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9301Y1 -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 Google Patents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9301Y1
KR960009301Y1 KR2019930009519U KR930009519U KR960009301Y1 KR 960009301 Y1 KR960009301 Y1 KR 960009301Y1 KR 2019930009519 U KR2019930009519 U KR 2019930009519U KR 930009519 U KR930009519 U KR 930009519U KR 960009301 Y1 KR960009301 Y1 KR 96000930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azine
guide
bin
empty
h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9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2223U (ko
Inventor
김영삼
김시봉
Original Assignee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문정환 filed Critical 금성일렉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30009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09301Y1/ko
Publication of KR9500022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22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930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9301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 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제1도는 종래 언로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2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3도 내지 제6도는 본고안에 의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본 고안 언로더 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제4도는 동상의 평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요부 구성인 매거진 가이드의 정면도.
제6도는 동상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엠프티 매거진 스톡커 2 : 매거진
3 : 매거진 핸드 4 : 언로딩 플레이트
6 : 디바이스 7 : 매거진 스톡커
10 : 매거진 가이드 10a : 매거진 지지부
11 : 축 12,12' : 고정편
본 고안은 오토 핸들러(Auto Handler)의 언로더(Unloader)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면에 매거진(Magazine)을 각각 장착할 수 있는 십자형(+) 매거진 가이드를 구비하여 언로더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빈 카테고리(Bin Category)를 증대시키도록 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은 종래의 언로더 장치의 구조 및 작용을 보인 측면도 및 평면도로서, 이는 엠프리 매거진 스톡커(Empty Magazine Stocker)(1)에 적재된 엠프리 매거진(2)이 매거진 핸드(3)에 의하여 언로딩 플레이트(4)의 빈 카테고리 레일에 옮겨저 매거진 가이드(5)에 지지되고, 빈(Bin)이 결정되면, 도시한 화살표 A방향으로 내려오는 디바이스(6)가 매거진(2)에 수납되며, 이와 같이 디바이스 수납된 매거진(2)은 매거진 핸드(3)에 의하여 매거진 스톡커(7)로 이동되어 적재되는 구성으로 되어있다.
즉 종래의 언로더 장치는 빈 카테고리가 결정된 디바이스(6)가 오리엔터(orienter)(8), 소터(Sorter)(9) 및 매거진 가이드(5)를 통해 내려와 매거진(2)에 수납되고, 매거진(2)이 디바이스(6)로 꽉차게 되면, 매거진 핸드(3)에 의해 매거진(2)이 들리어져 매거진 스톡커(7)에 적재된다. 다시 매거진 핸드(3)는 비어있는 매거진을 엠프티 매거진 스톡커(1)로 부터 가져와 빈 카테고리 레일에 위치시킨후 비닝(Binning)을 계속 하는 동작을 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언로더 장치는 빈 카테고리의 구분이 8∼9가지 종류로서 현 테스터 시스템의 빈 카테고리 구분(현재 테스터시스템의 빈 카테고리 구분을 50가지 또는 그 이상임)을 따라가지 못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아울러 현재의 오토핸들러에서 빈 카테고리를 늘리려면, 언로더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할 수밖에 없다는 단점도 있었다. 즉, 현재의 오토핸들러에 있어서는 오리엔터 레일(8a)의 2개레일을 동시에 커버하는 소터(9) 레일(9a)의 간격(d)을 줄이지 못함으로 인하여, 빈 카테고리는 언로더 장치의 크기가 옆으로 더욱 커져야 한다는데 제약을 받게 된다.
이를 감안하여 안출한 본 고안의 목적은 언로더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빈 카테고리를 증대 시키도록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를 제공함에 잇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매거진을 로딩하는 메거진 핸드의 이동시간을 줄여 토탈비닝타임(Total Binning time)을 줄일수 있도록 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매거진 핸드에 의해 언로딩 플레이트의 빈 카테고리 레일에 옳겨진 매거진 디바이스가 수납되고 수납된 매거진은 상기 매거진 핸드에 의해 매거진 스톡커로 이동되어 적재되도록 구성된 오토핸들러의 언로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플레이트의 빈 카테고리 레일부 각각에 4개 이상의 매거진 지지부를 가진 매거진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매거진 가이드에 회전축을 연결하여 회전구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핸들러의 언로딩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매거진 지지부의 양측부에는 매거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각각 부착된다.
이와 같이된 본 고안에 의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장치는 종래 8개의 빈 카테고리 레일부 각각에 적어도 4개이상의 매거진 지지부를 가지는 매거진 가이드를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빈 카테고리를 32가지 종류 또는 그 이상으로 세분화 할 수 있고, 또 사용치 않는 매거진 가이드를 오프(OFF) 시키는 것으로, 매가진 핸드의 이동시간을 줄일수 있으므로 토탈 비닝 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매거진 가이드의 빈 매거진에 적절한 빈을 세팅하는 것으로 소터에서 디바이스를 동시에 보낼수 있으므로 소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 및 제4도는 본 고안 언로더장치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및, 동상의 평면도이고, 제5도 및 제6도는 본 고안의 요부구성인 매거진 가이드의 정면도 및 동상의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는 엠프티 매거진 스톡커(1)의 엠프티 매거진(2)이 매거진 핸드(3)에 의하여 언로딩 플레이트(4)의 빈 카테고리 레일에 옮겨져 소정경로를 통해 이송되는 디바이스(6)가 수납되고, 디바이스(6)가 채워진 매거진(2)은 매거진 핸드(3)에 의하여 매거진 스톡커(7)로 이동되어 적재되는 기본구조는 종래와 같다.
여기서, 본 고안은 상기 언로딩 플레이트(4)의 각 빈 카테고리 레일부에 저어도 4개 이상의 매거진 지지부(10a)를 가지는 십자(+)형태의 매거진 가이드(10)를 축(11)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하여,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빈 카테고리의 구분을 세분화 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즉, 종래 8개의 빈 카테고리 레일부 각각에 4개의 매거진 지지부(10a)를 가지는 매거진 가이드(10)를 설치함으로써 빈 카테고리의 구분을 4×8=32 가지의 종류 또는 그 이상으로 세분화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매거진 가이드(10)의 축(11)은 핸들러의 컨트롤 유니트(도시되지 않음)에 각각 연결되어 그 회전이 컨트롤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각 매거진 지지부(10a)의 양측에는 매거진(2)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12)(12')이 각각 부착되어 있다.
도면에서 종래 구성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 하였다.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언로더 장치의 작용 및 그에 따르는 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의 디바이스 언로딩 과정은 근본적으로 일반적인 언로딩 장치의 작용과 동일하다.
즉, 매거진 핸드(3)가 엠프티 매거진 스톡커(1)의 매거진(2)을 매거진 가이드(10)에 얹는다. 이어서 빈 카테고리가 결정된 디바이스(6)가 오리엔터(8) 및 소터(9)를 통해 내려오고, 소터(9)는 그 디바이스(6)의 빈 카테고리를 가진 매거진 가이드(10)쪽으로 디바이스(6)를 포함한채 움직이게 된다. 이때 매거진 가이드(10)는 그 디바이스의 해당 빈 카테고리의 매거진을 위치 시키기 위해 회전하게 되고, 디바이스를 받아 들인다.
이후 상기와 같은 과정으로 디바이스가 꽉찬 매거진은 다시 매거진 핸드(3)에 의해 이동되어 매거진 스톡커(7)에 적재되는 것으로 언로딩 동작을 완료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 장치에 있어서는 사용치 않는 매거진 가이드를 오프시키는 것으로, 매거진을 로딩하는 매거진 가이드(10)의 이동시간을 줄일 수 있고, 또 이웃하는 매거진 가이드(10)의 빈 매거진에 적절한 빈을 세팅하는 것으로 소터에서 디바이스를 동시에 보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토탈 비닝 타임 및 소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는 종래 8개의 빈 카테고리 레일부 각각에 적어도 4개이상의 매거진 지지부를 가지는 매거진 가이드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크기를 크게 하지 않으면서도 빈 카테고리를 32가지 종류 또는 그 이상으로 세분화 시킬수 있다는 효과가 있고, 또, 사용치 않는 매거진 가이드를 오프시키는 것으로, 매거진 핸드의 이동시간을 줄일 수 있으므로 토탈 비닝 타임을 단축할 수 있으며, 아울러 매거진 가이드의 빈 매거진에 적절한 빈을 세팅하는 것으로 소터에서 디바이스를 동시에 보낼수 있으므로 소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효과도 있다.

Claims (2)

  1. 매거진 핸드에 의해 언로딩 플레이트의 빈 카테고리 레일에 옮겨진 매거진에 디바이스가 수납되고, 수납된 매거진은 상기 매거진 핸드에 의해 매거진 스톡커로 이동되어 적재되도록 구성된 오토핸들러의 언로딩 장치에 있어서, 상기 언로딩 플레이트의 빈 카테고리 레일부 각각에 4개 이상의 매거진 지지부를 가진 매거진 가이드를 형성하고, 상기 매거진 가이드에 회전축을 연결하여 회전구동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매거진 지지부의 양측에는 매거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이 각각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KR2019930009519U 1993-06-02 1993-06-02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KR96000930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519U KR960009301Y1 (ko) 1993-06-02 1993-06-02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9519U KR960009301Y1 (ko) 1993-06-02 1993-06-02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23U KR950002223U (ko) 1995-01-04
KR960009301Y1 true KR960009301Y1 (ko) 1996-10-16

Family

ID=1935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9519U KR960009301Y1 (ko) 1993-06-02 1993-06-02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09301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2223U (ko) 1995-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921937B2 (ja) Ic検査装置
DE3715601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transport von wafern zwischen kassetten und einem schiffchen
CA2345399A1 (en) Dual level tilting tray package sorting apparatus
EP0200705A3 (en) Automatic disc loading and unloading mechanism for record player apparatus
GB2125756A (en) Distributively feeding conveyor device
EP0833324B1 (en) Changer-type disk playback device
EP0501208A1 (en) Weighing apparatus for checking cans
EP0227968A2 (en) High speed integrated circuit handler
KR100217286B1 (ko) 웨이퍼링의 공급.반송장치
KR960009301Y1 (ko) 오토핸들러의 언로더 장치
US5915568A (en) Multiple station CD-ROM testing system
US5853532A (en) Wafer ring supply and return device
BR9401537A (pt) Mecanismo acionador de êmbolo para uma máquina viradora de terminais automatizada; e mecanismo de ajuste de altura de virada
ES2119669A1 (es) Aparato de grabacion y reproduccion magnetica
KR200286751Y1 (ko) 반도체패키지 제조 장비의 트레이 공급장치
JPS60228037A (ja) 部品の複数個同時取出し方法
JPH04266780A (ja) パチンコ球水平搬送装置
CA2211588C (en) Specimen carrier elevator apparatus and transport system
KR20020049334A (ko) 수평식 핸들러의 디바이스 테스트방법
JP3686968B2 (ja) マガジンラック昇降装置
KR0162743B1 (ko) 건전지의 자동 정렬 및 적재장치
KR0122283Y1 (ko) 반도체소자용 트레이의 위치결정장치
JPH0133533Y2 (ko)
KR940000952Y1 (ko) 기판적재기의 기판적재장치
KR200168790Y1 (ko) 핸들러 시스템의 튜브 언로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9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