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250Y1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60010250Y1 KR960010250Y1 KR2019940010651U KR19940010651U KR960010250Y1 KR 960010250 Y1 KR960010250 Y1 KR 960010250Y1 KR 2019940010651 U KR2019940010651 U KR 2019940010651U KR 19940010651 U KR19940010651 U KR 19940010651U KR 960010250 Y1 KR960010250 Y1 KR 960010250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vator
- catch
- guide roller
- governor
- vie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5/00—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 B66B5/02—Applications of checking, fault-correcting, or safety devices in elevators responsive to abnormal operating conditions
- B66B5/16—Braking or catch devices operating between cars, cages, or skips and fixed guide elements or surfaces in hoistway or well
- B66B5/26—Positively-acting devices, e.g. latches, kni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intenance And Inspection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제2도는 종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부를 보인 도면.
제3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가이드 롤러부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제4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구조를 보인 도면.
제5도는 종래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설치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인 도면.
제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구성을 보인 도면으로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이드 롤러부를 보인 도면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
(다)는 요부인 회전속도 감지센서의 분해도.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전동부의 측면도.
(b)는 (a)의 요부인 구동풀리의 축지지대부를 확대하여 보인 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6 : 조속기 6a : 솔레노이드
6b : 코일 6c : 코아
6d : 플런저 6e : 로드
6f : 빔 6g : 프레임
6h : 캣치축 6i : 조속기 풀리
6j : 캣치 6l : 래치
7b : 회전속도 감지센서 7d : 가이드 롤러
8a : 축지지대 8c : 구동폴리
8d : 전동기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엘리베이터의 승강차가 정시상태이고, 운전지령이 없을 경우 승강차의 상,하방향 미끄러짐 발생시 비상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의 제동에 사용되는 장치로서는 브레이크와 조속기를 들 수 있다. 전자의 경우 엘리베이터의 정상운전시 승강차의 일시 정지 및 정지상태 유지를 위한 것이며, 후자의 경우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운행싱 일단 브레이크에 흐르는 전류를 차단하여 승강차를 정지시켜도 정지하지 않을 경우(정격속도의 130% 정도) 이를 감지하여 제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엘리베이터가 제1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차(1g)는 그 양측에 굴대설치된 가이드 롤러(1n)이 승강로에 설치된 가이드 레일(1m)을 따라 구름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승강가능하게 안내된다.
상기 가이드 롤러(1n)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차(1g)의 양측에 부착되는 롤러 지지대(1o)에 굴대설치되는 것으로 3개의 롤러가 사용되며, 이중 1개의 롤러는 가이드 레일(1m)의 내측면에 구름접촉되고, 나머지 2개의 롤러는 가이드 레일(1m)의 양측면에 구름접촉되도록 배치된다.
승강차(1g)의 승강로 상부에 설치되는 기계실에는 승강차(1g)를 승강구동하기 위한 기계부(1)가 설치되는바, 이 기계부(1)는 구동부와 제동부와 조속기(5)로 구성된다.
구동부는 기계부 프레임(1')상에 전동기(1b)와, 이 전동기(1b)의 축에 연결되는 입력축(1i)을 가지는 감속기(1e)와, 상기 감속기(1e)의 출력축(1i)에는 설치되는 구동풀리(1d)로 구성되며, 구동풀리(1d)에는 로프(1k)가 감겨져 일단은 승강차(1g)의 상단에 고정되고 타단은 기계부 프레임(1')에 지지된 종동풀리(1f)를 거쳐서 균형추(1h)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제동부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입력축(1j)에 설치되는 브레이크 드럼(1c)과, 상기 브레이크 드럼(1c)의 주위에는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주레버(2g)와, 이 주레버(2g)의 중간부에 부착된 브레이크 슈우(2i)와, 전류가 인가되는 코일(2a)과, 이 코일(2a)의 내측에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플런저(2c) 및 코아(2d)와, 상기 플런저(2c)에 고정되는 푸시로드(2b)와, 주레버(2g)의 일단에 연결되어 상기 브레이크 슈우(2i)가 브레이크 드럼(1c)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방향으로 탄력지지 하는 압축스프링(2h)과, 상기 푸시로드(2b)의 끝단에 밀착되는 보조레버(2e)로 구성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2f는 압축볼트이다.
상기 조속기(5)는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계부 프레임(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상부풀리(5a)와, 승강로의 하단에 굴대설치된 하부풀리(5a')와, 이들 상,하부 조속기 풀리(5a, 5b)에 엔드레스형으로 감겨 일측에 승강차(1g)가 결속되는 로프(5c)와, 승강차(1g)와 로프(5c)의 결속부위에 연동연결되는 링크기구(5d)와 이 링크기구(5d)에 연결되어 비상시 가이드 레일(1m)을 협지하여 제동하는 웨지(5e)와, 상기 상부풀리(5a)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한쌍의 관성추(4a)와, 이 관성추(4a)를 관성력에 대응하여 안쪽으로 탄력지지하는 인장스프링(4b)과, 상기 상부풀리(5a)에 지지된 래치(4c)와, 상시에는 상기 래치(4c)에 의하여 구속되고 비상시에는 래치(4c)로부터 구속이 해제되면서 로프(5c)를 잡아주는 캣치(4d)와, 이 캣치(4d)를 구속상태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4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엘리베이터의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엘리베이터의 가동시 승강차(1g)의 도어가 닫히고 상기 승강차(1g)가 정상적으로 상승 및 하강 작용을 할 경우, 브레이크 코일(2a)에 전류가 인가되면 자장이 형성되어 코아(2d)와 플런저(2c)에 자기력이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2c)가 고정되어 있는 고아(2e)를 밀어 그 힘이 압축 스프링(2h)의 압축력을 이기면 슈우(2i)가 브레이크 드럼(1c)으로부터 분리되어 승강차(1g)가 움직일 수 있는 상태로 된다.
반면, 승강차(1g)를 정지시키기 위해서 브레이크 코일(2a)에 인가되는 전류를 차단시키면 상기 압축스프링(2h)의 압축력에 의해 브레이크 드럼(1c)에 슈우(2i)가 압착되어 승강차(1g)가 정지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승강차(1g)가 멈추지 않고 계속 움직일 경우 또는 승강작동중 로프(1k)가 파단되거나 기타 제동부의 이상으로 인하여 승강차(1g)의 움직임이 정격속도의 약 130%에 도달하면, 상기 승강차(1g)의 움직임과 함께 움직이던 로프(5c)의 운동력이 상기 로프(5f)가 감긴 상부풀리(5a)에 전달되고, 이에 따른 상부풀리(5a)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상부풀리(5a)의 회전과 같이 회전하던 관성추(4a)가 일정의 변위를 초과하게 되고, 이에 따라 관성추(4a)가 캣치(4d)를 잡아주고 있던 래치(4c)를 쳐서 상기 래치(4c)로부터 분리된 캣치(4d)는 조속기의 로프(5c)를 잡아 승강차(1g)를 비상 정지시키게 된다.
이와 동시에 로프(5c)에 연결되어 있는 링크(5d)가 굴절작용하면서 웨지(5e)를 작동시키게 되어 웨지(5e)가 가이드 레일(1m)을 양측에서 잡게 되어 승강차(1g)를 비상 정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의 브레이크 장치는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하강하는 경우에는 캣치가 로프를 잡아 승강차를 비상정지시킬 수 있으나,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상태에서 임의 상승하는 경우에는 비상정지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급속히 하강하는 경우에는 조속기 풀리에 설치된 스프링의 탄성력이 장기간 사용으로 그 탄성력에 변화를 일으켰을 경우 정확한 비상제동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차가 정지상태에고, 운전지령이 없을 경우 승강차의 미끄러짐 발생시 비상 제동을 할 수 있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한 상태로 하강하는 경우는 물론 상승하는 경우에도 비상제동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운전지령에 의해 전동기의 구동풀리의 가동으로 승강차가 그 측면에 굴대설치된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아 승강작동하며, 비상시 로프를 잡아 승강차를 정지시키는 캣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의 정지상태에서 운전지령에 무관하게 상,하방향 미끄럼 발생시 상시 회전하는 회전요소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속도 감지센서와, 이 회전속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캣치를 직접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제동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회전요소는 가이드 롤러이고,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축에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요소는 전동기의 구동풀리이고,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는 상기 구동풀리가 설치되는 출력축에 결합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례에 따라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엘리베이터 조속기의 구성을 보인 것으로,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제7도는 본 고안의 일 실시례에 의한 가이드 롤러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측면도, (b)는 정면도, (다)는 요부인 회전속도 감지센서의 분해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종래 기술한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 부호를 부여함과 아울러 필요시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속기(6)는 프레임(6g)에 지지되어 있는 조속기 풀리(6i)와, 그 일측의 솔레노이드(6a)와, 상기 솔레노이드(6a) 내측에 설치되는 코아(6c)로부터 소정 간격(d)을 두고 설치되는 풀런저(6d)와, 상기 플런저(6d) 주위의 코일(6b)와, 상기 플런저(6d)에 연결된 로드(6e)와 이에 연결된 빔(6f)과, 상기 빔(6f)에 연결되며 캣치축(6h)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캣치(6j)와, 상기 캣치(6j)를 구속하는 래치(6l)로 구성된다. 상기 조속기 풀리(6i)에는 로프(6k)가 감겨져 있다.
제7도의 (a)(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승강차(1g)(제1도)의 측면에는 가이드 레일(1m)을 따라 안내되는 다수개(3개)의 가이드 롤러(7d)가 굴대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가이드 롤러(7d)는 승강차(1g)의 측면에 고정되는 가이드 롤러 프레임(7c)에 굴대 설치되는 것으로, 하나는 가이드 레일(1m)의 배면에 구름접촉되도록 설치되고, 나머지 2개는 가이드 레일(1m)의 양측면에 구름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승강차(1g)의 승강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구름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 롤러(7d)에는 칼라(7a)를 개재하여 회전속도 감지센서(7b)가 결합되며,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7b)는 가이드 롤러 프레임(7c)에 지지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상태로 승강차(1g)에 미끄럼이 발생하게 되면, 승강차(1g)의 가이드 롤러(7d)상에 설치된 회전속도 감지센서(7b)에서 승강차(1g)의 유동신호를 감지하게 되고, 이어서 승강차(1g)의 운전지령 신호를 감지하여 운전 지령이 없으면 이 회전속도 감지센서(7b)는 조속기(6)의 솔레노이드(6a)의 코일(6b)에 전류를 인가시키게 된다.
상기 코일(6b)에 전류가 인가되면 코아(6c)와 플런저(6d)에 자기력이 발생하여 고정된 코아(6c)쪽으로 플런저(6d)가 지정된 간격 d만큼 이동하여 코아(6c)에 밀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플런저(6d)에 취부된 로드(6e)도 플런저(6d)와 같은 거리 만큼 움직여서 캣치(6j)에 연결된 빔(6f)를 밀게 되고, 이에 따라 캣치(6j)가 조속기(6)의 로프(6k)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때, 조속기(6)에 취부된 솔레노이드(6a)의 크기는 캣치(6j)를 밀어줄 수 있는 행정과 솔레노이드의 흡인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정상적인 운전상태에서는 솔레노이드(6a)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플런저(6d)의 무게와 로드(6e)의 무게의 합은 빔(6f)을 밀어서 캣치(6j)가 작동되지 않도록 충분히 적어야 한다.
한편, 제8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례를 도시하는 것으로, 전동기(8d)의 구동풀리(8c)에 구동풀리(8c)의 회전속도를 감지하는 회전속도 감지센서(7b)를 취부하고, 이때,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7b)의 고정은 구동풀리(8c)의 축지지대(8a)에 체결되는 볼트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본 실시례에서는 전동기(8d)의 운전 지령이 없는 상태에서 구동풀리(8c)가 회전하려 하면 조속기(6)에 취부된 솔레노이드(6a)의 코일(6b)에 전류를 인가시켜 조속기(6)를 작동시키도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승강차의 비상제동을 조속기 풀리에 의존하지 않고 비상승강시 항상 회전할 수 밖에 없는 회전요소, 즉 승강차를 가이드 레일을 따라 아내하는 가이드 롤러의 축이나 구동풀리의 축에 회전속도 감지센서를 결합하여 운전 지령과 무관하게 상,하방향으로 승강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솔레노이드에 의해 캣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승강차가 정격속도를 초과하여 하강하는 경우는 물론 상승하는 경우에도 이를 감지하여 비상 정지시킬 수 있어 엘리베이터를 보다 안전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 운전지령에 의해 전동기의 구동풀리의 가동으로 승강차가 그 측면에 굴대설치된 가이드 롤러와 가이드 레일의 안내를 받아 승강작동하며, 비상시 로프를 잡아 승강차를 정지시키는 캣치를 가지는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승강차의 정지상태에서 운전지령에 무관하게 상,하방향 미끄럼 발생시 상시 회전하는 회전요소의 회전을 감지하는 회전속도 감지센서와, 이 회전속도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작동되어 상기 캣치를 직접 작동시키는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는 가이드 룰러이고,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는 상기 가이드 롤러의 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요소는 전동기의 구동풀리이고, 상기 회전속도 감지센서는 상기 구동풀리가 설치되는 출력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0651U KR960010250Y1 (ko) | 1994-05-13 | 1994-05-13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40010651U KR960010250Y1 (ko) | 1994-05-13 | 1994-05-13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33176U KR950033176U (ko) | 1995-12-16 |
KR960010250Y1 true KR960010250Y1 (ko) | 1996-12-04 |
Family
ID=19383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40010651U KR960010250Y1 (ko) | 1994-05-13 | 1994-05-13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960010250Y1 (ko) |
-
1994
- 1994-05-13 KR KR2019940010651U patent/KR960010250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50033176U (ko) | 1995-12-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1749784B1 (en) | Emergency stop device of elevator | |
JP5247690B2 (ja) | エレベータの安全装置 | |
US6564907B1 (en) | Elevator having emergency stop device | |
CA2042753C (en) | Elevator safety | |
JPH04365771A (ja) | エレベータ | |
US5321216A (en) | Restraining elevator car motion while the doors are open | |
EP1749785B1 (en) | Elevator controller | |
US7137484B2 (en) |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 |
EP3483108B1 (en) | Elevator safety gear trigger | |
KR960010250Y1 (ko) | 엘리베이터의 비상 제동장치 | |
JP2626408B2 (ja) | エレベータ用非常停止装置 | |
US20040238289A1 (en) | Safety system for restraining movement of elevator car when car doors are open | |
JPH0761832B2 (ja) | リニアモータ駆動エレベータ | |
US7419033B2 (en) | Emergency brake device for elevator | |
JP5944056B2 (ja) | エレベータ用調速機およびそ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装置 | |
JPWO2003089354A1 (ja) | エレベータ用非常ブレーキ装置 | |
JPH0840662A (ja) | エレベータ装置 | |
EP1663837B1 (en) | Elevator safety gear arrangement | |
KR100429303B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WO2022249793A1 (ja) | 非常止め装置、エレベーター及び非常止め装置の復帰方法 | |
JPH03243583A (ja) | エレベーター装置 | |
KR200219245Y1 (ko) | 엘리베이터의 안전장치 | |
CN109803911B (zh) | 电梯用调速机及电梯装置 | |
KR100742055B1 (ko) | 엘리베이터 장치 | |
JPH01181688A (ja) | エレベータ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19990927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