스로직부로 추가정보를 전달한다. 추가정보를 수신한 서비스로직부를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한 후 필수 또는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한다. 이후, 서비스로직부는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 여부를 검사한 후 번호 번역 결과 등 필요한 데이터를 호제어부로 전송한다. 호제어부는 서비스로 직부가 사건 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을 의뢰 여부를 검사한 후 번호번역 결과 등 필요한 데이터를 호제어부로 전송한다. 호제어부는 서비스로직부로 부터 서비스호 처리 결과를 수신한 후 데이터에 따라 호복구 또는 호접속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서비스로직부가 사건 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 요청을 의뢰한 경우, 사건통보 요청수신 및 자동호차단 요청수단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서비스로직부에게 전달한다. 서비스로직부는 사건 결과를 수신한 후 해당 동작을 수행한 후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에 관련 제어를 종료한다.
제4도는 상기의 전체적인 흐름을 근거로 소기능 요소의 관계도를 표시한 것이다.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요청→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응답→ 추가정보 요청→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대기→추가정보응답→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응답 -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 번역대기 - 관련 사건 대기 - 사건 처리의 순 으로 진행된다.
제5-1 내지 5-4도는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기초로 서비스교환기(SSP)의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호제어부)에 대한 제어방법이다.
제6-1 및 6-2도는 서비스 프리미티브를 기초로 서비스제어시스템(SCP)의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의 사용자(서비스로직부)에 대한 제어방법이다.
상기의 제5도 및 제6도에서 각 소기능 요소별 세부 절차는 다음과 같다.
- 번역요청 파라미터 처리(12)
유휴 상태(501)에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 후(502), 발신종별을 결정하고(503),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 번호를 결정한 후에(504) 호특성 표시자를 결정한다(505). 또한 발신번호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506), 획득이 가능한 경우에만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발신번호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고(507, 508) 아니면 바로 전송매체요구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509) 획득이 가능한 경우에만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전송매체요구 파라미터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다.(510, 511) 이후, 프로토콜 제어정보 국부식별 번호 및 착신주소를 결정하고(512) 국부식별번호와 착신주소를 포함한 PR-PROVIDE 요청 프리미티브를 PR-ASE로 발생한 후에(513) PRASE로부터의 PR-PROVIDE 확인 프리미티브를 기대한다(514, 515).
- 비관련 사건 (13)
유휴상태(501)에서 호제어부 내부적으로 발생된 비관련 사건통보 신호를 수신한 경우에(545), 통보표시자를 결정한 후에(546) 제어목록 상태를 포함한 경우에만(547)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제어번호의 포함 여부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 다음에(548)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문제번호의 포함 유무를 결정한다(549). 이후 프로토콜 제어정보인 국부식별번호 및 착신주소를 결정한 후에(550) 국부식별번호와 착신주소를 포함한 PR-EVENT 요구 프리미티브를 PR-ASE로 발생한다(551). 이후, PR-ASE의 거절 대기 상태로 천이하거나(644, 645) 종료한다(650)
- 번역 대기 호취소 (14)
서비스이용자의 호중단 및 추가정보획득 실패등의 서비스호 취소 상황을 수신한 후(516) 해당 취소 원인을 결정한 후(517) 프로토콜 제어정보인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한 다음에(518) 국부식별번호를 포함한 PR-CANCEL 요구 프리미티브를 PR-ASE로 발생하고(519) 유휴 상태(520)로 천이한다.
- 호복구 (25)
PR-ASE로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에서 PR-ASE로 부터 PR-PROVIDE 확인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521) 성공실패 표시자를검사하여(522, 523) 그 결과가 실패로서 호 복구 상황이 발생한 경우에 서비스이용자에게 전송해야하는 안내의 종류를 결정하여(529) 호복구를 안내하고(530) 호복구를 진행한 후에(531) 유휴 상태(532)로 천이한다.
- 호접속(16)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에서 PR-ASE로 부터 PR-PROVIDE 확인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521) 성공실패 표시자를 검사하여(522, 23) 그 결과가 성공이고 최종응답이 아니면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524, 544) 최종응답이면(524) 플래그(프로토콜 오류)를 검사한다.(524)
프로토콜 오류이고(526) 오류 유형 분석이 불가능하면(540) 호복구 상태(15)로 천이하고 단 하나의 자동호 차단 오류가 아니면(541) 프로토콜 오류 처리 과정(582)으로 천이하고 자동호 차단 오류이면 통보표시자(지능망 프로토콜 오류)를 포함하여(542) 비관련 사건 통보 과정을 수행한다.(543)
프로토콜 오류이면(526) 착신 번호를 검사하여(527) 착신 번호가 유효하지 않으면(528) 호복구 상태(15)로 천이하고 착신 번호가 유효하면(528) 과금처리를 준비하여(533)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과금내역 안내부호를 검사하여(534) 안내부호가 있으면(535) 과금내역안내를 결정하고(536) 과금을 안내하고(537) 안내부호가 없으면(535) 과금내역안내에 대한 국부적 처리를 수행한 후에(538)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만(539) 과금안내를 수행한다(537). 이후, 성공결과 안내부호의 포함 유무를 검사하여(552) 안내부호가 있으면(553) 성공결과안내를 결정하고(554) 성공을 안내하고(555), 안내부호가 없으면(553) 성공결과안내에 대한 국부적 처리를 수행한 후에(561) 안내가 필요한 경우에만(562) 서비스이용자에게 필요한 안내방송을 수행한다(555). 이후, 착신측 교환기의 방향으로 호설정을 진행하여(556) 사건통보의 필요성을 검사하여(557) 사건 통보가 요구되면(558) 관련 사건 발생을 대기하고(559) 사건 통보가 요구되지 않으면(558) 유휴 상태(560)로 천이한다.
- 번역 대기 프로토콜 오류 (17)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515)에서 PR-ASE로 부터 PR-PROVIDE 지시를 수신한 후(576) 카우터(프로토콜 오류)가 증가하면(577) 플래그(프로토콜 오류)를 결정하여(578) 프로토콜 오류를 저장하고(579) 최종응답이 아니면 PR-ASE로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575) 최종응답이면 오류 유형 분석이 불가능한 경우에(529) 과정으로 천이하고 오류 유형 분석이 가능한 경우에 통보표시자(지능망 프로토콜 오류)를 포함한(582) 오류 유형에 따라(583) 해당 동작을 수행한다. 즉, 번호번역 관련 오류인 경우에 플래그(사건통보)를 검사하여(584) 사거통보요구이고(585) 호진행상태요구이면 통보표시자 결정 및 호실패 통보 과정(587, 588)을 더 수행하고, 제어목록 초과요구이면(589) 관련 제어번호 목록상태를 검사하여(590) 제어목록 초과 또는 비초과를 통보한다. (591 내지 593).
사건통보 관련 오류이거나 사건통보요구인 경우에 비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를 전송하고(598) 서비스이용자에게 필요한 안내방송을 결정하여(599) 호복구 안내를 전송한 후(600) 호복구를 진행하고(601) 카운터에 따라 사건통보의 정보전송이 요구된 경우에만(594, 595)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를 전송하고(597) 유휴상태(596)로 천이한다. 자동호차단 관련 오류인 경우에 비관련 사건 통보의 내부신호를 전송하고(602) 카운터에 따라 사건 통보 정보전송이 요구된 경우에만(594, 595)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를 전송하고(597) 유휴 상태(596)로 천이한다.
- 사건 통보 요청 수신 (18)
PR-ASE로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515)에서 PR-ASE로 부터 PR-NOTIFY 지시를 수신한 후(563) 착신 주소 및 반향번호를 저장하고(564, 565) 통보표시자를 검사하여(566) 호진행상태이면 사건통보(호설정 진행상태)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하고(567, 568) 제어목록초과이면 사건통보(제어목록 초과)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 후에(569, 570) (524)과정으로 천이한다.
- 자동호차단 요청수신 (19)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515)에서 PR-ASE로 PR-GAP 지시를 수신한 후(571) 자동호 차단을 명령하는 내부신호를 전송하고(572) 최종응답이 아니면(573)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로 천이하고(575) 최종응답이면(573) 사건통보(호설정 진행상태, 제어목록초과)의 필요성을 검사한 후에(574) (558)과정으로 천이한다.
- 추가정보 요청수신(20)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515)에서 PR-ASE로 부터 PR-PROMPT 지시를 수신한 후(603) 추가정보요청부호를 검사하고(604) 추가정보안내부호를 검사한 후에(605)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추가정보안내부호의 포함유무를 검사한 후(606) 시스템 내부적으로 또는 서비스이용자에게 추가정보요청 신호를 전송한 후 추가정보 획득대기 상태로 전환한다.(607내지 609, 620, 621)
- 추가정보전송 파리미터 처리 (21)
추가정보 획득대기 상태(609)에서 추가정보의 획득에 성공한 후(610) 추가정보 전송부호를 결정한 후(611) 전송할 추가정보(발신번호, 가입자 정의번호, 이용자확인번호, 지역번호, 메뉴선택번호중)를 결정한다.(612) 이후, 프로토콜 제어정보로서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한 후(613) PR-ASE로 PR-PROMPT 반응 프리미티브를 발생하고(614) PR-ASE의 PR-PROVIDE 확인 대기 상태(115)로 천이한다.
한편, 추가정보 획득대기 상태(609)에서 추가정보의 획득에 실패하면(610) 취소원인을 경정하고(616) 국부 식별번호를 확인한 후에(617) PR-ASE로 PR-CANCEL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한 후에(618) 유휴상태(619)로 천이한다.
- 호진행 상태 실패 (22)
관련 사건 발생 대기상태(622)에서 호실패 내부신호가 수신된 후(623) 호실패원인을 결정한 후(624)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를 검사하여(625)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가 아니면 통보표시자(호진행상태:실패)를 포함하여(629) 호실패원인을 결정한 후(630)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관련 사건 발생 대기상태로 천이한다.(628) 만약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이면 통보표시자(지능망 프로토콜 오류, 호진행 상태 : 실패)를 포함 하여(626) 문제부호를 결정한 후(627)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관련 사건발생 대기상태로 천이한다(628).
- 호진행 상태 성공 (23)
관련 사건 발생 대기상태(622)에서 호접속 신호가 수신된 후(631) 서비스이용자 및 서비스 가입지간 통신이 진행된다(632). 이후 호 복구 신호를 수신한 후(133) 통보표시자(호진행상태 : 성공)를 결정하고(634) 호연결시간을 산정한 후에(635)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관련 사건발생 대기상태로 천이한다.(628)
- 제어목록 상태(24)
관련 사건 발생 대기상태(622)에서 제어목록 초과 및 제어목록 비초과의 내부신호를 수신한 후(636, 637) 통보표시자(제어목록상태)를 결정하고(638)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가 발생될 때까지 관련 사건 발생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628)
- 관련 사건(25)
관련 사건 발생 대기상태(622)에서 관련 사건통보의 내부신호를 수신한 후(639) 통보표시자를 결정하고(640) 반향번호를 결정하고(641) 국부식별번호 및 착신주소를 결정한 후(642) PR-ASE로 PR-EVENT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한 후(643) 거절대기이면(644) 거절대기 상태로 천이하고(645) 거절대기가 아니면 처리를 종료한다.(650)
- 거절대기 프로토콜 오류 (26)
PR-ASE 거절대기 상태(645)에서 PR-ASE로부터 PR-REJECT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후(646) 비정상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고 처리를 종료하고(647) 유휴 상태(648)로 천이한다.
- 거절대기 호취소(27)
PR-ASE 거절대기 상태(645)에서 PR-ASE로 부터 PR-CANCEL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후(649) 정상적 상황이 발생한 것으로 가정하고 처리를 종료하고(650) 유휴 상태(648)로 천이한다.
- 명령제공 실패원인 (28)
유휴 상태(651)에서 PR-ASE로 부터 PR-PROVIDE 지시 프라미터브를 수신한 후9652) 호실패원인을 결정하고(653) DB로의 서비스가입자 프로파일에 접근하여(656) 명령제공 실패원인 발생 여부를 검사한다(657, 658).
명령제공 실패원인이 발생한 경우, 명령제공 실패원인을 결정하고(690) 성공실패표시자(실패)를 결정하고(691)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실패결과 안내부호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692) 획득이 가능한 경우에만(693) 실패결과 안내부호를 결정하는 과정을 더 수행한다(694). 이후, 프로토콜 제어정보로서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하고(695) 최종응답표시자를 결정한 후(696) PR-ASE로 PR-PROVIDE 반응 프로미티브를 발생한 후에(697) (675)과정을 수행한다.
- 번역응답 파라미터 처리 (29)
유휴 상태(651)에서 PR-ASE로 부터 PR-PROVIDE 지시 프라미티브를 수신한 후(652) 호실패원인을 결정하고(653) DB로의 서비스가입자 프로파일에 접근하여(656) 명령제공 실패원인 발생 여부를 검사하여(657) 발생하지 않았으면(658) 추가 정보가 요구되는경우에는 (698) 과정으로 천이하고 추가정보가 요구되지 않는 경우에는 착신번호를 결정하고 (660) 과금기준정보를 결정한 후에(661) 대체과금번호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662) 획득가능한 경우에만(663)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대체과금번호를 결정하고(664) 과금내역 안내부호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665) 획득가능한 경우에만(666)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과금내역 안내부호를 결정하며(667) 성공결과 안내 부호의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668) 획득가능한 경우에만(669) 성공결과 안내부호를 결정한다(670), 이후, 성공실패표시자(성공)를 결정하고(671)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하고(672) 최종응답 표시자를 결정한 후(673) PR-ASE로 PR-PROVIDE 반응 프리미티브를 발생한다(674).
- 사건통보 요청(30)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의 번역응답시 최종응답이 아니고(675) 사건통보가 요구된 경우에(673) 통보요청 표시자를 결정하고(677) 반향번호를 결정하고(678)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한 후에(679) 최종응답표시자를 결정한 후(680) PR-ASE로 PR-NOTIFY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하고(681) 최종응답이면 유휴상태(689)로 천이한다.
- 자동호차단 요청 (31)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의 번역응답시 최종응답이 아니고(675) 자동호차단이 요구된 경우에(676) 차단원인을 결정하고(682) 차단시간지수를 결정하고(683) 차단주기지수를 결정하며(684) 제어번호를 결정한 후에(685)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하고(686) 최종응답표시자를 결정한 후(687) PR-ASE로 PR-GAP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하고(688) 최종응답이면 유휴 상태(689)로 천이한다.
- 추가정보 파라미터 처리 (32)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번호의 번역을 위해 추가정보가 요구되는 경우에(659) 요청할 추가정보(발신번호, 가입자정의번호, 이용자확인번호, 지역번호, 메뉴선택번호 중)를 결정하고(698) 선택적 파라미터로서 추가정보 안내부호의 획득 가능성을 검사하여(699) 획득가능한 경우에만(700) 추가정보 안내부호를 결정한 후(701)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하고(702) PR-ASE로 PR-PROMPT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하고(703) PR-ASE의 추가 정보 수신 대기상태(704)로 천이한다.
- 추가정보 유효성 (33)
추가정보의 수신 대기상태(704)에서 PR-ASE로 PR-PROMPT 확인 프리미티브를 수신한 후(713) 추가정보의 유효성을 검사한다(714). 유휴 상태(712)로 천이하고, 추가정보의 수신 대기상태(704)에서 시스템 내부적으로 서비스호 취소상황이 발생된 경우에는(705) 최소원인을 결정하고(706) 국부식별번호를 확인한 후(707) PR-ASE로 PR-CANCEL 요구 프리미티브를 발생하고(708) 유휴상태(709)로 천이한다.
- 관련 사건 (35)
유휴 상태(651)에서 PR-ASE로 부터 PR-EVENT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718) 반향번호가 존재하는 경우에(719) 통보표시자를 검사한다(720). 이후, 호진행상태인 경우에만(721) 서비스가입자 관련 통계정보를 처리하는 과정(722)을 더 수행하고, 제어목록상태가 필요한 경우에만(721) 서비스교환기 관련 호차단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724)을 더 수행하고,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인 경우에만(725) 신호망 관련 성능정보 처리 과정(726)을 더 수행한 후에 유휴 상태(727)로 천이한다.
- 비관련 사건
유휴 상태(651)에서 PR-ASE로 부터 PR-EVENT 지시 프리미티브를 수신하면(718) 반향번호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719) 통보표시자를 검사한다(728). 이후, 제어목록상태가 필요한 경우에만(723) 서비스교환기 관련 호차단 정보를 처리하는 과정(724)을 더 수행하고, 지능망 프로토콜 오류인 경우에만(725) 신호망 관련 성능정보 처리 과정(726)을 더 수행한 후에 유휴 상태(727)로 천이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비지능망을 근간으로 제공되고 있는 국내의 700 서비스의 통신방식에 대한 대안으로서, 오퍼레이션(Operation)/오류의 부호화 방법 및 정보료수납대행 응용서비스요소 제어방법을 적용하여 지능망 근간이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이용자에게는 서비스 접근방식 및 피과금 방식에 대한 통일된 통신 방식을 제공하며, 서비스가입자에게는 상세한 통계정보를 획득하게 하고 서비스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한 과금률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 방식을 제공한다. 통신망운용자에게는 집중화된 서비스 제어 방식을 적용할 수 있는 통신망 인터페이스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정보료 수납 대행 서비스를 개발하는 No.7 신호방식 사용자에게는 필요한 데이터의 종류, 호처리 및 서비스로직처리를 위한 기본 흐름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공통선 신호방식 시스템에 적용되는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이용자로부터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의 요청을 수신한 후에 호제어부가 필수 파라미터 및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에 번호번역을 요청하기 위해 제어권을 서비스로직부로 전달하는 제1단계(501 내지 514) :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번호번역 요청을 수신한 후에 명령제공 실패원인에 대한 해당 여부를 검사한 후에 추가정보의 유무를 결정하는 제2단계(651 내지 658, 690 내지 697); 추가정보가 필요한 경우에 추가정보와 관련된 파라미터를 처리하고 상기 호제어부로 추가정보 전송을 의뢰하는 제3단계(659, 689 내지 704); 상기 호제어부는 추가정보 전송을 의뢰받고 추가정보 요청수신을 처리한 후에 서비스이용자로부터 또는 시스템 자체적으로 추가정보를 수집하는 제4단계(515, 603 내지 609); 수집된 추가정보를 기초로 파라미터를 처리한 후에 상기 서비스로직부로 추가정보를 전달하는 제5단계(609 내지 615); 추가정보를 수신한 상기 서비스로직부가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사한 후에 필수 파라미터 또는 선택 파라미터를 처리하는 제6단계(704, 713 내지 717);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요청 여부를 검사한 후에 필요한 데이터를 상기 호제어부로 전송하는 제 7단계(651 내지 689); 상기 호제어부는 상기 서비스로직부로부터 서비스호 처리 결과를 수신한 후에 데이터에 따라 호복구 또는 호접속 기능을 수행하고 상기 서비스로직부가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요청을 의뢰한 경우에 수신한 사건통보요청 및 자동호차단요청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상기 서비스로직부로 전달하는 제8단계(515, 521 내지 539, 552내지 575); 및 상기 서비스로직부는 사건 결과를 수신한 후에 해당 동작을 수행한 후에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에 관련된 제어를 종료하는 제9단계(651, 718 내지 72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 방법.
KR1019930028325A 1993-12-17 1993-12-17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KR9600144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25A KR960014417B1 (ko) 1993-12-17 1993-12-17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8325A KR960014417B1 (ko) 1993-12-17 1993-12-17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91A KR950022391A (ko) 1995-07-28
KR960014417B1 true KR960014417B1 (ko) 1996-10-15

Family

ID=193715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8325A KR960014417B1 (ko) 1993-12-17 1993-12-17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41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2391A (ko) 1995-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44271C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US6870923B2 (en) Method for transferring message in a message transfer part with high speed
KR960014417B1 (ko) 정보료수납대행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응용서비스요소 사용자 제어방법
KR0139586B1 (ko) 중계 서비스 교환기를 이용한 단국 서비스 교환기의 지능망 서비스 호처리 방법
KR960016535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에서의 지능망 서비스 호 처리방법
EP0957623B1 (en) Operator assisted call subscriber screening using an intelligent network interface protocol
KR930006865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착신과금 서비스호 처리방법
KR960016667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부재중 안내서비스 처리 방법
KR970004824B1 (ko) 서비스 교환기(tdx-10 ssp)의 안내 방송 장치 다중화 방법
KR930009862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신용통화 서비스호 처리방법
KR950009432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 서비스 번호를 이용한 지능망 서비스 인지 방법
KR960015872B1 (ko) 전전자 교환기 에스.에스.피(ssp)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서비스요소의 프리미티브 처리 방법
KR0160346B1 (ko) 자동 수신자 부담 전화 서비스 구현 방법
KR950013156B1 (ko) 전전자 교환기에서의 선별적 통화량 폭주 제어 방법
KR970006947B1 (ko) 서비스교환기의정보료수납대행서비스호를시험하기위한응용프로세스시뮬레이션방법
KR0134713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ssp)의 지능망 서비스 제어 시스템(scp) 시뮬레이션 방법.
KR0134710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응용 프로세스용 응용 서비스 요소 시뮬레이션 방법
KR930004924B1 (ko) 전전자 교환시스팀의 착신 과금 서비스 방법
KR930004923B1 (ko) Nics/scp의 신용통화 서비스 제어방법
KR960014418B1 (ko) 지능망 서비스 교환기의 정보료 수납대행 응용 프로세스용 응용 서비스 요소 시뮬레이터 운용방법
KR950002593B1 (ko) 서비스 교환기의 착신과금 서비스 호 제어 방법
KR100285504B1 (ko) 지능망시스템과지능형부가장치간접속방법
KR0146642B1 (ko) 협대역 종합정보통신망용 교환기에서의 편집형 착신거부 안내방법
KR960002365B1 (ko) 서비스 교환기의 신용통화 서비스 호 제어방법
KR0123254B1 (ko) 서비스 교환기(ssp)에서 지능망 서비스 호를 시험하기 위한 응용 프로세스 시뮬레이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