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1821B1 - 전원접속장치 - Google Patents

전원접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1821B1
KR960011821B1 KR1019930029928A KR930029928A KR960011821B1 KR 960011821 B1 KR960011821 B1 KR 960011821B1 KR 1019930029928 A KR1019930029928 A KR 1019930029928A KR 930029928 A KR930029928 A KR 930029928A KR 960011821 B1 KR960011821 B1 KR 960011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connection
terminal
pair
termina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99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1894A (ko
Inventor
민상기
Original Assignee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전자 주식회사, 배순훈 filed Critical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300299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1821B1/ko
Publication of KR9500218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18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1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8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2Intermediate parts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in parallel, e.g. splitte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전원접속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2a,b도는 본 발명에 따라 단자고정체가 결합된 단자의 정면도와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단자와 단자고정체의 분해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A부의 확대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가 일반적인 콘센트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제5a도는 전원접속장치가 콘센트에 수직하게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5b도는 전원접속장치가 콘센트에 평행하게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벽 2 : 콘센트
10 : 접속몸체 10A : 상부몸체
10B : 하부몸체 13 : 끼움구멍
14 : 접촉방지돌기 15 : 걸림돌기
16 : 끼움돌기 20 : 단자
21 : 전원단자 22 : 접속단자
23 : 오목부 30 : 단자고정체
31 : 결합요홈
본 발명은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일반적인 콘센트에 보조적으로 접속하여 다수의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들을 끼워 시용할 수 있도록 한 다분기용 전원접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벽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벽콘센트에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직접적으로 끼우거나, 또는 벽콘센트에 끼워지며 플러그와 연장선을 가진 별도의 보조콘센트에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들을 끼워서 전기·전자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벽에 고정설치되어 있는 벽콘센트의 경우에는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수에 비해서 플러그의 전원단자의 끼움구멍이 부족하기 때문에 항상 사용하여야 하는 전기·전자제품을 동시에 사용할 수 없고 사용중인 제품의 사용을 일단 중지하고 해당 제품의 플러그를 뺀후에야만 사용하고자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끼워서 사용할 수 있어 제품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콘센트가 고정설치되어 있는 벽의 전면에 가구나 책장등의 물품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배치된 물품의 장애로 인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를 직접적으로 이용할 수 없게 되며, 그 콘센트를 이용하여야만 하는 경우에는, 가구나 책상등의 물품을 다른 장소에 배치되거나 또는 벽으로부터 일정 이상의 거리를 두고 배치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플러그와 연장선을 가진 보조콘센트를 끼워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어느 정도 해소할 수는 있으나 보조콘센트의 연장선이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등의 부주의로 인하여 보조콘센트의 연장선에 외력이 가하여지는 경우에는 벽콘센트로부터 보조콘센트가 쉽게 이탈되어 전원공급이 차단되기 때문에 중단없이 연속적으로 사용하여야만 하는 전기·전자제품의 경우에는 세심한 주의가 요구되었다. 또한, 보조콘센트를 사용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는 벽콘센트로부터 보조콘센트를 분리하여 별도의 장소에 보관하여야만 하며 다시 사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보관장소를 기억하고 있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전기·전자제품에 전원을 동시에 공급할 수 있으며, 벽에 설치된 벽콘센트에 직접적으로 밀착되게 끼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전원접속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전속장치는 다수의 플러그가 끼워질 수 있는 접속몸체와, 상기 접속몸체의 내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걸어 맞춤되고 상기 플러그가 접속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상기 한쌍의 접속단자의 각각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한쌍의 전원단자로 이루어짐에 그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는 접속몸체(10)와, 접속몸체(10)에 걸어맞춤되는 단자(20)로 구성되며 단자고정체(30)가 부가될 수 있다.
도면에서 부호 1은 벽, 부호 2는 벽(1)에 고정설치되는 벽콘센트를 나타내며, 부호 3은 일반적인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를 나타낸다.
먼저, 단자(20)에 대해서 살펴보면, 단자(20)는 전원단자(21)와 접속단자(22)로 이루어진다. 접속단자(22)는 제2도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S자 형상이며, 양단에는 절곡된 걸어맞춤부(25A,25B)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접속단자(22)의 중앙부분에는 홈이 파인 오목부(23)가 형성되어 있고, 걸어맞춤부(25A,25B)에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3)와 접속되는 접속돌기(26)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전원단자(21)는 전원이 공급되는 벽콘센트(2)에 끼워지는 단자로서, 하단부는 리벳팅에 의하여 접속단자(22)와 결합되며, 전원단자(21)는 리벳(24)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동한다.
한편, 접속몸체(10)는 제5도의 (a),(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B)로 이루어지며, 상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B)는 서로 대칭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갖는다.
제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부몸체(10B)의 바깥둘레에는 각 모서리를 중심으로 하여 원호상으로 돌출부(18)가 각각 형성되어 있고 한쌍의 전원단자(21)가 위치하는 일방향은 트여져 있으며, 다른 세방향에는 끼움돌기(16)가 상기 돌출부(18) 사이에 양측의 돌출부(18)와 소정의 거리만큼 이격되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끼움돌기(16)의 소정의 위치에는 나사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몸체(10A)의 내면의 모서리에는 접속단자(22)의 걸어맞춤부(25A,25B)가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15)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부에는 서로 평행하면서 경사진 한쌍의 접촉방지돌기(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접촉방지돌기(14)의 높이는 오목부(23)가 형성된 접속단자(22)가 중앙부분의 높이보다는 크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고정체(30)는 접속몸체(10)의 일방향의 트인 부분에 위치한다. 단자고정체(30)는,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양측면에는 한쌍의 전원단자(21)와 각각 결합되는 소정의 형상을 갖는 결합요홈(31)이 형성되어 있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조를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각 요소들의 결합구성 및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단자(20)를 단자고정체(30)와 결합시킨다. 즉, 단자고정체(30)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요홈(31)에 이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전원단자(21)을 끼워맞춘다.
그후, 단자고정체(30)에 결합된 한쌍의 단자(20)를 하부몸체(10B)에 걸어맞춤하여 고정시킨다. 즉, 하나의 접속단자(22)를 접속단자(22)의 양단에 접곡되어 형성된 걸어맞춤부(25A,25B)를 하부몸체(10B)의 대각선 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5)에 걸어맞춤하고, 접속단자(22)의 오목부(23)가 상방향을 향하여 몸체의 중앙부분에 형성된 한쌍의 접촉방지돌기(14)의 사이를 통과하도록 배치한다.
또한, 다른 하나의 접속단자(22)를 접속단자(22)의 오목부(23)가 하방향을 향하여 걸어맞춤부(25A,25B)가 하부몸체(10B)의 다른 대각선상의 모서리에 위치하는 걸림돌기(15)에 걸어맞춤되도록 결합시킨다.
이때, 접촉방지돌기(14)의 높이는 오목부(23)가 형성된 접속단자(22)의 중앙부분의 높이보다 크기 때문에 교차하는 접속단자(22)들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서로 맞닿지 않게 되어 접속단자(22)들 사이에서 전기적인 합선현상은 발생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상부몸체(10A)를 하부몸체(10B)에 덮고 상부몸체(10A)와 하부몸체(10B)의 나사구멍(17)에 나사를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의 조립이 완료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조립된 전원접속장치의 일측면은 벽콘센트(2)에 끼워지도록 전원단자(21)가 돌출되며, 다른 측면들의 각각에는 전기·전자제품의 플러그(3)들이 끼워지는 끼움구멍(13)이 형성된다.
제5도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가 벽콘센트(2)에 끼워지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전원접속장치는 제5도의 (a)와 같이 벽과 수직으로 끼워질 수 있고, 전원단자(21)는 접속단자(22)에 대하여 자유롭게 회동할 수 있어, 전원단자(21)와 이에 끼워맞춤된 단자고정체(30)를 접속몸체(10)에 대하여 90°회전시킴으로써 제5도의 (b)와 같이 벽과 평행하게 끼워질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원접속장치는 다수의 플러그를 끼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콤펙트하기 때문에 벽의 전면에 장애물이 있더라도 벽콘센트에 밀착되게 끼워 사용할 수 있으며, 전원단자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상황에 따라 전원접속장치의 사용위치를 적절히 변경하여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다수의 플러그가 끼워지는 접속몸체와; 상기 접속몸체의 내부에 서로 교차되도록 걸어맞춤되고, 상기 플러그가 접속되는 한쌍의 접속단자와; 상기 한쌍의 접속단자의 각각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콘센트에 끼워지는 한쌍의 전원단자로 이루어진 전원접속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단자들이 끼워맞춤되어 고정적으로 보호되는 단자고정체를 더 포함하는 전원접속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단자는, 대략적으로 S자 형상으로 양단부가 절곡되어 있는 전원접속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몸체는, 상부몸체와 하부몸체로 구성되고, 이 상부몸체와 하부몸체의 중앙부에는 상기 한쌍의 접속단자가 맞닿지 않도록 하는 접촉방지 부재가 형성되며, 각각의 모서리에는 상기 한쌍의 접속단자가 걸어맞춤되는 걸림돌기들이 형성되어 있는 전원접속장치.
KR1019930029928A 1993-12-27 1993-12-27 전원접속장치 KR960011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928A KR960011821B1 (ko) 1993-12-27 1993-12-27 전원접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9928A KR960011821B1 (ko) 1993-12-27 1993-12-27 전원접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94A KR950021894A (ko) 1995-07-26
KR960011821B1 true KR960011821B1 (ko) 1996-08-30

Family

ID=1937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9928A KR960011821B1 (ko) 1993-12-27 1993-12-27 전원접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18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1894A (ko) 1995-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5494B1 (ko) 전기 어댑터
US8007283B2 (en) Reorientable electrical receptacle
US6220872B1 (en) Modular power supply
US5699320A (en) Socket set with a timer
JPH06314579A (ja) 出口コネクタキット
KR980010057U (ko) 보드 접속구조체
KR960011821B1 (ko) 전원접속장치
JPH0524143Y2 (ko)
US2976512A (en) Corner light socket for refrigerator
US5176539A (en) Safety plug
KR100389806B1 (ko) 콘센트 안전장치
KR200270405Y1 (ko) 콘센트
KR200157487Y1 (ko) 회전가능한 에이.브이 단자
JP3099773U (ja) レセプタクルカバー装置
KR102280288B1 (ko) 회동 가능한 멀티콘센트
KR200198566Y1 (ko) 전원 연결용 멀티 탭 세트
KR100477530B1 (ko) 면광원이 구비된 안전형 전원 콘센트 장치
KR101973090B1 (ko) 다단 조립식 콘센트
KR920004829Y1 (ko) 전기, 전자기기의 부재연결용 보스
JP2736710B2 (ja) 接続構造を有する電子機器
JP2524174Y2 (ja) コネクタ
KR0181530B1 (ko) 통신단말기 등의 하우징 고정개폐장치
KR200161968Y1 (ko) 전원공급장치
KR970009422B1 (ko) 플러그의 접지구조
JPH03134981A (ja) カード用雄型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