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862B1 -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862B1
KR960010862B1 KR1019930024400A KR930024400A KR960010862B1 KR 960010862 B1 KR960010862 B1 KR 960010862B1 KR 1019930024400 A KR1019930024400 A KR 1019930024400A KR 930024400 A KR930024400 A KR 930024400A KR 960010862 B1 KR960010862 B1 KR 9600108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transmission
reception
signal
crosstal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125A (ko
Inventor
이광의
김명호
강대철
Original Assignee
이용규
나우정밀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용규, 나우정밀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용규
Priority to KR1019930024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862B1/ko
Publication of KR950016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1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8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8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제1도는 무선송신주파수를 차단하여 혼선 및 방해 전파를 검출하여 자동적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본 발명의 자동채널전환장치의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자동채널전환장치와 통신을 하기 위한 통화대상무선장치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저신호복조부 2 : 신호레벨검출부
3 : 제어부 4 : 발진 및 변조부
5 : 무선수신부 6 : 무선송신부
7 : 안테나 10,20 : 무선장치
21 : 기저신호복조부 22 : 신호레벨검출부
23 : 제어부 24 : 발진 및 변조부
25 : 무선수신부 26 : 무선송신부
27 : 안테나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무선통신중에 자동적으로 채널을 전환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무선송수신 장치간의 통화중에 채널전환이 가능한 것으로서, 무선전화기에 통신중 잡음 및 방해전파가 유입되는 경우에, 또는 다른 주변무선장치와 혼선이 발생되는 경우에, 미리 정해진 약정에 따라서 자동적으로 채널을 전환하여 원활한 통신이 수행되도록 동작하는 자동채널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종래 무선전화기등과 같은 MCA(Multi-Channel Access) 방식으로 통신채널을 선택하는 무선장치에서는, 통과가 이루어지기 전에 먼저 회로내에서 다수의 채널중에서 통신에 사용되지 않는 통신채널을 선택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즉, 예를들면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이동장치에서 다수의 통신채널중 인접한 장치에 존재하는 타무선 전화기에서 사용하지 않는 채널을 자동으로 탐색하고, 통신에 이용되지 않는 채널을 선택하여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와 이동장치간에 통신을 수행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MCA 방식에서는 일단 채널을 선택하여 통화채널이 통화가 종료될 때까지 사용되지 않는 다른 채널로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이것은 채널의 선택에 제한을 초래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된다.
사용하지 않는 다수의 채널이나, 또는 사용중인 채널에 의한 방해전파가 유입되거나 또는 혼선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방해전파의 발생원인인 다른 무선전화기가 통화를 종료할 때까지 혼선이나 방해전파를 방지할 수 없었던 것이다.
이로 인하여 무선전화기가 밀집한 오피스건물등과 같은 조밀지역에서는 통화중에 혼선이 자주 발생되며, 잡음이나 혼선이 심한 경우에는 업무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가 반발하고 있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통화에 사용되지 않는 공채널을 다시 선국한 후에 새로운 통과를 시도하여야 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무선전화기가 밀접한 혼선다발지역에서는 통화중이라도 혼선이나 전파방해등으로 인하여 통화가 장애가 발생되는 경우에 수동으로 다른 통신채널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도 등장하였다.
그러나 수동채널전환장치는 손으로 채널을 전환하게 되므로 혼선이나 전파방해가 없는 채널을 정확하게 선택하는 것이 불가능하며, 또한 통화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신속하게 전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이것은 전자적으로 채널을 선택하기 위한 자동선택과 수동으로 작동시키는 선택시간을 비교하면 명백히 알 수 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통화가 진행되는 동안에 미리 정해진 약정에 따라서 주기적으로 신호를 검색하여 자동적으로 채널을 잡음과 혼선이 없는 타채널로 전환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하기에 이른 것이다.

Claims (2)

  1. MCA 방식을 가진 무선송수신용장치에 있어서, 무선송수신신호를 전송 및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7) ; 통화대상용 무선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무선주파수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수신부(5) ; 수신된 무선주파수에 포함된 음성신호 및 데이타전보를 복조하기 위한 기저신호복조부(1) ; 상기 무선수신부(5)에 입력된 신호의 크기를 판정하여 혼선 및 방해전파의 유무를 검색하기 위한 신호레벨검출부(2) ; 무선장치사이의 송신 및 수신채널을 선택하고 상기 신호레벨검출부(2)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혼선 및 방해전파의 유무를 판단하여 채널의 전환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3) ; 송수신용주파수를 발생시키고 전송하려는 음성 및 데이타정보를 변조하는 발진 및 변조부(4) ; 및 송신하려는 무선주파수를 증폭하여 송신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어부(3)에 의하여 제어가능한 무선송신부(6)로 구성되며, 미리 설정된 약정시간동안에 제어부(3)에서 무선송신부(6)를 오프시킨 후에 통화대상수신레벨을 측정하여 방해전파 또는 혼선여부를 판별하여 혼선 및 방해전파가 없는 타채널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널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채널검색작용이 무선장치(10,20) 사이에 상호 작용하여 각각 송수신 채널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채널전환장치.
KR1019930024400A 1993-11-16 1993-11-16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KR9600108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00A KR960010862B1 (ko) 1993-11-16 1993-11-16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400A KR960010862B1 (ko) 1993-11-16 1993-11-16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125A KR950016125A (ko) 1995-06-17
KR960010862B1 true KR960010862B1 (ko) 1996-08-10

Family

ID=19368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400A KR960010862B1 (ko) 1993-11-16 1993-11-16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8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6102B1 (ko) * 2010-03-22 2012-01-18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망을 운용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125A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9225A (en) Signal transmission apparatus for a multiple channel system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US5822682A (en) Communicating on a direct mode channel
EP0462601B1 (en) Radiotelephone communication system
US4783844A (en)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ording signals
US54975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fficiently monitoring a plurality of radio channels to detect message signals
US4166927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requency channel selection in a radiotelephone system
US4872204A (en) Method of operating a radio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entral station and a plurality of individual remote stations, a radio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system, and a remote station
EP1145448B1 (en) Radio communications unit
KR960010862B1 (ko) 무선송수신장치에서의 자동채널전환장치
US5701590A (en) Radio communication system for performing multi-channel access
US4069454A (en) Transmitter-receiver employing automatic channel hunting and selection
JP2908217B2 (ja) 受信電界レベル検出回路
JPH1175238A (ja) Mca方式の通信制御方法及びmca方式の通信装置
US7403799B2 (en) Base station and call search method used for the same
WO1995006366A1 (en) Radio receiving apparatus
US20020160796A1 (en) Frequency shift transceiver
JP2993329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02192330A (ja) 移動通信における接続制御方式
JPS6342981B2 (ko)
JPH066253A (ja) 無線通信装置
JPH0418494B2 (ko)
JPH0683129B2 (ja) 移動無線装置
JPH05152992A (ja) 無線送受信装置
JPH10145287A (ja) マルチチャネル回線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チャネル妨害検出方法
GB2273416A (en) A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