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720B1 - 제지용 분리장치 - Google Patents

제지용 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720B1
KR960010720B1 KR1019920015600A KR920015600A KR960010720B1 KR 960010720 B1 KR960010720 B1 KR 960010720B1 KR 1019920015600 A KR1019920015600 A KR 1019920015600A KR 920015600 A KR920015600 A KR 920015600A KR 960010720 B1 KR960010720 B1 KR 960010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impeller
understanding
chamber
stirring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5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히꼬 아이까와
Original Assignee
아이까와 뎃꼬 가부시끼가이샤
요시히꼬 아이까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24238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59681A/ja
Priority claimed from JP423514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164346A/ja
Application filed by 아이까와 뎃꼬 가부시끼가이샤, 요시히꼬 아이까와 filed Critical 아이까와 뎃꼬 가부시끼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720B1/ko

Links

Landscapes

  • Paper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지용분리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제지용 분리장치의제1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I-I선에 있어서의 확대 횡단면도.
제3도는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계통 설명도.
제4도는 실시예의 처리공정의 플로우차트.
제5도는 본 발명의 제지용 분리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일부의 확대 절단 측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예의 평면도.
제8도는 제5도의 Ⅱ-Ⅱ선에 있어서의 횡단면도.
제9도는 실시예의 사용상태의 계통 설명도.
제10도는 실시예의 처리공정의 플로우차트이고, (a)는 연속작동방식(b)는 간헐작동 방식.
제11도는 종래예의 처리공정의 계통 설명도이고, (a),(b)는 각각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6 : 스크린 2 : 밀폐 케이싱
3 : 전처리실 4 : 후처리실
5 : 임펠러(impeller) 6 : 원료입구
7 : 배출구 8,27 : 이해(離解)용 교반날개
9 : 스크린 바스킷(screen basket) 10 : 리젝트 배출구
11 : 원료 공급로 12,16 : 배출로
15 : 잔류물 처리실 20 : 미세 이물 회수실
21 : 하이드로포일 로우터(hydrofoil rotor) 22 : 개구
23 : 상커버 28 : 회수실
29 : 세정수 공급로 30 : 잔류물 배출로
40,50 : 분리장치 V1-V7: 제어밸브.
본 발명은 재생펄프 생산처리, 훼손지 처리 또는 신문, 잡지 등의 페지처리에 있어서, 미이해편 및 이물(금속편, 돌, 플라스틱편, 스티롤편, 비닐편등)을 포함하는 제지용 원료로부터 미이해편을 이해하고 , 이물을 계외로 배출하는 제지용 분리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재생펄프 생산처리, 훼손지 처리, 페지처리등의 제지용 설비에서 원료가 되는 섬유 현탁액중 미이해편을 이해하고 돌, 모래, 금속편, 수지편등의 이물, 기타의 먼지 배제를 위하여, 다수의 둥근구멍 또는 슬릿이 있는 스크린 플레이트로 밀폐 케이싱 내를 칸막이하여 구획 구성된 스크린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이 스크린 장치에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를 배치한 분리 장치가 특공소59-32594호 공보에 기술되어 있다. 이 분리 장치는 스크린 테일중의 미이해편을 이해하여 유용섬유를 회수하는 리젝트 처리에도 사용되고 있다.
이 분리장치를 리젝트 처리에 사용한 종래의 처리공정의 예를 제11도(A) 및(B)에 표시하는 계통 설명도에 의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우선 제11도(A)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메인라인 A에 둥근구멍 스크린 장치S1과 슬릿 스크린 장치 S2를 직렬로 배치하고, 둥근구멍 스크린 장치S1의 스크린 테일과 슬릿 스크린 장치 S2의 스크린 테일을 각각 별개의 분리장치 B,B1로 이해한 후, 각각을 체스트 C,C1및 펌프 D,D1을 통해서 둥근구명 테일 스크린 장치 S3과 슬릿 테일 스크린 장치 S4로 처리하고 있다. 또 제11도(B)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메인라인 A에 배치된 둥근구멍 스크린 장치 S1과 슬릿 스크린 장치 S2의 양 스크린 테일을 함게 합류하여 체스트 및 펌프 D로 분리장치 B로 보내 이해하고, 이어서 체스트 C1및 펌프 D1을 거쳐서 둥근구멍 테일 스크린 장치 S3에서 대충선별한 후, 슬릿 테일 스크린 장치 S4로 처리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의 처리 시스템에서는, 분리장치내에 고여있던 잔류물중에서 유용섬유 회수를 위하여 세정수로 장치내의 세정을 실시한후, 잔류물을 계외로 폐기하는 작업을 하여야 하므로, 그 세정작업시 원료공급을 정지할 필요가 있고, 따라서 그 세정 작업중에는 실질적이 분리처리가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 종래의 처리 시스템에서는 연속조업이 불가능하고, 조업이 배치 방식으로 이루어지므로 생산량이 제한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각 스크린 테일중의 이물은 고속작동되고 있는 분리장치에서 미세화되기 쉽고, 둥근구멍 스크린 장치 및 슬릿 테일 스크린 장치의 하이드로포일 즉, 애지테이터에 이물이 걸려서 작업의 트러블을 야기하거나, 다시 스크린장치로 되돌아온 많은 이물로 인하여 스크린의 눈이 막혀서, 분리기능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펌프 용량을 크게 해야하고, 처리 시스템이 복잡하여 비용이 증가한다. 그리고, 테일 스크린 장치만을 단독처리하는 경우에는, 미이해편이 잔류물로서 배출되고 유용섬유의 단위 생산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들 종래의 결점을 정확하게 배제하려고 하는 것으로서, 분리 장치를 항시 작동할 수 있고, 조업 가동율을 높이는 외에, 유용섬유와 이물을 분리하는 정선처리 능력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더욱이 미이해편의 배출이 적고 유용섬유의 회수를 대폭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제지용 분리 장치를 아주 저렴하게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원료중 미이해편의 양 및 성질에 따라서 이해기능의 조작 및 작동시간을 조정할 수 있고, 이물 파쇄정도도 조절할 수 잇으며, 제품품질의 향상과 동시에 스크린 테일의 처리 시스템을 간소화 할 수 있는 제지용 분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지용 원료 입구로부터 도입되는 원료를 유용섬유분과 이물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을 밀폐 케이싱내에 설치하여, 실내를 전처리실과 후처리실로 구획 형성하고, 이 전처리실에는 상기 스크린에 근접하며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임펠러와, 이 임펠러와 마주하며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이해용 교반날개와 분리된 이물의 배출로를 배치하는 동시에 후처리실에는 하이드로포일 로우터를 부설한 스크린 바스킷과 이 스크린 바스킷으로 간막이 되는 정선실과 제어밸브가 있는 배출로에 각각 연통된 정선 원료출구와 리젝트 배풀구를 설치하고, 상기 이해용 교반날개를 상기 임펠러와 편심시킨 밀폐 케이싱 상면부에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용 분리 장치이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에서는, 이물의 배출로와 리젝트 배출구에 연총하는 잔류물 처리실을 가지며, 이 잔류물 처리실에는 스크린과, 이 스크린을 따라서 회전하는 이해용 교반날개와, 스크린으로 구획되는 회수실과 세정수 공급로와, 잔류물 배출로를 구비한 제진기구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지용 분리장치에 의하면 원려 공급로와 정선원료 배출로를 항시 소정의 개구도로 열고 작동하면, 분리장치의 밀폐케이싱 내의 전처리실로 공급된 원료는 스크린에 근접하여 회전하는 임펠러와 이와 편심된 이해용 교반날개로 전처리실 내에서 교란되고, 미이해편을 이해하면서 스크린에서 유용섬유를 통과하여 흐르고, 이물은 스크린을 통과하지 않고 분리되어 배출구에서 전처리실로 배제되어 처리된다. 즉 전처리실로 보내진 원료는 그 회전방향으로 선희, 와류가 발생하고, 이에 따라서 생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원료중의 조대 이물은 전처리실의 외주벽으로 보내져 그 외주벽을 선회하면서 이물 배출로의 간헐저인 개폐에 의하여 배제된다. 한편, 유용섬유와 함께 스크린을 통과한 미이해섬유분은, 후처리실의 선회류에서 스크린 바스킷으로 이물 분리되고, 이물은 배출로의 개폐로 도출된다. 또한 스크린 바스킷을 통과한 유용섬유는 정선원료 유로에서 계외로 꺼내지고 다음 공정에서 처리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인 전처리실 및 후처리실의 잔류물을 다시 처리하는 제진기구를 설치한 분리장치에서는, 섬유회수를 연속적으로 실시하면서 리젝트 처리를 동시에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인 임펠러와 이해용 고반 날개를 편심시킨 장치에서는, 미이해편이 모이기 쉬운 부위에서 이해용 교반 날개가 회전하므로 효율좋게 미이해편을 이해시킨다.
본 발명에 의한 제지용 분리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제1도 내지 제4도에 나타내는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분리장치(40)는, 제지원료의 메인라인 A에 배치된 둥근구멍 스크린 장치S1 및 슬릿 스크린 장치S2에서의 스크린 테일이 체스트 및 펌프 D를 거쳐서 원료공급로(11)에서 밀폐케이싱(2)내로 도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 분리장치(40)의 밀폐케이싱(2)에는 제어밸브 V1이 있는 원료 공급로(11)에 연통하는 원료입구(6)가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원료입구(6)에서 도입되는 원료를 유용섬유분과 불순물의 이물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1)을 설치하고, 실내를 전처리실(3)과 후처리실(4)로 구획 형성하고 있다. 이 전처리실(3)에는 스크린(1)에 근접하며 회전이 자유롭게 임펠러(5)가 배치되어 잇고, 스크린(1) 주변 상부의 밀폐 케이싱(2)의 측벽에는 분리된 이물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구(7)가 형성되어 있고, 제어밸브V4는 이물 배출로(14)에 접속되어 있다. 또, 밀폐케이싱(2)에는 에어 뽑기 밸브 V8이 있는 배기유로(17)가 배치되어 있다.
또, 후처리실(4)에는 원통형의 스크린 바스킷(9)이 밀폐케이싱(2)의하부에 끼워져있고, 그 바같 쪽은 이 스크린 바스킷(9)으로 간막이 되는 정선원료 회수실(19)로 되어 있고, 그 안쪽은 미세 이물 회수실(20)이 구획 형성되어 있고, 스크린 바스킷(9)의내부에는 그 내면을 따라서 이동하는 회전이 자유로운 아지테이터 즉 하이드로포일 로우터(21)가 배치되어 있다. 후처리실(4)의 스크린 바스킷(9)으로 간박이 되는 내부의 미세 이물 회수실(20)의 아래쪽에는 리젝트 배출구(10)가, 또 스크린 바스킷(9)으로 간막이 되는 정선원료 회수실(19)에는 정선원료 출구(12)가 각각 배치되고, 이들의 입구는 제어밸브 V2V5혹은 배출로(12) 및 리젝트 배출로(16)에 각각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이드로포일 로우터(21)는 회전 임펠러(5)와 함께 회전축(22) 및 도르래(23)를 통해서 모터(24)에 의해 후술하는 모터(18)의 회전을 조절하면서, 예를 들면 300-800PPM으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처리실(3)에는 이해용 교반날개(8)가 임펠러(5)와 마주하며 외전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해용 교반날개(8)로는 임펠러(5)보다 소경, 예를 들면 임펠러 직경의 1/3치수의 것을 사용하고, 이것을 고속도, 예를 들면 1000-3000RPM의 속도로 역회전 또는 정호전 도는 간헐적으로 역회전시키는 구동기구, 예를들면, 모터(18)를 구비하고, 전공정을 연속적으로 작동하거나 도는 미이해편 이해공정만으로 선택적으로 작동하면 좋다.
분리장치(40)의 일부를 구성하는 제진기구를 장착하기 위하여, 베이스(25)상에는 밀폐케이싱(2)과 인접하여, 상기의 이물 배출로(14)와 리젝트 배출로(16)에 연통하는 잔류물 처리실(15)이 배치되어 있다. 이 잔류물 처리실(15)내에는 원통형 스크린 바스킷으로 이루어지는 스크린(26)과, 이 스크린(26)의 내면을 따라서 회전하는 이해용 교반날개(27)가 배치되어 있다. 이 이해용 교반날개(27)는 구동용 모터(31)로 구동된다.
잔류물 처리실(15)의 스크린 (26)으로 구획되는 회수실(28)은 제어밸브 V3및 배출로 (13)를 통해서 정선원료의 배출로(12)에 접속되어 있다. 또, 잔류물 처리실(15)의 스크린(26)으로 간막이 되는 내부는 제어밸브 V6가 있는 세정수 공급로(29)와, 제어밸브 V7이 있는 잔류물 배출로(30)에 연통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제진기구에서는 리젝트 중에 함유되는 유용섬유를 분리회수하고 있다.
또한, 밀폐 케이싱(2)내에 장착되는 스크린(1)으로서는 둥근구멍 스트레이너를 사용하고, 스크린 바스킷(9)으로서는 슬릿 스크린을 사용한, 이들을 조합시켜 구성한 더블 세퍼레이터 형식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 본 실시예의 분리장치(40)는, 밀폐케이싱(2)을 스크린(1)으로 구획하고, 상하 방향으로 전처리실(3) 및 후처리실(4)을 형성한 세로형 타입으로 하고 있지만, 가로형 타입으로 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제지용 분리장치(40)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원료의 공급과 조대이물, 미세이물 및 정선원료의 배출과 제진기구의 처리의 각 조작은, 각각의 로(11,12,13,14,16,29,30)에 배치되는 제어밸브V1-V7의 개폐에 의하여 실시되며, 제4도의 표시와 같이 이들 제어 밸브의 개폐조작을 반복하여 분리처리가 실시된다.
즉, 원료 공급로(11)의제어밸브 V1과 정선원료 배출로 (12)의 제어밸브 V2를 항상 소정의 개구도로 열고 분리장치(40)를 연속 작동하면, 밀폐 케이싱(2)내의 전처리실(3)로 공급된 원료는, 스크린(1)에 근접하여 회전하는 임펠러(5)와 이와 마주대한 이해용 날개(8)로 전처리실(3)내에서 교란되고, 유용섬유는 스크린(1)을 통과하여 흐르고, 이물은 스크린(1)을 통과하지 못하고 분리되어 배출구(7)에서 전처리실(3)밖으로 배출되어 처리된다. 즉, 원료 공급로(11)에 의하여 그 접선 방향으로 선화류가 생기도록 원료 입구 (6)에서 전처리실(3)로 넣어진 원료에는 임펠러(5)의 회전방향의 선회와 와류가 부여된다. 이에 따라 생기는 원심력에 의하여 원료중의 조대이물은 전처리실(3)의 외주벽으로 날려지고, 그 외주벽을 선회하면서 강하하여, 배출구 (7)에서 이물 배출로(14)의 제어밸브 V4이의 간헐적인 개폐에 의하여 제거된다. 한편 유용섬유와 함께 스크린(1)을 통과한 미이해 섬유분은 후처리실(4)의 하이드로포일 로우터(21)에 의한 선회류에 의해 스크린 바스킷(9)으로 이물 분리가 되고, 이물은 배출구(10)에서 리젝트 배출구(16)의 제어벨브 V5의 개폐로 도출되고 잔류물 처리실(15)로 이송된다. 또한 스크린 바스킷(9)을 통과한 유용섬유는 정선원료 출구(121)에서 배출로(12)의 제어벨브 V2의 개폐제어로 계외로 보내져서 다음의 공정으로 처리된다.
밀폐 케이싱(2)으로의 원료 보내기 작동공정중에, 타이머 또는 부하 또는 원료의 입구, 출구의 압력차의 어느 하나로, 앞에 작동한 것을 검출하면, 그 검출신호를 우선하여 리젝트 배출공정으로 이동한다. 이 리젝트 배출공정에서는 정선원료 배출로(13)의 제어밸브 V3,이물 배출로(14)의 제어밸브 V4이 및 리젝트 배출로 (16)의 제어밸브 V5를 열고, 전처리실(3) 및 후처리실(4)의 실내에서 계외로 보내지고, 잔류물 처리실(15)로 옮겨지며, 이어서 타이머로 소정시간 후에 제어밸브 V4및 V5를 닫는다. 그후, 제저밸브 V6를 열고 세정수 공급로(29)에서 소정량의 급수를 하면서, 이해용 교반날개(27)를 회전구동하여 다시 잔류물 중에 함유된 이미해편의 이해와 이물 분리를 스크린(26)으로 실시하고 스크린(26)에 의하여 유용섬유를 회수실(28)로 통과시킨다. 그후, 세정후 공급로(29)의 제어밸브 V6를 닫고, 그리고 제어밸브 V7을 열고 남아 있는 잔류물을 잔류물 배출로(30)를 거쳐서 계외로 배출한다. 이상의 조작을 반복하여 실시한다.
이와 같이 본 분리장치에서는, 섬유회수를 포함하는 조업을 연속적으로 실시하면서 리젝트 배출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생산량이 증가하고 가동 코스트는 현저하게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드로포일 로우터(21)가 임펠러(5)와 함께 모터(24)로 이해용 교반날개(8)의 모터(18)의 회전에 대해서 콘트롤되면서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지만, 단일 모터로 변속 또는 중속기구 내지 클러치 기구를 통해서 연동하는 형태로 해도 좋다.
도한 각 제어 밸브 V1-V7및 각 검출기, 타이머는 데이터 처리부의 컴퓨터 유닛(도시 않음)에 연결되어 제어회로를 구성하고 있고, 원료 처리량, 원료 종류, 원료 농도, 출입구 압력차, 부하 등의 이해조건에서 임펠러(5) 및 이해용 교반날개(8)를 구동하는 모터를 제어하고, 또한 제어밸브V1-V7의 개폐를 제어하고 연속적으로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제5도- 제10도에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 혹은 유사한 부분은 이들의 도면을 통해서 동일 부호로 표시했다.
본 실시예의 분리장치(50)는 제9도에 도시한 것처럼 제3도와 대략 동일한 계통의 처리 시스템중에 배치되어 있으며, 전술한 실시예의 잔류물 처리실을 포함하는 제진기구를 갖출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분리장치(50)의 특이한 구성은 밀폐 케이싱(2)의 형상과 전처리실(3)내에 배치된 이해용 교반날개(8)의 배치관계에 있고, 그외의 대략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가급적으로 중복설명을 피한다.
전처리실(3)에는 이해용 교반날개(8)를 임펠러(5)에 마주 대하며 회전이 자유롭도록 배치하였지만, 밀폐 케이싱(2)내에서 큰 미이해편은 외측에 모이기 쉬우므로, 밀폐케이싱(2)의 외측위치에 임펠러(5)와 편심시킨 고이는 부분을 설치하고, 이고이는 부분에 소형이고, 고속회전하는 이해용 교반날개(8)를 구비하고 있다.
또 이 이해용 교반날개(8)의 장착부분을 제외하고 밀폐 케이싱(2)의 상면부에 형성된 개구(22)에 상커버(23)를 착탈이 자유롭게 설치하여,기내 점검 및 임펠러(5) 및 스크린 바스킷(9)의 교환을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원료 공급로(11)에는 세정수를 급수하는 제업밸브V6를 갖는 급수로를 배치하고 있다.
이와 같이, 임펠러(5)와 편심시킨 밀폐케이싱(2)의 상면부에 이해용 교반날개(8)를 배치하므로써, 미이해편이 모이기 쉬운 부위에서 이해용 교반날개(8)가 회전하므로 효율좋게 미이해편을 이해시키고, 이해능력을 대폭으로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 분리장치(50)는 제10도(A) 혹은 제10(B)에 나타내는 플로우시트의 순서를 따라서 작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원료의 공급과 조대이물, 미세이물 및 정선원료의 배출처리 조작의 각관로 조작을 각 로(11,12,14,16)에 배치되는 제어밸브 V1-V5의 개폐를 타이머 또는 부하검출 혹은 차압검출로 실시한다.
즉, 원료 공급로(11)의 제어밸브 V1과 정선원료 배출로(12)의 제어밸브 V2는 항상 소정각도로 열려서 연속작동을 한다. 그리고, 이물배출로(14,16)의 제어밸브 V4V5을 타이머 또는 부하제어시 동시 혹은 한쪽을 선택해서 열고, 전처리실(3)에서 분리한 이물(1차 리젝트)과 후처리실(4)에서 분리한 이물(2차 리젝트)을 소량씩 연속적으로 배출하거나(제10도(A)), 간헐적으로 조업조건에 맞추어서 선택하여 1차 리젝트 및 2차 리젝트를 계외로 꺼내서 다음 공정으로 옮기고, 타이머로 소종시간 후에 이물 배출로(14,16)의 제어 밸브 V4V5를 닫는 간헐 작동방식(제10(B))를 조합하여도 좋다.
또, 배출로(16)에 다음 공정으로서 제1실시예와 동일한 잔류물 처리실(도시생략)을 갖추고 더욱 유용섬유의 분리회수를 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은, 유용섬유와 이물로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을 밀폐 케이싱내에 설치하고, 실내를 전처리실고 후처리실로 구획 형성하고, 이 전처리실에는 스크린에 근접하여 회전이 자유롭도록 임펠러를 설치하고, 이 임펠러에 마주 대해서 회전이 자유롭도록 이해용 교반날개를 배치하는 동시에, 상기 후처리실에는 하이드로포일로 부터 부설한 스크린 바스킷과 이 스크린 바스킷으로 간막이 되는 정선실을 설치한 장치로서, 임펠러와 마주하도록 이해용 교반날개를 배치하므로써, 효율좋게 미이해편을 이해할 수 있고, 이해능력을 대폭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다. 분리장치내를 비게하여 세정청소할 필요가 없고, 유용섬유분의 회수를 항상 연속 작동조업으로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생산량을 높일 수 있고, 처리능력을 향상시킨다. 또 기내의 이물제거도 안전하게 할 수 있고, 더욱이 기내에 이물이 길게 체류하지 않아서 동력을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잇으며, 잔류물 로서 폐기되는 유용섬유의 손실을 감소시키고, 단위 생산률 향상에 기여하고, 조업관리도 간편하다, 또한, 분리장치 내의 스크린의 눈막힘 현상도 적고 안전하게 작동할 수 있게 되고, 더욱이 원료중의 미이해편의 양 및 성질에 따라서 이해기능의 조작 및 작동시간을 조절할 수 있고, 능률좋은 스크린 작업이 가능한 분리장치 할 수 있다. 또 유용섬유의 회수율을 대폭 높힐 수 있는 동시에 이물파쇄 정도도 조절할 수 있어서 제품의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Claims (7)

  1. 제지용 원료입구에서 도입되는 원료를 유용섬유분과 이물분으로 분리하기 위한 스크린을 밀폐 케이싱내에 설치하고, 실내를 전처리실과 후처리실로 구획 형성하고, 상기 전처리실에는 상기 스크린과 근접하게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임펠러,와 상기 임펠러와 마주하며 회전이 자유롭도록 설치된 이해용 교반날개와, 분리된 이물의 배출로를 설치하는 동시에, 상기 후처리실에는 하이드로포일 로우터를 부설한 스크린 바스킷과, 상기 스크린 바스킷으로 간막이 되는 정선실과, 제어밸브가 있는 배출로에 각각 연통된 정선원료 출구와 리젝트 배출구를 설치한 분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해용 교반날개를 상기 임펠러와 편심시킨 상기 밀폐케이싱 상면부에 배치하고, 상기 이물의 배출로와 상기 리젝트 배출구가 연통하는 잔류물 처리실을 가지며, 상기 잔류물 처리실에는 제3의 스크린과, 상기 제3의 스크린을 따라서 회전하는 제2의 이해용 교반날개와 상기 제3의 스크린으로 구획되는 회수실로, 세정수 공급로와, 잔류물배출로를 구비한 제진기구를 장착한 제지용 분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진기구의 제3의 스크린이 상기 잔류물 처리실 내에 설치된 원통형 스크린 바스킷이고, 상기 원통형 바스킷 내에 회전이 자유로운 상기 제2의 이해용 교반날개를 구비한 제지용 분리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케이싱은 상기 이해용 교반날개의 장착 부분 이외의 상면부에 개구를 가지며, 상기 개구에 착탈이 자유로운 상커버를 구비한 제지용 분리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케이싱의 임펠러의 직경방향 외측위치에 고이는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고이는 부분에 이해용 교반날개를 갖춘 제지용 분리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 케이싱의 임펠러의 직경방향 외측위치에 고이는 부분을 형성하고, 상기 고이는 부분에 이해용 교반날개를 갖춘 제지용 분리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해용 교반 날개가 임펠러보다 소형이며, 임펠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지용 분리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이해용 교반 날개가 임펠러보다 소형이며, 임펠러보다 고속으로 회전하는 제지용 분리장치.
KR1019920015600A 1991-08-29 1992-10-08 제지용 분리장치 KR9600107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242380 1991-08-29
JP3242380A JPH0559681A (ja) 1991-08-29 1991-08-29 製紙用分離装置
JP4235145A JPH08164346A (ja) 1992-08-12 1992-08-12 製紙用分離装置
JP92-235145 1992-08-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0720B1 true KR960010720B1 (ko) 1996-08-07

Family

ID=265319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5600A KR960010720B1 (ko) 1991-08-29 1992-10-08 제지용 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7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75001B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separering av foeroreningar som inblandats i en pappersmassa.
US4043919A (en) Pressure screen with turbulence chamber means
SU1563582A3 (ru) Многоступенчата флотационна машина дл флотации минералов или эквивалентов из шламов
US8025772B2 (en) Method for degassing and supplying a fibrous suspension to a headbox or a filter device and degassing device
JPH07119062A (ja) 古紙パルプの選別方法および装置
EP0142054B1 (en) Screening apparatus with light reject removal
CA1330207C (en) Reject screen
CA1156975A (en) Center flow screening apparatus
FI66036C (fi) Silapparat foer massauppslamning
US3847817A (en) Filter unit having a generally cylindrical filter element supported on bearings
US4067800A (en) Screening apparatus
KR950004725B1 (ko) 섬유 현탁액 분류장치
US7461744B2 (en) Apparatus for separating fibers from reject material
GB158457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ping and grading waste material
KR960010720B1 (ko) 제지용 분리장치
JPS6152280B2 (ko)
EP1882773B1 (en) Screen apparatus
KR840000020B1 (ko) 가압 선별장치
JP4883382B2 (ja) 遠心分離機
GB2051600A (en) Paper pulp screen
JPH08164346A (ja) 製紙用分離装置
KR960004537B1 (ko) 제지용 분리해체겸 제진장치
US422281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ulping and grading waste material
JP3710814B2 (ja) ふるい分け装置
JPH0559681A (ja) 製紙用分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90723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