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4041B1 - 다세대용 정수장치 - Google Patents

다세대용 정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4041B1
KR960014041B1 KR1019930030586A KR930030586A KR960014041B1 KR 960014041 B1 KR960014041 B1 KR 960014041B1 KR 1019930030586 A KR1019930030586 A KR 1019930030586A KR 930030586 A KR930030586 A KR 930030586A KR 960014041 B1 KR960014041 B1 KR 9600140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zeolite
activated carbon
water
colum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0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7771A (ko
Inventor
손두익
Original Assignee
손두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두익 filed Critical 손두익
Priority to KR1019930030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4041B1/ko
Publication of KR9500177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77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40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404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inorganic 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다세대용 정수장치
제1도는 본 kf명의 1실시예에 관한 1차 여과칼럼, 3개 제올라이트칼럼, 2개 활성탄칼럼, 2차 여과칼럼 및 살균기를 이용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1차 각각의 칼럼을 통과한 최종처리수의 증발잔류량을 나타낸 도표,
제3도는 제1도의 제올라이트칼럼(2,3,4)에서 제올라이트의 Zn 흡착효과를 나타낸 도표,
제4도는 제1도의 제올라이트칼럼(2,3,4)에서 제올라이트의 암모니움이온 흡착효과를 나타낸 도표,
제5도는 제1도의 활성탄칼럼(5,6)에서 활성탄의 유기물질의 흡착효과를 나타낸 도표,
제6도는 제1도에 도시된 살균기(8)에서의 살균효과를 나타낸 도표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7 : 여과칼럼 2,3,4 : 제올라이트 칼럼
5,6 : ;활성탄칼럼 8 : 살균(U.V 살균기 또는 오존발생장치)
본 발명의 다세대용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다량의 수도물 및 지하수를 3개 제올라이트의 중금속, 암모니움이온의 흡착단계 및 2개 활성탄의 유기물질 흡착단계를 이용하여 질렬, 병렬 또는 직병렬방법으로 정수시켜 다세대가 동시에 안전한 음용수로서 사용할 수 있도록 된 정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이나 공동주택에 수도물을 공급하는데는 건물의 지하에 설치된 저수탱크내에 염소로 살균된 수도물이 정수장으로부터 도입되며, 상기 저수탱크내의 물은 건물의 옥상에 설치된 급수탱크내에 펌프로 통하여 양수된 다음 해당 배관로를 통해 각세대의 수도로 급수된다. 상기 저수탱크내의 물은 사용기간중에 여러가지 잡균에 의해 오염되는 일이 많아 그대로 음용수로서 사용하기에는 위생상 문제가 있다.
분만 아니라, 근래에는 원수로부터의 각종 중금속, 유기물질등이 유입되어 사회적으로 많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또한 저수탱크내에서 저수중에 함유된 여러가지 균을 살균하는 데는 연소가 효과적이지만, 상기 연소가 유기물과 화儺하면 트리할로메탄(Trihalomathance:THM)이 생성되고, 이 트리할로메탄은 발암성유발물질이므로 음용수로서 사용하기전에 수도물을 정수할 필요성이 근래 점차 높아지고 있다.
이와같이 오염된 수도물을 제올라이트칼럼로 흡착처리하여 중금속등을 흡착제거할 수 있으나, 제올라이트칼럼는 유기물질을 흡수하기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입상, 또는 덩어리상의 활성탄중에 오염된 물을 통과시킴으로서 오염물질을 흡수하지 못하는 결점이 있다. 또한 입상, 또는 덩어리상의 활성탄중에 오염된 물을 통과시킴으로서 오염물질을 활성탄에 의해 흡착제거시킬 수 있으나, 중금속이 남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활성탄내에 세균이 번식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올라이트나 활성탄은 흡착능력이 포화상태에 가까와짐에 다라 흡착력이 감소되며, 그후는 처리제로서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같이 일단 흡착성능이 저하된 제올라이트 및 활성탄은 흡착된 물질을 제거하는 재생부활처리를 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1차적으로 여과칼럼, 3개 제올라이트칼럼 및 2개 활성탄칼럼을 통과하는 동안 수도물에서 중금속, 암모니움이온 및 유기물질이 제거된 다음 2차 여과칼럼에서 여과시켜 최종살균기로 살균시킬 수 있는 다세대용 정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세대용 정수장치는, 공급되는 수도물 및 1차 여과처리된 폐수를 1차 여과시키는 1차 여과칼럼(1),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을 흡착하는 제올라이트칼럼(2,3,4), 유기물질을 흡착시키는 활성탄칼럼(5,6), 2차 여과시키는 2차 여과칼럼(7) 및, 미생물을 살균시키는 자외선살균기(8) 또는 오존발생기등을 거쳐 안전한 음용수로 정수된다.
여기서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3,4)는 경도조절을 위해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로 연결할 수 있고, 또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3,4)와 활성탄칼럼(5,60의 연결위치도 앞뒤로 바꿔서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다세대용 정수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다세대용 정수장치는 저수탱크에서의 수도물이 첨츠로 1차적으로 여과칼럼(1)으로 유입된다. 이 여과(1)에 유입된 수도물은 액상용 백필터를 사용하여 5-10μm 이상의 부유물질을 여과, 제거한다.
부유물질이 제거된 물은 연결된 파이프를 통해 제올라이트칼럼(2-4)중 선택한 2개 제올라이트칼럼에 유입되어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등의 흡착제거된다.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4)의 중금속 흡착단계에서는, 경수가 연수화되며 암모니움이온 제거능력속도가 바르고 농도 및 수온변동에 영향을 받지 않고 안전한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방사성 동위원소인 세슘(Cs)이 제거되며 중금속이온을 흡착제거한다.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4)은 해당경로의 파이프와 밸브의 개폐를 통해 1차 제올라이트칼럼(2)과 2차 제올라이트 칼럼(3)을 거치며 또한 예비로서 3차 제올라이트칼럼(4)을 설치하여 제올라이트 흡착능력이 저하되었을 때에는 순환하여 재생하여 사용한다. 즉, 1찬 제올라이트칼럼(2)과 2차 제올라이트칼럼(30을 사용할 경우 3차 제올라이트칼럼(4)을 예비로서, 장기간 사용후 3차 제올라이트칼럼(40와 2차 제올라이트칼럼(3)을 사용하고 1차 제올라이트칼럼(2)을 재생시켜 예비로 대기시켜 놓는다.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40에서 물이 1차, 2차로 순차적으로 통과되는 방법과 달리 음료수의 경도를 알맞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1차 제올라이트 처리를 하고 그다음 2차 제올라이트 처리를 하는 직렬방법 대신 개폐밸브로서 1차 여과된 물을 1차, 2차 제올라이트칼럼에 병렬로 일시에 넣어 통과시켜 각각 처리된 물이 배관에서 함해져서 경도를 음용수에 적합하게 20-40ppm 정도로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제올라이트칼럼(2-4)에서 제올라이트의 재생은 펌프로서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칼슘을 재생통로(A)로 유입시켜 제올라이트칼럼(2-4)내로 통과시켜서 나트륨 또는 칼슘이온과 제올라이트에 흡착된 중금속이온을 치환시켜 순환하여 재생하여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가 흡착된 물은 해당 경로의 파이프와 개폐의 밸브를 통해 활성탄칼럼(5,6)중 선택한 활성탄칼럼에 유입되어 각종 유기물을 제거시킨다. 일례로 활성탄칼럼(5)의 활성탄은 각종 유기물, THM과 같은 발암성유발물질, 페놀류 및 음이온 계면활성제를 흡착제거한다. 상기 활성탄의 흡착능력이 포화상태에 가까워지면 흡착물질을 제거하는 재생부활처리를 하기 위하여 예비로 활성탄칼럼(6)을 사용한다.
상기와 같이 1차 여과칼럼(1)), 제올라이트칼럼(2,3) 및 활성탄칼럼(5)를 통과하여 중금속, 암모니움이온 및 유기물질등의 각종 유해물질이 제거된 수도물은, 수도물내의 부유, 현탁물질을 제거하게 위하여 2차 여과칼럼(7)에서 약상용 백필터를 사용하여 0.2-1μm 가지의 부유물질을 제거한다.
상기에서 부유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물은 자외선살균기 또는 오존발생기(8)를 거쳐서 살균되어 음용수로서 적합한 물이 공급됨으로 이를 여러세대의 수도에서 동시에 사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다세대용 정수장치작동을 첨부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는 저수탱므에서 펌프를 통해 1차 여과 칼럼(1)로 수도물이 유입되며, 상기 1차 여과칼럼(1)에서 1차 여과되어 해당파이프와 개폐의 밸브를 통하여 1차 제올라이트칼럼(2)으로 유입되고, 이 제올라이트칼럼(2)에서 수도물이 제올라이트를 1차 통과된 다음 다시 2차 제올라이트칼럼(3)으로 유입되어 2차 제올라이트 처리를 거친다. 여기서 3차 제올라이트(4)는 예비로서 대기시켜 놓는다.
상기와 같은 직렬방법 대신 여과칼럼(1)을 1차로 거친 수도물을 1차, 2차 제올라이트칼럼(2,3)에 병렬로 통과시켜 각각의 제올라이트칼럼(2,3)를 통과한 물이 수도관에서 합해져서 경도가 20-40ppm으로 음용수에 적합하게 조적될 수 있다.
즉 1차 제올라이트칼럼(2)을 통과한 물은 제올라이트가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등을 흡착하여 흡착도가 낮으므로 경도가 높게 되고, 2차 제올라이트칼럼(3)을 통과한 물은 제올라이트의 흡착도가 높으므로 경도가 낮게 되므로 1차 제올라이트칼럼(2)과 2차 제올라이트칼럼(3)을 통과한 물이 혼합되게 되면 경도가 알맞게 조정될 수 있다.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3)에서 유출된 물은 해당파이프와 개폐의 밸브를 통하여 활성탄칼럼(5)로 유입되어 활성탄을 통과하여 유출된다. 여기서도 다른 활성탄칼럼(6)는 예비로서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활성탄칼럼(5)의 활성탄을 통과한 물은 2차 여과칼럼(7)을 통과하여 1-0.2μm 부유물질이 제거된다.
한편, 제1도에 있어서는 저수탱크에서 1차 여과칼럼(1)을 거쳐 거대부유물질이 제거된 수도물을 해당파이프와 개폐의 보일러를 통하여 먼저 활성탄칼럼(5)으로 유입되어 활성탄을 통과하고, 이어 1차 제올라이트칼럼(2), 2차 제올라이트칼럼(3)순으로 유입되어 제올라이트처리를 거친다음 2차 여과칼럼(7)에서 미세부유물질이 2차로 여과된 물은 자외선살균기 또는 오존발생기(8)를 통과하여 음용수로서 공급되어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의 여과칼럼(1)에서 여과된 물을 활성탄칼럼(5)로 유입시켜 활성탄을 통과한 물은 제올라이트칼럼(2),(3)에 병렬로 각각 함께 유입되어 각각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등이 흡책제거되고, 2차 여과칼럼97)에서 미세부유물질이 2차로 여과된 물은 자외선살균기 또는 오존발생기(8)를 통과하여 경도가 알맞는 음용수로서 공급되어질 수 있다.
실시예
제올라이트칼럼(2,3,4)을 예컨대 직경 300mm, 높이 1200mm로 제조한다. 활성탄칼럼(5,6)을 예컨대 직경 450mm, 높이 1200mm로 제조한다. 상기 3개의 제올라이트칼럼(2,3,4)과 2개의 활성탄칼럼(5,6)을 병렬로서 연결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제올라이트칼럼(2,3,4)과 활성탄칼럼(5,6)을 병렬로서 연결한다.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정수장치는 제올라이트칼럼(2,3,4)과 활성탄칼럼(5,6)을 이용하여 물의 유입, 유출경로를 아래와 같이 한다. 그리고 도면부호 1은 1차 여과칼럼, 2 내지 4는 제올라이트칼럼. 5와 6은 활성탄칼럼, 7은 2차 여과칼럼 및 8은 살균기를 나타내며 직렬, 병렬 또는 직병렬방법에서 도면부호로 표시한다. 여기서 직병렬방법의 설명은 생략한다.
직렬방법
(1)제올라이트칼럼(2-4)을 먼저 통과시킨 다음 활성칼럼(5,6)을 통과하는 경우
(2)활성탄칼럼(5,6)을 먼저 통과시킨 다음 제올라이트칼럼(2-4)을 통과시키는 경우
(1)제올라이트칼럼(2-4)을 먼저 통과시킨 다음 활성탄칼럼(5,6)을 통과시키는 경우
(2)활성탄칼럼(5,6)을 먼저 통과시킨 다음 제올라이트칼럼(2-4)을 통과시키는 경우
아래의 표 1은 상기 제2도에서 제6도의 도표수를 수치로 나타낸 것이다.
상기 실시예의 각 칼럼내의 효과를 측정한다.
제2도는 각 칼럼을 통과한 최종처리수가 증발잔류량을 나타낸 것으로 유입수의 1/2을 유지한다.
제3도는 제올라이트칼럼(2-4)에서의 Zn 제거효과를 나타낸 도표로서, 중금속이 거의 전량 제거됨을 나타낸다.
제4도는 제올라이트칼럼(2-4)에서의 암모니눔이온 제거효과를 나타낸 도표로서 암모니움이온 함유량이 0.1ppm 이하로 나타난다.
제5도는 활성탄칼럼(5,6)에서의 유기물질의 제거효과를 나타낸 도표로서 유기물질이 거의 반정도로 감소되었음을 나타낸다.
제6도는 자외선 살균기(8) 또는 오존발생기의 살균효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일반세균이 전혀 검출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Claims (6)

  1. 부유물질을 1차 여과하는 여과칼럼(1), 제올라이트칼럼(2-4)에서 선택되어 중금속 및 암모니움이온을 1차 및 2차 흡착하는 상기 제올라이트칼럼(2,3), 활성탄칼럼(5,6)에서 선택되어 유기물질 흡수하는 상기 활성탄칼럼(5), 2라 여과하는 여과칼럼(7) 및, 살균하는 자외선살균기(8)등을 통해 정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질이 1차로 여과된 물은 제올라이트칼럼(2-4)에 병렬로 유입시켜 배관에서 하나로 혼합되어 경도가 20-40ppm으로 조절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살균기(8) 대신에 오존발생장치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사이 제올라이트칼럼(2,3,4)를 병렬로 설치하여 하나의 예비가 있어 재생배관(A)으로 염화나트륨 및 염화칼륨을 유입시켜 흡착능력이 포화된 제올라이트를 치환, 재생시켜 순환하여 사용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5. 부유물질을 1차 여과하는 여과칼럼(1), 활성탄칼럼(5,6)에서 선택되고 유기물질 흡수하는 상기 활성탄칼럼(5), 제올라이트칼럼(204)에서 선택되고 중금속 및 암모니움니온을 1차, 2차 흡착하는 제올라이트칼럼(2,3), 2차 여과하는 여과칼럼(7) 및, 살균하는 자외선 살균기(8)를 거쳐 정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유물질이 1차로 여과하는 여과칼럼(1)과 활성탄칼럼(5)에서 유기물질이 흡수된 물을 제올라이트칼럼(2-4)에 병렬로 유입시켜 배관에서 하나로 혼합되어 경도가 20-40ppm으로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세대용 정수장치.
KR1019930030586A 1993-12-29 1993-12-29 다세대용 정수장치 KR9600140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586A KR960014041B1 (ko) 1993-12-29 1993-12-29 다세대용 정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0586A KR960014041B1 (ko) 1993-12-29 1993-12-29 다세대용 정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1A KR950017771A (ko) 1995-07-20
KR960014041B1 true KR960014041B1 (ko) 1996-10-11

Family

ID=193735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0586A KR960014041B1 (ko) 1993-12-29 1993-12-29 다세대용 정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404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7771A (ko) 1995-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atta-Kassinos et al. Advanced treatment technologies for urban wastewater reuse
US5707528A (en) System and process for treating organic-contaminated aqueous waste streams
US20150343336A1 (en) Sanitization and regeneration of porous filter media with ozone in backwash
JP2006289283A (ja) 排水の処理装置、リンサー排水回収装置、リンサー排水回収システム、および排水の処理方法
KR101687571B1 (ko) 정수특성에 맞는 선택적 및 조립식 간이정수장치
KR102366654B1 (ko) 방사성 물질 제거를 위한 하이브리드 시스템 및 방법
RU2242435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воды
KR100861554B1 (ko)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총인을 제거하는 여과ㆍ흡착 다단계 폐수 처리 장치
KR970001244A (ko) 자석과 오존을 이용한 물의 정화방법 및 정화장치
KR101051597B1 (ko) 인공신장기용 정수장치
KR960014041B1 (ko) 다세대용 정수장치
JP2015064221A (ja) 放射性核種除去システム及び放射性核種除去方法
KR960001389B1 (ko) 다세대용 정수장치
KR100808388B1 (ko) 하이브리드공정을 이용한 고효율 중앙 정수시스템
GB2197860A (en) Apparatus for and the method of water purification
KR102501340B1 (ko) 축전식 탈염공정의 전처리장치
KR0176276B1 (ko) 폐수처리에 의한 초순수 제조방법
KR200211618Y1 (ko) 이온교환체를 이용한 유해 성분의 흡착, 탈착 및 회수 장치
KR19990070114A (ko) 고투수성한외여과막모듈을이용한중앙정수시스템
KR0135464Y1 (ko) 정수기의 살균통 정수순환장치
KR20210090758A (ko) Prb-aop 연계공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RU2225369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риродных вод
RU2808013C1 (ru) Способ очистки подземных вод от радона, альфа-активности, железа, марганца, солей жесткости и углекислоты
CN107804946A (zh) 处理饮用水中亚硝胺类消毒副产物的工艺
JPH06285368A (ja) アンモニア除去用ゼオライトの再生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101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