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2970B1 -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2970B1
KR960012970B1 KR1019940015360A KR19940015360A KR960012970B1 KR 960012970 B1 KR960012970 B1 KR 960012970B1 KR 1019940015360 A KR1019940015360 A KR 1019940015360A KR 19940015360 A KR19940015360 A KR 19940015360A KR 960012970 B1 KR960012970 B1 KR 960012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dentification information
sender
information
memory
radi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3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3136A (ko
Inventor
이규택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400153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2970B1/ko
Publication of KR960003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3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2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29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5Display detai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방법의 흐름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파수신부,11 : 마이컴,
12 : 명령입력부,13 : 제1메모리,
14 : 제2메모리,15 : 디스플레이부,
16 : 스피커,121 : 메뉴버튼,
122 : 상하버튼,301 : 자판(字板)
본 발명은 무선호출을 하는 송신자(또는 호출자)를 무선호출 수신자가 식별할 수 있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를 일명 삐삐(Beefer)라 하여 휴대하기에 용이한 소형 무선호출기로서, 수신이 되면 수신된 전화번호로 전화를 건 후, 무작정 호출자(삐삐송신자)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 아니라 호출자를 확인할 수 없음으로 인하여 통화를 원하지 않는 사람일지라도 통화를 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송신자 식별정보(ID(IDentification)) 전송기능을 부가하여 무선호출시 수신자가 송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장치는 ; 전파송수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처리하기 위한 전파수신부 ; 전파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자의 전화번호와 송신자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메모리 ;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어 메모리에 저장될 식별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명령입력부 ; 명령입력부로부터 인가되는 정보가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전파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중에 송신자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존재하는 경우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중 일치하는 정보를 서치하여,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송신된 전화번호와 메모리로부터 읽혀진 식별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방법은 ; 사용자에 의해 미리 다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 전파송수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자릿수를 계산하여 수신된 데이터내에 송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과정 ; 제1판단과정에서 송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적어도 3자리를 분리하는 과정 ; 분리과정을 통해 분리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다수의 식별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타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과정 ; 제2판단과정에 의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식별정보와 해당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어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장치의 일실시예의 블럭도로서, 무선호출을 위한 송수신을 중계하는 전파송수신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수신되는 무선호출 데이터를 수신처리하는 전파수신부(10),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하기 위한 명령입력부(12), 호출하는 전화번호를 지정하는 제1메모리(13),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송신자(호출자) 식별(이하 ID라 함)정보를 저장하는 제2메모리(14), 전파수신부(1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와 명령입력부(12)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분석하여 무선호출장치의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11), 마이컴(11)에서 출력되는 전화번호 및 ID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15), 마이컴(11)에 의해 제어되어 호출경보를 출력하기위한 스피커(16)로 이루어진다. 특히 명령입력부(12)는 지정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선택할 상하버튼(122)와 상하버튼(122)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버튼(121)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1도는 제2도에 제시된 흐름도에 따라 발명에 따른 주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방법의 흐름도로서, 제201~203단계는 호출로 인하여 인가된 전파정보에 ID정보가 포함되어 인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이고, 제204~206단계는 ID 정보가 있는 경우 ID 정보를 분석하는 과정이고, 제207, 208단계는 ID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고, 209단계는 호출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이고, 제210단계는 호출경보음을 발생하는 과정이다.
그러면 제1도의 동작설명을 제2도와 결부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사용자는 명령입력부(12)내의 메뉴버튼(121)를 이용하여 상하버튼(122)의 동작모드를 설정한다. 여기서 동작모드는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ID정보 입력모드와 ID 번호 입력모드를 예로 들 수 있다. 따라서 메뉴버튼(121)과 상하버튼(122)를 이용하여 송신자 ID 정보를 인가하게 된다. 예를 들어 메뉴버튼(121)을 이용하여 ID 번호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상하버튼(122)을 이용하여 입력시킬 ID 정보의 해당 번호를 선택하여 지정하고, 다시 메뉴버튼(121)을 이용하여 ID 정보 입력모드가 설정되면 상하버튼(122)을 이용하여 지정된 번호에 해당하는 ID 정보를 선택하여 지정하게 된다. 지정된 ID 번호 및 ID 정보는 마이컴(11)으로 인가되어, 제2메모리(14)에 저장된다. 제2메모리(14)는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다수의 ID 정보를 저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호출장치내에 송신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 정보가 기설정된 후, 전파송수신국(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전파가 수신되면, 전파수신부(10)를 통해 수신처리된 후, 마이컴(11)으로 인가된다. 마이컴(11)은 제201단계를 통해 전파수신부(10)로부터 데이터가 전송되면, 제202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자릿수를 계산한다. 계산된 자릿수를 통해 제203단계에서 전화번호만 수신된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203단계의 수행결과, 전화번호만 수신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09단계로 진행되어 종전의 무선호출장치에서와 같이 수신된 전화번호만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를 제어한 뒤, 제210단계로 진행하여 호출을 알리기 위한 삐삐음이나 진동신호를 스피커(16)를 통해 출력되도록 제어한다.
그러나 제202단계에서 계산된 자릿수가 전화번호만 수신된 것이 아닌 경우, 마이컴(11)은 제203단계를 거쳐 제204단계로 진행하여 수신된 데이터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하여 3자리를 분리해 낸다. 그리고 제205단계로 진행되어 분리된 3자리를 제2메모리(14)에 기설정되어 있는 다수의 ID 번호들과 비교하여, 기설정된 ID 번호에 분리된 3자리 데이터와 일치하는 것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제206단계). 즉, 전파수신부(10)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송신자 식별정보에 해당되는 데이터)가 '112'와 같은 아라비아 숫자로 인가되면, 마이컴(11)은 비교과정을 통해 제2메모리(14)내에 저장된 ID 번호들 중 '112'에 해당되는 ID 번호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제206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ID 번호가 존재하면, 대응되는 ID 정보(예를 들어 영문 이니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도록 제2메모리(14)와 디스플레이부(15)를 제어한다. 그러나 제206단계의 판단결과, 일치하는 ID 번호가 존재하지 않으면, ID 정보에 대한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메시지(예를 들여 '???'과 같은 특수문자)가 디스플레이되도록 디스플레이부(15)를 제어한다. 그 다음 상술한 전화번호만 수신된 경우와 같이 제209단계 및 제210단계로 진행되어 수신된 전화번호의 디스플레이 및 호출음을 출력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수신된 전화번호는 제1메모리(13)에 저장되어 처리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선호출장치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3(A)도는 제1도에 대하여 사용자의 명령을 인가하는 명령입력부(12')를 변형한 무선호출장치의 블럭도로서, 제1도에서와 같이 상하버튼(122)을 이용하여 ID 정보를 입력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하기 위하여 전용 자판(301)을 부가한 것이다. 따라서 장치의 구성은 제1도에서와 동일하나 명령입력부(12')내의 자판(301)에 의해 ID 정보를 인가하는 방법이 다르다. 예를 들어 인가하고자 하는 ID 정보가 'LGT'인 경우, 자판(301) 상의 'LGT'에 해당하는 키를 제어하는 것만으로 쉽게 ID 정보를 인가하게 된다. 자판(301)은 종전의 무선호출장치의 외관에 제3도(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에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은 송신자(호출자)의 ID 정보 전송기능을 부가하여 수신자가 송신자를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10)

  1. 전파송수신국을 통해 전파를 수신하는 무선호출장치에 있어서 ; 상기 전파송수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처리하기 위한 전파수신부 ; 상기 전파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송신자의 전화번호와 송신자 식별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 사용자에 의해 지정된 식별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제1메모리 ;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될 상기 식별정보를 인가하기 위한 명령인가부 ; 상기 명령인가부로부터 인가되는 정보가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전파수신부로부터 전송되는 정보중에 송신자 식별정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고,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중 일치하는 정보를 서치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송신된 전화번호와 상기 메모리로부터 읽혀진 식별정보가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마이컴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파수신부를 통해 인가된 데이터의 자릿수 계산에 의해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송신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수신된 상기 데이터에 상기 송신자의 식별정보가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적어도 3자리를 분리하여 현재 인가된 상기 식별정보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상기 서치를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는 상기 송신자 식별정보는 문자정보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전파수신부로부터 전송된 식별정보가 상기 제1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경우, 제1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대응되는 문자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고, 전송된 식별정보와 일치하는 식별정보가 제1메모리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는 특수문자를 이용하여 송신자 식별불가능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도록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인가부는 상기 식별정보를 지정할 수 있는 상하버튼과 상기 상하버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메뉴버튼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인가부는 알파벳키와 숫자키로 이루어진 자판을 포함하여 상기 식별정보를 직접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8. 전파송수신국을 통해 호출정보를 받는 무선호출장치에서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방법에 있어서 ; 사용자에 의해 미리 다수의 식별정보를 저장하는 과정 ; 상기 전파송수신국으로부터 전송되는 전파가 수신되면, 수신된 데이터의 자릿수를 계산하여 상기 수신된 데이터내에 송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1판단과정 ; 상기 제1판단과정에서 상기 송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수신된 데이터의 끝자리를 기준으로 적어도 3자리를 분리하는 과정 ; 상기 분리과정을 통해 분리된 데이터와 사용자에 의해 기설정된 상기 다수의 식별정보들을 비교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판단과정 ; 상기 제2판단과정에 의하여 일치하는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식별정보와 해당 전화번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1디스플레이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단과정에서 상기 송신자 식별정보가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수신된 데이터를 전화번호로 하여 그대로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제2디스플레이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방법.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단과정에 의하여 기저장된 식별정보에 송신된 식별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송신자 식별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리는 특수문자와 전화번호를 함께 디스레이하는 제2디스플레이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방법.
KR1019940015360A 1994-06-30 1994-06-30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KR960012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360A KR960012970B1 (ko) 1994-06-30 1994-06-30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360A KR960012970B1 (ko) 1994-06-30 1994-06-30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36A KR960003136A (ko) 1996-01-26
KR960012970B1 true KR960012970B1 (ko) 1996-09-25

Family

ID=19386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360A KR960012970B1 (ko) 1994-06-30 1994-06-30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297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3136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560B1 (ko) 인디케이터 아이콘을 이용하여 수신된 단문메시지의종류를 식별하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무선통신기기 및이를 이용한 인디케이터 아이콘 표시방법
US6823183B2 (en) Telephone system having a telephone directory information
KR20000044298A (ko) 이동전화 단말기의 음성인식 다이얼링방법
EP1119158A1 (en) Cellular phone
KR20010060148A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키의 기능 확장 방법
US6573825B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alerting method
KR19980701310A (ko) 데이터 수신기 장치(data receiver apparatus)
KR100713368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단축번호를 이용한 콜 발신 방법
KR960012970B1 (ko) 송신자 식별이 가능한 무선호출장치 및 방법
KR100581827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전화 번호 검색 방법
KR101030904B1 (ko) 이동 통신 단말기 및 그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100576039B1 (ko) 이동통신단말기의 전화번호 검색 방법
KR20020033899A (ko) 휴대폰의 전화번호 자동검출방법
KR100217728B1 (ko) 무선호출기에서 호출자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
KR100217730B1 (ko) 전화번호부 기능 구현 무선 호출기 및 그 방법
JP2000188634A (ja) 携帯無線端末
KR100606111B1 (ko) 지역번호 표시 및 지역명 표시방법
KR100754663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전화 거는 방법
JP2000261539A (ja) 移動電話機
KR20040041862A (ko) 우선순위에 따른 휴대폰 전화번호부 검색 방법
JP4362340B2 (ja) 単語秘匿表示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単語登録方法、その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000010004A (ko) 무선 휴대 단말기에서의 단축 다이얼링 방법
KR20020055880A (ko) 이동단말에서의 영숫자 입력방법
EP1065864A1 (en) Telephone with audible caller identification and directory number confirmation
KR970056044A (ko) 단축 입력 인식 기능을 갖춘 이동 단말기 및 그 단축 입력 인식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9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03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