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44B1 - 드롭(drop)교정기 - Google Patents

드롭(drop)교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744B1
KR960010744B1 KR1019920003141A KR920003141A KR960010744B1 KR 960010744 B1 KR960010744 B1 KR 960010744B1 KR 1019920003141 A KR1019920003141 A KR 1019920003141A KR 920003141 A KR920003141 A KR 920003141A KR 960010744 B1 KR960010744 B1 KR 960010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upported
motion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3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7556A (ko
Inventor
최병길
Original Assignee
최병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병길 filed Critical 최병길
Priority to KR10199200031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744B1/ko
Publication of KR930017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7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42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extension or stretch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드롭(drop)교정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를 보인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동작상 태도.
(a)는 경추운동블럭의 경사운동과 골반운동블럭의 수직각 운동을 보인 정면도.
(b)는 골반운동블럭부의 회전운동을 보인 우측면도.
(c)는 골반운동블럭부의 왕복운동(신전운동)을 보인 평면도.
(d)는 골반운동블럭부의 수평각 운동을 보인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중의 경사조절장치의 실시예도.
제4도는 본 발명중의 가동장치의 실시예도.
제5도는 본 발명중의 반복드롭장치.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몸체 B : 경사조절장치
C : 가동장치 2 : 경추운동블럭지지체
3 : 블록지지판 6 : 경추운동블럭
7 : 흉주운동블럭 8 : 요추운동블럭
9 : 골반운동블럭 10 : 고정블럭
11 : 발목고정밴드 12a,12b,12c,12d : 플래트실린더(Flatsylender)
13a…13e : 회전절 14 : 봉형칼럼(Column)
15 : 중공축 16a,16b,16c : 조인트브라켓(Joint Bracket)
17 : 회전축케이층 18 : 회전축
19 : 지지대 20 : 가이드봉
21 : 가이드슬라이더 22 : 유압실린더
23 : 왕북대 25a,25b,25c,25d : 잠금레버
26 : 리프트슬라이더(Lift Slider) 27 : 리밋트 스위치
본 발명은 신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관절등의 뼈요소에 발생하는 이상변위를 굽힘, 비틀음 또는 신전시킨 상태에서 반복적 드롭(Drop)운동에 의한 물리적 방법에 의해 정상적으로 교정하는 드롭(Drop) 교정기에 관한 것이다.
신체의 골격을 구성하는 관절등의 뼈요소는 복잡한 형상을 갖으며 근육, 인대(靭帶)등에 상호 결합되어 있는데 신체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이나 불균형 근력 운동 또는 기타의 장애에 의해 뼈요소의 결합위치가 변화되는 불완전 결합상태로 되거나 근육, 인대등이 탄력을 상실하는 등의 이상변위를 유발하게 되는데 이러한 이상변위는 후두골(後頭骨), 환추(環椎), 요추(腰椎), 골반(骨盤) 및 선골(仙骨)로 이어지는 주골격과 주골격을 구성하는 각각의 관절요소에 집중적으로 발생하며 신체의 외형을 변화시키거나 신경망을 압박하여 통증과 함께 활동능력에 심각한 장애를 주게 된다.
종래 이와같은 이상변위를 교정하기 위해 드롭교정기(Drop)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경추, 흉주, 요추, 골반부에 해당하는 부위별로 상하운동을 하는 독립된 블록으로 베드를 구성하여 에어 또는 기계적 방법으로 블럭을 지지체로 부터 일정높이 만큼 상승하게 하고 교정사의 가입에 의해 상승높이 만큼 낙하(Drop)되게 하여 교정대상자를 베드에 높인 상태에서 교정부위의 블록을 상승하고 드롭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교정부위의 상대적 상승, 드롭운동에 의한 뼈요소 결집시키는 근육과 인대의 이완을 촉진하고 그에 의한 탄력과 뼈요소 상호간의 접촉부위의 미끄림에 의해 정상적인 결합 상태로 복귀되는 원리가 적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의 드롭교정기는 조작을 위한 많은 노동을 소요하는 문제점 이외에 잘못물린 뼈는 약간 뽑은 상태에서 재결합 시켜야 하는 경험법칙을 수용하는 방식이 아니고 뼈요소가 맞물려 있는 상태에서 외부적 충격(드롭)을 가하여 맞물림부의 강제적 미끌림에 의한 교정방식을 쥐하므로 정밀하고 복잡한 기계제품과 같이 맞물려 있는 뼈요소의 결합부에 손상을 가져와 교정후에도 장기간의 후유증을 감수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예로서 흉추(胸椎)를 구성하는 각관절 요소들은 중앙의 신장관 주위에 여러개의 돌기가 형성된 구조로 되어 각각 맞물리게 되어 있는데 이상변위가 발생산 경우엔 각 돌기와 뼈요소의 상대적 위치가 변화하여 상하 뼈요소의 후방이 하방향 또는 상방향으로 기울어지거나 극돌기(棘突起)를 기준으로 좌방으로 기울어지거나 또는 좌횡돌기(左橫突起), 우횡돌기(右橫突起)를 기준으로 좌측으로 기울거나 우측으로 기울거나 하는 경사변위 또는 이들이 복합하여 발생하는 변위등 다양한 형태의 이상변위가 발생한다. 이러한 다양한 형태의 이상변위에 대하여 종래의 드롭 교정기는 뼈요소의 물림상태, 돌기의 걸림상태등이 교정조건을 고려하지 않고 드롭에 의한 근육이나 인대의 이완에 의한 수동적이고 강제적인 교정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상하 뼈요소의 걸림이나 돌기사이의 걸림을 해소시키지 않고는 교정이 불가능한 변위의 경우에는 전혀 사용할 수 없게 되며 무리한 드롭을 강행할 경우엔 또다른 변위를 낳게 되는 등의 부작용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드롭 교정기가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다양한 형태의 변위에 대해서도 적절한 교정 조건하에서 자연스러운 교정작업이 가능한 드롭 교정기를 제공할 목적을 갖는 것으로 베트를 구성하는 블록의 일부를 교정대상자와 변형된 체형에 맞게 조정한 상태에서 드롭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중의 미설명부호 31은 슬라이딩축 32은 에어공급스위치 33. 에어공급 풋스위치(Foot S/W)34는 부가블럭 화살표시는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제1도의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에 표현한 바와같이 몸체(A) 전면에 경사조절장치(B)가 부가된 경추운동블럭지지체(2)가 돌출 설치되고 몸체후측 저부에 고정되는 봉형컬컴(14)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각운동, 수직각운동,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가동장치(C)가 착설되고 가동장치(C)상부에 블록지지판(3)이 형성되어, 경추운동블럭지지체(2)에는 그곳에 고정되는 플래트실린더(12a)에 지지되어 평면상태를 유지 하면서 상하 운동하는 경추운동블럭(6)이 착설되며, 이에 연속한 몸체(A) 상부에는 저면 일측은 회전절(13a)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에 고정된 플래트실린더(12b,12c)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절(13a)을 중심으로 일정높이로 상하로 각 운동하는 흉추운동블럭(7)과 요추운동블록(8)이 병설되며, 블럭지지판(3)에는 후반부에 발목고정밴드(11)가 부가된 고정블럭(10)이 고착되고 전반부에 일측은 회전절(13b)에 의해 지지판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판(3)에 고정된 플래트실린더(12d)에 지지되어 회전절(13b)을 중심으로 일정높이로 상하 각 운동하는 골반운동블럭(9)이 착설되는 구조의 드롭교정기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교정 대상자를 블록에 뉘이고 발목을 고정한 다음에 변위상태에 따라 가동장치를 조작하면 그와 일체로 형성된 지지판이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다양한 형태로 변화되어 교정에 가장 적합한 형태로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즉 교정대상자의 등이 전후로 휜 경우에는 가동장치(C)에 의해 골반운동블럭(9)부를 상 또는 하방향으로 경사지도록 조정하며, 요추와 골반이 뒤틀린 경우에는 상기 블럭을 좌 또는 우로 회전시켜 주거나 수평각을 조정해주며, 관절부위가 어긋나게 맞물려 있는 경우는 상기 블럭을 후진시켜 교정대상자가 신전(伸展)되게 하며, 이들 변위가 복합적으로 나타난 경우에는 상하경사, 회전, 수평각 조정, 신전을 한 상태에서 공지의 에어기구에 의해 제공되는 에어의 약추레이터(Actuater)역할을 하는 플래트실리더(12a,12b,12c,12d)의 피스톤 운동에 의해 교정대상자의 변위부의 블록을 들어올리고 교정사의 가압에 의해 드롭이 행해지게 된다.
이와같이 하면 뼈요소가 변위된 상태로 맞물린 경우에 신전, 비틀음 등에 의해 뼈요소나 돌기등의 걸림에 의한 방해없이 맞물림부를 이완시킨 상태에서 드롭이 행해지게 되어 자연스럽게 교정과정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즉 교정초기에는 교정대상자의 변형된 체형에 맞게 골반운동블럭(9)부의 위치를 3차원 적으로 조정해주면서 드롭을 행하고 점차로 정상위치로 조정해가면서 드롭을 행하면 교정에 따른 후유증의 염려없이 짧은 기간동안에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을 구성하는 경사조절장치(B)와 가동장치(C)는 기계적 요소들을 각기 요구되는 동작을 발휘하도록 결합한 것으로 각각 실시예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경사조절장치의 실시예
제3도에 표현한 바와같이 경추운동 블록지지체(2)를 회전절(13c)에 의해 몸체(A)와 결합되게 하고 잠금레버(25a)가 부착된 리프트슬라이더(Lift slider 26)로 경추운동 블록지지체(2)를 몸체(A)에 지지하는 구조로 한 것이다. 이와같이 하면 잠금레버(25a)를 풀고 블록에 가압하거나 들어올림으로서 원하는 경사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경추의 변위상황에 따라 몸체와의 경사각을 조정한 상태에서 드롭이 가능하게 된다.
2. 가동장치의 실시예
제4도에 표현한 바와같이 몸체 후측 저부에 고정된 봉형컬럼(14)에, 상,중,하 부위에 조인트브라켓(Joint Bracket, 16a,16b,16c)이 형성된 중공축(15)을 삽지하고 각 조인트브라켓(16a,16b,16c)에는 상부로부터 회전축케이싱(17), 가이드슬라이더(Gide Slider, 21) 및 유압실린더(22)가 핀 결합되며, 양측면에 가이드봉(20)에 형성된 지지대(19)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18)이 회전축케이싱(17)에 축설되며 지지대(19)저면에 가이드슬라이더(21)와 유압실린더(22)의 말단이 각각 핀결합되며, 지지대(19)와 왕복대(24)를 에어실린더(23)로 연결하고, 중공축(15), 회전축케이싱(17), 가이드슬라이더(21)에는 각기 회전 또는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잠금레버(25b,25c,25d)가 부착되는 구조로 하여 왕복대(24)상부에 블럭지지판(3)이 결합되게 한 것이다.
상기 구성에 의해 가동장치에 결합된 골반운동블럭부(이하 고정블럭 포함)의 수평각운동, 수직각운동,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즉 중공축(15)과 컬럼(14)에 의해 골반 운동블럭부가 컬럼(14)을 기준으로 수평 각운동을 하게 되며 종공축(15)과 핀결점을 이루는 가이드슬라이더(21)와 유압실린더(22)에 의해 종공축의 상부브라켓의 핀결점을 중심으로 수직각운동을 하게되며, 케이싱(17)과 회전축(18)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고 지지대(19)와 왕복대(24)를 연결하는 에어실린더의 가동에 의해 왕복대가 지지대 상에서 왕복운동(신전운동)을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유압실린더(22)는 중력에 의한 급격한 수직각운동을 배제하는 완충작용을 하게 하기 위한 것이며 각 잠금레버(25b,25C,25d)는 특정운동을 제어하는 것으로 잠금레버를 동시에 풀게되면 수평각운동, 수직각운동, 회전운동, 신전운동이 동시에 수행되어 교정의 효과를 극대화 하게 된다.
본 발명은 그 효과를 더욱 개선하기 위하여 경추운동블럭이나 흉추, 요추 운동블럭과 달리 드롭시의 충격을 지각하는 두뇌부에 멀리 떨어져 있어 교정대상자의 심리적 불안감을 야기할 우려가 없는 골반운동블럭에 플래트실린더(12d)의 작동을 제어하는 리밋트스위치(27)를 부착하여서 된 반복 드롭장치를 부가하고 있는 바, 이것은 골반운동블럭(9)이 드롭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할 때 리밋트스위치 온(ON)상태가 되도록 하여 드롭과 동시에 리밋트스위치에 연결된 에어공급장치(도시하지 않았음)가 작동하여 드롭과 상승이 반복되게 한 것이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교정대상자의 다양한 변위형태에 적합하게 블록의 3차원적 위치를 조정하여 종래의 드롭교정기로서 불가능한 변위도 용이하게 교정이 가능하며 종래에 비해 현저하게 교정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몸체(A) 전면에 경사조절장치(B)가 부가된 경추운동블럭지지체(2)가 돌출설치되고 몸체 후측 저부에 고정되는 봉형컬럼(14)에 의해 지지되는 수평각운동, 수직각운동, 회전운동 및 왕복운동을 할 수 있는 가동장치(C)가 착설되고 가동장치(C)상부에 블럭지지판(3)이 형성되어, 경추운동블럭지지체(2)에는 그곳에 고정되는 플래트실린더(12a)에 지지되어 평면상태를 유지하면서 상하운동하는 경추운동블럭(6)이 착설되며, 이에 연속한 몸체(A) 상부에는 저면 일측은 회전절(13a)에 의해 몸체에 결합되고 타측은 몸체에 고정된 플래트실린더(12b,12c)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절(13a)을 중심으로 일정높이로 상하 각운동하는 흉추운동블럭(7)과 요추운동블럭(8)이 병설되며, 블럭지지판(3)에는 후반부에 발목고정벤드(11)가 부가된 고정블럭(10)이 고착되고 전반부에 일측은 회전절(13b)에 의해 블럭지지판(3)에 결합되고 타측은 지지판에 고정된 플래트실린더(12D)에 지지되어 회전절(13d)을 중심으로 일정높이로 상하 각 운동하는 골반운동블럭(9)이 착설되는 구조의 드롭교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경사조절장치(B)를 경추운동블럭지지체(2)가 회전절(13c)에 의해 몸체(A)와 결합되게 하고 잠금레버(25a)가 부착된 리프트슬라이더(26)로 경추운동블럭지지체(2)를 몸체(A)에 지지케한 구조로 한 것.
  3. 제1항에 있어서 가동장치를 상,중,하 부위에 조인트브라켓(16a,16b,16c)이 형성된 중공축(15)이 봉형컬럼(14)에 삽지되고 각 조인트브라켓(16a,16b,16c)에는 상부로 부터 회전축케이싱(17) 가이드슬라이더(21) 및 유압실린더(22)가 핀결합되며 양측면에 가이드봉(20)이 형성된 지지대(19)와 일체로 결합된 회전축(18)이 회전케이싱(17)에 축설되며, 지지대 저면에 가이드슬라이더(21)와 유압실린더(22)의 각 말단이 핀결합되며 지지대의 가이드봉(20)에는 왕복대(24)가 미끄럼 대우를 이루도록 장착되며, 지지대(19)와 왕복대(24)를 에어실린더(23)로 연결하고 중공축(15), 회전케이싱(17) 및 가이드슬라이더(21)에 각기 회전 또는 슬라이딩을 제어하는 잠금레버(25b,25c,25d)가 부착되는 구조로 한것.
  4. 제1항에 있어서 골반운동블럭(9)과 블럭지지판(3) 사이에 플래트실린더(12D)의작동을 제어하는 리밋트스위치(27) 부착하는 구조의 반복 드롭장치를 부가한 것.
KR1019920003141A 1992-02-26 1992-02-26 드롭(drop)교정기 KR960010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141A KR960010744B1 (ko) 1992-02-26 1992-02-26 드롭(drop)교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03141A KR960010744B1 (ko) 1992-02-26 1992-02-26 드롭(drop)교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56A KR930017556A (ko) 1993-09-20
KR960010744B1 true KR960010744B1 (ko) 1996-08-08

Family

ID=19329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3141A KR960010744B1 (ko) 1992-02-26 1992-02-26 드롭(drop)교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74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05A1 (en) * 2005-12-26 2007-07-05 Hag Chung Kim Exercise apparatus for backbone remedy
KR101437770B1 (ko) * 2013-03-18 2014-11-03 이도영 척추 견인 치료장치가 탑재된 의료용 운동기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6866B1 (ko) * 2002-01-10 2004-09-07 (주)대연이엔지 골반 교정장치
KR100807201B1 (ko) * 2006-04-21 2008-02-28 김학충 척추교정용 운동기기
KR100807198B1 (ko) * 2005-12-26 2008-02-28 김학충 척추교정을 위한 운동장치
KR100696391B1 (ko) * 2006-02-09 2007-03-19 김민성 척추교정 및 성장촉진기
KR100658147B1 (ko) * 2006-07-03 2006-12-15 구경순 척추교정기
KR101954311B1 (ko) * 2018-08-08 2019-03-08 박진묵 척추 견인기
KR101998626B1 (ko) * 2018-02-02 2019-07-10 주식회사신화의료기 수동 척추 치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75005A1 (en) * 2005-12-26 2007-07-05 Hag Chung Kim Exercise apparatus for backbone remedy
KR101437770B1 (ko) * 2013-03-18 2014-11-03 이도영 척추 견인 치료장치가 탑재된 의료용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7556A (ko) 199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4036B2 (ja) 患者へのアクセスを容易にするための主梁を備える手術用フレーム
EP3337439B1 (en) Surgical frame facilitating articulatable support for a patient during surgery
US7234180B2 (en) Dynamic surgical table system
US8038635B2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US9101412B2 (en) Vertebral adjustment systems for spine alignment
CN110996872A (zh) 包含躯干吊索的手术支架及其使用方法
KR960010744B1 (ko) 드롭(drop)교정기
WO2017031225A1 (en) Surgical frame facilitating articulatable support for a patient during surgery
EP0559446B1 (en) An exercise machine
WO2016086162A1 (en) Surgical leg positioner
US8133260B1 (en) Chiropractic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715519B1 (ko) 경부 교정 장치
KR20080042427A (ko) 척추 교정 및 스트레칭을 위한 장치
KR100945059B1 (ko) 마사지 장치
KR101744300B1 (ko) 견인 위치 조절이 가능한 척추치료기
KR20010088650A (ko) 드롭교정기
KR20000053760A (ko) 경추교정기
KR100469862B1 (ko) 척추교정용 견인장치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EP2956108A1 (en) Headrest for massage table
KR101213299B1 (ko) 척추 교정 장치
KR101814281B1 (ko) 척추 견인 운동장치
EP3970681B1 (en) Motor rehabilitation machine
KR101345822B1 (ko) 척추 교정 장치
KR20230109216A (ko) 다기능 경추부 받침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